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Star Bubb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r Bubble 커버.jpg|width=100%]]}}} || || '''작사''' ||<|2>Ye-Yo![* 마미손의 '''[[마미손(래퍼)#s-4.2.1|소년점프]]를 작사·작곡'''한 프로듀싱팀이다.], Laser || || '''작곡''' || || '''편곡''' ||Ye-Yo! || || '''보컬''' ||Rami || ||<-2> '''노래방 수록 정보''' ||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미수록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84366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4Z04RbUJ6o)]}}}|| || '''PV'''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xww1OHztbs)]}}}|| || '''풀버전 가사 비디오''' || [[메이플스토리M]]에서 발표한 곡으로, [[엔젤릭버스터]]의 주제곡이다. 엔젤릭버스터 특유의 [[씹덕|덕력]] 높은 컨셉에 잘 어울리는 애니 주제가 느낌의 곡과, 스킬 이름인 [[엔젤릭버스터/스킬#피니투라 페투치아|'피니투라 페투치아']]가 그대로 적혀있는 가사, '버블버블'이 반복되는 중독성 높은 후렴구 탓에 메이플스토리에서 발표한 곡들 중에서도 [[밈]]화가 상당히 잘 되어있는 곡 중 하나이며, 이후 본가 [[메이플스토리]]에 엔젤릭버스터의 6차 오리진 스킬인 그랜드 피날레의 테마곡으로 역수입되었다. 2023년 8월 21일에는 [[TJ미디어]] 노래방에도 수록되었다. ==# 가사 #== || [[엔젤릭버스터/스킬#피니투라 페투치아|{{{#ff007f,#ddd 피니투라 페투치아}}}]] 니가 원하면 언제 어디서나 날 만날 수 있어 핑크핑크한 매력에 녹아버릴걸 (Spotlight) 두 손 잡고 같이 여행을 떠나 멀리 우리 함께라면 두렵지 않아 아침부터 저녁까지 baby 톡톡 시선강탈 화려함에 모두 talk talk 날개를 활짝 펴고 dress up I’ll fly away 네 맘에 핑크가 bubble bubble 밤하늘 별처럼 bubble bubble 어느새 내 입가엔 웃음이 활짝 네 맘에 핑크가 bubble bubble 밤하늘 별처럼 bubble bubble 네가 내 곁에 있다면 그곳이 나의 무대 나를 감싸는 환한 spotlight 흔들흔들대는 flashlight 빛을 받아 별이 되지 이제 망설이지 말고 나를 봐 더는 부끄러워 말고 지금 이 순간 너를 보여줘 아침부터 저녁까지 baby 톡톡 시선강탈 화려함에 모두 talk talk 날개를 활짝 펴고 dress up I’ll fly away 네 맘에 핑크가 bubble bubble 밤하늘 별처럼 bubble bubble 어느새 내 입가엔 웃음이 활짝 네 맘에 핑크가 bubble bubble 밤하늘 별처럼 bubble bubble 네가 내곁에 있다면 그곳이 점점 더 넌 커져만 가 내 안에 가득한 너의 향기가 파도처럼 밀려오는 코 끝 찌릿 감정들을 (got cha) 이제 난 놓치지 않아 네 맘에 핑크가 bubble bubble 밤하늘 별처럼 bubble bubble 어느새 내 입가엔 웃음이 활짝 네 맘에 핑크가 bubble bubble 밤하늘 별처럼 bubble bubble 네가 내곁에 있다면 그곳이 나의 무대 || == [[DJMAX RESPECT V]] == [include(틀:DJMAX RESPECT V/MAPLESTORY)]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r Bubble_1.png|width=100%]]}}} ||<-4>'''{{{#E4E4E4 COLLABORATION}}}''' [[파일:djmax_collaboration_maplestory.png|height=14]]|| ||<-4>'''{{{+5 Star Bubbl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3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1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8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94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4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5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8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07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5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2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9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13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4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4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1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178}}}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9295, #B7B5B7)"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youtube(Kc19KYnXVLw)] [[DJMAX RESPECT V]]에서 제작한 BGA ---- 이전에도 나름 밈으로서 입지가 있던 노래라 이 곡이 수록되느냐 마느냐에 대해 이야기가 꽤나 오갔었는데, 정식으로 수록되면서 여러 의미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생방송 당시 [[BEXTER]]가 이 곡과 [[Catch Your Dreams!]]을 두고 '''안 들여오면 큰일날 것 같았다'''고 언급했을 정도. BGA는 메이플스토리M의 PV를 적절히 편집하고 인게임 캐릭터 일러스트와 도트, 직접 제작한 타이포그래피들을 적절히 활용하며 제작하였고, 커팅의 경우 2번째 벌스 이후에서 바로 마지막 후렴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약 2분 초반대로 완성되었다. 공식 방송에서 이 곡의 4버튼 SC를 [[XeoN]]이 직접 플레이했었는데, 당시 SC 패턴의 난이도가 11로 표기되었던지라 상당한 물렙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그래서 SC 11이라는 난이도는 사실 BGA의 난이도와 합산해서 나온거 아니냐는[* XeoN도 저 BGA에 눈이 가버려서 BREAK를 내버리기도 했다.] 드립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 정식 출시되었을 때에는 6으로 조정된 것으로 보아, 난이도 작업 전의 임시 표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ECU7QTSSR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bMRHq2_GLU)]}}} || || {{{#white MX}}}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tKSXcTm19I)]}}}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Duxu-eAea4)]}}}|| 4B SC는 6레벨에 맞는 무난한 패턴으로, 동시치기와 적당히 빠른 폭타 및 트릴 위주의 패턴이 주가 된다. 빅장을 포함한 동시치기 패턴이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으나, 동레벨대 안에서는 연타가 존재하지 않아 수월한 편에 속한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rbwnFu2BM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vgc57Yim2k)]}}} || || {{{#white MX}}}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Fd6EIIIzVk)]}}}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pCgJAgpilQ)]}}}||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bTvXJA-y_I)]}}}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9UZr-zAShU)]}}} || || {{{#white MX}}}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mFq3OfDlk)]}}}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6Dmg1JF7zQ)]}}}|| 6B SC는 'I'll fly away' , '웃음이 활짝' 가사 구간에서 등장하는 동시치기가 섞인 복잡한 구성의 트릴 패턴이 변수이다. 그외에 '웃음이 활짝' 구간 이후와 후렴 마무리 구간에 등장하는 1-6번 축 동시치기 패턴도 주의하자.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1Sxj6qDT-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FarRRGlwdI)]}}} || || {{{#white MX}}}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jSs7QBbFw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EkeEbUFG-4)]}}}|| [[분류:메이플스토리/BGM 및 OST]][[분류:메이플스토리M]][[분류:엔젤릭버스터]][[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