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7년 음반]][[분류:미국의 팝 음반]] [include(틀:다른 뜻1, from=Strawberry Jam, other1=딸기잼, rd1=잼, other2=인디 게임 Celeste의 대규모 합작 모드, rd2=Strawberry Jam Collab)] ||<-2><#fffbff> '''{{{#721c27 {{{+1 Strawberry Ja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61jS8REKZ8L.jpg|width=100%]]}}} || || '''발매일''' ||[[2007년]] [[10월 10일]] || || '''녹음 기간''' ||[[2007년]] [[1월]] || || '''장르''' ||[[아트 팝]], [[네오 사이키델리아]], [[일렉트로니카]], [[사이키델릭 팝]], [[포크트로니카]] || || '''재생 시간''' ||43:35 || || '''곡 수''' ||9곡 || || '''프로듀서''' ||[[애니멀 콜렉티브]] || || '''레이블''' ||[[도미노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00년대 100대 명반, 순위=89)] 미국의 사이키델릭 팝 밴드 [[애니멀 콜렉티브]]의 앨범. [[Merriweather Post Pavilion]]과 함께 이들 최고의 명반으로 자주 일컬어지는 앨범이다. == 설명 == 앨범 커버와 제목은 [[판다 베어]]가 그리스행 비행기에서 기내식으로 준 딸기잼을 보고 "새 앨범의 소리가 꼭 이 딸기잼이 생긴것처럼 반짝이는 느낌이 있었으면 좋겠다." 라고 한 발언에서 유래했다. 전자음을 듬뿍 수용하여 상당히 풍성한 사운드를 들려주며, 이 때문에 과거에 비해 대중 친화적인 성향의 곡들이 많아 마이너하게나마 인기를 끌었다. 제작 과정이 상당히 독특한데, 지올로지스트가 사운드 엔지니어와 앨범을 만드는 환경에 대해 얘기하다가 자신들이 사막에서 녹음한적은 없다는 점에 착안해서 실제로 애리조나의 사막지역에서 녹음 작업을 실행하였다. 이후 발매 직전에 인터넷으로 유출되기도 했는데, 처음 유출될 때 전체 앨범이 유출되지 않고 3곡이 빠진 채로 파일이 돌아다녔다. 이에 대해 [[판다 베어]]는 자신들이 아쉬운건 사람들이 앨범 전체를 제대로 된 구성으로 듣지 못하는 것밖에 없다고 인터뷰 하기도 했다. [[http://ouii.egloos.com/10095937|참고 인터뷰]]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strawberry-jam,artist=animal-collective,critic=79,user=8.7)]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strawberry-jam-mw0000748260, 점수=★★★★)]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10650-strawberry-jam/, 점수=9.3)]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animal_collective/strawberry_jam_f1/, 점수=3.96)]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4246.htm, 순위=2007년 14위 / 2000년대 104위 / 올타임 869위)] > '''이 화려한 앨범은 근 십 여 년간 가장 중요한 음악가인 애니멀 콜렉티브의 위치를 더욱 굳건히 하고 있다.''' >---- >[[Pitchfork]] 이 앨범부터 [[애니멀 콜렉티브]]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사이키델릭한 일렉트로닉 팝 성향이 드러나기 시작하며, [[판다 베어]]의 솔로 앨범들과 마찬가지로 샘플러 및 [[신디사이저]]의 도입이 본격화된다. 프릭 포크, 슬래커 락 기반의 전작들과는 달리 [[칩튠]]같기도 하고 기묘한 신디사이저 음색이 주를 이루며, 그 사이사이에 기타 등의 악기가 들어있는 모양새를 하고 있다. 또한 [[비치 보이스]]의 멜로디, 화음 구조에서 영향을 받아 진취적이면서도 비교적 듣기 쉬운 사운드를 가지게 되었는데, 덕분에 대중과는 거리가 멀었던 전작들과는 달리 대중들에게도 마이너하게나마 인기를 얻었다.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최대 72위를 기록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애니멀 콜렉티브, version=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