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c8ab37 {{{+1 TOP 14}}}}}}'''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p14.png|width=100%]]}}}|| || '''정식 명칭''' ||'''Championnat de France de rugby à XV''' || || '''창설''' ||1892년 || || '''종목''' ||[[럭비 유니언]] || || '''주관''' ||[[LNR]] || || '''팀 수''' ||14팀 || || '''최근 우승팀''' ||'''[[스타드 툴루쟁]]''' ([[TOP 14/2022-23시즌|2022-23시즌]]) || || '''최다 우승팀''' ||'''[[스타드 툴루쟁]]''' (22회) || || '''하위 리그''' ||[[프로 D2]] || || '''관련 대회'''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상위 8팀)[br][[EPCR 챌린지 컵]] (하위 4~5팀)[* 하위 6팀 중 강등된 팀 제외] || || '''웹사이트[br]소셜 미디어''' ||[[https://www.lnr.fr/rugby-top-14|[[파일:Top14.png|width=30]]]] [[https://twitter.com/top14rugby|[[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https://www.instagram.com/top14rugb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top14rugb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top1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프로 [[럭비 유니언]] 리그. 럭비 유니언 리그계에서 세계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2010년대 대형 중계권 계약 이후 전세계의 S급 선수들을 말 그대로 쓸어모으고 있다.[* 뉴질랜드 선수들은 예외. 국가대표팀([[올 블랙스]])의 선발 기준이 철저한 자국 리그 중심주의이기 때문에 올 블랙스에 엄청난 프라이드를 가지고 있는 뉴질랜드 선수들은 페이 차이가 꽤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으로 잘 진출하려 하지 않고 [[슈퍼 럭비 퍼시픽]]에서 뛰는 경우가 많다. 물론 세상만사 예외는 존재하는지라 그냥 국가대표를 포기하고, 유럽에서 뛰는 선수들도 당연히 있긴 있다.] 2부 리그 [[프로 D2]]와 승강제를 실시하고 있다. == 상세 == 유럽 리그들 중에 빅3로 꼽히는 것이 잉글랜드 [[프리미어십 럭비]][* [[잉글랜드]] 단일 국가 리그로 [[승강제]]로 운영된다.],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남아공 팀들로 구성] 그리고 바로 프랑스 [[TOP 14]]다. 이 중에서도 TOP 14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역사도 1892년부터 시작한 TOP 14가 프리미어십 럭비(1987년 창설)보다 훨씬 깊다. 심지어 자국의 축구 리그 [[리그 1]]도 1932년에야 창설되었으니 TOP 14가 더 긴 역사를 자랑하는 셈이다. 사실상 TOP 14의 위상은 축구로 치면 [[프리미어리그]] 이상으로 야구의 [[MLB]], 농구의 [[NBA]]처럼 절대적인 리그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 내에서 TOP 14는 평균 관중이 14,000명을 넘어갈 정도로 꽤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결승전은 항상 8만 명의 관중이 꽉꽉 채워진다. 심지어 2016년 결승전은 바르셀로나 [[캄프 누]]에서 개최되어 99,124명이 관람했다. 인기가 많다보니 중계권료도 비싸며, 선수 몸값도 비싸다. 이 때문에 [[샐러리 캡]] 제도도 존재한다. 약 '''150억원'''(1,130만 유로)의 기본값에다[* 여기서부터 이미 프리미어십 럭비의 2배다] 국가대표 선수 보유 구단은 1인당 20만 유로(2.7억원)씩 상한선을 올릴 수 있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계의 정상급 선수들이 모일 수밖에 없다(그러나 팬들은 대체적으로 구단들의 샐러리 캡 준수 여부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한다). 선수들의 평균 급여도 3.2억원으로 프리미어십 럭비의 1.7배다. 아카데미 졸업 후 최초 계약 시 8천만 원을 받을 수 있어 전체적으로 선수들의 생활 여건이 많이 좋다. 럭비 유니언 최고 연봉자도 대부분 본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한드레 폴라드]]가 2019년 [[몽펠리에 에로]]와 16억원(118만 유로), [[이븐 에체베스]]가 2019년 [[RC 툴로네]]와 14억원(106만 유로), [[핀 러셀]]이 2018년 [[라싱 92]]와 13억원(100만 유로). 아직 종목 자체에 아마추어리즘의 잔재가 강한 럭비 유니언계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프로화에 성공한 리그이다.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이나 [[슈퍼 럭비]]는 여전히 각 국 및 각 지방 럭비 협회가 팀을 직영하면서[* 선수의 계약도 팀과 계약하는게 아니라 협회와 계약한다... 특히 아일랜드와 웨일스가 심하다. 웨일스는 [[2023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도중 선수들이 협회를 상대로 파업을 시도하여 잉글랜드와의 경기가 거의 취소될 뻔 했다.] 말그대로 프로 간판만 걸어둔 수준이며, [[프리미어십 럭비]] 역시 협회의 간섭이 적지 않은 와중에 2020년대 들어 무려 '''3팀이나 재정난으로 리그에서 쫓겨나고'''[* 2022-23시즌 초반 [[와스프스]]와 [[우스터 워리어스]] 파산, 시즌 종료 직후 [[런던 아이리시]] 파산] 팀 통폐합[* 북부의 [[세일 샤크스]]와 [[뉴캐슬 팰컨스]]. 물론 양 팀 관계자와 팬들은 결사반대를 외치는 중이다] 의견이 나오는 등 사실상 프로화 실패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TOP 14 및 하부 리그의 팀들은 팀 운영 측면에서 협회의 간섭이 거의 없는 절대적인 자율권을 가지고 있으며 팀간 빈부의 격차는 있을지언정 입장료나 중계권료, 그리고 구단주의 투자 등 프로화의 필수조건인 자주적인 수익 모델을 갖추고 있다. == 시즌 운영 == TOP 14의 클럽 수는 14개이며[* 참고로 리그명은 이 클럽 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실제로 16개 클럽이던 시절에는 리그 명이 TOP 16이었다.] 하위 리그인 [[프로 D2]](총 16개 클럽)과 승강제를 갖는다. TOP 14의 최하위 클럽은 자동 강등이며 하위 리그인 프로 D2 최상위 클럽은 자동 승격이다. 그리고 TOP 14의 차하위 클럽은 프로 D2의 차상위 클럽의 홈에서 승강 플레이오프를 진행한다. 정규시즌은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추춘제로 진행되며, 플레이오프는 6월 중 치러진다. 국제 대회들이 많은 여름(6월~8월)에는 쉰다. 각 클럽들은 한 시즌 동안 리그 내 다른 클럽들과 2경기씩 치르며 따라서 총 26라운드를 소화한다. 정규 시즌 승점은 승리팀과 패배팀에는 각각 4점과 0점이, 비긴팀에는 각각 2점씩이 주어진다. 여기에 보너스 점수가 주어지는데 이에 관해서는 [[LNR #s-4|해당 항목]] 참조. 리그 상위 6개 팀끼리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챔피언을 가린다. 일단 3위 팀과 6위 팀, 4위 팀과 5위 팀이 맞붙고 4,5위 전 승리팀이 1위팀과, 3,6위 전 승리 팀은 2위와 붙으며 거기서 가려진 두 클럽은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결승전을 갖는다.[* TOP 14의 플레이오프를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의 대진표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br][[파일:external/www.kbl.or.kr/img_league_table.gif]]] 이와 별개로 리그 순위 상위 8팀은 유럽 대항 클럽전인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의 출전 자격을 얻는다. 그 아래로는 강등된 팀을 제외하고 [[EPCR 챌린지 컵]]에 진출한다. == 소속 클럽 == 2022-23시즌 참가 클럽이다. 지난 시즌 [[비아리츠 올랭피크]]가 강등되고 [[아비롱 바요네]]가 올라왔다. || '''클럽''' || '''연고지''' || '''경기장''' || '''수용인원''' || ||'''[[라싱 92|{{{#000 라싱 92}}}]]''' (Racing 92) || [[오드센]] || [[파리 라 데팡스 아레나]] || 31,000명 || ||'''[[스타드 프랑세 파리|{{{#000 스타드 프랑세 파리}}}]]''' (Stade français Paris) || [[파리(프랑스)|파리]] || [[스타드 장부앵]] || 20,000명 || ||'''[[스타드 툴루쟁|{{{#000 스타드 툴루쟁}}}]]''' (Stade Toulousain) || [[툴루즈]] || [[스타드 에르네왈롱]] || 19,754명 || ||'''[[아비롱 바요네|{{{#000 아비롱 바요네}}}]]''' (Aviron Bayonnais) || [[누벨아키텐]], 바욘 || [[스타드 장도제]] || 14,370명 || ||'''[[위니옹 보르도 배글|{{{#000 위니옹 보르도 배글}}}]]''' (Union Bordeaux Bègles) || [[보르도]] || [[스타드 샤방 델마스]] || 34,000명 || ||'''[[CA 브리브|{{{#000 CA 브리브}}}]]''' (CA Brive) || [[누벨아키텐]], 브리브 라 가야르 || [[스타드 아메데도미니크]] || 14,000명 || ||'''[[카스트르 올랭피크|{{{#000 카스트르 올랭피크}}}]]''' (Castres Olympique) || [[옥시타니]], 카스트르 || [[스타드 피에르 파브르]] || 12,500명 || ||'''[[ASM 클레르몽|{{{#000 ASM 클레르몽}}}]]''' (ASM Clermont) || [[클레르몽페랑]] || [[스타드 마르셀미슐랭]] || 20,022명 || ||'''[[스타드 로셸레|{{{#000 스타드 로셸레}}}]]''' (Stade Rochelais)[* 라 로셸(La Rochelle)이라고 부른다] || [[라 로셸]] || [[스타드 마르셀드플랑드르]] || 16,000명 || ||'''[[리옹 OU|{{{#000 리옹 OU}}}]]''' (Lyon OU) || [[리옹]] || [[스타드 드 제를랑]] || 35,029명 || ||'''[[몽펠리에 에로|{{{#000 몽펠리에 에로}}}]]''' (Montpellier Hérault) || [[몽펠리에]] || [[스타드 이브뒤마누아]] || 15,697명 || ||'''[[석시옹 팔루아즈|{{{#000 석시옹 팔루아즈}}}]]''' (Section Paloise)[* 간단히 포(Pau)라고 부른다] || [[포#s-5.1|포]] || [[스타드 뒤 아모]] || 18,324명 || ||'''[[USA 페르피냥|{{{#000 USA 페르피냥}}}]]''' (USA Perpignan) || [[페르피냥]] || [[스타드 에메지랄]] || 14,593명 || ||'''[[RC 툴로네|{{{#000 RC 툴로네}}}]]''' (RC Toulonnais) || [[툴롱]] || [[스타드 마욜]] || 18,200명 || == 역대 시즌 요약 (1995-96시즌 이후) == || '''시즌''' || '''결승전''' || '''결승 경기장''' || '''결승전 관중''' || '''리그 1위''' || '''평균 관중''' || ||<-6><#c8ab37> '''프렌치 럭비 유니언 챔피언십''' (Championnat de France de rugby à XV) || || 1995-96 ||'''[[스타드 툴루쟁]] 20''' : 13 [[CA 브리브|브리브]] ||<|2> [[파르크 데 프랭스]] || 48,162명 ||<|6><-2> - || || 1996-97 ||'''스타드 툴루쟁 12''' : 6 [[CS 부르구앙잘리외|부르구앙잘리외]] || 44,000명 || || 1997-98 ||'''[[스타드 프랑세]] 34''' : 7 [[USA 페르피냥|페르피냥]] ||<|4> [[스타드 드 프랑스]] || 78,000명 || || 1998-99 ||'''스타드 툴루쟁 15''' : 11 [[ASM 클레르몽|몽페랑]] || 78,000명 || || 1999-00 ||'''스타드 프랑세 28''' : 23 [[US 콜로미에|콜로미에]] || 45,000명 || || 2000-01 ||'''스타드 툴루쟁 34''' : 22 몽페랑 || 78,000명 || ||<-6><#c8ab37> '''TOP 16''' || || 2001-02 ||'''[[비아리츠 올랭피크]] 25''' : 22 [[SU 아장|아장]] ||<|4> 스타드 드 프랑스 || 78,457명 ||<|3><-2> - || || 2002-03 ||'''스타드 프랑세 32''' : 18 스타드 툴루쟁 || 78,000명 || || 2003-04 ||페르피냥 20 : '''38 스타드 프랑세''' || 79,722명 || || 2004-05 ||'''비아리츠 올랭피크 37''' : 34 스타드 프랑세 || 79,475명 ||비아리츠 올랭피크 || - || ||<-6><#c8ab37> '''TOP 14''' || || 2005-06 ||'''비아리츠 올랭피크 40''' : 13 스타드 툴루쟁 ||<|10> 스타드 드 프랑스 || 79,474명 ||비아리츠 올랭피크 || 10,391명 || || 2006-07 ||'''스타드 프랑세 23''' : 18 [[ASM 클레르몽|클레르몽]] || 79,654명 ||스타드 프랑세 || 11,167명 || || 2007-08 ||클레르몽 20 : '''26 스타드 툴루쟁''' || 79,275명 ||클레르몽 || 11,831명 || || 2008-09 ||'''페르피냥 22''' : 13 클레르몽 || 79,205명 ||페르피냥 || 12,770명 || || 2009-10 ||페르피냥 6 : '''19 클레르몽''' || 79,262명 ||페르피냥 || '''14,289명''' || || 2010-11 ||'''스타드 툴루쟁 15''' : 10 [[몽펠리에 에로]] || 77,000명 ||스타드 툴루쟁 || '''15,119명''' || || 2011-12 ||'''스타드 툴루쟁 18''' : 12 [[RC 툴로네|툴롱]] || 79,612명 ||스타드 툴루쟁 || '''14,024명''' || || 2012-13 ||툴롱 14 : '''19 [[카스트르 올랭피크]]''' || '''80,033명''' ||클레르몽 || 13,850명 || || 2013-14 ||'''툴롱 18''' : 10 카스트르 올랭피크 || '''80,174명''' ||툴롱 || '''14,326명''' || || 2014-15 ||'''스타드 프랑세 12''' : 6 클레르몽 || 79,000명 ||툴롱 || '''14,400명''' || || 2015-16 ||툴롱 21 : '''29 [[라싱 92]]''' || [[캄 노우]] || '''99,124명''' ||클레르몽 || '''14,324명''' || || 2016-17 ||'''클레르몽 22''' : 16 툴롱 ||<|3> 스타드 드 프랑스 || 79,771명 ||[[스타드 로셸레]] || '''14,521명''' || || 2017-18 ||몽펠리에 에로 13 : '''29 카스트르 올랭피크''' || 78,441명 ||몽펠리에 에로 || '''14,341명''' || || 2018-19 ||'''스타드 툴루쟁 24''' : 18 클레르몽 || 79,786명 ||스타드 툴루쟁 || '''14,624명''' || || 2019-20 ||<-3> 코로나 19로 인한 중단 ||[[위니옹 보르도 배글]] || '''14,055명''' || || 2020-21 ||'''스타드 툴루쟁 18''' : 8 스타드 로셸레 ||<|3> 스타드 드 프랑스 || 14,000명 ||스타드 툴루쟁 || || || [[TOP 14/2021-22시즌|2021-22]] ||카스트르 올랭피크 10 : '''29 몽펠리에 에로''' || 78,245명 ||카스트르 올랭피크 || || || [[TOP 14/2022-23시즌|2022-23]] ||'''스타드 툴루쟁 29''' : 26 스타드 로셸레 || 79,804명 ||스타드 툴루쟁 || '''14,841명''' || === 클럽별 우승 횟수 (1995-96시즌 이후) === 현재까지 리그에 남아있는 팀은 '''볼드체''' || '''클럽''' || '''우승 (최근)''' || '''준우승 (최근)''' || '''리그 1위 (최근)''' || ||[[스타드 툴루쟁|{{{#000 '''스타드 툴루쟁'''}}}]] || 10회 (2022-23) || 2회 (2005-06) || 5회 (2022-23) || ||[[스타드 프랑세|{{{#000 '''스타드 프랑세'''}}}]] || 6회 (2014-15) || 1회 (2004-05) || 1회 (2006-07) || ||[[비아리츠 올랭피크|{{{#000 비아리츠 올랭피크}}}]] || 3회 (2005-06) || - || 2회 (2005-06) || ||[[카스트르 올랭피크|{{{#000 '''카스트르 올랭피크'''}}}]] || 2회 (2017-18) || 2회 (2021-22) || 1회 (2021-22) || ||[[ASM 클레르몽|{{{#000 '''클레르몽'''}}}]] || 2회 (2016-17) || 7회 (2018-19) || 3회 (2015-16) || ||[[몽펠리에 에로|{{{#000 '''몽펠리에 에로'''}}}]] || 1회 (2021-22) || 2회 (2017-18) || 1회 (2017-18) || ||[[라싱 92|{{{#000 '''라싱 92'''}}}]] || 1회 (2015-16) || - || - || ||[[RC 툴로네|{{{#000 '''툴롱'''}}}]] || 1회 (2013-14) || 4회 (2016-17) || 2회 (2014-15) || ||[[USA 페르피냥|{{{#000 '''페르피냥'''}}}]] || 1회 (2008-09) || 3회 (2009-10) || 2회 (2009-10) || ||[[스타드 로셸레|{{{#000 '''스타드 로셸레'''}}}]] || - || 2회 (2022-23) || 1회 (2016-17) || ||[[SU 아장|{{{#000 SU 아장}}}]] || - || 1회 (2001-02) || - || ||[[US 콜로미에|{{{#000 콜로미에}}}]] || - || 1회 (1999-00) || - || ||[[CS 부르구앙잘리외|{{{#000 부르구앙잘리외}}}]][* 표에 있는 클럽 중 유일하게 3부 리그에 있다] || - || 1회 (1996-97) || - || ||[[CA 브리브|{{{#000 '''브리브'''}}}]] || - || 1회 (1995-96) || - || ||[[위니옹 보르도 배글|{{{#000 '''위니옹 보르도 배글'''}}}]] || - || - || 1회 (2019-20) || == 개인 기록 == 현재 리그에서 뛰는 선수는 '''볼드체''' * '''최다 출전''' || '''이름''' || '''최근 소속''' || '''기간''' || '''출전 횟수'''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티보 프리바 || [[리옹 OU]] || 1998 ~ 2017 || 387회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로드리고 카포 오르테가 || [[카스트레 올랭피크]] || 2002 ~ 2020 || 352회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조 테코리 || [[스타드 툴루쟁]] || 2007 ~ 2022 || 326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플로리앙 프리츠 || [[스타드 툴루쟁]] || 2002 ~ 2018 || 322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야닉 니앙아 || [[라싱 92]] || 2002 ~ 2018 || 315회 || * '''최다 득점''' ||
'''이름''' || '''최근 소속''' || '''기간''' || '''득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리샤르 두르트 || [[아비롱 바요네]] || 1996 ~ 2008 || '''3,040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로맹 퇼레 || [[카스트레 올랭피크]] || 2001 ~ 2014 || 2,612점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브록 제임스 || [[위니옹 보르도 배글]] || 2004 ~ 2020 || 2,494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디미트리 야시빌리 || [[비아리츠 올랭피크]] || 2002 ~ 2014 || 2,304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조나탕 위스니에프스키 || [[리옹 OU]] || 2006 ~ 2021 || 2,258점 || * '''최다 트라이''' || '''이름''' || '''최근 소속''' || '''기간''' || '''트라이 횟수'''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뱅상 클레르]] || [[RC 툴로네]] || 2002 ~ 2018 || 101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로랑 아르보 || [[USA 페르피냥]] || 1991 ~ 2007 || 100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오렐리앙 루제리 || [[ASM 클레르몽]] || 1999 ~ 2018 || 96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막심 메다르 || [[스타드 툴루쟁]] || 2004 ~ 2022 || 91회 ||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나폴리오니 날라가 || [[리옹 OU]] || 2006 ~ 2017 || 87회 || == 둘러보기 == [include(틀:TOP 14)] [include(틀:EPCR 회원)] [[분류:TOP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