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TNA]][[분류:프로레슬링 챔피언십]] [include(틀:TNA의 챔피언십 타이틀)] ||<-2> [[파일:TNA X-Division Championship Belt 2024 Design.jpg|width=650]] || || '''현재 타이틀 명칭''' || '''TNA X-디비전 챔피언십''' || || '''현재 챔피언''' || '''[[크리스 세이빈]]''' || || '''챔피언 등극''' || 2023년 9월 14일 [br] 임팩트 레슬링 1000회 특집 || || '''이전 챔피언''' || [[리오 러쉬]] || || '''단체''' || '''[[TNA]]''' || || '''이전 타이틀 명칭''' || NWA X 챔피언십 [br] NWA-TNA X 챔피언십 [br] NWA-TNA X 디비전 챔피언십 [br] TNA X 디비전 챔피언십 [br]임팩트 레슬링 X 디비전 챔피언십 [br] GFW X 디비전 챔피언십[br]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십 || || '''벨트 창설일''' || 2002년 6월 19일 || [목차] == 개요 == TNA에 소속된 하이 미드카더급 타이틀. == 역사 == TNA와 함께 생겨난 TNA의 역사 그 자체. 스피디한 경기 진행과 숨쉴 틈도 없이 쏟아지는 액션들은 말그대로 Total Nonstop Action이라는 단체의 모토와 딱 맞아떨어졌다. 처음에는 경량급 타이틀을 표방하는 듯했지만 공식적으로 체급 제한은 없으며, 누가 봐도 헤비급인 사모아 조나 어비스 같은 이들이 타이틀의 주인이 되는 일도 있었다. NWA 산하 당시 NWA의 것을 빌려왔던 헤비웨이트 타이틀이나 태그팀 타이틀은 나중에 NWA와 완전히 갈라서면서 새로 타이틀을 창설해야했지만 X 디비전 타이틀은 TNA의 오리지널 타이틀이었기에 TNA에서 제일 역사 깊은 타이틀이 되었다. 부커 T에 의해 TNA 레전드 타이틀([[TNA 킹 오브 더 마운틴 챔피언십|TNA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 개명된다.)이 창설되어 하이 미드카더급 타이틀의 위치를 뺏기는게 아닌가 싶었지만 오히려 TV 타이틀의 무게감이 옅어지다가 폐지되었다. TV 타이틀은 2년만에 킹 오브 더 마운틴 타이틀이라는 명칭으로 부활했지만 1년만에 TNA 임팩트 그랜드 챔피언십의 창설과 함께 다시 폐지되었다. X 디비전 특유의 경기로 얼티밋 X 매치가 유명하다. 또 X 디비전 타이틀을 반납하면 [[임팩트 레슬링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도전할 수 있는 옵션C 사항이 존재했다. 2017년 7월 2일부터 TNA가 [[글로벌 포스 레슬링]]과 합병되어 GFW X 디비전 챔피언쉽으로 명칭이 바뀌었으나, GFW과 갈라서면서 3개월만에 임팩트의 명칭을 쓴다. 2024년 단체명이 TNA로 원상복귀되면서 타이틀 명칭 앞에 임팩트 또한 TNA로 바뀐다. == 벨트 디자인 변천사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WATNAFirstXTitle.jpg|width=400]] 2002년부터 2007년까지 [[TNA]] 초창기 [[NWA(프로레슬링)|NWA]] 체제에 있었을 당시의 벨트 디자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NA_X_Title_2.jpg|width=400]] 2007년부터 [[NWA(프로레슬링)|NWA]]로부터 독립한 후 2013년까지 사용한 타이틀 벨트이다. 두 번째 디자인으로 X 디비전 벨트 디자인 중 가장 유명한 디자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_TNA_X_Division_Championship.jpg|width=400]] 2013년부터 사용되었던 디자인으로, 후에 청색을 녹색으로 바꾼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NA_X_Divison_Championship_2015.jpg|width=400]] GFW와 합병되기 전까지 사용 되었던 디자인 [[파일:GFW_X-Division_Championship_Belt.png|width=400]] 2017년 [[GFW]]와 통합되고 사용했던 타이틀 벨트이다. [[파일:270px-X_Division_Championship_6.png|width=400]] 2017년에 [[임팩트 레슬링]]으로 독립하고 벨트 디자인이 바뀌기 전까지 사용했던 타이틀 벨트 [[파일:DbaipsdWsAIIxpe.jpg|width=400]] 2018년 4월부터 2020년 1월 둘째주까지 사용했던 타이틀 벨트 [[파일:Impact X-Title New Design 2020.jpg|width=300]] 2020년 1월 셋째주부터 2024년 1월 첫째주까지 사용했던 타이틀 벨트 == 기록 == || '''초대 챔피언''' ||<-2> [[AJ 스타일스]] || || '''최다 획득 챔피언''' || [[크리스 세이빈]] || 10회 || || '''최장기간 챔피언''' || [[오스틴 에리즈]] || 301일 || || '''최단기간 챔피언''' || [[에릭 영]] [br] [[크리스 세이빈]] [br] [[드레이크 매버릭|락스타 스퍼드]] || 1일 || || '''최고령 챔피언''' || [[프랭키 카자리안]] || 45세 || || '''최연소 챔피언''' || [[어메이징 레드]] || 21세 || || '''최중량급 챔피언''' || [[어비스(프로레슬러)|어비스]] || 159kg || || '''최경량급 챔피언''' || [[드레이크 매버릭|락스타 스퍼드]] || 64kg || == 역대 챔피언 목록 == *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 # || '''이름''' || '''챔피언 횟수''' || '''등극한 날[br](챔피언 방어 기간)''' || '''이벤트''' || '''비고''' || || '''1''' || [[AJ 스타일스]] || 1회 || 2002년 6월 19일 (49일) || 주간 PPV (2회) || [* 로우 키, 제리 린, 사이코시스와의 4자간 경기에서 승리하며 초대 챔피언 등극.] || || '''2''' || [[로우 키]] || 1회 || 2002년 8월 7일 (14일) || 주간 PPV (8회) || [* 제리 린까지 참여한 3자간 경기.] || || '''3''' || [[제리 린]] || 1회 || 2002년 8월 21일 (49일) || 주간 PPV (11회) || [* AJ 스타일스까지 참여한 3자간 [[래더매치]], 실제 방영일은 28일.] || || '''-''' || 공석 || - || 2002년 10월 9일 || 주간 PPV (15회) || [* 부상으로 공석 처리.] || || '''4''' || [[엑스팍|식스팍]] || 1회 || 2002년 10월 9일 (14일) || 주간 PPV (15회) || [* 키드 캐쉬, 토니 마말룩, S.A.T, 에이스 스틸, AJ 스타일스가 참여한 7자간 래더매치에서 승리] || || '''5''' || AJ 스타일스 || 2회 || 2002년 10월 23일 (15일) || 주간 PPV (17회) || || || '''6''' || 제리 린 || 2회 || 2002년 11월 6일 (35일) || 주간 PPV (19회) || || || '''7''' || [[소니 시아키]] || 1회 || 2002년 12월 11일 (63일) || 주간 PPV (24회) || || || '''8''' || [[키드 캐시]] || 1회 || 2003년 2월 12일 (77일) || 주간 PPV (31회) || || || '''9''' || [[어메이징 레드]] || 1회 || 2003년 4월 30일 (14일) || 주간 PPV (42회) || || || '''10''' || [[크리스 세이빈]] || 1회 || 2003년 5월 14일 (98일) || 주간 PPV (44회) || [* 제리 린까지 참여한 3자간 경기에서 승리, 이후 WWA 이벤트에서 제리 린이 가지고 있었던 WWA 인터내셔널 크루저웨이트 타이틀을 X 디비전 타이틀에 병합시켰다.] || || '''11''' || 마이클 쉐인 || 1회 || 2003년 8월 20일 (140일) || 주간 PPV (58회) || [* [[프랭키 카자리안]]까지 참여한 얼티밋 X 매치에서 승리] || || '''12''' || 크리스 세이빈 || 2회 || 2004년 1월 7일 (84일) || 주간 PPV (75회) || [* 크리스토퍼 다니엘스와 로우 키까지 참여한 얼티밋 X 매치에서 승리] || || '''-''' || 공석 || - || 2004년 3월 31일 || 주간 PPV (87회) || [* 부상으로 공석 처리] || || '''13''' || [[프랭키 카자리안]] || 1회 || 2004년 3월 31일 (70일) || 주간 PPV (87회) || [* 어메이징 레드와의 경기에서 승리.] || || '''14''' || AJ 스타일스 || 3회 || 2004년 6월 9일 (49일) || 주간 PPV (97회) || || || '''15''' || 프랭키 카자리안 [br] 마이클 쉐인 || 2회 [br] 2회 || 2004년 7월 28일 (14일) || 주간 PPV (104회) || [* [[AJ 스타일스]]까지 참여한 얼티밋 X 매치에서 둘이 동시에 타이틀을 따내며 잠정적으로 공동 챔피언 처리가 되었다.] || || '''16''' || [[피티 윌리엄스]] || 1회 || 2004년 8월 11일 (158일) || 주간 PPV (106회) || [* 22인 건틀릿 매치에서 우승.] || || '''17''' || AJ 스타일스 || 4회 || 2005년 1월 16일 (56일) || 파이널 레졸루션 (2005) || [* [[크리스 세이빈]]까지 참여한 얼티밋 X 매치에서 승리] || || '''18''' ||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 1회 || 2005년 3월 13일 (182일) || 데스티네이션 X (2005) || [* 일릭스 스키퍼와 [[론 킬링스]]까지 참여한 얼티밋 X 챌린지 매치에서 승리] || || '''19''' || AJ 스타일스 || 5회 || 2005년 9월 11일 (91일) || 언브레이커블 (2005) || [* [[사모아 조]]까지 참여한 3자간 경기에서 승리] || || '''20''' || [[사모아 조]] || 1회 || 2005년 12월 11일 (92일) || 터닝 포인트 (2005) || || || '''21''' ||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 2회 || 2006년 3월 12일 (29일) || 데스티네이션 X (2006) || [* [[AJ 스타일스]]까지 참여한 얼티밋 X 매치에서 승리] || || '''22''' || 사모아 조 || 2회 || 2006년 4월 10일 (70일) || TNA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13일.] || || '''23''' || 센시 || 2회 || 2006년 6월 19일 (125일) || TNA 임팩트! || [* [[선제이 더트]]까지 참여한 3자간 경기에서 승리 실제 방영일은 22일.] || || '''24''' || 크리스 세이빈 || 3회 || 2006년 10월 22일 (163일) || 바운드 포 글로리 2 || || || '''25''' || AJ 스타일스 || 6회 || 2006년 10월 24일 (13일) || TNA 임팩트! || [*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크리스 세이빈에게 승리. 실제 방영일은 11월 2일.] || || '''26''' ||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 3회 || 2006년 11월 6일 (69일) || TNA 임팩트! || [* 크리스 세이빈까지 참여한 3자간 경기에서 승리. 실제 방영일은 16일.] || || '''27''' || 크리스 세이빈 || 4회 || 2007년 1월 14일 (154일) || 파이널 레졸루션 (2007) || [* [[제리 린]]까지 참여한 3자간 경기에서 승리] || || '''28''' || [[제이 리썰]] || 1회 || 2007년 6월 17일 (2일) || 슬래미버서리 (2007) || || || '''29''' || 사모아 조 || 3회 || 2007년 6월 19일 (54일) || TNA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21일.] || || '''30''' || [[커트 앵글]] || 1회 || 2007년 8월 12일 (28일) || 하드 저스티스 (2007) || [* 사모아 조와 각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타이틀 벨트를 걸고 경기를 치러 승리.] || || '''31''' || 제이 리썰 || 2회 || 2007년 9월 9일 (134일) || 노 서렌더 (2007) || || || '''32''' || 쟈니 디바인 || 1회 || 2008년 1월 21일 (20일) || TNA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24일.] || || '''33''' || 제이 리썰 || 3회 || 2008년 2월 10일 (65일) || 어게인스트 올 오즈 (2008) || [* 핀폴을 가져간 이가 챔피언에 오르는 규칙의 3 VS 3 태그팀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에서 승리] || || '''34''' || 피티 윌리엄스 || 2회 || 2008년 4월 15일 (152일) || TNA 임팩트! || [* 피스트 오어 파이어드 권한으로 도전. 실제 방영일은 17일.] || || '''35''' || [[디바리|쉬크 압둘 바쉬르]] || 1회 || 2008년 9월 14일 (84일) || 노 서렌더 (2008) || [* [[재비어 우즈|컨시퀀시즈 크리드]]까지 참여한 3자간 경기에서 승리.] || || '''36''' || [[에릭 영]] || 1회 || 2008년 12월 7일 ('''0일''') || 파이널 레졸루션 (2008) || || || '''-''' || 공석 || - || 2008년 12월 7일 || 파이널 레졸루션 (2008) || [* 경기 결과가 확실치 않았다는 이유로 짐 코넷이 타이틀 박탈.] || || '''37''' || [[알렉스 셸리]] || 1회 || 2009년 1월 11일 (63일) || 제너시스 (2009) || [*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크리스 세이빈에게 승리.] || || '''38''' || 수어사이드 || 3회[* 실제 수어사이드를 연기했던건 프랭키 카자리안이었던 관계로 이 쪽의 기록으로 친다.] || 2009년 3월 15일 (102일) || 데스티네이션 X (2009) || [* 크리스 세이빈, 컨시퀀시즈 크리드, 제이 리썰까지 참여한 얼티밋 X 매치에서 승리] || || '''39''' || [[호미사이드]] || 1회 || 2009년 6월 25일 (52일) || TNA 임팩트! || [* 피스트 오어 파이어드 권한으로 도전. 실제 방영일은 7월 16일.] || || '''40''' || 사모아 조 || 4회 || 2009년 8월 16일 (50일) || 하드 저스티스 (2009) || || || '''41''' || 어메이징 레드 || 2회 || 2009년 10월 5일 (106일) || TNA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8일.] || || '''42''' || [[덕 윌리엄스]] || 1회 || 2010년 1월 19일 (89일) || TNA 임팩트! || [* 파트너였던 랍 테리의 피스트 오어 파이어드 권한으로 도전. 실제 방영일은 28일.] || || '''-''' || 공석 || - || 2010년 4월 18일 || 락다운 (2010) || [* 아이슬란드 화산 사태로 인한 결항으로 더그 윌리엄스가 미국에 오지 못해서 타이틀 박탈] || || '''43''' || 프랭키 카자리안 || 3회 || 2010년 4월 18일 (28일) || 락다운 (2010) || [* 호미사이드, 섀넌 무어와의 철창 경기에서 승리] || || '''44''' || 덕 윌리엄스 || 2회 || 2010년 5월 16일 (113일) || 새크리파이스 (2010) || || || '''45''' || 제이 리썰 || 4회 || 2010년 9월 6일 (18일) || TNA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16일.] || || '''46''' || 어메이징 레드 || 3회 || 2010년 9월 23일 (2일) || 하우스 쇼 || || || '''47''' || 제이 리썰 || 5회 || 2010년 9월 25일 (43일) || 하우스 쇼 || || || '''48''' || [[로버트 스톤|라비 E]] || 1회 || 2010년 11월 7일 (30일) || 터닝 포인트 (2010) || || || '''49''' || 제이 리썰 || 6회 || 2010년 12월 7일 (33일) || TNA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16일.] || || '''50''' || 프랭키 카자리안 || 4회 || 2011년 1월 9일 (127일) || 제너시스 (2011) || || || '''51''' || [[어비스(프로레슬러)|어비스]] || 1회 || 2011년 5월 16일 (55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19일.] || || '''52''' || [[브라이언 켄드릭]] || 1회 || 2011년 7월 10일 (63일) || 데스티네이션 X (2011) || || || '''53''' || [[오스틴 에리즈]] || 1회 || 2011년 9월 11일 '''(301일)''' || 노 서렌더 (2011) || || || '''-''' || 공석 || - || 2012년 7월 8일 || 데스티네이션 X (2012) || [*옵션C [[임팩트 월드 챔피언십|월드 챔피언십]] 도전을 위해 반납.] || || '''54''' || [[호아킨 와일드|지마 아이언]] || 1회 || 2012년 7월 8일 (98일) || 데스티네이션 X (2012) || [* 케니 킹, 메이슨 앤드류스, 선제이 더트와의 얼티밋 X 경기에서 승리.] || || '''55''' || [[랍 밴 댐]] || 1회 || 2012년 10월 14일 (137일) || 바운드 포 글로리 (2012) || || || '''56''' || [[케니 킹]] || 1회 || 2013년 2월 28일 (95일) || [[임팩트 레슬링]] || || || '''57''' || 크리스 세이빈 || 5회 || 2013년 6월 2일 (18일) || [[임팩트 레슬링]] || || || '''58''' || 오스틴 에리즈 || 2회 || 2013년 6월 20일 (9일) || [[임팩트 레슬링]] || || || '''59''' || 크리스 세이빈 || 6회 || 2013년 6월 29일 ('''0일''') || [[임팩트 레슬링]] || || || '''-''' || 공석 || - || 2013년 6월 29일 || [[임팩트 레슬링]] || [*옵션C] || || '''60''' || 수어사이드/[[TJP|매닉]] || 2회/1회[* 수어사이드 케릭터로 챔피언을 획득한 것은 2회인데, 매닉의 본명인 [[TJ 퍼킨스]]로는 처음 획득했다.] || 2013년 7월 18일(94일) || [[임팩트 레슬링]] || [* 공석이 된 X 디비전 벨트를 걸고 선제이 더트, 그렉 마레출로(WWE에서 트렌트 바레타)와의 얼티밋 X 경기에서 승리] || || '''61''' || 크리스 세이빈 || 7회 || 2013년 10월 20일 (34일) || 바운드 포 글로리 (2013) || [* 사모아 죠, 제프 하디, 오스틴 에리즈와의 얼티밋 X 경기에서 승리] || || '''62''' || 오스틴 에리즈 || 3회 || 2013년 11월 23일 (11일) || 임팩트 레슬링 || || || '''63''' || 크리스 세이빈 || 8회 || 2013년 12월 4일 (42일) || 임팩트 레슬링 || [* 2014년 1월 4일 방송.] || || '''64''' || 오스틴 에리즈 || 4회 || 2014년 1월 16일 (45일) || 제너시스 (2014) || [* 2014년 1월 23일 방송.] || || '''65''' || [[SANADA|사나다 세이야]] || 1회 || 2014년 3월 2일 (110일) || Wrestle-1 카이센 : 아웃브레이크 || [* 최초의 일본인 X 디비전 챔피언이자, 타 단체의 흥행에서 X 디비전 타이틀 주인이 바뀐 최초의 사례. 이후 미국으로 와서 원정수행이라는 명목 하에 TNA 활동을 했다.] || || '''66''' || 오스틴 에리즈 || 5회 || 2014년 6월 20일 (3일) || 임팩트 레슬링 || [* 2014년 7월 10일 방송.] || || '''-''' || 공석 || - || 2014년 6월 24일 || 임팩트 레슬링 || [*옵션C] || || '''67''' || 사모아 조 || 5회 || 2014년 6월 26일 (85일) || 임팩트 레슬링 || [* 로우 키, 사나다 세이야와의 3자간 경기에서 승리. 2014년 8월 7일 방송.] || || '''-''' || 공석 || - || 2014년 9월 19일 || 임팩트 레슬링 || [* 부상으로 반납. 2014년 11월 12일 방송.] || || '''68''' || 로우 키 || 3회 || 2014년 9월 19일 (110일) || 임팩트 레슬링 || [* 티그레 우노, 매닉, DJ Z와의 4자간 경기에서 승리. 2014년 11월 19일 방송.] || || '''69''' || 오스틴 에리즈 || 6회 || 2015년 1월 7일 (1일) || 임팩트 레슬링 || || || '''70''' || 로우 키 || 4회 || 2015년 1월 8일 (23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16일.] || || '''71''' || [[드레이크 매버릭|락스타 스퍼드]] || 1회 || 2015년 1월 31일 (43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3월 20일.] || || '''72''' || 케니 킹 || 2회 || 2015년 3월 15일 (56일) || 임팩트 레슬링 || [* 4인 [[래더매치]]로 진행되었다.][* 실제 방영일은 5월 1일.] || || '''73''' || 락스타 스퍼드 || 2회 || 2015년 5월 10일 ('''0일''') || 임팩트 레슬링 || [* 건틀렛 매치로 진행되었다.][* 실제 방영일은 5월 29일.] || || '''-''' || 공석 || - || 2015년 5월 10일 || 임팩트 레슬링 || [*옵션C] || || '''74''' || [[익스트림 타이거|티그레 우노]] || 1회 || 2015년 6월 24일 (199일) || 임팩트 레슬링 || [* 티그레 우노 VS 로우 키 VS 그라도의 3자간 제거 매치로 진행되었다.] || || '''75''' || [[카메론 그라임스|트레버 리]] || 1회 || 2016년 1월 9일 (155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2월 2일] || || '''76''' || [[에디 에드워즈]] || 1회 || 2016년 6월 12일 (2일) || 슬래미버서시 || || || '''77''' || [[마이크 카넬리스|마이크 베넷]] || 1회 || 2016년 6월 14일 (1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6월 21일] || || '''78''' || 에디 에드워즈 || 2회 || 2016년 6월 15일 (28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7월 5일] || || '''79''' || [[바비 래쉴리|래쉴리]] || 1회 || 2016년 7월 13일 (30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7월 21일] || || '''80''' || DJ Z || 2회 || 2016년 8월 13일 (148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9월 1일][* 챔피언 횟수가 2회인 이유는 DJ Z가 지마 아이언과 동일인물이기 때문이다.] || || '''81''' || 트레버 리 || 2회 || 2017년 1월 8일 (102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2월 2일] || || '''82''' || 로우 키 || 5회 || 2017년 4월 20일 (40일) || 임팩트 레슬링 || || || '''83''' || [[선제이 더트]] || 1회 || 2017년 5월 30일 (81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6월 15일] || || '''84''' || 트레버 리 || 3회 || 2017년 8월 19일 (82일) || GFW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9월 14일] || || '''85''' || [[이시모리 타이지]] || 1회 || 2017년 11월 9일 (64일) ||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12월 14일] || || '''86''' || [[맷 사이달]] || 1회 || 2018년 1월 12일 (191일) || 임팩트! || [* 실제 방영일은 2018년 3월 8일] || || '''87''' || [[브라이언 케이지]] || 1회 || 2018년 7월 22일 (112일) || 슬래미버서리 XVI || || || '''-''' || 공석 || - || 2018년 11월 11일 || 임팩트! || [*옵션C] || || '''88''' || [[리치 스완]] || 1회 || 2019년 1월 6일 (194일) || 임팩트 레슬링 홈커밍 || || || '''89''' || [[제이크 크리스트]] || 1회 || 2019년 7월 19일 (93일) || 임팩트! || || || '''90''' || [[에이스 오스틴]] || 1회 || 2019년 10월 20일 (171일) || [[바운드 포 글로리 XV]] || || || '''91''' || [[윌리 맥]] || 1회 || 2020년 4월 8일 (91일) || [[리벨리온 2020]] || [* 실제 방영일은 4월 21일] || || '''92''' || [[크리스 베이]] || 1회 || 2020년 7월 18일 (28일) || [[슬래미버서리 2020]] || || || '''93''' || [[로힛 라주]] || 1회 || 2020년 8월 14일 (120일) || 임팩트 레슬링 || [* 실제 방영일은 8월 18일] || || '''94''' || 매닉 || 2회 || 2020년 12월 12일 (92일) || [[파이널 레졸루션 2020|파이널 레졸루션]] || || || '''95''' || 에이스 오스틴 || 2회 || 2021년 3월 13일 (43일) || [[새크리파이스 2021]] || || || '''96''' || [[조쉬 알렉산더]] || 1회 || 2021년 4월 25일 (151일) || [[리벨리온 2021|리벨리온]] || || || '''-''' || 공석 || - || 2021년 9월 23일 || [[임팩트 레슬링]] || [*옵션C] || || '''97''' || [[트레이 미겔]] || 1회 || 2021년 10월 23일 (182일) || [[바운드 포 글로리 XVII]] || || || '''98''' || 에이스 오스틴 || 3회 || 2022년 4월 23일 (57일) || [[리벨리온 2022]] || || || '''99''' || [[마이크 베일리]] || 1회 || 2022년 6월 19일 (110일) || [[슬래미버서리 2022]] || || || '''100''' || 프랭키 카자리안 || 5회 || 2022년 10월 7일 (13일) || [[바운드 포 글로리 XVIII]] || || || '''-''' || 공석 || - || 2022년 10월 20일 || [[임팩트 레슬링]] || [*옵션C] || || '''101''' || 트레이 미겔 || 2회 || 2022년 11월 18일 (203일) || [[오버 드라이브 2022]] || [* 공석인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블랙 타우루스를 꺾고 챔피언 등극.] || || '''102''' || 크리스 세이빈 || 9회 || 2023년 6월 9일 (36일) || [[어게인스트 올 오즈 2023]] || || || '''103''' || [[리오 러쉬]] || 1회 || 2023년 7월 15일 (61일) || [[슬래미버서리 2023]] || || || '''104''' || '''크리스 세이빈''' || '''10회''' || 2023년 9월 14일 ([dday(2023-09-14)]일) || 임팩트 레슬링 1000회 특집 || || == 옵션 C == 현재 X 디비전 챔피언이 월드 챔피언십 매치를 치를수 있는 조건으로 자발적으로 챔피언십을 반납하는 용어다. || 횟수 || '''이름 (前 챔피언)''' || '''개최 일자''' || '''이벤트''' || '''경기''' || 결과 || || 1 || [[오스틴 에리즈]] || 2012년 7월 8일 || [[TNA 데스티네이션 X 2012]] || [[로버트 루드]](C) vs 오스틴 에리즈 || 승리 || || 2 || [[크리스 세이빈]] || 2013년 7월 18일 || [[TNA 데스티네이션 X 2013]] || [[더들리 보이즈#s-3.1|불리 레이]](C) vs 크리스 세이빈 || 승리 || || 3 || 오스틴 에리즈 || 2014년 7월 26일 || [[TNA 데스티네이션 X 2014]] || [[바비 래쉴리|래쉴리]](C) vs 오스틴 에리즈 || 패배 || || 4 || [[드레이크 매버릭|락스타 스퍼드]] || 2015년 5월 17일 || [[TNA 데스티네이션 X 2015]] || [[커트 앵글]](C) vs 락스타 스퍼드 || 패배 || || 5 || [[브라이언 케이지]] || 2019년 1월 6일 || 홈커밍 || [[존 헤니건|쟈니 임팩트]](C) vs 브라이언 케이지 || 패배 || || 6 || [[조쉬 알렉산더]] || 2021년 10월 23일 || [[바운드 포 글로리 XVII]] || [[크리스찬 케이지]](C) vs 조쉬 알렉산더 || 승리 || || 7 || [[프랭키 카자리안]] || 2022년 11월 18일 || [[오버 드라이브 2022]] || [[조쉬 알렉산더]](C) vs 프랭키 카자리안 || 패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