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악틱 몽키즈)] ||<-2><#fdf4e3> '''{{{#000000 {{{+1 Suck It and Se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uck_It_And_See_(non_sticker).jpg|width=100%]]}}} || || '''발매일''' ||[[2011년]] [[6월 6일]] || || '''녹음 기간''' ||[[2011년]] [[1월]] ~ [[2011년]] [[2월]] || || '''장르''' ||[[인디 록]] || || '''재생 시간''' ||40:04 || || '''곡 수''' ||12곡 || || '''프로듀서''' ||제임스 포드 || || '''스튜디오''' ||사운드 시티 || || '''레이블'''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도미노 레코드|[[파일:도미노 레코드.jpg|width=60]]]]}}} || [목차][clearfix] == 개요 == [include(틀:NME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33)]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105)] [include(틀:Popkultur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89)]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7,순위=408)] 2011년 6월 6일 (영국 기준) 발매 된 영국 락 밴드 [[악틱 몽키즈]]의 4번째 앨범. == 상세 == 기존의 개러지 락/[[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타일에서 벗어나 새로운 스타일을 찾아나갔던 과도기 앨범 중 하나이며 악틱 몽키즈의 모든 앨범중에 가장 서정적이고 팝적인 앨범이다. 때문에 AM이 발매된 이후 악틱 몽키즈의 최고 앨범으로 이 앨범을 꼽는 이들도 적지 않다. AM의 차갑고 냉정한 느낌보다 훨씬 서정적이고 따스하기 때문이다. 앨범 타이틀인 Suck It and See는 어느 영국 사탕 회사의 광고 문구인데 한번 시도해보라는 (Give It A Try) 의미의 은어로 쓰이는 말이라 한다. [[파일:external/www.feelnumb.com/arctic-monkeys-suck-it-and-see-censored-sticker-american-cd-record.jpg]] 미국에선 앨범 제목이 외설적이라는 이유때문에 앨범 커버 중앙이 커다란 밴드명 스티커로 가려진채로 판매되었다. 이 음반은 기존 악틱 몽키즈의 저돌적이면서 날 것의 맛을 좋아하는 이에게는 외면받았지만, [[더 스미스]]나 기존 서정적인 기타팝을 지지 하는 이들에게는 많은 지지를 받았다. 특히, 알렉스 터너는 가사나 음반분위기에서 더 스미스에게 짙게 영향을 받은 느낌을 곡 전반에 깔리게 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의 음반은 No.1 Party anthem 역시 이러한 성향이 반영된 음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이 음반으로 활동하던 기간동안 싱글 커트된 곡들의 싱글 앨범에 함께 실린 비사이드 트랙들은 전작들과 유사한 거친 스타일의 곡들이 많은 편이다. 이 음반을 듣기 전에, 먼저 알렉스 터너가 참여한 영화 [[Submarine]] 사운드트랙을 들으면 이 음반 컨셉 역시 충분히 예측 가능한 일이다. 4집에 수록된 Piledriver Waltz 역시 사실은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에 속한 노래이다. 밴드로서는 다소간 정체기라는 평가를 받을 수 도 있는 음반이지만, 프론트맨인 알렉스 터너에게는 아무래도 가장 중요한 이정표로 남을 음반이다. 특히, [[악틱 몽키즈]]가 [[더 클래시]]나 다른 영국 펑크나 개러지 록밴드들과 달리 [[더 스미스]]가 되고 싶어하는 인상을 보여준 음반. == 투어 == 2011년 5월 5일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시작하여 2012년 6월 23일 [[메탈리카]]가 주관하는 페스티벌인 Orion Music Festival에서의 공연까지 북미와 남미, 호주, 유럽, 아시아를 돌며 약 150회의 공연을 하였고 약 1년간의 투어를 가졌다. 2012년 봄엔 [[더 블랙 키스|블랙 키스]]의 미국, 캐나다 투어에서 오프닝 밴드로서 공연하였다. 공연 등장시엔 핫 초콜렛 (Hot Chocolate) 의 히트곡인 You Sexy Thing과 [[https://www.youtube.com/watch?v=DhlT46vU0vI|#]] KC & 선샤인 밴드 (KC & the Sunshine Band) 의 That's the Way (I Like It) [[https://www.youtube.com/watch?v=oKdB2rWWleo|#]], 그리고 자신들의 비사이드인 Matador [[https://www.youtube.com/watch?v=aS6qmDDaqfg|#]] 등을 사용하였다. [youtube(DhlT46vU0vI)] [youtube(s_IziXXyh-I)] 2011년 7월 30일 토요일 지산 락 페스티벌 메인 스테이지 헤드라이너로서 한국에서의 첫 공연을 가졌다. 프론트 맨인 [[알렉스 터너]]는 공연 도중 한국말로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재미있어요?' 등의 팬서비스 멘트를 하였고 앵콜곡인 505가 끝난 후 다른 멤버들이 퇴장한 후에도 혼자 남아 관객들의 손을 잡아주고 피크를 나눠주며 평소답지 않게 가장 마지막으로 퇴장하였다 [youtube(VkNZXwfmaMU)] 투어가 끝난 후 2012년 7월 27일엔 (악틱 몽키즈가 연주한건 영국서머타임 (BST) 기준으로 28일 0시 정각부터 약 7분간) [[2012 런던 올림픽]] 개막식에 출연하여 자신들의 가장 상징적인 곡인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와 비틀즈의 명곡인 Come Together를 연주하였다. 이후 2012년 8월 5일 UK 싱글차트에서 악틱 버젼의 Come Together는 21위를 기록했고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는 54위까지 [[역주행#s-2.5]]을 하였다. [[http://www.officialcharts.com/charts/singles-chart/20120805/7501/|#]] == 트랙리스트 & 크레딧 == || '''트랙 번호''' || '''제목''' || '''작사''' || '''작곡''' || '''러닝타임''' || || 1 ||She's Thunderstorms||Alex Turner||Arctic Monkeys||3:55|| || 2 ||Black Treacle||Alex Turner||Arctic Monkeys||3:35|| || 3 ||Brick By Brick||Alex Turner||Arctic Monkeys||2:59|| || 4 ||The Hellcat Spangled Shalalala||Alex Turner||Arctic Monkeys||3:00|| || 5 ||Don't Sit Down 'Cause I've Moved Your Chair||Alex Turner||Arctic Monkeys||3:04|| || 6 ||Library Pictures||Alex Turner||Arctic Monkeys||2:22|| || 7 ||All My Own Stunts||Alex Turner||Arctic Monkeys||3:52|| || 8 ||Reckless Serenade||Alex Turner||Arctic Monkeys||2:43|| || 9 ||Piledriver Waltz[* 앨범 발매 전, submarine이라는 인디 영화에 [[알렉스 터너]]가 OST 전반을 작곡했는데 거기 어쿠스틱 버전으로 수록되어 있다.]||Alex Turner||Arctic Monkeys||3:24|| || 10 ||Love Is a Laserquest||Alex Turner||Arctic Monkeys||3:12|| || 11 ||Suck It and See||Alex Turner||Arctic Monkeys||3:46|| || 12 ||That's Where You're Wrong||Alex Turner||Arctic Monkeys||4:17|| 일본 앨범 보너스 트랙 || 13 ||The Blond-O-Sonic Shimmer Trap||Alex Turner||Arctic Monkeys||3:28|| == 뮤직비디오 == [youtube(qOTRx3ZqjjI)] Brick By Brick [youtube(5zqTI6S-pMI)] Don't Sit Down 'Cause I've Moved Your Chair [youtube(dAlRXC19hmE)] The Hellcat Spangled Shalalala [youtube(TlYJKfunfC0)] Suck It And See (검열 버젼) [youtube(ScIR6Mua7mw)] Evil Twin [youtube(tafu33PVeZU)] Black Treacle [youtube(9zXkAaoBOLU)] You & I 4집 활동 기간 동안 특이하게 싱글은 물론이고 앨범 수록곡인 Brick By Brick과 비사이드인 Evil Twin과 You & I의 뮤직비디오까지 촬영하였다. 악틱 몽키즈 멤버들이 3집 투어 당시 즐겨들었다던 LA 밴드 걸즈 (Girls) 의 Lust For Life 뮤비 감독인 Focus Creeps가 모든 뮤직 비디오의 감독을 맡았다. Suck It and See, Evil Twin, Black Treacle의 여주인공인 모델/배우 브레나 맥도우 (Breana McDow) 는 이 뮤직비디오들의 출연을 계기로 드러머인 맷 헬더스와 연인이 되었으며 현재는 맷 헬더스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과 함께 맷 헬더스와 같이 살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악틱 몽키즈)] [각주] [include(틀:표절, version=7, source=영문 위키피디아)] [[분류:2011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악틱 몽키즈]][[분류:인디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