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SL)] ||<:> [[파일:stoutmsl강민.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대회 기간: 2003년 4월 17일 ~ 2003년 7월 19일 * 스폰서: [[하이트맥주|하이트]] * 조 편성 ||A조||[[홍진호]],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박태민]]''', [[변은종]]|| ||B조||'''[[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김환중]], '''[[전태규]]''',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C조||'''[[임요환]]''', '''[[장진수]]''',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백영민]]|| ||D조||'''[[이윤열]]''', '''[[강민]]''',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변길섭]]|| * 우승 [[강민]], 준우승 [[이윤열]], 3위 [[전태규]], 4위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 결승 장소: 서울 [[여의도한강공원|여의도 한강시민공원]] 특설무대[* 결승전 당일 [[MBC 뉴스데스크]]에서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3/1906661_19578.html|결승전 소식을 보도하였다.]]] * 우승 상금 : '''1,000만원''' * 준우승 상금 : '''500만원''' * 3위 상금 : '''300만원''' * 4위 상금 : '''200만원''' * 특이 사항 * KPGA(現 [[한국e스포츠협회|KeSPA]])와의 제휴를 종료하고 [[MBC GAME]]이 주관 방송사에서 주관사로 승격 *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 결승 진출자인 이윤열, 조용호와 [[역대 MBC GAME 스타리그 일람#s-4.2|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 결승 진출자인 홍진호, 임요환은 해당 대회 시드 배정 * 우승 상금이 8백만 원에서 1천만 원으로 증가. * [[더블 엘리미네이션]] 도입 *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해설 투입[* 정확하게는 바로 이전 대회인 KTEC KPGA 투어 위너스 챔피언십부터 투입됐지만, 위너스 챔피언십이 이벤트전인지라 [[MSL]]은 스타우트부터 투입.] * 세중 게임월드 오픈 스튜디오로 이전 후 첫 [[MSL]]. * 차기리그 시드가 3장에서 8장으로 확대. * [[홍진호]]의 [[광속탈락]]. * [[이윤열]]의 [[MSL]] 및 [[양대 리그]] 첫 번째 준우승. 그리고 그리고 임대선수 '''최초 [[MSL]] 준우승.'''[* KTF가 창단 최초로 배출한 준우승 선수이자 최초로 결승 진출한 것은 [[우주닷컴 MSL]]의 [[박정석]]이다. 이전 소속팀은 [[한빛 스타즈]].] * [[MSL]](전신인 KPGA 투어 포함) 최초의 프로토스 우승자 탄생. * [[MSL]]에서의 첫 번째 1패(결승전 어드밴티지 1승 포함 9승 1패) 우승자가 나옴[* [[임요환]]한테만 1패. OSL 유일의 1패 우승자 역시 임요환이다.] * 프로토스가 테란을 꺾고 우승한 유일한 MSL * [[강민]], 커리어 첫 개인리그 결승 진출 및 우승. * 대회 중간 프로게이머 파업으로 인해 올드 게이머를 초청해 Again 2000이라는 세미 토너먼트 개최. * 승자 결승에서 결승으로 진출한 선수에게 1승 어드벤티지를 부여.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프로토스가 테란을 3:0으로 꺾고 우승한 유일한 결승전[* 단, 상기된 승자 결승 어드벤티지 때문에 실제로는 2경기만 진행되었다.][* 현역 시절 종료 후 [[ASL]] 체제까지 포함하면 [[ASL S1|김윤중과 조기석의 결승전]]이 추가된다.] * GO(現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팀 소속 선수가 양대리그 우승(MSL - 강민, OSL - 서지훈) 자세한 대진표는 [[Stout MSL/대진표]]를 참고. == 사용 맵 == ||<-4><#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SL_Logo.jpg|width=15%]] '''{{{#fff Stout MSL 맵}}}'''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건틀렛2003.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attachment/DarkSauron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attachment/Charity.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attachment/JimRaynorsMemoryJ.jpg|width=100%]] }}}|| ||<#483E2D> [[건틀릿(스타크래프트)|{{{#fff 건틀릿 2003}}}]] ||<#2C2624> [[사우론(스타크래프트)|{{{#ffffff 다크 사우론}}}]] ||<#3C4262> [[채러티#s-2|{{{#fff 채러티}}}]] ||<#313619> [[짐 레이너스 메모리|{{{#fff 짐 레이너스 메모리 정글 1.5}}}]] || == KPGA 투어 시대가 막을 내리고 [[MSL]]의 시대가 시작되다 == gembc가 정식으로 [[MBC PLUS]] 계열에 편입되면서[* 이 말은 이전까지 MBC PLUS의 식구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세중게임월드 시대 이전까지 본사 경영센터 A스튜디오에서 셋방살이하던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름을 [[MBC GAME]]으로 바꾸고,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을 마지막으로 [[MBC GAME]]은 [[한국e스포츠협회|KPGA]]와의 제휴를 종료하면서 [[MSL]]을 런칭시켰고 코엑스 세중게임월드 오픈 스튜디오로 경기장을 이전하면서 온게임넷과 대등한 위치로 올라서려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때 [[온게임넷]]도 [[코엑스몰]] [[메가박스]] 내의 [[메가 웹 스테이션]]을 경기장으로 쓰고 있었기에 [[코엑스]]는 단숨에 [[e스포츠]]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 리그 방식 개편 === 양대 리그제가 리그를 너무 루즈하게 만든다고 판단한 장재혁 PD는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차별화 시키기 위해 조별리그 제도를 완전 폐지하고 16인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 제도를 도입했다. * 승자조 16강, 8강/패자조 1, 2라운드: 단판제 * 승자조 4강, 결승/패자조 3~5라운드: 3전 2선승제 * 패자조 결승: 5전 3선승제 * 최종 결승전: 4전 3선승제(브라켓 리셋 없음, 승자조에서 진출한 선수는 1승 어드밴티지) 여기서 승자조에서 최종 결승에 올라온 선수의 1승 어드밴티지 때문에 논란이 크게 일면서[* 강민이 2세트와 3세트를 승리하면서 그대로 2경기만에 결승이 끝나버렸다...] 다음 대회부터는 승자조 결승 진출자가 1,5경기 맵을 선택할 권리를 얻는 것으로 어드밴티지가 변경되었다. == 리그 진행 == 전체적으로 프로토스의 기세가 강력했던 리그로 [[전태규]]는 패자 결승에서 이윤열을 나락까지 몰아갔고 [[이윤열]]의 정규 리그 4연패를 [[강민]]이 저지하면서 [[MSL]] 최초의 [[로얄로드|로얄로더]]가 탄생했으며 강민은 MSL 초대 우승자, 초대 프로토스 우승자 타이틀을 거머쥐게 되었다.[* KPGA 투어 시절은 스타리그의 99 PKO처럼 역사에서 빠졌다 들어갔다를 반복했다. 최종적으로는 MSL의 역사로 인정받지만.] [[2002 KPGA 투어 1차 리그]] 이후 [[MBC GAME]]에서 결승 진출도 해보지못했던 [[임요환]]은 승자조 준결승에서 [[강민]]에게 패하고[* 특히 강민의 대표적인 대역전극 경기 중 하나로 잘 알려진 [[https://www.youtube.com/watch?v=3wPgHs_qcpM|1경기]]는 [[MSL 100]]대 명경기 중 28위에 선정되었다.] 패자조에서 이윤열에게 패해 탈락한 이후 2년동안 MSL에 복귀하지 못했다. (다음 대회인 TG삼보배처럼 8강 진출자 8명에게 시드를 주는 방식이었다면 달랐겠지만) [[홍진호]]는 아예 16강에서 2패로 광탈하면서 충공깽을 선사했다. 그나마 [[임요환]]과는 달리 차기 시즌에 MSL에 복귀했지만. 단독 진행한 첫 리그였던데다가 당시 [[강민]]의 팬층은 얇았기 때문에 결승전 장소를 여의도 한강시민공원으로 잡았는데 결승전 당일 새벽에 폭우가 내려 결승전 무대가 진흙투성이에 어수선한 분위기로 진행되었다. 같은 시즌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잠실실내체육관]]에서 했던 것과 대조적이었지만 이건 완불엠 결승전 전설의 시작일 뿐이었다.(…) == 프로게이머 협회와의 갈등 == [[MBC GAME]]과 [[MSL]]의 기반을 닦은 리그로 평가되지만 중간의 선수 파업사태 당시 너무 쉽게 굴복한 것은 후에 프로게이머 협회[* 말만 프로게이머 협회지, 실제로는 프로게이머 '''감독''' 협회였다.]가 사사건건 MBC GAME의 발목을 잡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 Again 2000 === 파업 덕분에 일정이 비게된 [[MSL]] 스탭들은 협회와 관계없는 [[올드 게이머]]들[* [[김갑용]], [[임성춘]], [[강도경]], [[이기석]], [[송병석]], [[김동우(프로게이머)|김동우]], [[기욤 패트리]], [[임정호(프로게이머)|임정호]].]을 초청하여 작은 토너먼트를 열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Again 2000이다. 물론 비공식 리그이지만 소정의 상금도 지급되었고, 결승전은 MSL 결승 식전 행사로 야외무대로 치러져서 경기 반응도 좋았다. 맵 또한 올드 초청전답게 로스트 템플-'''스노우 바운드'''-라이벌리를 썼는데, 스노우 바운드 덕분에 결승은 프프전이 성사됐다. 참고로 우승은 [[기욤 패트리]](상금 : 200만원), 준우승은 [[송병석]](상금 : 100만원)이었다. [각주] [[분류:MSL]][[분류:강민]][[분류:이윤열]][[분류:전태규]][[분류:조용호(프로게이머)]][[분류:2003년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