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Subway Testing: Fan Edition}}}'''}}} || ||<-2> [[파일:stfe1.jpg|width=300]][* R38 열차가 Testing South역에 서 있는 장면이다.] || ||<-2> [[https://www.roblox.com/games/148112725/Subway-Testing-Fan-Edition|[[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width=170]]]] || || {{{#fff '''제작자'''}}} || Arsentic || || {{{#fff '''제작 날짜'''}}} || [[2014년]] [[3월 1일]] || || {{{#fff '''최근 업데이트 날짜'''}}} || [[2021년]] [[7월 26일]] || || {{{#fff '''최대 플레이어 수'''}}} || 15명 || || {{{#fff '''장르'''}}} || 마을 및 도시 || || {{{#fff '''기어 허용'''}}} || (X) || ||<-2> [[https://twitter.com/arsenticrblx|[[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https://discord.com/invite/XMnqWQw|[[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hite Subway Testing: Fan Edition}}}''' || ||[[파일:stfe2.jpg]]|| Testing Beach역. [[뉴욕 지하철]]을 배경으로 한 Roblox 철도 게임 중 하나이며, Subway Testing 시리즈의 3번째 게임이다. 전작인 [[Subway Testing Remastered]]와 공통점이 많다.[* 같은 시리즈라 그런 듯.] == 이 게임의 유래 == 원래는 Subway Testing xperience (이하 STx로 칭함.) 라는 이름으로 2019년 12월 24일에 처음 출시되었다. ''하지만 과연 이 날이 시리즈 최악의 날이 될 줄 누가 알았을까.'' === Subway Testing xperience 시절 === 원래 이 게임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기능들이 있었다. -먼저, [[스태튼 아일랜드 철도]]를 배경으로 한 "Testing Island Railway/테스팅 아일랜드 철도" (이하 TIR) 이 있었으며 '''R44''' 열차 운전이 가능했다. 또한 셔틀선도 이 노선이 있는 섬으로 운전이 가능했다. TIR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 {{{#ffffff 역명}}} || {{{#ffffff 내리는 문}}} || {{{#ffffff 환승노선}}} || ||Testing Harbor|| 오른쪽 || 순환 셔틀선[* TIR의 유일한 환승역.] || ||Testing Mall[* 이름답게 역 바로 앞에 쇼핑몰이 있다.]|| 왼쪽 || - || ||Testing Castle[* 역시나 이름답게 역 앞에 성이 있다.]|| 왼쪽 || - || ||Testing Field|| 왼쪽 || - || ||Testing Fairground|| 오른쪽 || - || ||Testing Town|| 오른쪽 || - || -지하 셔틀선에 별도로 Testing University 역이 있었으며, 그곳에서 열차 생성도 가능했다. -R46, R62A, R68A, R179, R188[* 현재 R142로 개명됨.] 열차들을 생성할 수 있었다. 현재는 렉을 줄이기 위해 선택지에서 제거됨. -또한 testing Trail 역이 없었다. -그 이외에도, 노선들이 다 살짝씩 달랐고, 풍경도 좀 더 보기 좋았었다. === 하지만... === 출시 이전부터 너무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었기에, 개발자들은 어떻게든 빨리 출시하려고 게임이 잘 돌아가는지는 확인하지도 않고 출시해버렸다. 그 때문에 출시 당시 많은 사람들이 렉으로 고생해야 했고, 불만도가 너무 높아지자 결국 STx는 출시되고 몇달도 지나지 않아서 문을 닫아야 했다. === 그 이후 === 문을 닫은 이후에도 다시 출시해 달라고 요구치고 떼쓰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개발자들은 강력하게 안된다고 하면서 어떻게든 플레이어들을 막았다. 그리고 커뮤니티에 있는 몇몇 사람들은 12월 24일을 드립으로 쓰기도 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난 후, 2020년 5월 3일, 게임이 새로운 이름, "Subway Testing: Fan Edition"으로 재출시 하겠다고 개발자 측에서 공식 발표하였다. 그리고 개발을 하면서 렉을 줄이기 위해 위에 게시한 기능들을 없애버렸다. 그렇게 Subway Testing: Fan Edition이 5월 17일에 정식 출시하고,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 메뉴 == [[파일:stfetitle.png]] 서버에 처음 들어오면 이런 메뉴가 나온다. 맨 위에 있는 "'''Play'''" 버튼은 말 그대로 플레이 버튼, 두번째 "'''Shop'''" 버튼은 게임패스 상점 버튼, 세번째 "'''Credits'''" 버튼은 제작에 도움을 준 사람들을 나타내는 버튼, 맨 아래에 있는 "'''Teleport to Hub'''" 버튼은 Subway Testing Hub[* 게임 텔레포터 및 상점.]를 통해 타 Subway Testing 시리즈 게임[* Subway Testing Classic 및 Subway Testing Remastered로 텔레포트 가능.]들로 텔레포트 할 수 있는 버튼이다. 우측에는 버그 수정이나 업데이트 등의 정보를 짧은 글로 표시한다. Shop 버튼을 누르면 상점이 표시되고, Credits 버튼을 누르면 제작에 도움을 준 사람들을 표시한다. 그 상태에서 각자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창이 없어진다. == 차고지 == [[파일:stfeyard.png]] 상단에 있는 텔레포트 버튼을 계속 누르다 보면 Testing Yard 역과 함께 나온다. 이곳에서 출발한 열차는 [[Subway Testing Remastered]]와 같이 Testing West 역을 정차하지 않고 바로 Testing Terminal 역으로 간다. 생성할 수 있는 열차들은 다음과 같다. || {{{#ffffff 열차 명}}} || {{{#ffffff 실차 제작 년도}}} || {{{#ffffff 게임패스 유무}}} || ||R62|| 1984년 || 무 || ||R110A|| 1992년[* 프로토타입 열차.] || 유 (50 R$) || ||R142[* 위에서 설명했듯, 원래는 R188(실물 2013년 제작) 이었으나, R142로 개명.]|| 2000년 || 무 || ||R38|| 1966년 || 유 (100 R$) || == 버스 차고지 == === Spring Creek Depot === [[파일:stfebus.png]] 텔레포트 버튼을 계속 누르다 보면 빈 흰색 차고지에 버튼들이 몆 개 있는데, 그걸 누르면 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입구 옆에 붙어있는 표지판에 의하면, 현재 모바일에서 운전은 불가능한 걸로 보인다. 참고로 차고지에 직접 가 보고 싶으면, Testing Garden역 앞에 있으니 참고하길. == 경로 목록 == === 순환 셔틀 === 이름대로 Testing City의 노선을 순환하는 셔틀선. '''회색 (S)로 표시됨.''' || {{{#ffffff 역명}}} || {{{#ffffff 내리는 문}}} || {{{#ffffff 환승노선}}} || ||Testing Square|| 왼쪽 || 급행 셔틀, 지하 셔틀, Beach 셔틀 || ||Testing Garden|| 왼쪽 || 급행 셔틀 || ||Testing North|| 왼쪽 || 급행 셔틀 || ||Testing West|| 오른쪽 || 지하 셔틀[* Testing Athenæum으로 가는 환승 통로가 있다.] || ||Testing Yard[*Y Testing Square에서 왼쪽으로 돈 다음, 조금 가다가 중간에 노선을 전환하면 갈 수 있다.]|| 오른쪽 || 급행 셔틀, 지하 셔틀, Beach 셔틀 || === 급행 셔틀 === 순환 셔틀과 비슷하나, Testing West역을 통과한다. '''노란색 (S)로 표시됨.'''[* 원래는 지하 셔틀이 이 표시를 사용하고 있었다.] || {{{#000000 역명}}} || {{{#000000 내리는 문}}} || {{{#000000 환승노선}}} || ||Testing Square|| 왼쪽 || 순환 셔틀, 지하 셔틀, Beach 셔틀 || ||Testing Garden|| 오른쪽 || 순환 셔틀 || ||Testing North|| 오른쪽 || 순환 셔틀 || ||Testing Yard[*Y Testing Square에서 왼쪽으로 돈 다음, 조금 가다가 중간에 노선을 전환하면 갈 수 있다.]|| 오른쪽 || 순환 셔틀, 지하 셔틀, Beach 셔틀 || === 지하 셔틀 === Testing Square에서 출발하여 지하 구간을 다니는 셔틀선. '''파란색 (S)로 표시됨.'''[* 원래는 노란색 (S) 표시를 사용하고 있었다.] || {{{#ffffff 역명}}} || {{{#ffffff 내리는 문}}} || {{{#ffffff 환승노선}}} || ||Testing Square|| 오른쪽 || 순환 셔틀, 급행 셔틀, Beach 셔틀 || ||Testing East|| 오른쪽[*UA Athenæum으로 갈 시.] 및 왼쪽[*UB Yard로 갈 시.] || - || ||Testing South|| 오른쪽[*UA Athenæum으로 갈 시.] 및 왼쪽[*UB Yard로 갈 시.] || - || ||Testing Athenæum[* 이 역에서 한바퀴 돌아서 Testing Trail을 통해 Testing Yard로 갈 수 있다.]|| 왼쪽 || 순환 셔틀[* Testing West로 가는 환승 통로가 있다.] || === Beach 셔틀 === Testing Beach역을 경유하는 셔틀선. '''주황색 (S)로 표시됨.''' || {{{#ffffff 역명}}} || {{{#ffffff 내리는 문}}} || {{{#ffffff 환승노선}}} || ||Testing Square|| 왼쪽[* 순환 셔틀과 차선을 공유.] || 순환 셔틀, 급행 셔틀, 지하 셔틀 || ||Testing Trail[* Subway Testing xperience에는 없었던 역.]|| 오른쪽 || - || ||Testing Yard|| 오른쪽 || 순환 셔틀, 급행 셔틀, 지하 셔틀 || ||Testing Beach|| 양쪽[*B1 1번 차선.] 및 오른쪽[*B2 2번 차선.] || - || ||Testing Houses - City Hall[* 이름답게 역 앞에 시청 건물이 있다.][* 이 역에서 더 가면 Testing Square 역으로 돌아오게 된다.]|| 오른쪽 || - || == 기타 == - 열차를 운전할 시 후진은 불가능. 개발자 측에 의하면, 좀 더 현실적인 가속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그렇게 만들었다고 한다. 그것 때문에 [[Stepford County Railway]]와 가속 시스템이 굉장히 비슷하다. [[분류:Roblox/게임/시뮬레이션]][[분류:나무위키 Roblox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