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차 대전 당시 개발된 소련의 동명의 대공전차, rd1=T-70 경전차, paragraph1=7)]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소련의 주력전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90A_-_TankBiathlon2013-12.jpg|width=100%]]}}} || || '''Т-90 «Владимир»'''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dVSbtZ-EoA)]}}} || || '''T-90 기동 영상''' || 러시아에서 개발된 주력전차이다. 러시아군 내부 명칭은 '[[블라디미르]]'.[* 원래 러시아 내에서 정식으로 T-90을 부르는 명칭으로, T-72 초기형만의 명칭이라고 알려진 '우랄'도 T-72 전반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 제원 == ||<-3> '''{{{#Black {{{+1 Т-90А (Объект 188А/А2)}}}}}}''' [br]'''{{{#Black T-90A (오비옉트 188A1/A2)}}}''' || ||<^|1><-3>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13_Moscow_Victory_Day_Parade_(28).jpg|width=100%]]}}} || ||<-3> '''{{{#white 개발 및 생산}}}''' || ||<-2> '''{{{#white 개발기관}}}''' || [[UKBTM]] || ||<-2> '''{{{#white 개발연도}}}''' || '''T-90''' 1993년 [br] '''T-90A''' 2004년 || ||<-2> '''{{{#white 생산기관}}}''' || [[우랄바곤자보드]] || ||<-2> '''{{{#white 생산연도}}}''' || 1993년 ~ 현재 || ||<-2> '''{{{#white 생산량}}}''' ||369대 (T-90A)[* 부란-M 열상을 갖춘 2004년형이 04~06년간 32대, 카트린 열상을 갖춘 2006년형이 06~11년간 337대, 총 369대가 우랄바곤자보드에서 양산되었고 이중 90대는 T-90AK (지휘차량)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511795|#]]] [br]최소 200대 이상 (T-90SA), 500대이상추가예정(인도군)[* 나무위키에는 이렇게 나와있지만 위키피디아에서는 3200대+라 나온다. ]|| ||<-2> '''{{{#white 운용연도}}}''' || 2004년 ~ 현재 || ||<-2> '''{{{#white 운용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br]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5]] 알제리 [br]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br]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5]] 베트남 [br]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5]] 시리아[* [[시리아 내전]]으로 2016년 러시아군이 시리아군 및 러시아 의용군에 비공식적으로 T-90 전차(T-90A 이외 T-90, T-90K 소수 포함) 37대 가량을 공여했다. 전투에서 몇 대 가량이 노획당하거나 역으로 노획, 격파당했고, 2018년 들어서부터 남은 차량 상당수가 본토로 복귀했다.] [br]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5]] 이라크 [br]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5]] 이집트 [br] [[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25]] 키프로스 [br]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25]] 아르메니아 [br]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5]] 아제르바이잔 [br]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25]] 투르크메니스탄 [br]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25]] 우간다 [br]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우크라이나[* 정식으로 도입하지는 않았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쟁]] 때 노획하여 운용 중이다.]|| ||<-3> '''{{{#white 제원}}}''' || ||<-2> '''{{{#white 전장}}}''' ||6.86 m (차체) // 9.53 m (전체) || ||<-2> '''{{{#white 전폭}}}''' ||3.78 m || ||<-2> '''{{{#white 전고}}}''' ||2.23 m || ||<-2> '''{{{#white 중량}}}''' ||'''T-90''' 46 t [br] '''T-90A''' 46.5 t[br] '''T-90MS''' 48 t || ||<-2> '''{{{#white 탑승인원}}}''' ||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 ||<-3> '''{{{#white 공격력}}}''' || ||<-2> '''{{{#white 주무장}}}''' ||48구경장 [[125mm]] [[2A46|2A46M-5]] 활강포 (42발) || ||<-2> '''{{{#white 조준장치}}}''' ||'''T-90A''' [br] 차장용 PNK-4S/SR AGAT 주/야간 조준경 [br] 포수용 1G46 주/야간 조준경 || ||<-2> '''{{{#white 부앙각}}}''' ||− / +° || ||<-2> '''{{{#white 회전각}}}''' ||360° || ||<-2> '''{{{#white 부무장}}}''' ||12.7mm [[Kord]] (기갑용 6P49) 기관총[* 전차장 큐폴라와 연동되어 있다. [[https://liveresin3d.artstation.com/projects/xn6Kr|내부 모습]]] (300발) [br] 7.62mm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 동축기관총 (2,000발)[br]--12.7mm [[Kord|6P51]] 동축기관총[* 2006년부터 운용 중단]--|| ||<-3> '''{{{#white 기동력}}}''' || ||<-2> '''{{{#white 엔진}}}''' ||'''T-90''' [[ChTZ]] [[V-2 엔진|V-84MS]] V12 디젤엔진 [br] '''T-90A''' [[ChTZ]] [[V-2 엔진|V-92S2]] V12 액랭식 디젤엔진 || ||<-2> '''{{{#white 최고출력 // 회전 수}}}''' ||'''V-84MS''' 840 HP (618kW) [br] '''V-92S2''' 1,000 HP (736kW) // 2,000 rpm || ||<-2> '''{{{#white 출력비}}}''' ||21.6hp/t (kW/t) || ||<-2> '''{{{#white 현가장치}}}''' ||토션바 || ||<-2> '''{{{#white 최고속도}}}''' ||60 km/h (도로) // 50 km/h (야지) || ||<-2> '''{{{#white 항속거리}}}''' ||550 km (도로) // 345 km (야지) || ||<-2> '''{{{#white 접지길이 // 접지압력}}}''' ||4.27 m // 0.97 kg/cm² || ||<-2> '''{{{#white 초호능력}}}''' ||2,800 mm || ||<-2> '''{{{#white 초월능력}}}''' ||850 mm || ||<-2> '''{{{#white 등판능력}}}''' ||30° || ||<-2> '''{{{#white 도하능력}}}''' ||1.2 m[* OPVT (잠수도하장비) 장착 후 5m 깊이까지 잠수 도하가 가능하다.] || ||<-3> '''{{{#white 방어력}}}''' || ||<-2> '''{{{#white 장갑형식}}}''' ||용접포탑, [[복합장갑]], [[반응장갑]]([[콘탁트-5]]) || ||<-2> '''{{{#white 방어장비}}}''' ||[[슈토라-1]] [[APS#s-2]] || ||<-2> '''{{{#white 방어수치}}}''' ||* 기본: 550~650mm(KE), 650~750mm(CE) [br] * 콘탁트-5: 800~830mm(KE), 1,150~1,350mm(CE) ||}}}}}}}}} || == 상세 == === 배경 === 1990년 [[걸프전]]이 발발하게 되고 [[이라크군]]이 운용했던 [[T-72|T-72M/M1]]이 [[M1 에이브람스]]나 [[챌린저 1]] 같은 서방제 다국적군들의 전차들에게 일방적으로 궤멸당하면서 이를 지켜보던 [[소련]] 군부도 큰 위기감을 느꼈다. 이라크에 수출된 T-72는 [[화생방|NBC]] 방호장치가 제외된 약간 다운그레이드한 것[* 소련군의 T-72A와 비교 시 반응장갑을 제외하면 동등한 성능이다. 사격통제장치 역시 T-72A와 동일.]이었는데 이라크군의 역량 부족과 시대에 크게 뒤떨어진 포탄[* 초기형 M1을 상대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1980년대 중후반의 신형탄이 아닌 그냥 115mm나 별 차이 없는 1970년대 초반에 나온 탄, 그리고 [[유고슬라비아]]와 [[중국]] 등지에서 만들어진 짝퉁 포탄들이 배치되어 있었다.] 및 사격 통제 수준으로는 서방제 전차들을 상대하기에는 부족한 성능을 보유하였다. 당시 [[소련군]]은 [[T-64]]B(V), [[T-80]]B(V)/U(D) 같은 상대적으로 고가인 고성능 전차들은 최일선인 [[동독]], [[헝가리]] 주둔 부대나 근위전차사단 같이 최일선 부대들에 배치된 상황이었고, T-72는 기갑부대[* T-72가 기갑부대에 배치되지 않았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 T-72 역시 동독 소재의 제1근위전차군 같이 최일선에 배치된 것은 T-64나 T-80과 동일하다.][* 사실 소련은 끝까지 [[동독군]]을 신뢰하지 읺아서, 동독군의 편제는 생각보다 고성능 전차가 많지 않았다. T-72가 부족해 T-55를 개량해 배치했을 정도.]보다는 차량화소총병사단(기계화보병사단)[* 소련군에서는 기갑사단뿐 아니라 보병사단 역시 대규모로 전차를 장비했다.] 같은 곳에서 보병과 함께 대량으로 배치되었으며 전시에는 싼값에 대량으로 뽑을 용도의 전차에 가까웠다. 물론 T-72 역시도 T-64BV, T-80BV에 준하도록 개량된 T-72B가 1984년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어 배치되어 운용되기 시작했고, 그중에서도 T-72BU(오비옉트 188)는 T-72B의 최종 개량형 정도로 계획되는 정도였다. 그러나 소련이 해체되고 사정이 좋지 않았던 신생 [[러시아군]]이 T-64는 부품수급 문제로,[* 당시 소련이 해체되면서 T-64의 엔진을 생산하던 공장과 T-64 공장 자체가 [[우크라이나]]로 모두 떨어져 나갔다. 그렇기에 T-64를 지금도 개량하고 운용하는 나라가 우크라이나인 것.] T-80은 유지비 문제를 결국 감당하지 못하게 되자 T-72를 주력전차로 써야 하는 상황까지 닥쳤다. 결국 [[UKBTM]]은 당시 T-72 전차의 최신 개량형이었던 T-72BU[* T-72B 1989년형에 대해 T-80U 급의 사통을 장착한 개량형이다.]를 T-90이라는 이름으로 1992년 10월 5일 채택하였다. 사실 소련 시절에도 [[오비옉트 187]][* 이쪽도 똑같은 T-72B의 개량형으로 단순히 T-72B를 가져다가 T-80U급으로 단순히 업그레이드만 한 오비옉트 188과 달리 차체를 재설계하여 기존 T-72B보다 더 커졌으며 포탑도 여러 가지로 새로 만들어 테스트해 보았고 부품들도 신기술도 대폭 도입되어 상당한 고성능 전차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높은 단가와 너무 많이 도입된 신기술로 T-64 같은 신뢰성 문제가 우려되어 오비옉트 188이 대신 채택된다.] 같은 신형 전차 개발 계획도 있었지만 결국에는 취소되었다. 간단하게 말해서 T-90은 기존의 T-72B형에서 각종 개량을 가하여 T-80U급의 성능을 갖추게 한 전차라고 볼 수 있다. 이게 와전이 되어 한때 T-72에 T-80의 포탑을 얹은 전차라는 소문도 돌았지만 이건 잘못된 추측이었는데. T-80과 T-72의 포탑이 원형반구형으로 모양도 비슷하고 크기도 비슷해서 생긴 오인성 추측이었다. 실제로는 두 전차의 [[자동 장전 장치]] 반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두 전차의 포탑은 상호호환되지 않는다.[* 게다가 T-80은 자동장전장치의 일부가 포탑과 붙어있고, T-72는 자동장전장치가 전부 차체에 내장되어 있다. 몸체도 T-80이 더 짧다.] === 개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땡칠이때구공.png|width=100%]]}}} || || '''러시아 육군 소속 T-72B3(위)와 T-90A(아래) 비교''' || T-90은 [[T-72]]의 개량형에서 출발한 전차로 [[걸프전]]에서 참담한 실적을 보인 [[T-72]]를 대신할 차기 주력전차로의 선정과 수출시장 진출을 위해 만들어졌다. 제조사는 [[우랄바곤자보드|우랄열차공장]]. 시제 전차명은 오비옉트 188. 원래 오비옉트 188이 개발될 당시에 소련에서는 [[오비옉트 186]]이나 [[오비옉트 187]]같이 T-72 계열 차량들을 기반으로 [[T-80]]U 급의 전투력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한 신형 업그레이드형 전차들이 개발되고 있었다. 186과 187은 188과 경쟁 관계였으며, 188보다 신기술이나 설계 변경이 더 많이 적용되었다. 덕분에 186과 187의 성능은 188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었지만, 원본 T-72 계열보다 상당히 설계가 바뀌고 가격이 오르는 문제와 검증되지 않은 기술들의 문제를 이유로 오비엑트 188이대신 채택되어 T-72BU라는 제식명을 얻게 되었다. T-90 초기형은 T-72B 개량형에서 이름만 바꾼 전차였기 때문에 그 한계가 확실했고 T-72의 약점을 그대로 가져왔다. 때문에 1990년대 중반 용접포탑을 사용하고 [[프랑스]]제 카트린 열상장비를 장착한 T-90A를 만들어 T-90을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T-90S란 이름으로 [[인도]]에 대량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2010년대 들어 3.5세대 수준의 전차인 T-90AM 이라는 최신 개량형을 개발해 발표하였다. 러시아에서의 전망이 그리 밝지는 않았다. 러시아는 T-90A 양산을 끝내고 T-90AM을 양산하는 대신 기존의 T-80U형 1200대와 현역에 남은 구형 T-72를 T-72B3 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업을 진행했는데 이 T-72 개량사업이 T-90 물량을 잡아먹는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확히는 리아노보스티 뉴스에서 [[우랄바곤자보드]]사 사장을 인터뷰하던 도중에 나온 지적이다. [[http://en.rian.ru/analysis/20100326/158321797.html|#]] 차기전차 [[아르마타]]를 준비중이던 러시아는 T-90을 추가로 대량 생산하기보다는 과도기를 넘기는 용도로 쓰고 낡은 T-72를 현용 3세대 전차 사양으로 개수하며 버티다 아르마타 [[T-14]]를 주력 전차로 삼을 생각이었다. 태생이 서방권 주력전차들보다 한체급 아래인 T-90은 아무리 개량해도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돈바스 전쟁]] 이후 서방국가들의 경제제재로 러시아 국방비가 감소하면서 [[T-14]]를 대량 생산하는 게 불가능해져서 입지가 바뀐다. 러시아 국방부는 보유한 T-90A 400여대를 최신개량형인 [[T-90M]]으로 개량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운용국으로는 [[러시아]], [[인도]], [[알제리]], [[이라크]], [[베트남]], [[아르메니아]], [[투르크메니스탄]], [[시리아]], [[우간다]], [[예멘]] 등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T-90#Current_operators|#]] 2017년 [[중동]] 정세가 갈수록 혼란해져가는 가운데 특이하게 미국 전차와 함께 운용하려는 국가들이 나타났다. [[M1 에이브람스]]를 운용하던 [[이라크]]와 [[이집트]]가 T-90을 M1과 함께 운용하기로 결정하고 도입을 합의했고 [[사우디아라비아]]도 도입을 논의 중이다. || [[파일:external/www.ilbe.com/3c887a33aea80b9f5e68c48530bee1fb.jpg|width=100%]] || || [[파일:external/pbs.twimg.com/CbnH1ljUUAA67Lf.jpg|width=100%]] || || [[파일:external/pbs.twimg.com/Cg-wxA6WUAEUYX5.jpg|width=100%]] || || '''시리아 정부군 소속 T-90A''' || 러시아와 [[아사드]] 정권의 밀착으로 적잖은 수가 [[시리아]]에 도입되었다. 주로 A형이 도입되었다. [[https://southfront.org/india-to-purchase-464-russian-t-90ms-battle-tanks/|인도가 T-90MS(AM) 사양 전차를 464대 추가 구매하겠다고 한다.]] 기존에도 1,000대의 T-90S를 라이센스 생산하기로 하였는데 그중 464대분을 T-90MS 계약으로 전환하겠다고 한다. 300대 가량은 러시아에서 직도입하고 나머지 160여 대는 인도에서 현지 생산한다고 한다. [[https://blog.naver.com/kkumi17cs1013/221200126252|2018년 이라크에서 주문한 73대의 T-90S/SK 전차 중 일부가 이라크군에게 인도되기 시작했다.]] === 특징 === 승무원은 3명으로 중량 46.5톤(A형 48톤), 엔진은 840마력(A형 1000마력 AM은 1100마력)의 디젤 엔진이다. 무장으로는 125mm 2A46M-2 혹은 2A46M-5 활강포 또는 2A82 활강포를 탑재하였다. === 화력 === [[125mm]] 구경의 [[2A46]]M-2(A형 2A46M-5) 활강포와 PKTM([[7.62mm]])와 NSVT([[12.7mm]])를 각각 동축기관총과 전차장용 지대공 기관총으로 장비하고 있다. 탑재탄으로는 [[APFSDS]], [[HEAT]], HE-FRAG와 러시아 전차 특징 중 하나인 주포발사 [[대전차미사일]]인 9M119(A형 9M119M)를 갖추고 있다. T-72와 마찬가지로 케로젤형 [[자동 장전 장치]]에는 22발의 탄이 장전되며, 다 쏜 이후에는 차내에 있는 예비탄을 꺼내 수동장전한다. 단, 케로젤형 자동장전장치의 특성상 차체 탄약고 관통시 포탑사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주포의 경우 러시아군의 T-90A는 2A46M-5를 쓰는데 이는 기존의 2A46M과는 다른 활강포이다(제작사 측의 말로는 2A46M-5에는 크롬 도금을 하고 몇 가지 개량이 더 가해져서 포구초속과 안정성이 대폭 향상되었다고 한다.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JgIK&articleno=8213071&articleno=8213071&categoryId=318654®dt=20111006164434#ajax_history_home|참조바람]] 더 자세한 정보는 [[125mm 활강포]] 및 [[T-72]] 참고. [[사격통제장치]]는 기존 [[T-72]]에 비할 바가 아닐만큼 발전하여 T-80U 또는 그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전까지 러시아 전차중에선 [[T-80|T-80UM]]이나 T-90K 등 극소수만 사용하던 열영상장비 내장형 CPS를 탑재해 주야간 헌터-킬러 기능을 갖춘 신형 T-90이 제시됐다. 그런데 나름 헌터 킬러 기능은 있으나 차장용으로 독립된 열상장치는 T-90은 물론 T-90A 초기 양산형에도 없었고 T-90A 후반 양산형에서야 장착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T-90AM에서는 진보된 CITV와 [[RWS]], 동적 [[MRS|포구감지장치]]와 주포 안정기, [[BMS|전장정보체계]], 자동영상추적 조준장치[* 르끌레르나 흑표, 90식에 달린 그 장치 맞다.] 등을 장착하여 공격력이 획기적으로 증가되였다. 또한 기존의 2A46(D-81T) 계열 주포보다 구경장을 늘린 신형 2A82 주포를 장착하여서 관통력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 === 방어력 === T-72B 89년형은 강력한 비활성 반응 장갑인 [[콘탁트-5]] [[반응장갑]]이 장착되면서 기존 [[T-72]]에 비해 뛰어난 방어력을 자랑하였고, 이는 T-90으로 그대로 이어졌다. T-90A에서는 포탑도 재설계되어서 [[주조장갑]]으로 제조된 기존의 구형 포탑을 버리고 [[용접]]장갑으로 제조한 신형 포탑으로 교체된다.[* Object 187의 포탑이다.][* 주조장갑은 양산성이 좋지만 품질과 방어력은 용접장갑만 못하다.] || [[파일:attachment/T-90/T-90a_Turret_001.jpg|width=100%]] || || [[파일:attachment/T-90/T-90a_Turret_002.jpg|width=100%]] || || '''T-90A 포탑 구조도''' || 주조장갑이 아니라 용접장갑을 사용했기 때문에 러시아제 전차 특유의 이미지인 반구형 포탑이 아니라 서방제 전차들처럼 각진 형태의 포탑이다. 덕분에 방호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2011년 기준으로 430대가 실전배치된 상태다.[* 인도에선 T-90S 모델을 수령했으며 비쉬마(Bhishma)라고 불린다.] 다만 전면에 콘탁트-5 반응 장갑이 장착되고 측면과 후면에 붙여놓은 공구 박스들로 인해 실제로는 아직도 둥글둥글한 모습이다. A형 이후 방어력도 아주 조금이기는 하지만 T-80U보다 더 우수하여 [[콘탁트-5]]를 장착했을 때 KE 기준 700~750mm 정도의 방어력을 가지고 있다. 일단 T-80U의 전면 방어력이 [[레오파르트 2]]A4보다 10% 가량 우위에 있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장족의 발전이다. 물론 러시아제 전차답게 전면에서 60도 가량만 그러한 방호력을 지니고 있으며, 측면 장갑은 여전히 약한 편이다. [[체첸]]전에서 드러난 사실로 T-80은 T-72에 비해 측면 피격시 생존률이 낮으며 [[가스터빈]] 엔진 특성상 피격시 연료가 인화할 가능성도 더 높고, T-72도 T-80보다 약간 좋을 뿐이라는 것까지 감안하면 종합적으로는 약간의 방어력 상승이 있었다 정도로 보면 된다. 한때 전면 장갑의 경우에는 인도에서 한 T-90S의 장갑 방어력 시험에서 M829A2 APFSDS 탄을 250m 거리에서 확실하게 방호하는 모습을 보여줘서 인도 수출에 결정적인 점수를 따게 되었다는 말이 있지만, 이것은 거짓말로 M829A2는 미국 외 다른 나라에 수출된 전례가 없다. 게다가 콘탁트-5도, DM-53이나 M829A2 같은 신형 포탄들에는 손쉽게 무력화된다. 단점으로는 이전 러시아 주력전차들과 마찬가지로 차체 크기를 줄이고 무게를 감량하느라 전면에다 장갑을 몰빵해서 여전이 측면 장갑의 방어력이 동세대 서방 전차에 비해 매우 낮다. 사실 거의 20톤이나 더 무겁고 훨씬 큰 서방 전차보다 방어력이 좋다면 그게 더 이상하다. 전면이라도 서방 전차와 비슷한 방어력을 달성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보아야겠다. 때문에 T-90 근대화 계획으로 방어력을 더 개량했다. 개량된 AM은 전면 장갑을 더 강화하고 측면 장갑에 드디어 반응 장갑을 장착하여 방어력을 늘렸다. 또한 서방제 전차처럼, 전투준비탄을 포탄 뒷편에 한꺼번에 모으고, 승무원과 분리시켜 피탄후 생존성을 높였다. 다만 이 때문에 전투 중량이 현재의 48.5톤에서 50톤 수준으로 점점 늘어나게 되었다. || [[파일:attachment/K-1 전차/size.jpg|width=100%]] || || '''각 국가의 주력전차 크기 비교도[br]위에서부터 아래로 M1 에이브람스(미), K1A1 전차(한), 90식 전차(일), 레오파르트 2(독), T-90(러)''' || 하지만 T-90은 본질적으로는 서방제 전차보다 한 체급 아래 전차다.(3세대 전차중 작은 축에 속하는 [[K1A1]]조차도 기본 중량이 54.5톤이다.) 따라서 T-90의 전체 장갑 방호력 자체가 서방제 전차들에 비해서 부실한 것은 당연하다. 비교한 전차들은 [[레오파르트 2]]나 M1 에이브람스 같이 체급 자체가 많이 차이가 나는 전차들이다. 중량이 거의 20톤 차이가 나는데 이런 전차들과 비교해서 방어력이 더 좋다면 그게 더 이상하다. || [[파일:external/cs624628.vk.me/GqXvcywGHRQ.jpg|width=100%]] || || '''불라크''' || 불라크라고 T-64/80, T-72/90 계열에 전부 호환되는 신형 포탑도 개발 중이었으나 개발사인 옴스크트란스마쉬가 망하고 우랄바곤자보드에 인수된 뒤 우랄바곤자보드가 취소시켰고 우랄바곤자보드가 기존에 개발중이었던 현재의 M/MS 계열 포탑으로 확정되었다. 저 포탑의 시제품은 후기형 T-72B에 올려져 시험을 받았으며 특징적으로는 서로 다른 장전기를 사용하는 두 전차 군을 하나로 합치기 위해 차체 장전기를 차체 탄약고로 변경시킨 뒤 포탑 뒤쪽 버슬에 이중급탄식 장전기를 장착했다는 것이다. 저렇게 포탑만 렌더링으로 보면 그럴싸하지만 [[아머드 워페어]]에 등장한 T-90A 차체에 이 포탑을 올린 차량의 모델링을 보면 매우 해괴한 포탑 전면 형상과 에일리언마냥 매우 길게 돌출된 버슬 때문에 몹시 기괴한 외형의 차량이 되어버린다. 이후 조금 더 개량된 듯한 불라크 포탑이 T-80 계열 개량 시험용 차체에 장착된 것도 공개되었다. 이것과 비교가능한 서방측 전차는 한동안 없었으나 [[10식 전차]]가 나오면서 같은 체급이 생겼다. 다만 [[10식 전차]]의 방어력이 정확하게 나오지 않아 비교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10식이 40톤급의 작은 체구에도 90식급 방어력을 보유한다 하니 초기형 T-90(T-72BU)과는 비등할 것으로 보인다. 당연히 신형 T-90M에게는 밀린다. ==== [[APS#s-3|능동방호체계]] ==== 소프트킬 방식으로 '[[슈토라-1]](Shtora-1)' 혹은 쉬토라-1라고 읽는 [[능동 방호 체계]](APS)가 있으며, 이것이 T-90의 트레이드마크인 '빨간 [[안광]]'이다. 용접포탑을 단 극초기형 차량들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러시아군 운용형 T-90에 장착되었으며[* 수출형 T-90S에서는 제외되었다.] 최신 개량형인 T-90M에도 적외성 교란장치의 형태가 바뀐 개량형 슈토라가 장착되었다. 이 시스템은 적외선 교란장치, 레이저 감지장치, 연막장치, 그리고 시스템 통제장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의 대전차 미사일 조준징후[* 레이저 빔이나 혹은 아레나(Arena)와 연동되어 탐지한 대전차 로켓이나 미사일 등]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승무원에게 경고함과 동시에 우선 자체 교란장치로 1차 교란을 시도하며 그 이후에도 위협이 지속되면 미사일의 비행 방향으로 포탑을 돌려 연막을 치는 2차 교란으로 대전차 미사일의 명중을 억제한다. 연막탄 발사 절차는 전자동으로 진행된다.[[https://twitter.com/Archer83Able/status/1612762182718046210|연막 차장의 작동 모습]] || [youtube(weCQdQ83Hz0)] || || '''아레나 E 하드킬 방어장비''' || 또한 아레나 E 하드킬 방어장비가 있는데 360도 방향으로 26개의 방호탄을 장착하여 700m 밖에 거리에서부터 접근하는 미사일을 탐지하여 50m에서 요격한다. 이 능동 방어 시스템은 반응 속도가 매우 빠르며 전자동으로 24시간 운용이 가능하다. 다만 장애물 등이 있어 사용이 곤란하면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 기동력 === || [[파일:T-90_engine.jpg|width=100%]] || || '''V-92S2''' || 러시아군용 T-90A는 1,100마력의 [[V-2 엔진|V-92S2]] 엔진을, 수출용 T-90S는 1,000마력의 [[V-2 엔진|V-92]]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 디젤엔진인 만큼 내부 연료로도 550km 가량의 항속거리를 가지며 연료 탱크를 추가하면 650km까지도 가능하다. [[심수도하]] 기능 또한 충실하여 심수 도하용 [[스노클]] 장비를 장착하면 최대 4~5m 깊이의 물에 입수할 수 있다. 다만 전투중량이 점점 기존보다 높아짐에 따라 전차 엔진 역시 계속 개발하여 신형 시제품이 속속 나오고 있다. 2011년 10월에는 [[오비옉트 195|T-95]]에 쓸 A-85-3 1500마력 디젤 엔진이 나왔고, T-90AM/MS에 들어서는 아예 [[이스라엘]] IMI나 [[스웨덴]] SAAB와 기술공조(대표적으로 능동방호체계)가 가능해서 이 국가에서 엔진 기술 지원도 얼마든지 가능한 상태다. 하지만 변속기는 여전히 T-90MS를 제외한 T-90 계열 차량들은 수동 변속기를 사용하고 있다. [[T-14]]에 와서야 제대로 자동변속기 파워팩을 탑재했다. == 형식 == === T-90 (Object 188) === || [[파일:T-90_main_battle_tank_(2).jpg|width=100%]] || || '''Т-90 (Обьект 188)''' || T-90 계열의 극초기형 사양. 이전 명칭은 T-72BU였다. 용접포탑을 장착한 이후 사양과 달리 T-72B와 유사한 주조포탑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내부의 복합장갑재를 뺀 포탑 자체의 형태와 구조는 베이스가 된 T-72B의 것과 동일하다. 러시아군 사양은 [[슈토라-1]] APS가 추가되면서 [[콘탁트-5]] 반응장갑의 수가 줄어들고 반응장갑 장착 위치도 소폭 달라졌다.]. ==== T-90K (Object 188K) ==== T-90의 지휘차량형이다. === T-90S (Object 188S) === || [[파일:t-90s.jpg|width=100%]] || || '''Т-90С (Обьект 188С)''' || 수출형이다. 처음에는 초기 T-90처럼 주조포탑을 사용했으나 이후 새로 생산이 시작되면서 T-90A에 적용된 [[오비옉트 187]]의 용접 포탑으로 변경되었다. 러시아군의 T-90A와는 달리 [[슈토라-1]] 능동방호체계가 제외되었고 이에 따라 포탑 전면에서 슈토라의 적외선 교란장치가 없어진 대신 [[콘탁트-5]] 반응장갑이 몇개 더 붙는 외형상의 차이가 있다. 수출형이지만,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군 역시 일부 물량을 운용중이다. ==== T-90SK (Object 188SK) ==== T-90S의 지휘차량형이다. ==== T-90S 비슈마 ==== T-90S의 인도 도입형으로 2007년부터는 인도 자체에서 생산 되었다. ==== T-90SA (Object 188SA) ==== T-90S의 개량형으로서 [[알제리]] 수출형이다. ==== T-90SAK (Object 188SAK) ==== T-90SA의 지휘차량형이다. === T-90A (Object 188A1/A2) === || [[파일:xfiyxm4ov2t31.jpg|width=100%]] || || '''Т-90А (Обьект 188А1/А2)''' || 러시아군이 새로 도입한 사양의 T-90. 기존의 주조포탑을 [[오비옉트 187]]의 용접포탑으로 변경했다. 상황통제 / 지휘통제 장비 PTK-T-2로 교체한 형식을 오비옉트 188A2라 한다. ==== T-90AK (Object 188A1K/A2K) ==== T-90A의 지휘차량형이다. 상황통제 / 지휘통제 장비 PTK-T-1으로 교체한 형식을 오비옉트 188A2K라 한다. === [[T-90M]](T-90AM/MS)계열 === || [[파일:T-90M_Model_2017_.jpg|width=100%]] || || '''Т-90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90M)] == 파생형 == * [[오비옉트 187|Object 187]] : 원래는 T-72B를 T-80U급의 성능을 내는 전차로 업그레이드하여 T-72BU로 완성시키는 계획이었으나 단순히 T-72B의 업그레이드에 그치지 않고 방어력[* T-64 플랫폼 기반 전차들은 전면 상부에 조종수 관측창 및 해치 약점이 있었는데 이 부분을 재설계하여 조종수 해치와 관측창을 완전히 전차 상부로 옮겨 제거하였다. 또한 당시로서도 서방제 장갑보다 훨신 뛰어난 성능을 가졌던 [[콘탁트-5]]보다도 더 진보된 극초기형 렐릭ERA를 사용했다.]과 공간을 늘리기 위해 T-72차체를 연장시킨 개량형 신형 차체를 만들고 반구형 포탑 대신 신형 용접 포탑을 새롭게 도입하고[* 여러 포탑이 테스트되었는데 187 3호의 포탑이 사소한 개량을 거쳐 T-90A의 포탑으로 양산된다. 이 시기 용접포탑은 T-80UD를 위해서도 개발되었으나 결국 187과 그 유산을 받은 188이 사용하게 된다.] 내부에도 여러 신형 장비들이 장착하여 T-80U를 한참 뛰어넘는 고성능 신형 전차로 완성되었다. 개발자들이 하라는 개량은 안하고 뜬금없이 새 차체에 새 포탑을 지니고 최신 첨단장비까지 덕지덕지 바른 사실상 그냥 신규 전차라고 불러도 될 만한 비싼 고성능 전차를 만들어내자 --돈이 없는-- 소련 군부는 당황하였고 너무 신규장비가 많이 장착되어 T-64에서 겪었던 고비용, 저신뢰성 문제가 다시 발생할까봐 우려하였다. 때문에 Object 188과의 경쟁에서 패배한다. 동시기에 개발된 T-72 개량형에는 186도 있는데 이것은 T-72A를 기반으로 한 T-80U급 업그레이드 계획으로 시작되었으나 역시나 T-80U를 한참 뛰어넘어 187과 동일한 사양으로 개량이 진행중이었다. 이것도 187과 함께 취소된다. * Object 188 : 프로토타입. 너무 개량사항이 지나쳤던 Object 187과 다르게 T-72B를 그대로 두고 단순히 사통장비나 장갑 같은 부분만 T-80U급으로 업그레이드한 버전이다. 187과의 경쟁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하여 T-72BU로 채택된다. * BMOP([[BMPT]]) T-72와 T-90의 차체를 이용하여 만든 대보병 [[중장갑차]]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를 참조. * BREM-1M(구난전차) * IMR-3M(전투공병전차) * MTU-90(가교전차) * BMR-3M(지뢰제거전차) * [[TOS-1 부라티노]] 부라티노의 개량형으로 T-90 차체를 사용했으며, [[이라크]]에 도입됐다. * [[2S35 칼리챠-SV]] 초도양산형 한정으로 T-90의 차체가 사용됐다. 본격적인 양산형부터 [[아르마타]] 다목적 범용 차체가 사용될 예정이다. == 실전 == === [[시리아 내전]] === 2015년 10월부터 러시아군이 비공식적으로 37대 가량의 T-90(T-90, T-90K, T-90A 포함)을 시리아 정부군과 러시아 의용군에 공여했다고 한다. 2016년 3월에 [[콘탁트-5]]를 장비한 초기형 T-90이 [[BGM-71 TOW]]에 공격당하는 동영상으로 쉬토라를 켜고 있지 않아서 토우에 직격당했지만 피해는 [[http://m.dcinside.com/view.php?id=arm&no=673734&page=1&serVal=%ED%86%A0%EC%9A%B0&s_type=all&ser_pos=|관측창과 반응장갑 교체만 하면 되는 정도]]의 피해만 입었다. 물론 피격 이후 [[시리아군]] 전차 승무원이 놀란 토끼처럼 도망간다. 영상 초반을 보면 알겠지만 전차장으로 추정되는 병력이 포탑의 12.7mm 대공기관총을 잡고 어딘가에 사격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 반군의 TOW에 명중당하기 바로 직전 해치 안으로 들어갔다가 놀라서 전차 밖으로 뛰쳐나가는 것이다. 이 동영상이 나름 판매에 도움이 되었다는 소리가 있다. 당장 반군의 [[RPG]]가 두려운 나라들이 많아서... [[http://m.dcinside.com/view.php?id=arm&no=717683&page=1&serVal=%ED%86%A0%EC%9A%B0&s_type=all&ser_pos=|이건]] 6월 알레포에서 알 누스라 전선에서 노획당한 T-90A로 이 경우 반응장갑과 쉬토라 방어장치만 파손되어 있다. 여담으로 저 노획당한 장소는 주요 격전지로, [[이란군]] 특수부대인 제65 공수특전여단 소속 병사 3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이후 해당 차량은 반군 손에 이리저리 굴려지다가 2017년 9월 정부군 [[T-72]]가 사격한 날탄을 측면에 피격당하면서 격파된다. [[http://defence-blog.com/army/syrian-army-lost-a-t-90-tank-during-of-clashes-with-rebels.html|6월 9일, 시리아 알레포에서 반군에 노획당한 T-90과 피격당하고 유폭당한 T-90의 모습이다.]] 전차의 포탑 측면이 피격당했는데 콘탁트로 보호되지 않는 구역인 것은 그렇다 쳐도 소련제 전차 특유의 난잡한 예비탄 배치로 인한 유폭 문제에서는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차체도 아니고 포탑 측면에 피탄당해 한 순간에 불타오르는 것은 포탑링 위 전투실에는 절대 포탄을 적재하지 않는 서방 전차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일이기 때문. 2년 반 동안 지속된 전투에서 총 2대의 차량이 격파되었고, 나머지 2대는 손상 이후 반군에 노획당했다가 나중에 정부군에서 재노획했다. 2019년 현재 확인된 것만 모두 6대가 손실되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파일:1663830826_47757.jpg|width=100%]] || || '''러시아 육군 근위전차연대 소속 T-90A, 2022년 루한스크 전선''' || T-90M의 경우는 4월 중순까지 투입이 확인되지 않았고 T-90A만 간간하게 식별되었으며 T-72, T-80에 비해 확인되는 빈도가 낮았다. 러시아군의 낮은 훈련도와 좋지않은 교리는 T-90 운용부대라 해도 크게 다르지 않아 T-72B3, T-80BVM과 크게 다르지 않게 우크라이나군의 [[FGM-148 재블린|재블린]]과 [[NLAW]]에 고전하고 있으며 러시아군은 2022.6.10일 기준으로 최소 20대의 T-90A를 손실했다.[* 파손(격파) 9대, 유기 2대, 우크라이나군에 노획 9대][[https://www.oryxspioenkop.com/2022/02/attack-on-europe-documenting-equipment.html?m=1|#]] 이중 우크라이나군이 노획한 8대중 최소 6대는 한 기계화여단에 편성되어서 운용중이다.[* 해당 여단은 그 전엔 T-64BV를 운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6월 9일에는 우크라이나가 T-90A 2대를 추가로 노획했다. 러시아 전차중에 유일하게 BMS를 탑재한 T-90M은 4월 중순까지 침공군 투입이 확인되지 않다가 4월 말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이 진행중인 [[하르키우]] 방면에서 투입이 확인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606402&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90m&search_pos=-2586884&page=1|#]] 그러다가 5월 5일에 우크라이나 보병의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에 얻어 맞아 한대를 날려먹었다.[[https://twitter.com/oryxspioenkop/status/1521893220430622721?t=ID3B9jBTHD1hjBPlyuTzZg&s=19|#]] 2022년 7월에 우크라이나군의 포병 공격으로 인해 도하를 시도하던 T-90M 1대 손실이 추가로 확인되었으며 [[우크라이나의 9월 공세]] 도중 수출판 다운그레이드 판이 아닌 러시아군 정식 [[T-90M]]이 최소 1대가 노획되어 NATO 측에 연구용으로 전달되었다.[* 미국은 과거 한국의 불곰사업때 받은 T-80U를 공동 분석하기 위해 군관계자가 입국해 연구를 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T-80이 T-72에 비해 비싼반면 T-72보다 조금 더 좋다는 결과가 나왔다. 실제로 T-72가 T-80보다 많이 생산되었다.] 러시아는 손실이 점점 커지자 인도 수출분인 T-90S를 수출용 물량을 자국용으로 개수해 투입한다고 한다.[[https://defence-blog.com/russia-uses-t-90s-tanks-originally-bound-for-export-customers/|#]] [[https://meta-defense.fr/en/2022/10/06/la-russie-aurait-deploye-des-t-90s-bhishma-indiens-en-ukraine-sans-accord-de-new-delhi/|#]][[https://m.dcinside.com/board/war/2967719?page=3|#]] 2022년 10월 22일 헤르손 전선에서 T-90A가 노획당했다.[[https://mobile.twitter.com/NOELreports/status/1583550604562997249|#]] [[https://twitter.com/UAWeapons/status/1610679194413076480|2023년 1월경 T-90S가 주포가 파손되어 유기되기도 했다.]] [[https://www.reddit.com/r/TankPorn/comments/12k35jm/t90_at_my_local_truck_stop/?utm_source=share&utm_medium=ios_app&utm_name=ioscss&utm_content=2&utm_term=1|노획된 T-90A가 미국에 보내져 연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저런 사건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제 3세대 MBT의 현대적 하드웨어는 건재해서 3BM42 125mm 날탄을 직사로 방어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에 우크라이나군은 전차로 직접 맞붙기보다는 측후면을 대전차미사일/로켓으로 노리거나 상부를 드론 및 [[M982 엑스칼리버|엑스칼리버 유도포탄]]으로 타격 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 [[바그너 그룹 반란]] === || [[파일:Wagner_group_T-90S.jpg|width=100%]] || || '''바그너 그룹 소속 T-90S''' || 바그너 그룹이 투입했다. == 평가 == 후기 소련군과 현대 러시아군 기갑 전력의 중핵이다. 소련군은 후기에 전차 운용 체계를 하이로우 믹스[* T-90 등장 이전에 T-62, T-72가 로우엔드, T-64와 T-80이 하이엔드였다. 간혹 T-72가 T-64보다 출시연도 또는 번호(?)가 높으니 신형이고 더 강한 전차라고 오인되는 경우가 있으나 후자는 세계 최초의 복합장갑과 가스터빈 엔진, 첨단 사통장치 등 당시 러시아의 최신기술을 집약해 만든 하이엔드 전차였고 전자는 그 첨단기술이 실패할 때를 대비해 들어둔 보험 격인, T-55 때부터 내려온 구세대 전차 플랫폼의 확대 발전형 전차였다. 소련은 T-64는 동독, 헝가리 등 유럽 전선 최전방 주둔부대에 배치하고 70년대부터 디지털 사통장치를 적용하는 등 최신개량 사항을 바로바로 반영해 개량하고, 해외 수출도 하지 않은 반면 T-72는 해외에 말 그대로 뿌렸고 80년대 까지도 아날로그 사통장치를 그대로 두는 등 대놓고 취급을 달리 했다. 러시아에서 두 전차의 대우가 달라진 건 소련이 해체되어 T-64/80UD의 생산설비는 우크라이나로 넘어가고 유지비 비싼 T-80U를 신규 생산할 여력이 없었기 때문이지 T-72가 64/80보다 우수해서가 아니다.]에서 [[MBT]] 단일화로 바꾸었고, 그 결과물이 T-90이다. 이는 비용 절감과 군수 효율화를 위한 변화였고, T-90은 그 목적에 충분히 부합한 전차였다. 단일화 경쟁에서 T-90이 승리하면서 T-80은 생산라인이 멈춰 지금은 개량만 가능하다. 반대로 T-90은 지속적인 생산과 수출, 개량으로 로우엔드로 쳐주기에는 T-80에 비해 큰 성능차이도 없으며 이는 애초에 T-90의 개발 개념 자체가 T-72B를 T-80U급의 성능으로 올리려고 했던 것이므로 당연하다. 2012년 시점에서는 오히려 T-80보다 더 우수한 점도 여럿 있다. 공격력은 동등하며, 고출력 가스터빈 엔진을 단 [[T-80]]보다는 순발력과 기동성에서 열세를 보이지만, 연비가 높은 디젤 엔진을 장착했고 항속거리는 [[T-80]]보다 우위에 있다. 그리고 사격통제장치 또한 개량을 거듭하여 T-80 시리즈보다 좋아졌다. 또한 T-90은 이 정도로 T-80 시리즈와 대등하거나 우위를 보일만큼 개량되었으나, 가격을 T-80보다 싸게 억제하는데 성공했다. 덕분에 한때 "저가형 T-80"이라는 오명이 돈 것과 다르게, 이후 온갖 개량이 집중되는 동시에 수출도 잘되는 영광을 누렸다. 심지어는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냉매가 없는 [[에어컨]]을 개발중이며 T-90에 시험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러시아 전차는 T-90A까지 에어컨이 달리지 않았다. T-90M에 가서야 에어컨이 달렸다.] 그러나, 앞으로의 주력 MBT 생산은 T-90이 승리했다 하더라도 수천대의 T-80BV를 앞세워 T-80U 등 이미 소련시절 전체 T-80 계열 전차를 통틀어 생산된 숫자만 무려 4000대 이상으로, 러시아 연방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주력 MBT 운용을 T-90 계열 단 한가지로 완전히 통일할 수는 없었다. T-90, T-80이 수백대, T-72 계열의 수천대인 상황에서 T-90으로 전차 운용을 통일하고 나머지는 개량도 없이 그냥 전력외로 취급하는 비현실적인 정책을 실행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주력 전차를 3종류로 나누어 운용하는건 필연적인 일이었다. 이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전차/보병전투차/자주포가 차대를 공유하는 아르마타를 개발했다. 아르마타가 양산될 동안의 간격을 메우기 위해 T-90M을 배치하고 기존의 T-72는 T-72B3으로, T-80 전차들은 BVM으로 모두 개량하기 시작했는데, 개량형들이 시간을 벌어주는 사이 양산 되었어야할 T-14는 비리로 양산 자체가 불투명한 상태이기 때문에 한동안 러시아군은 구형 전차들의 개량형을 주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 운용국/운용 무장단체 == === [[러시아]] === || [[파일:9dh2ko2ozjl41.jpg|width=100%]] || || '''러시아 육군 소속 T-90A(좌)와 T-90M(우)''' || 원조 사용국으로 러시아 육군이 1992년 10월 5일 도입했다. === [[우크라이나]] === || [[파일:gsm4h346ccl81.jpg|width=100%]] || ||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T-90A''' || 러시아군의 T-90A와 T-90M을 노획하여 사용하고 있다. === [[아르메니아]] === === [[아제르바이잔]] === === [[인도]] === || [[파일:T-90_Bhisma_cropped.jpg|width=100%]] || || '''인도 육군 소속 T-90S 비슈마''' || T-90S 비슈마를 운용중이다. === [[이라크]] === ==== [[카타이브 헤즈볼라]] ==== || [[파일:Kata'ib_Hezbollah_T-90.jpg|width=100%]] || || '''카타이브 헤즈볼라 소속 T-90A''' || === [[베트남]] === || [[파일:비엣남군T-90C.png|width=100%]] || || '''베트남 인민군 소속 T-90A''' || 베트남군은 T-55, T-72등을 운용하다 노후화가 심해져서 도입했다. === [[시리아]] === || [[파일:시리아전차병.jpg|width=100%]] || || '''격파된 시리아 육군 소속 T-90A''' || 시리아 홈스 주 팔미라 고원~알레포서 격하게 전투가 벌어지던 2016년 봄부터 푸틴 행정부는 대대적으로 T-90A과 T-90M형 전차를 시리아 정부군에 수십대 가량 제공하여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러시아 국내마저 업그레이드형 T-90 모델은 예산 부족 등의 자잘한 애로사항으로 인해 생산에 큰 차질을 빚었는데, 단 10년만에 중동 지역까지 진출하여 최신형 T-90M 모델을 수십대 가량 배치할 정도로 러시아 군수공장의 대규모 생산 능력 수준이 단기간 내 훨씬 향상되었음을 이로 인해알수있다. 시리아에게 제공된 T-90M은 여러 가지 첨단 장비가 탑재되어 준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전해지는데, 125mm 2A46 활강 전차포, 1G46 포수 조준경, 최신형 엔진 및 열상 조준경, 적외선 ATGM 재밍 시스템 등이 포함되었다. [[https://www.israeldefense.co.il/en/node/32428|2018년 러시아 정부의 T-90A 제공을 다룬 이스라엘 언론]] === [[쿠웨이트]] === === [[투르크메니스탄]] === === [[우간다]] === === [[이집트]] === === [[미국]]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우크라이나군]]에게 노획된 T-90A 1량을 본국에 가져왔다. 2023년 4월 13일, 미국 [[루이지애나]]에서 목격이 보고되었다. 최종 목적지는 [[메릴랜드]] 주 에버딘 육군 전차 테스트 센터.[[https://www.reddit.com/r/TankPorn/comments/12k35jm/t90_at_my_local_truck_stop/?utm_source=share&utm_medium=ios_app&utm_name=ioscss&utm_content=2&utm_term=1|1]][[https://blog.naver.com/sundin13/223077284362|2]] == 기타 == 포탑 전면에 장착된 [[슈토라-1]] 능동방호장치가 마치 붉은 눈과 비슷하여 관련 짤방으로 주로 쓰인다. == [[T-90/미디어|미디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90/미디어)] == 모형 == === 프라모델 === * [[멩]] 1/35 스케일의 T-90A(용접포탑)와 TBS-86 도저 날을 포함한 T-90(주조포탑)을 발매했다. 멩 모델답게 가동식 토션바와 가동이 가능한 연결식 궤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진룸이 재현되어 있다. 그 외에도 엔진 그릴 에칭 부품과 [[보기륜]] 도색용 에칭이 포함되어 있다. O자의 보기륜 도색용 에칭은 보기륜의 고무 부분을 제외한 철제 부분을 끼워 캔 스프레이나 에어 콤프레셔 등으로 나름대로 도색을 쉽게할 수 있다! 게다가 이거는 보기륜의 크기가 비슷한 T-80은 물론, T-72와 T-64도 서로 간에 호환되니 버리지는 말자. 차체 하부의 일부 포인트 부분에 오류가 있다고는 하나, 프로 모델러인 '구르 칸'의 검수를 받아 현재까지는 T-90을 가장 잘 재현한 모델이라 볼 수 있다. 더불어 멩 모델이라는 메이커의 위상을 크게 높여 준 명작 프라모델들 중 하나다. 다만 역시나 자잘한 부품들이 많고 일부 부품들의 경우 부품 성형상태가 기대에 못 미치는(지느러미 등) 경우도 있는 듯 하다. 가격은 T-90A / T-90 둘 다 6만원 후반대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 도저 장착형 T-90은 추가로 쉬토라-1 구현을 위한 LED도 포함되어 있어 T-90의 붉은 안광을 재현 가능하여 간지가 철철 넘친다. 하지만 그만큼 T-90A보다는 가격이 조금 더 비싸다는 것은 감안하자. 물론 배터리는 따로 구해서 장착하여야 한다. 흔히 말하는 동그란 모양인 단추형 건전지이므로 참고. * [[즈베즈다]] 1/72, 1/35 스케일의 T-90을 발매했다. 1/35 스케일의 T-90A의 퀄리티는 [[http://blog.daum.net/1911a1/249|일부분에선 멩도 이기는]] 훌륭하다. 링크의 내용대로 디테일 사출의 또렷함은 매우 좋은 편이고 부품구성도 세미 커넥팅 궤도와 너무 심하지 않은 회치기 덕분에 멩과 트럼페터에 비해서는 조립이 쉬운 편이다. 다만 차체 상면의 프로포션(엔진룸이나 차체 우측 휀더 사물함)과 차체 높이 등 쉽게 고치기 힘든 오류가 지적된 것이 있으며, 포탑 상면 디테일이 T-90A 초기 모델을 재현한 것인지 멩/트럼페터와 약간 차이가 있다. 특히 실차 취재 과정에서 실차 제조사의 지원을 받은 게 역으로 작용했는지 차체고가 2mm 가량[* 공차중량일 때와 전비중량일 때의 차고 차이와 일치한다] 높게 잡힌 오류가 좀 심한 옥의 티다. 현가장치를 꺾어서 높이를 재조정해주면 그나마 나아지지만, 이 높이에 맞춰서 사이드스커트를 만드는 바람에 제대로 높이를 조절하면 사이드스커트는 싹 새롭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심지어 별매품들도 이 부분은 키트 사이즈를 바꾸지 않고 그대로 생산하는 바람에 적용해봤자 그게 그거다. 그러나 3만원 중반대의 가격에 적절한 조립 난이도와 더불어 뛰어난 디테일을 보여주며, 만들어 놓으면 괜찮은 모양으로 가성비 자체는 나름 나쁘지 않다는 평이 많다. T-90MS 사양의 모델도 발매되었는데 이쪽은 아예 제작사인 [[우랄열차공장]] 라이센스까지 받아 만든 정품이다. 조립성은 타 모델보다 비교적 떨어져도 저렴한 가격으로 정품을 만들고 싶다면 이걸로 해보자. 단 후기형(2013~2015년형)이다. 참고로 1/72 기준 러시아 현지에서의 판매 가격은 약 780루블(한화 약 14500원)이다. * [[아카데미과학]] 1/35 스케일의 T-90A를 즈베즈다 재포장으로 발매 했다. 에칭 부품 등 추가적인 구성품들이 포함되며 가격은 3만원 초반대로 즈베즈다제 보다는 약간 더 저렴하다. * [[트럼페터]] 1/35 스케일의 T-90, T-90A, T-90S, T-90SA, T-90MS Tagil도 발매했다. 가격은 5만원 후반대로 최근 트럼페터 제품답게 몇몇 오류를 제외하면 전반적인 디테일을 비롯한 품질과 재현성은 괜찮은 편이나 처음 발매된 즈베즈다와 결정판격인 멩 모델에게 밀려서인지 왠지 인지도는 높지 않은 편. 이전 버젼 문서에서는 조립성도 나쁘지 않다고 돼 있었으나 역시나 일부 제품에 에칭이 난무하는 트럼페터 제품답게 좀 작거나 얇다 싶은 부품은 전부 에칭으로 조립해야 되며, 특히나 증가 장갑판 상면의 원형 볼트머리 몰드가 모두 에칭으로 붙이게 되어 있다. T-90 주조포탑 기준으로 약 170개 정도(!!!)를 붙여야 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조립 난이도가 상당한 편. 그리고 궤도도 비가동식 연결식 궤도로 손이 많이 가는 편. * Tiger Model 마이너 메이커인 타이거 모델에서 T-90MS 초기형(2011~2012년형)과 후기형(2014~2015년형)을 발매했다. 초기형을 바탕으로 후기형에 신규 부품들이 들어가 있다. BMPT, BMPT-72와 함께 발매하였는데 가격은 7만원 대로 결코 싸지 않은 가격이다. 품질은 매우 좋은 편이나 일부 러너의 핀자국 처리가 까다롭다. 또한 2022년도에 T-90M 모델도 출시했다. === 브릭 === == 둘러보기 == [include(틀:우랄바곤자보드의 차량)]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르메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라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집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알제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간다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T-72]][[분류:3세대 전차]][[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기갑차량]][[분류:우크라이나군/기갑차량]][[분류:인도군/기갑차량]][[분류:우랄바곤자보드/생산차량]][[분류:199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