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THE WORLDS는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2013년 월 18일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 되었다. 작곡가는 [[M.S.S Project|FB777]] 게임 실황 팀 [[M.S.S Project]]의 [[마인크래프트]] 실황시리즈의 인트로 테마곡으로 2013년 1월 18일에 풀버전을 공개했다. 공개되자마자 [[주간 VOCALOID 랭킹]] 277회에서 1위를 하고 같은 해 10월 18일 [[VOCALOID 전설입성]]에 들어갔다. 작곡은 FB777, 작사는 에오에오[* 최종적으로 일부분 FB의 수정을 거쳤다. [[그루브 코스터]] 실황에서 밝히길 거의 8할을 갈아엎었다고 한다. 이에 에오에오는 꽤나 충격받았다고.], 간주의 기타는 KIKKUN-MK-Ⅱ, 아로마는 집짓기,카메라를 맡았다. PV에 나오는 건물들은 MSSP가 실황하면서 만든 것이며 미쿠 그림은 PV를 위해 양털 약 4800개로 100% 수작업으로 만들었다.[* [[http://www.nicozon.net/watch/sm19748844|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실황 초기에 나오는 버전을 들어보면 시작 부분이 지금하곤 다르다.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 [nicovideo(sm19856000)] == 가사 == || 波に消えてく 砂の城 || || 나미니 키에테쿠 스나노시로 || || 파도에 사라져가는 모래성을 || || 眺めながら 大人になる || || 나가메나가라 오토나니 나루 || || 바라보면서 어른이 되어가 || || 何時の間にか 忘れてた || || 이츠노마니카 와스레테타 || || 어느샌가 잊고 있었던 || || あの瞬間を 追いかけていた || || 아노 슌칸오 오이카케테이타 || || 그 순간을 쫓고 있었어 || || 目が覚めたら ここは何処 || || 메가 사메타라 코코와 도코 || || 눈을 떠보니 여기는 어디 || || 見渡す限り 白い世界 || || 미와타스카기리 시로이 세카이 || || 눈에 들어온 건 새하얀 세상 || || 何も無くて 透明な || || 나니모 나쿠 토우메이나 || || 아무것도 없이 투명한 || || この世界に また色がつく || || 코노 세카이니 마타 이로가 츠쿠 || || 이 세상이 다시 물들어 || || 数え切れない思い出と || || 카조에키레나이 오모이데토 || || 헤아릴 수 없는 추억과 || || 数え切れない愛と共に || || 카조에키레나이 아이토 토모니 || || 헤아릴 수 없는 사랑과 함께 || || 無限に広がってく || || 무겐니 히로갓테쿠 || || 무한히 퍼져나가고 || || 絵はやがて動くと 私を連れて行く || || 에와 야가테 우고쿠토 와타시오 츠레테이쿠 || || 그림은 이윽고 움직이면서 나를 데려가 || || 一人ぼっちだった あの頃思い出して || || 히토리봇치닷타 아노 코로 오모이다시테 || || 외톨이였던 그 시절을 떠올리며 || || ほんのちょっとだけれど 色を付け足していく || || 혼노춋토다케레도 이로오 츠케타시테이쿠 || || 아주 조금 뿐이지만 색칠하고 있어 || || あなたの想いが みんなの想いが || || 아나타노 오모이가 민나노 오모이가 || || 네 마음이 모두의 마음이 || || 形を変えて 力にもなるから || || 카타치오 카에테 치카라니모 나루카라 || || 형태를 바꿔서 힘으로도 될 테니까 || || ずっと見ているよ 最後まで見てるよ || || 즛토 미테이루요 사이고마데 미테루요 || || 계속 보고 있어 끝까지 보고 있어 || || キミが愛した この世界に Hello New World || || 키미가 아이시타 코노 세카이니 Hello New World || || 그대가 사랑했던 이 세상에게 Hello New World || || 時の流れは 速すぎて || || 토키노 나가레와 하야스기테 || || 시간의 흐름은 너무 빨라서 || || 私はまた ひとりぼっち || || 와타시와 마타 히토리봇치 || || 나는 또 다시 외톨이가 되었어 || || ずっとずっと見ていたかった || || 즛토 즛토 미테이타캇타 || || 계속 계속 보고 싶었어 || || 例え忘れられても || || 타토에 와스레라레테모 || || 설령 잊혀진다 해도 || || 消えていく力に 諦め感じながら || || 키에테이쿠 치카라니 아키라메 칸지나가라 || || 사라져 가는 힘에 체념을 느끼면서 || || ほんのちょっとだけど 色を付け足していく || || 혼노춋토 다케도 이로오 츠케타시테이쿠 || || 아주 조금 뿐이지만 색칠하고 있어 || || 鮮やかだった絵が 色褪せんでいくの || || 아자야카닷타 에가 이로아센데 이쿠노 || || 선명했던 그림이 퇴색되고 있어 || || 私を思い出して となりにいた事を || || 와타시오 오모이다시테 토나리니 이타 코토오 || || 나를 기억해줘 곁에 있었다는 걸 || || 例え結末が 悲劇だったとしても || || 타토에 케츠마츠가 히게키닷타토시테모 || || 설령 결말이 비극이었다고 해도 || || 何度でも夢見る 何度でも絵描くよ || || 난도데모 유메 미루 난도데모 에가쿠요 || || 몇 번이고 꿈 꾸고 몇 번이고 그릴 거야 || || あなたの欲望が みんなの欲望が || || 아나타노 요쿠보가 민나노 요쿠보가 || || 네 욕망이 모두의 욕망이 || || この星壊す 力にもなるから || || 코노 호시 코와스 치카라니모 나루카라 || || 이 별을 부수는 힘으로도 될 테니까 || || 二度と戻れない それなら もう一度 || || 니도토 모도레나이 소레나라 모우 이치도 || || 두 번 다신 되돌릴 수 없어 그렇다면 한 번 더 || || やり直すだけ この世界は Bad End World? || || 야리나오스다케 코노 세카이와 Bad End World? || || 다시 시작하는 것 뿐 이세상은 Bad End World? || || 新しい紙で またキミに会える? || || 아타라시이 카미데 마타 키미니 아에루? || || 새로운 종이로 다시 그대를 만날 수 있을까? || || たった一つの 願いは叶わない || || 탓타 히토츠노 네가이와 카나아나이 || || 단 하나 뿐인 소원은 이뤄지지 않아 || || だったら この世界 私愛するよ || || 닷타라 코노 세카이 와타시 아이스루요 || || 그렇다면 이 세상을 나는 사랑할 거야 || || キミも愛した この世界に Hello New World || || 키미모 아이시타 코노 세카이니Hello New World || || 그대도 사랑한 이 세상에게 Hello New World || || 完成には程遠く || || 칸세이니와 호도토오쿠 || || 완성까지는 아직 멀었어 || || またみんなで色を付ける || || 마타 민나데 이로오 츠케루 || || 다시 모두 함께 색을 칠해 || || 例えどんな結果でも || || 다토에 돈나 겟카데모 || || 설령 어떤 결과라도 || || その世界は あなたの絵だから || || 소노 세카이와 아나타노 에다카라 || || 그 세상은 네 그림이니까 || == [[리듬 게임]] 수록 == === [[GROOVE COASTER]] === ==== [[GROOVE COASTER 4MAX DIAMOND GALAXY|4MAX DIAMOND GALAXY]] ====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엑스트라= ,곡명=THE WORLDS ,작곡= ,작곡표기=M.S.S Project ,작곡링크=M.S.S Project ,문단명= ,작곡틈= ,작곡2= ,작곡표기2= ,작곡링크2= ,문단명2= ,버전AC= ,폴더명=보컬로이드™ ,BPM=180 ,SIMPLE레벨=4 ,NORMAL레벨=5 ,HARD레벨=8 ,EXTRA레벨=10 ,SIMPLE노트수=187 ,NORMAL노트수=221 ,HARD노트수=286 ,EXTRA노트수=381 ,SIMPLE애드립=23 ,NORMAL애드립=14 ,HARD애드립=14 ,EXTRA애드립=14 ,SIMPLE체인=1\,056 ,NORMAL체인=1\,255 ,HARD체인=1\,502 ,EXTRA체인=1\,948 ,주소=ClgmIouYbuE ,퍼펙트= )] * [[GROOVE COASTER AC/수록곡#보컬로이드™|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3년]][[분류:VOCALOID 전설입성]][[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