[include(틀:상위 문서, top1=Space Agency)] [Include(틀:Space Agency)] [목차] == 개요 == [[Space Agency]]의 페이로드 모듈에 대한 문서이다. 페이로드 파트는 아무래도 미션에 단편적으로만 사용되는 위성, 특수모듈, 탐사선 등이 많아 상대적 활용도가 떨어진다. 물론 ATV, 재급유모듈 등은 예외로, 끝내주는 활용력을 자랑한다. == 통신 위성 (Communications Satellite)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Communications Satellit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말그대로 통신 위성이다. 어떠한 기동도 할 수 없으며, 도킹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초반 미션을 제외하곤 [[우주 쓰레기]] 취급을 받는다. 굳이 미션에 필요 없다면 소유즈 2단 등 가볍고 저렴한 로켓 하나 날려서 없애버리고 시작하자. 힘들게 올려놓은 로켓 또는 재진입하는 승무원 모듈에 부딪히면 정말 괴롭기 짝이 없다. 특히 공들여 만들어놓은 우주정거장 등에 충돌하는 날에는... == 재급유 모듈 (Refuel Module)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Refuel Mod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4 || 연료를 보충시키기 위한 모듈이다. 도킹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연료 이동에는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 사일로보다 확실히 연료량이 떨어지나, 그래도 그 특유의 가벼움 등으로 인해 더욱 많이 사용된다. 장거리 여행시에는 로켓 발사 직후에 이걸 추가로 발사해서 달고 가면 제법 쓸만하다. == 자동 전송 차량 (Automated Transfer Vehicle)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Automated Transfer Vehic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3 || 화물칸이 8칸으로 가장 넓은데다 최대 24의 전력과 도킹 후 남는 연료를 다른 모듈과 우주선에 공급할 수 있고 도킹 포드가 앞뒤로 있어 모듈을 옮기거나 우주 정거장에 도킹한 상태로 다른 우주선을 도킹시킬 수 있으며 우주 정거장의 시작 모듈로도[* 첫 모듈을 띄워두고 새 모듈을 도킹시키면 새 모듈이 움직인 방향으로 밀려나는지라 ATV를 첫 모듈로 쓰면 좋다.] 유용한 만큼 쓰임새가 많은지라 정거장에 한두 대 정도 도킹시켜 놓으면 좋다. ATV가 언락되면 샌드박스에서 재보급 모듈은 찬밥이 된다. 심지어 엔진까지 제법 괜찮은지라... == 달 착륙선 상승부 (Lunar Module Ascent)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Lunar Module Ascent.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1 || 아폴로 미션의 그 달착륙선이다. 착륙 후 지구로 귀환절차를 진행할 때 분리되어 다시 사령선과 결합하는 그 부분이다. 다만 달에서 다시 상승할 때[* 착륙하고 다시 이륙할때 분리 버튼을 누르면 알아서 궤도를 생성한다]는 계속 로켓 엔진에 신경쓰고, 고도 상승보다 속도를 공전속도까지 올려놓는데에 집중하자. 그렇지 않으면 올라가다가 도로 떨어지거나 심지어 하단부와 충돌하는 참사까지 일어난다. == 달 착륙선 하단부 (Lunar Module Descent)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Lunar Module Descent.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6 || 달 착륙선의 하단부. 연료 효율이 의외로 좋다. 달 착륙시에는 달의 자전방향 원심력때문에 착륙 직후 돌림힘을 받게 되므로 반드시 역회전 할 연료를 매우 충분히 남겨두자. == LK 착륙선 코어 (LK Lander Core)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LK Lander Cor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21 || N1로켓에 실려가는 그 LK착륙선의 상승부이다. 특이한 모양새와 떨어지는 효율때문에 달착륙선보다 훨씬 덜 사용한다. == LK 착륙선 다리 (LK Lander Legs)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LK Lander Legs.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21 || N1로켓의 LK 착륙선의 하단부이다. 상승부와 마찬가지로 덜 사용된다. 하지만 잘 이용하면 다른 행성에 주거공간을 만들수있다!! == 포드 (Pod)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Pod.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29 || 29번 미션인 ADS 확장 미션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다. 추진력은 좋으나 연료 탑재량이 미묘하게 부족해, 사용 빈도가 높지는 않다. == 우주 망원경 (Space Telescope)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Space Telescop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4 || 우주망원경. 위의 인공위성 모듈과 마찬가지로 초반 미션에서 띄워놓지만 쓸모가 없다. 우주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찰해봤자 그 방향 우주가 보이는 것이 아니라 게임 화면이 그대로 캡쳐되어 저장될 뿐이다. 인공위성보다 크기까지 더 커서 더욱 걸기적거리니 별 쓸모가 없다면 폭파하고(...) 시작하자. 또 추진기 성능이 매우 좋지 않아 회전운동밖에 안된다. == 폭발 모듈 (Explosive Module)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Explosive Mod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7 || 미션 7의 비밀미션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다. 다만 실제로는 그냥 안에 다른 모듈을 싣거나 로켓 채로 가서 부딪히는게 걸기적거리는 모듈 제거에는 훨씬 좋아서 굳이 이 모듈을 발사한 뒤에 각도와 속도를 맞추어 도킹해 폭파하는 수고는 잘 하지 않는다. == Orlets-1 측량 위성 (Orlets-1 Survey Satellite)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Orlets-1 Survey Satellit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8 || 행성 탐사 미션에서 사용된다. 쓸일이 정말 없다. == 태양 탐사선 알파 (Solar Probe Alpha)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Solar Probe Alpha.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2 || 12번 미션의 태양 탐사에서 사용되는 두 탐사선 중 하나. 전혀 쓸데가 없다. 정말로. --잘 이용하면 태양의 방사선과 열을 막아서 태양궤도에도 정거장을 띄울 수 있다!!지만 각속도 조절이 굉장히 까다롭다. 또한 작은 행성에 착륙하는 것과는 달리 태양의 압도적인 크기 때문에...-- == 태양 탐사선 베타 (Solar Probe Beta)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Solar Probe Beta.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2 || 위의 알파와 함께 미션 외에는 쓸모가 없다. == 보이저 X 안테나 (Voyager-X Antenna)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Voyager-X Antenna.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5 || 15번 미션에서 사용하는 보이저 X 탐사의 상단부이자 안테나. 미션 외에는 역시 쓸 일 없다. 탐사를 할 목적이 있다면 이를 큰 태양 전지판에 달아서 여러개를 정거장에 도킹시키자. 그러면 정거장에서 감속을 해서 한번에 4곳도 보내놓을 수 있다. 정거장을 잘 구축한다면 상부 끝자락에서 하부 끝자락,태양을 거쳐 모든 행성에 안테나를 띄워둘 수 있을 것이다. == 보이저 X 본체 (Voyager-X Main Body)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Voyager-X Main Body.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5 || 위 보이저 X의 하단부. 다만, 상단부와는 다르게 도킹도 가능하고 추진력, 인상력 등이 좋아서 독자적으로라도 가끔 예인모듈 대신 쓰인다. 물론 정말 가-끔. 정거장으로 먼 행성에 가야 할때 산소정원을 도킹시켜둬도 랜더에는 정화기, 산소가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에 이 모듈에 전지를 모두 버리고 이걸 저장해두면 오래 냅둬도 닳지 않는다. 게임내에서 보이저 X 본체를 눌러보면 정보칸 엔진 재시동에 × 가 표시되어있는 버그가 있다. (이말은 엔진이 한번꺼지면 재시동이 안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 모듈은 우주공간에서 쓰이는 모듈이므로 재시동이 안될리가 없다. 혹시 몰라 직접 테스트를 해봤는데, 당연히 재시동이 잘 된다. == 대기 조사 장치 (Atmospheric Probe)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Atmospheric Prob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8 || 미션 18에서 GRN 행성의 대기를 조사할 때 사용하며 궤도상의 위성을 향해서 정보를 쏠 수 있다. 정말 쓸모없다. == 조사 위성 (Survey Satellite)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Survey Satellit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8 || 위 대기조사장치가 발사하는 정보를 받는 모듈. 역시 필요없다. ~~장식용으로 도킹을 시킬 때도 보이저 안테나처럼 장착해야 한다.~~ == 지진계 (Seismometer Experiment) -소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Seismomrter Experiment.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28 || 미션 28에서 행성 지진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모듈. 역시 쓸모없다. == 대형 통신 위성 (Large Communications Satellite) -중형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 [[파일:Space Agency Large Communications Satellite.png|height=140]] ||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32 || 또 쓸모없다(...) 굳이 쓰자면 지구주위를 돌게하자. --스페이스에이전시의 유일한 인공위성처럼 생긴 인공위성 한마디로 장식품이다.-- == 스포츠카 (Sports Car)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Sports Car.png|height=14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35 || SpaceX 에서 테슬라 로드스터를 화성에 발사했던 것을 비슷하게 재현한 미션35에서 사용되는 페이로드. 도킹포트를 포함한 모든게 없다. --정말 아무것도 없다-- 정말 쓸모없지만 디자인이 꽤 좋기때문에(?) 굳이 쓰자면 정거장 옆에 정지시켜서 장식하는방법이 있다.(...) [[분류:Space Ag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