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Sunday Morning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더 가디언 선정 벨벳 언더그라운드 명곡 순위)]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59)]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노래, 순위=894)]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15)] ---- }}} || ||<-2><#ffffff> {{{+1 {{{#000 '''Sunday Morn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RDF0dkjyEM, width=100%, height=250)]}}} || || '''싱글 발매일''' ||[[1966년]] [[12월]]|| || '''싱글 B면''' ||[[Femme Fatale(노래)|Femme Fatale]]|| || '''앨범 발매일''' ||[[1967년]] [[3월 12일]]||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db20; font-size: .9em" [[The Velvet Underground & Nico|{{{#000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 '''녹음일''' ||[[1966년]] [[11월]]|| || '''장르''' ||[[아트 팝]], [[사이키델릭 팝]]|| || '''작사/작곡''' ||[[루 리드]], [[존 케일]]|| || '''러닝 타임''' ||2:53|| || '''스튜디오''' ||메이페어 레코딩|| || '''프로듀서''' ||톰 윌슨|| || '''레이블''' ||버브||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hbyj8pqUao)]}}} || || '''공식 비디오''' || [[미국]]의 [[록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1966년]] 싱글이다. 1년 후인 1967년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데뷔 앨범인 [[The Velvet Underground & Nico]]에 수록되었다. == 상세 == [[The Velvet Underground & Nico]]의 시작을 알리는 오프닝 트랙임과 동시에,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모든 노래들을 정렬할때 가장 앞에 오는[* 1집의 첫번째 트랙] 곡으로 그 가치가 높다. 동시에 몽환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멜로디 때문에 앨범에 수록된 곡중 [[I'm Waiting for the Man]]과 함께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가 높은 곡이다. 깔끔한 프로듀싱 때문에 평론적인 평가도 좋다. 앨범의 맨 첫번째에 놓인 트랙이지만 정작 작곡과 녹음은 앨범의 모든곡중 가장 마지막으로 되었다. [[앤디 워홀]]과 밴드 멤버들은 대중적인 노래를 첫번째 트랙으로 놓고 싶어했고, 이와중에 워홀이 "편집증에 대한 노래를 써보는건 어때?"라는 의견을 제시하여 작곡이 이뤄졌다. 원래는 니코의 리드보컬 곡이 될 예정이었지만, 중간에 계획이 엎어지고 대신 [[루 리드]]가 리드 보컬을 맡고 니코는 백킹 보컬로 빠졌다. 처음에 싱글로 발매되었을때는 그다지 인지도가 없던 곡이지만,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높아진 인지도에 힘입어 현재는 수많은 인디밴드들이 커버하는 인기곡으로 자리잡았다. [[가디언]]에서 선정한 [[https://www.theguardian.com/music/2021/jul/08/the-velvet-undergrounds-greatest-songs-ranked|가장 위대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노래]] 14위[* 1위는 VU의 역사적인 첫 싱글인 All Tomorrow's Parties가 차지했다.]를 차지하기도 했다. 간간이 [[마룬5]]의 동명의 노래나 [[플리트우드 맥]]의 Monday Morning과도 엮인다. == 가사 == || ---- {{{+2 {{{#f0db20 '''Sunday Morning'''}}}}}} ---- Sunday morning, brings the dawn in 일요일 아침, 새벽을 데려와 It's just a restless feeling by my side 내 곁에는 숨 막히는 감정들 뿐이야 Early dawning, Sunday morning 이른 새벽, 일요일 아침 It's just the wasted years so close behind 낭비해버린 시간들이 내 뒤에 붙어있지 Watch out, the world's behind you 조심해, 세상이 너를 뒤 쫓고 있어 There's always someone around you who will call It's nothing at all 항상 너를 부를 사람은 주위에 있어, 아무것도 아니지만 Sunday morning and I'm falling 일요일 아침, 그리고 나는 떨어지고 있어 I've got a feeling I don't want to know 알고 싶지 않은 기분이 내 마음 속에 있어 Early dawning, Sunday morning 이른 새벽, 일요일 아침 It's all the streets you crossed, not so long ago 네가 건넌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모든 거리들이야 Watch out, the world's behind you 조심해, 세상이 너를 뒤 쫓고 있어 There's always someone around you who will call It's nothing at all 항상 너를 부를 사람은 주위에 있어, 아무것도 아니지만 Watch out, the world's behind you 조심해, 세상이 너를 뒤 쫓고 있어 There's always someone around you who will call It's nothing at all 항상 너를 부를 사람은 주위에 있어, 아무것도 아니지만 Sunday morning 일요일 아침 Sunday morning 일요일 아침 Sunday morning 일요일 Sunday morning 일요일 아침 ---- [[파일:The_Velvet_Underground(Logo).png|width=100]] ---- || == 참여자 == * [[루 리드]] - 리드 보컬 * [[존 케일]] - 첼레스타, 비올라, 피아노 * [[스털링 모리슨]] - 베이스 기타 * [[모린 터커]] - 퍼커션 * [[니코]] - 백킹 보컬 [[분류:벨벳 언더그라운드 노래]][[분류:1966년 노래]][[분류:1966년 싱글]][[분류:아트 팝]][[분류:사이키델릭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