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알스톰의 철도차량)] [include(틀:TGV 차량 목록)] || [[파일:TGV001-b.jpg|width=100%]] || || '''TGV 001''' || [목차] == 개요 == ||
[youtube(1VTfoSltNRI)] || || '''공식 소개 영상''' || [[프랑스]] [[SNCF]]의 시험용 [[고속철도]] 열차이다. 일본의 [[신칸센]]을 보고 자극을 받은 프랑스가 만든 고속열차이다. 1972년에 [[알스톰]]에서 완성되어 1978년까지 시험운행을 반복했지만 [[프로토타입|실제로 영업운행을 하지는 않았다.]] 현재 고속열차는 전기[* 발전원은 수력, 원자력, 석탄, 석유, 개스, 태양광, 지열 등]로 구동되는 게 기본적인 개념으로 자리잡혀 있지만 이 열차는 '''네개의 가스터빈'''으로 구동되는 방식이었다.[* 쉽게 말하자면 [[DHC 동차]]가 터보 달고 KTX 같이 300 넘는 속도로 달리는 거라 보면 된다.] [[EADS]]의 전신 중 하나인 [[터보메카]](현 [[사프란(방위산업체)|사프란]])의 헬리콥터용 [[가스터빈]] 엔진을 개량해 5,040마력(3,760kW)짜리 TURMO IIIG와 5,900마력(4,400kW)짜리 TURMO X을 달고 시험운행을 한 결과 전자는 최고시속 280km/h, 후자는 최고시속 318km/h를 달성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연비(자동차)|연비]]따위 개나 줘버린 가스터빈에게는 너무나도 혹독했던 [[석유 파동]]이 있던 때라... 프랑스 내에서도 말이 많았는지 결국 이 모델은 개발단계에서 그치고 폐지되었다. 그러나 가스터빈을 쓰지 않는다는 것 빼고는 전두부 디자인 등 현재 [[TGV]]의 많은 기술적 부분이 이 모델에서 확립되었다. TGV라는 이름이 붙기 전에는 터보트레인(Turbo Train)으로 불렸었다. [[전륜구동|선두차의 운전실 쪽 대차만이 동력대차이고]] 객차와 연결되는 부분은 무동력 관절대차인 것이 특징이다. 어찌 보면 15년 뒤 등장한 [[한국]]의 [[DHC 디젤동차]]와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DHC 동차 역시 운전실 쪽 대차만이 동력대차이다.] == 보존 == 테스트가 끝난 현재는 선두차 2량이 각각 비시하임 A4 고속도로와 벨포트 A36 고속도로 인근에 보존되어 있다. 2016년 4월경, 벨포트에 위치한 보존차량의 상태가 나쁘기 때문에, [[http://www.alstom.com/press-centre/2016/4/alstom-the-city-of-belfort-and-mader-team-up-to-renovate-the-tgv-001-power-car/|알스톰 측에서 걷어가]] [[알스톰]] 공장으로 [[http://www.lge-belfort.fr/en/actu/motor-tgv-001|트레일러에 실어서 이송]]한 다음, [[https://www.estrepublicain.fr/edition-belfort-hericourt-montbeliard/2016/12/05/belfort-le-retour-de-la-motrice-tgv001-en-images#0_1|6개월 가량의 재도장 및 복원작업]]을 거쳐 [[https://www.francebleu.fr/infos/transports/belfort-la-motrice-tgv-001-retrouve-son-trone-1480948571|다시 원래 자리로 되돌아왔다.]] [각주] [[분류:TGV]][[분류:프랑스의 고속철도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