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T-55)] [include(틀:T-55)] [목차] == 개요 == T-55의 실전에 대한 내용을 서술한 문서이다. == [[냉전]] == === [[프라하의 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viet_T-55_during_Spring_of_Prague.jpg|width=100%]]}}} || ||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한 소련군의 T-55''' || === [[베트남 전쟁]] === 북베트남군이 사용하였다. === [[인도-파키스탄 전쟁]] === ====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말에 개입하였던 인도군이 운용했다. === [[중동전쟁]] === ==== [[6일 전쟁]] ==== [[제3차 중동전쟁]]에서 이집트군과 시리아군 소속으로 참전했다. 하지만 [[M-51|M-51 슈퍼셔먼]]을 주력으로 하는 이스라엘군에 단 사흘만에 전멸 수준의 참패를 당했다. 특히 이집트군은 보유하고 있던 1000여대의 T-54/T-55를 투입하여서 시나이 반도 사막에서 이스라엘군의 [[M-51]]와 [[전차전]]이 벌어졌다. 하지만 이스라엘군의 전격전에 속수무책으로 돌파당하며 전쟁이 시작된지 사흘만에 이집트군 전력의 80% 가량에 해당하는 9백여대의 T-54/T-55를 손실했고,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은 더이상 이스라엘과 싸울 전력이 없다며 패배를 선언했다. 상당수는 이집트군이 아예 버리고 도망간 것이라 멀쩡한 상태로 이스라엘군에게 노획되었다. 당시 T-54/T-55의 참패는 이스라엘군의 뛰어난 전략, 전술, 병사들의 훈련도, 그리고 죽음을 불사하는 용맹함과 이집트군의 형편없는 수준도 큰 역할을 했지만, T-54/T-55 자체도 당시 주 전장인 시나이 반도의 사막에서 엄청난 잔고장을 일으켰다고 한다. 이 전쟁에서의 참패로 T-55를 비롯한 소련제 무기에 대한 신뢰도는 급락하게 되었다. 이스라엘은 노획한 막대한 수의 T-54/T-55 전차들을 수리, 개량하여 [[티란 전차|티란]]이란 이름으로 일부는 자국군에서 사용하고 일부는 수출하여 2조원이 넘는 막대한 수익을 얻었다. ==== [[욤 키푸르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 destroyed T-55 and M48 Patton lie side by side during Yom Kippur War, 1973.webp|width=100%]]}}} || || '''격파된 T-55와 파손당해 유기된 마가크 전차, 1973년''' || [[제4차 중동전쟁]]에서도 이집트와 시리아의 주력으로 참전했지만 이번에도 이스라엘군에게 참패했다. 이스라엘군 전차부대도 상당한 피해를 입기는 했지만 그건 AT-3 새거 대전차미사일과 RPG-7 같은 대전차병기에 의한 것이었고, 이집트군과 시리아군 전차부대는 이스라엘군 전차부대에게 일방적으로 박살났으며 수백 대의 T-55를 이스라엘에 헌납했다. 다만 T-55 입장에서도 변명할 말은 있다. 아랍군 전차병들의 숙련도는 이스라엘군 전차병들에 비해 크게 떨어지고, T-55의 거주성은 너무나 개판이었기에 사막의 열기를 버틸 수가 없었다. 게다가 이스라엘군의 M4 셔먼은 주포를 강화한 [[M-50]]과 [[M-51]]으로 개량되었지만 T-55는 사막전에 걸맞은 개량이 이뤄지지 못한 상태였다. 그리고 T-55보다 신형인 '''T-62'''마저 이스라엘군에게 얻어터진 건 똑같았다. --망했어요-- ==== [[레바논 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yrian_T-55_during_Lebanese_Civil_war,_1982.jpg|width=100%]]}}} || || '''레바논 내전 당시의 시리아군 소속 T-55, 1982년''' || 시리아군, 기독교 민병대, 헤즈볼라가 사용했다. === [[이란-이라크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raqi T-55 during battle of Khorramshahr, ca 1982.jpg|width=100%]]}}} || || '''호람샤르 전투 당시의 이라크군 소속 T-55, 1982년''' || 이란과 이라크 양쪽 모두 사용했다. === [[스리랑카 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ri Lankan T-55 moving against Tamil tiger, Sri Lankan civil war.webp|width=100%]]}}} || || '''스리랑카 내전 당시의 스리랑카 정부군 소속 T-55''' || === [[조지아-압하지야 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bkhazian T-55 tank in position during battles with Georgian troops. Abkhazia Winter 1992-1993.png|width=100%]]}}} || || '''조지아-압하지야 분쟁 당시의 압하지야군 소속 T-55AM''' || === [[걸프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d67a91df72fe2b0ec418de605fc8888c53469fa95c701e1b2c3a6fdb40d0733.jpg|width=100%]]}}} || || '''걸프전쟁 당시 "죽음의 고속도로"에서 미군에 의해 격파된 이라크 육군 소속 T-5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격파된 이라크군 T-55 전차.jpg|width=100%]]}}} || || '''불타는 쿠웨이트 유전에서 격파된 이라크군 소속 T-55''' || 이라크군이 T-55와 T-55의 이라크 자체 개량형이자 장갑 개량형인 T-55 이니그마를 사용했다. 물론 [[M1 에이브람스]], [[챌린저 1]], [[M60 전차]], [[AMX-30]]와 같은 '''말도 안되는''' 최신 스펙의 다국적군 전차에 다수가 격파되는 대참사가 일어났다. 이라크군 T-55가 영국군의 [[슈퍼 링스|링스 헬기]]를 잡을 뻔한 사례도 존재한다. 링스의 시점에서 보면 실전은 이렇게 진행되었다. 뉴튼이 조종하는 링스가 [[가젤]] 정찰 헬리콥터와 함께 1시간 가까이 수색을 했음에도 T-55는 발견되지 않는다. 기지로 돌아갈 연료만 남기 3분 전에 후방 기관총수가 T-55를 발견한다. 이 때 악명 높은 T-55의 '''목측식 조준관으로 고속이동하는 링스를 거의 맞출 뻔했다.''' 제임스 뉴튼에 따르면 포탄의 압축파가 헬리콥터를 칠만큼 포탄이 가까이 날아왔다고 한다. 게다가 20초에 1발 쏘기도 어려운 T-55로 '''8초에 한 발씩''' 쏘는 위엄을 보였으며, 조종수 역시 링스 헬리콥터 시야의 사각을 파고들며 기동한다. 링스는 [[BGM-71 TOW|TOW]]를 쏘기는 커녕 전차를 발견하기도 어려웠다. 마침내 학교에 숨은 T-55를 포착하고 TOW를 조준하자, T-55는 '''수동유도를 해야하는 TOW의 약점을 정확하게 파고들어 링스에 포탄을 발사해 조준을 어렵게 했다'''. 그 뒤 건물 안으로 숨어 TOW를 피하기까지 했다. 결국 마지막엔 뉴튼 소령이 TOW의 이동간 사격을 시도한다. TOW는 수동유도식이라 멈춘 상태에서 사격해야 그나마 쉽게 목표를 유도할 수 있는데, 도박을 한 것이다. 결국 TOW는 T-55에 직격하고 해당 T-55는 TOW 한 발에 격파되었다. 이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에어파이터> 프로그램에서 나온 내용이다. 전차 전문가 크리스핀 스웨인 전 육군 대위가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마지막엔 제임스 뉴튼 소령도 T-55의 전차장이 살아있다면 만나고 싶다 했다. --소련제 전차가 TOW에 맞아서 한 번에 터졌는데 과연 살아 있을까?--[* 반쯤은 장난으로 써놓은 말이지만, T-55의 특성을 고려하면 생존 가능성이 희박하다.] === [[동유럽 혁명#s-2.6|루마니아 반공 혁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55_during_Romanian_Revolution.jpg|width=100%]]}}} || || '''루마니아 반공 혁명 당시의 루마니아 인민군 소속 T-55''' || === [[8월 쿠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55 during August Putsch in Moscow, August 1991.jpg|width=100%]]}}} || || '''8월 쿠데타 당시의 쿠데타군 소속 T-55''' || === [[유고슬라비아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 Yugoslav M36 Jackson and T-55, with an Abrams on the right.webp|width=100%]]}}} || ||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소속 T-55''' ||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에도 각 공화국들이 사용하였다. ====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roatian_T-55_during_Yuglslav_wars.webp|width=100%]]}}} || ||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당시의 크로아티아군 소속 T-55''' ||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당시 크로아티아군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으로부터 노획해 사용했다. === 소말리아 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gandan T-55 medium tank in Somalia, 2013.webp|width=100%]]}}} || || '''소말리아 내전 당시의 우간다 육군 소속 T-55, 2013년''' || == 현대전 == === [[제1차 리비아 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LIBYAT551.jpg|width=100%]]}}} || || '''리비아 시민군 소속 T-5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LIBYAT553.jpg|width=100%]]}}} || || '''리비아 시민군 소속 증가장갑 장착 T-55''' || 많은 수가 리비아 시민군에게 노획되어져 운용되었다. 리비아 시민군은 내전 당시 현명하게 카다피군으로부터 노획한 전차 및 기갑차량 등을 적극적으로 운용하였는데, 전차의 상당수가 바로 이 T-55였다. 노획한 전차들은 리비아 시민군임을 알리는 약간의 도색이 가해졌고, 궤도 옆부분과 전면부에 철판을 용접하여 증가장갑을 두르는 등 개조가 이루어졌으며, 카다피군과의 교전으로 인해 적지 않은 손실이 발생하였다. === [[시리아 내전]] === 정부군, 반군, IS가 사용하였다. 반군 측의 T-55가 정부군의 T-72를 격파하는 위엄을 보이기도 했다. === [[이라크 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herightplanet.com/Syrian-T-55-upgrade.jpg|width=100%]]}}} || || '''ISIL군의 T-55''' || [[ISIL]]이 쓰고 있는데, 북한제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장착한 버전을 운용하고 있다. === M23 반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ngolese T-55 firing at the M23 rebel group from inside Virunga National Park during the 2012 rebellion..jpg|width=100%]]}}} || || '''M23 반란 당시의 콩고민주공화국 정부군 소속 T-55, 2012년''' || === [[티그라이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igray_War_T-55.webp|width=100%]]}}} || || '''티그라이 지역에서 격파된 에티오피아 정부군 소속 T-55[* 다른 각도에서 보면 포탑이 날아가 있다. [[http://disf.kr/df34/17574|2, 3, 4, 6, 7번째 전차가 해당 차량]]]''' || 에티오피아 정부군이 티그라이 반군과의 교전에 투입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41444.width-932.jpg|width=100%]]}}} || ||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M-55S''' || 이전에도 우크라이나군의 치장물자로 T-55가 있었지만, 9월 19일 독일과 슬로베니아가 지원용 장비교환을 협의하면서 [[슬로베니아]]가 우크라이나에게 T-55의 개량형인 M-55S 28대를 넘기고, 독일은 슬로베니아에게 40대의 독일제 수송차량을 전달할 예정이 잡혔다. 유럽에서 T-55가 현대전 전면에 나서게 되었다. M-55S는 1990년대 T-55를 서방식으로 마개조한 전적이 있는 이스라엘의 티란을 참고한 전차인지라, 티란과 유사점이 많다. 105mm L7 로열 오드넌스로 주포를 환장했으며, EFCS-3 사통장치로 교체([[59식 전차]]의 개량형(Type-72Z)에도 들어간 물건), 55용 전차장 주포 오버라이딩 시스템(헌터 킬러), 전차장, 조종수용 야시경 장비, 연막탄 발사기, 외부 폭발반응장갑(ERA)가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우크라이나에서 서방권 주포를 탑재한 동구권 전차를 사용하는 건 이게 처음이다. 해당 차량들은 11월 4일에 우크라이나군으로 이전이 완료되었다. 러시아군도 2023년 1월 12일 T-54와 T-55를 열차로 수송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4월 13일, 자포리자 전선 배치가 확인되었다.[* 기사들에 따르면 고폭탄 등으로 보병전투차와 비슷하게 보병을 타겟으로 대보병 화력을 늘리려고 하는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영국 가디언 측에서는 러시아군의 T-55들이 방어용 포탑으로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https://twitter.com/UAWeapons/status/1646622737580933121?s=20|#]]. 6월 19일 첫 손실이 발생했다. 러시아군 소속 T-55[* 또는 [[T-54]]]가 자폭용으로 TNT 6t을 싣고 돌진하던 중 우크라이나군의 총격과 지뢰, RPG-7에 의해 격파되었다. 해당 차량은 격파된 후 연기가 나다가 유폭으로 인해 TNT가 폭발하였다. [[https://twitter.com/LivFaustDieJung/status/1670525097470304256?t=MMOTSBGUD9bD2deId5JvVA&s=19|#]] 일부 [[자폭 병기]]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https://bulgarianmilitary.com/2023/07/05/russia-is-sending-more-tanks-carrying-tnt-and-bombs-to-ukraine/|#]] === [[2023년 4월 수단 쿠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_sudan_coup_T-55_cropped.webp|width=100%]]}}} || || '''2023년 4월 수단 쿠데타 당시의 수단 육군 소속 T-55''' || 2023년 4월 신속지원군이 일으킨 쿠데타 당시 수단 정부군이 진압용으로 투입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55, version=1096)] [[분류:T-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