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EKKEN CRASH)] [목차] == 개요 == 새로운 스폰서가 붙었는데 [[MSL]]의 스폰서인 [[빅파일]]을 뛰어넘는 '''[[Daum]]'''이었다. Daum 정직원 [[빈창]]의 공이 컸다고 한다. 그 덕분에 리그 전 경기가 Daum [[팟플레이어]]로 생중계되며 녹화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래봤자 상금은 그대로~~ 이 시즌은 8강부터 결승까지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전 시즌의 16강 A조가 워낙 막장 지옥의 조였기 때문에 이 시즌부터 전 시즌 상위 입상자들에게 시드를 주어 4개 조에 분산하였다. * 전 시즌 4강에 입상했으며 멤버 변경이 없는 [[레저렉션]]과 마녀삼총사는 예선이 면제되고 본선 시드까지 받았다. * [[냉면성인]] 대신 [[JDCR|잡다캐릭]]을 영입해서 예선을 통과한 스페셜리스트는 멤버 전원이 전 시즌 4강 입상자이므로 시드를 받았다. * [[냉면성인]]은 [[하오]], [[나락호프]]와 Why Works 팀으로 참가했지만 예선에서 탈락하여 시드 권한이 소멸했다. * 남은 시드 한 장은 [[빈창]], [[다살기]], NAVEE로 구성된 The Striker에게 부여되었는데 멤버 전원이 전 시즌 8강 진출자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3명 모두 소속 팀은 달랐다) * [[슈퍼스타]]가 예선을 통과했으나 [[소용돌이(철권)|소용돌이]]가 갑자기 [[군대영장]]을 받아 불가피하게 기권했다. 남은 멤버인 [[말구]]와 [[최선휘|썬칩]]은 리그 징계 규정에 따라 시즌 6까지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1Q87 팀이 와일드카드 예선을 통과하여 슈퍼스타 대신 본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 16강 A조 == || 팀 || 멤버 || 결과 || || '''[[레저렉션|Resurrection]]''' || [[홀맨]]([[라스 알렉산더슨|라스]]), [[배재민|무릎]]([[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통발러브]]([[데빌 진|데빌진]]) || '''{{{#blue 1위}}}''' || || '''드화백''' || 단풍랑([[화랑(철권)|화랑]]), 돌격환([[백두산(철권)|백두산]]), 갱자([[세르게이 드라그노프|드라그노프]]) || '''{{{#red 3위}}} 탈락''' || || '''The Ripper''' || Kircle([[레오 클리젠|레오]]), go9ma_killer([[잭(철권)|잭]]), 영교([[밥(철권)|밥]]) || '''{{{#blue 2위}}}''' || || '''VOT''' || 스카스([[백두산(철권)|백두산]]), 사운더스([[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전띵]]([[에디 골드|에디]]) || '''{{{#red 4위}}} 탈락''' || == 16강 B조 == || 팀 || 멤버 || 결과 || || '''마녀삼총사''' || [[온리 프랙티스|Only_practice]]([[니나 윌리엄스|니나]]), [[강성호(프로게이머)|CHANEL]]([[알리사 보스코노비치|알리사]]), [[채동훈|구라]]([[리리 로슈포르|리리]]) || '''{{{#blue 2위}}}''' || || '''트래비앙''' || 국필([[레이븐(철권)|레이븐]]), 문진([[쿠마(철권)|쿠마]]), 선화([[니나 윌리엄스|니나]]) || '''{{{#red 4위}}} 탈락''' || || '''What can you do!?''' || 설레이([[카자마 진|진]]), [[박정주|자석]]([[줄리아 창|줄리아]]), 집시([[에디 골드|에디]]) || '''{{{#blue 1위}}}''' || || '''부산전설''' || [[딸기잼바다]]([[레이븐(철권)|레이븐]]), [[엠아재|M B C]]([[밥(철권)|밥]]), Mammoth([[에디 골드|에디]]) || '''{{{#red 3위}}} 탈락''' || == 16강 C조 == || 팀 || 멤버 || 결과 || || '''Specialist''' || [[한쿠마]]([[레오 클리젠|레오]]), [[레인(철권)|레인]]([[라스 알렉산더슨|라스]]), [[JDCR|잡다캐릭]]([[미시마 헤이하치|헤이하치]]) || '''{{{#blue 1위}}}''' || || '''1Q87''' || [[히라노 정헌|히라노 아야]]([[알리사 보스코노비치|알리사]]), [[세인트(철권)|Saint]]([[간류(철권)|간류]]), Fight Devil Jin([[스티브 폭스|스티브]]) || '''{{{#blue 2위}}}''' || || '''N.M.C''' || 남루우([[쿠마(철권)|쿠마]]), 소금빛 해바라기([[알리사 보스코노비치|알리사]]), [[지상(철권)|지상]]([[폴 피닉스|폴]]) || '''{{{#red 4위}}} 탈락''' || || '''기적은 아니고 미라클''' || [[물망초]]([[미겔 카바예로 로호|미겔]]), [[리리만|LiLi만]]([[리리 로슈포르|리리]]), Nell([[세르게이 드라그노프|드라그노프]]) || '''{{{#red 3위}}} 탈락''' || [youtube(rmcCDCQE_dY)] [[지상(철권)|지상]]은 붕권을 앞세운 화려한 플레이와 쇼맨십으로 최하위 탈락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스타로 떠올랐다. 지상의 붕권 퍼레이드는 이른바 '''17붕권'''으로 철권 역사에 길이 남게 되었다. == 16강 D조 == || 팀 || 멤버 || 결과 || || '''The Striker''' || [[다살기]]([[스티브 폭스|스티브]]), NAVEE([[레이븐(철권)|레이븐]]), [[빈창]]([[라스 알렉산더슨|라스]]) || '''{{{#blue 2위}}}''' || || '''Sensation''' || 기상어퍼([[자피나]]), LegnaSchwarz([[리 차오랑|리]]), [[촉새]]([[미시마 카즈야|카즈야]]) || '''{{{#red 3위}}} 탈락''' || || '''SMAP''' || [[정점남]]([[잭(철권)|잭]]), [[지삼문에이스]]([[밥(철권)|밥]]), 푸리주무([[아머 킹|아머킹]]) || '''{{{#blue 1위}}}''' || || '''ToY''' || Vengeance([[브루스 어빈|브루스]]), Adios Amigo([[니나 윌리엄스|니나]]), No Name([[마샬 로우|로우]]) || '''{{{#red 4위}}} 탈락''' || 전 시즌에서 [[JDCR|잡다캐릭]] 버스에 타서 4강까지 끌려가느라 무려 '''0승 9패'''를 적립한 [[정점남]]이 Vengeance를 꺾고 4강 진출보다 기쁜 첫 승을 거뒀다. 공교롭게도 다음 상대는 시즌 1, 3에서 0승 8패를 적립한 Adios Amigo였는데 이 선수마저 꺾어버리면서 2연승. Adios Amigo는 이후 패자전에서도 [[다살기]]에게 패하여 '''0승 10패'''로 전패왕 타이틀을 털어내지 못했다. == 8강 A조 == || 팀 || 멤버 || 결과 || || '''[[레저렉션|Resurrection]]''' || [[홀맨]]([[라스 알렉산더슨|라스]]), [[배재민|무릎]]([[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통발러브]]([[데빌 진|데빌진]]) || '''{{{#blue 2위}}}''' || || '''1Q87''' || [[히라노 정헌|히라노 아야]]([[알리사 보스코노비치|알리사]]), [[세인트(철권)|Saint]]([[간류(철권)|간류]]), Fight Devil Jin([[스티브 폭스|스티브]]) || '''{{{#red 3위}}} 탈락''' || || '''What can you do!?''' || [[박정주|자석]]([[줄리아 창|줄리아]]), 설레이([[카자마 진|진]]), 집시([[에디 골드|에디]]) || '''{{{#blue 1위}}}''' || || '''The Striker''' || [[빈창]]([[라스 알렉산더슨|라스]]), NAVEE([[레이븐(철권)|레이븐]]), [[다살기]]([[스티브 폭스|스티브]]) || '''{{{#red 4위}}} 탈락''' || 1경기에서 1Q87이 대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레저렉션의 테켄 크래시 첫 패전'''을 만들었다. 하지만 승자전에서 부산의 What can you do!?에게 패하고, 최종전에서 레저렉션과 다시 만나 패하여 탈락. [[디펜딩 챔피언]] 레저렉션이 당초 예상과 달리 조 1위가 아닌 조 2위로 4강에 오르면서 시즌의 판도가 크게 달라지게 된다. == 8강 B조 == || 팀 || 멤버 || 결과 || || '''Specialist''' || [[한쿠마]]([[레오 클리젠|레오]]), [[레인(철권)|레인]]([[라스 알렉산더슨|라스]]), [[JDCR|잡다캐릭]]([[미시마 헤이하치|헤이하치]]) || '''{{{#blue 1위}}}''' || || '''The Ripper''' || Kircle([[레오 클리젠|레오]]), go9ma_killer([[잭(철권)|잭]]), 영교([[밥(철권)|밥]]) || '''{{{#red 4위}}} 탈락''' || || '''SMAP''' || [[정점남]]([[잭(철권)|잭]]), [[지삼문에이스]]([[밥(철권)|밥]]), 푸리주무([[아머 킹|아머킹]]) || '''{{{#red 3위}}} 탈락''' || || '''마녀삼총사''' || [[강성호(프로게이머)|CHANEL]]([[알리사 보스코노비치|알리사]]), [[온리 프랙티스|Only_practice]]([[니나 윌리엄스|니나]]), [[채동훈|구라]]([[리리 로슈포르|리리]]) || '''{{{#blue 2위}}}''' || == 4강 == || 팀 || 멤버 || 결과 || || '''What can you do!?''' || [[박정주|자석]]([[줄리아 창|줄리아]]), 설레이([[카자마 진|진]]), 집시([[에디 골드|에디]]) || '''{{{#red 패배}}}''' || || '''마녀삼총사''' || [[강성호(프로게이머)|CHANEL]]([[알리사 보스코노비치|알리사]]), [[온리 프랙티스|Only_practice]]([[니나 윌리엄스|니나]]), [[채동훈|구라]]([[리리 로슈포르|리리]]) || '''{{{#blue 승리}}}''' || 온리 프랙티스의 5연승에 힘업어 마녀삼총사가 6:2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4강 1경기 후 프랑스인 폴 고수 'GEN1US'와 17붕권 [[지상(철권)|지상]]의 특별경기가 열렸다. 라운드 스코어 GEN1US 3:0 지상 || 팀 || 멤버 || 결과 || || '''Najin Specialist''' || [[한쿠마]]([[레오 클리젠|레오]]), [[레인(철권)|레인]]([[라스 알렉산더슨|라스]]), [[JDCR|잡다캐릭]]([[미시마 헤이하치|헤이하치]]) || '''{{{#red 패배}}}''' || || '''[[레저렉션|Resurrection]]''' || [[배재민|무릎]]([[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통발러브]]([[데빌 진|데빌진]]), [[홀맨]]([[라스 알렉산더슨|라스]]) || '''{{{#blue 승리}}}''' || >'''두 번째 경기... 그야말로 최고의 빅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 >[[정인호]] >위를 바라보고 있는 이상 >언젠가는 만나게 되어 있었다 >4강, 결승... >이미 우리에겐 무의미한 수식어 > >너를 부수고 >모든 것을 갖겠다 >---- >인트로 이 경기부터 스페셜리스트에 [[나진 e-mFire|나진 전자월드]]가 네이밍 스폰서로 붙었다. 전 시즌 결승 대진이 4강에서 일찌감치 재현되었고, 양팀의 전력상 이 시즌의 '''사실상 결승'''으로 여겨진 경기. 레저렉션에서 무릎이 선봉으로 나와 4연승을 거두며 의외로 쉽게 끝나는 듯했으나 다음으로 스페셜리스트의 레인이 4연승으로 되갚아 4:4 동점. 통발러브가 레인을 잡고, 잡다캐릭이 통발러브를 잡고, 대장전에서 홀맨이 잡다캐릭을 잡는 혈투 끝에 레저렉션이 6:5로 신승하고 2회 연속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홀맨 개인으로는 무려 4회 연속 본선 진출. == 3,4위전, 결승 == ||<-3> '''3,4위전''' || || 팀 || 멤버 || 결과 || || '''What can you do!?''' || [[박정주|자석]]([[줄리아 창|줄리아]]), 설레이([[카자마 진|진]]), 집시([[에디 골드|에디]]) || '''4위''' || || '''Najin Specialist''' || [[레인(철권)|레인]]([[라스 알렉산더슨|라스]]), [[JDCR|잡다캐릭]]([[미시마 헤이하치|헤이하치]]), [[한쿠마]]([[레오 클리젠|레오]]) || '''{{{#C63 3위}}}'''[br]상금 100만원 || 6:4로 스페셜리스트가 승리하여 3위. 시즌 3부터 우승, 준우승, 3위를 차례로 기록했다. ||<-3> '''결승''' || || 팀 || 멤버 || 결과 || || '''마녀삼총사''' || [[강성호(프로게이머)|CHANEL]]([[알리사 보스코노비치|알리사]]), [[온리 프랙티스|Only_practice]]([[니나 윌리엄스|니나]]), [[채동훈|구라]]([[리리 로슈포르|리리]]) || '''{{{#FC0 우승}}}'''[br]상금 700만원 || || '''[[레저렉션|Resurrection]]''' || [[통발러브]]([[데빌 진|데빌진]]), [[홀맨]]([[라스 알렉산더슨|라스]]), [[배재민|무릎]]([[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 '''{{{#CCC 준우승}}}'''[br]상금 300만원 || >우리 로테이션이 한 번 돌기 전에 끝내 드리겠습니다. >---- >[[홀맨]], 경기 전 인터뷰 >'''이변도 이런 이변이 있을까요? 누가, 누가 뻔한 결승전이라고 예상을 했습니까?''' >---- >[[정인호]], 샤넬의 4연승 직후 테켄 크래시판 [[3.3 혁명]]이라 할 만한 경기. 샤넬의 4연승과 온리 프랙티스의 2연승으로 대장 구라가 레버도 못 잡게 하며 마녀삼총사가 6:1로 압승하여 우승했다. 여성 캐릭터가 우승 팀에 낀 적이 없었던 테켄 크래시에서 아예 여성 캐릭터 3명으로 우승하는 진기록을 세운 것이다. 한편 통발러브는 3번째 준우승. == 로얄럼블 == || {{{#FFFFFF 경기}}} || {{{#FFFFFF 16강}}} || {{{#FFFFFF 경기}}} || {{{#FFFFFF 8강}}} || {{{#FFFFFF 경기}}} || {{{#FFFFFF 4강}}} || {{{#FFFFFF 경기}}} || {{{#FFFFFF 결승}}} || || {{{#FFFFFF 1}}} || [[강성호(프로게이머)|CHANEL]] 1:2 '''[[홀맨]]'''[br]^^([[알리사 보스코노비치|알리사]]) : ([[라스 알렉산더슨|라스]])^^ ||<|2> {{{#FFFFFF 1}}} ||<|2> '''[[홀맨]]''' 2:1 다살기[br]^^([[라스 알렉산더슨|라스]]) : ([[스티브 폭스|스티브]])^^ ||<|5> {{{#FFFFFF 1}}} ||<|5> '''[[홀맨]]''' 2:1 [[레인(철권)|레인]][br]^^([[라스 알렉산더슨|라스]]) : ([[브루스 어빈|브루스]])^^ ||<|11> {{{#FFFFFF 1}}} ||<|11> [[홀맨]] 2:3 '''[[배재민|무릎]]'''[br]^^([[라스 알렉산더슨|라스]]) : ([[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 || {{{#FFFFFF 2}}} || '''[[다살기]]''' 2:0 [[한쿠마]][br]^^([[스티브 폭스|스티브]]) : ([[레오 클리젠|레오]])^^ || ||<-4> {{{#white - }}} || || {{{#FFFFFF 3}}} || '''go9ma_killer''' 2:0 [[정점남]][br]^^([[잭(철권)|잭]]) : ([[잭(철권)|잭]])^^ ||<|2> {{{#FFFFFF 2}}} ||<|2> go9ma_killer 1:2 '''[[레인(철권)|레인]]'''[br]^^([[잭(철권)|잭]]) : ([[브루스 어빈|브루스]])^^ || || {{{#FFFFFF 4}}} || '''[[레인(철권)|레인]]''' 2:0 [[통발러브]][br]^^([[브루스 어빈|브루스]]) : ([[데빌 진|데빌진]])^^ || ||<-6> {{{#white - }}} || || {{{#FFFFFF 5}}} || '''[[배재민|무릎]]''' 2:0 ''[[하오|HAO]]''[br]^^([[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 ([[펭 웨이|펭]])^^ ||<|2> {{{#FFFFFF 3}}} ||<|2> '''[[배재민|무릎]]''' 2:1 [[JDCR|잡다캐릭]][br]^^([[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 ([[아머 킹|아머킹]])^^ ||<|5> {{{#FFFFFF 2}}} ||<|5> '''[[배재민|무릎]]''' 2:0 [[빈창]][br]^^([[브라이언 퓨리|브라이언]]) : ([[라스 알렉산더슨|라스]])^^ || || {{{#FFFFFF 6}}} || '''[[JDCR|잡다캐릭]]''' 2:1 ''[[말구]]''[br]^^([[아머 킹|아머킹]]) : ([[마샬 로우|로우]])^^ || ||<-4> {{{#white - }}} || || {{{#FFFFFF 7}}} || '''{{{#000 ''킹박사''}}}''' 2:1 [[지상(철권)|지상]][br]^^([[킹(철권)|킹]]) : ([[폴 피닉스|폴]])^^ ||<|2> {{{#FFFFFF 4}}} ||<|2> ''킹박사'' 0:2 '''[[빈창]]'''[br]^^([[킹(철권)|킹]]) : ([[라스 알렉산더슨|라스]])^^ || || {{{#FFFFFF 8}}} || ~~''[[최선휘|썬칩]]''~~ (부전승) '''[[빈창]]'''[br]^^(?) : ([[라스 알렉산더슨|라스]])^^ || 선수 선발에 문제가 매우 많았다. 그 전까지는 승수와 승률을 기준으로 섭외해 문제가 없었는데 이번에는 제작진 마음대로였다. 16명의 로열럼블 참가자 중 무려 4명이 본선 진출 실패 선수였다. 그나마 슈퍼스타의 말구와 썬칩은 예선을 통과하고도 소용돌이의 갑작스러운 군 입대 때문에 본선 티켓을 포기했다는 점을 참작이라도 할 수 있지만 하오와 킹박사는 아무런 근거가 없다. 심지어 '''썬칩은 연락두절로 녹화장에 나오지 않는 사고를 일으켰다.''' 무엇보다도 4강까지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킨 부산팀의 멤버가 한 명도 섭외되지 않았다. 레인이 라스에서 브루스로, 잡다캐릭이 헤이하치에서 아머킹으로 캐릭터를 바꾸었다. 결승은 무릎과 홀맨의 레저렉션 내전이었고 무릎이 3:2로 승리하여 2회 연속 로얄럼블 우승을 차지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TEKKEN CRASH,version=256)] [[분류:MBC GAME]][[분류:TEKKEN CRASH]][[분류:철권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