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홍콩의 지상파 방송국)] [include(틀:홍콩의 유료방송 및 OTT)]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TVB 로고.svg|height=35]]||{{{#000 '''TVB'''[br]Television Broadcasts Limited[br]電視廣播有限公司}}} ||}}}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홍콩)] || ||<-2> '''설립''' ||[[1967년]] [[11월 19일]]^^'''([age(1967-11-19)]주년)'''^^ || ||<-2> '''개국''' ||<(> [[1967년]] [[11월 19일]]^^'''([age(1967-11-19)]주년)'''^^ || ||<-2> '''본사 소재지''' ||[include(틀:지도, 장소=TVB City, 너비=10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056, #3ebc69, #00bef1); color: white" '''{{{#white TVB City}}}'''}}} {{{-2 [[중국|중화인민공화국]] [[홍콩|홍콩특별행정구]] 정관오 공업단지 천차이 77번지)}}} || ||<-2> '''{{{#ffffff 홈페이지}}}''' ||[[https://www.tvb.com/| [[파일:TVB 로고.svg|width=50]]]]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056, #3ebc69, #00bef1); color: white" [[파일:external/img.b.tvb.com/tvb_city_new09-332x499.jpg|width=100%]] '''{{{#ffffff {{{+1 TVB City[br]{{{-2 {{{#ffffff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정관오 공업단지 천차이 77번지}}}}}}}}}}}}'''}}} || TVB (무선전시[* 무선전시란 단어 자체가 중국어로는 지상파 방송을 의미한다.]; 無綫電視[* [[광동어]] 발음으로는 모신딘시, [[표준중국어]]로는 우셴뎬스. 綫은 線(실 선)의 이체자로, 홍콩 교육부에서도 線으로 가르치고 있으나, 홍콩에서는 綫을 많이 쓰는 분위기이다. [[MTR]]에서도 線이 아닌 綫을 쓴다.]; 전시광파유한공사; 電視廣播有限公司[* 표준 중국어로는 뎬스광보요우셴궁쓰(Diànshìguǎngbō Yǒuxiàngōngsī)이다.] ; Television Broadcasts Limited; 약칭 無綫.) [[홍콩]]의 민간 방송사이다. [[홍콩]] 대중문화에서 선도적인 방송사이자 중화권([[중국 대륙]]/[[홍콩]]+[[마카오]]/[[대만]]) 전체에서도 중요한 지분을 차지한다. 시청률 면이나 기타 방면에서의 인기에서도 홍콩은 물론 [[중국]]과 [[대만]]까지 중화권 전체의 유행을 이끌어가는 존재 중 하나이며 국내에서도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와 함께 가장 많이 알려진 중화권의 방송국이다. [[1967년]] [[11월 19일]] [[http://kongtouchi.blogspot.kr/2010/04/1976531.html|개국]]했으며 개국 초기의 이름은 '''HK-TVB'''이다. 창립자는 쇼브라더스의 창립자인 슈얏푸(邵逸夫)[* [[보통화]]로는 샤오이푸라고 하며 영어권에서는 런런쇼(Run Run Shaw)로도 알려져 있다. 원래 [[청나라]] 시기 [[중국 대륙]] 남부 태생이나 당시 [[해협식민지]]의 중심으로서 청나라 남부에서 [[쿨리]]들을 대거 받던 [[싱가포르]]로 건너가서 극장사업을 하다가 [[홍콩]]에서 쇼브라더스를 창립한 것이다. 다만 자녀들은 이후에도 [[싱가포르]]에 남았고, 현재도 [[싱가포르]] 정재계의 큰손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 중 장남 쇼비멩(邵維銘/Shaw Vee Meng)은 [[NUS]]의 최대후원자로 매달 거액을 후원하고 있고 그 밖의 [[싱가포르]] 내 수많은 병원이나 학교를 짓기도 했다. 오차드 로드에 쇼씨(슈씨) 일가가 만든 쇼핑몰들이 여럿 있다. 쇼브라더스의 쇼는 슈얏푸의 성씨인 슈씨를 [[민남어]]로 읽은건데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의 [[화교]]들이 주로 [[민남어]]를 사용하는 [[푸젠성]]에서 이주해서였다.]로 이 사람의 출생년도는 [[청나라]] 시기 [[광서제|광서]] 33년, 즉 1907년이다. [[2014년]] 1월 7일 자택에서 [[http://korean.people.com.cn/78529/15381601.html|별세]]했다. 향년 107세. TVB에서 그의 생전 출연 영상과 기념관 안내를 담은 [[http://event.tvb.com/runrunshawmemorial/|페이지]]를 신설하여 애도를 표했다. 본사 사옥은 TVB 시티라고 불리는데 정관오[* 將軍澳; Tseung Kwan O. 청콴오라고도 불린다.] 산업단지에 있다. 인근에 입주한 언론사로는 반중/반정부 일간지 [[빈과일보]]의 사옥이 있었다. 하지만 [[2021년]] 빈과일보가 사라지면서 이 사옥도 빈 건물이 되었다. [[MTR]]로는 [[정관오선]] [[로하스파크역]]보다 좀 남쪽에 있다. 빈과일보가 사라진 지금 이 방송국이 위치한 TVB시티가 가장 크게 눈에 띄게 되었다. 경쟁 방송국은 [[2016년]] 4월 개국한 또 하나의 민간 지상파인 [[ViuTV]]다. 예전에 [[aTV]]가 있었지만 지상파 면허 발급에 실패해 [[2016년]] 4월 2일 0시를 기해 [[홍콩]] 현지의 지상파 방송을 완전히 중단하고 [[2018년]]부터 OTT채널로 전환되었다. TVB는 경쟁 방송사들이 연달아 생긴 1990년대까지 [[홍콩]] 방송계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했고, 배우 훈련반은 [[1990년대]]까지 엄청난 실력을 자랑했다. 여기에서 [[유덕화]], [[양가휘]][* 규정을 위반하여 1년도 안되어 해고되었다.] [[양조위]], [[주윤발]], [[두기봉]], [[임달화]], [[주성치]], [[주해미]], [[곽부성]], [[유가령]], [[오군여]] 등이 나왔을 정도로 명망이 높았었다. 물론 지금도 배우들을 배출하고 있긴 하지만 예전같은 위세는 잃어버린 지 이미 오래다. 이 외에도 수많은 드라마 제작 감독들이 TVB를 거쳐갔거나, 활약하고 있는 중이다. 아래 항목 참조. 홍콩의 방송사지만 [[마카오]]와 [[중국 대륙]] [[광둥성]] 상당수 지역에서도 시청이 가능하다. 그래서 [[1980년대]]에 중국에서 개혁개방과 함께 TV가 대중화되기 시작했을 때 광저우와 선전, 둥관을 비롯한 홍콩 근처의 주강 삼각주 지역에서 [[홍콩]] 방송의 전파를 받아서 홍콩 TV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홍콩 영화]]를 시청하는 것이 유행이었고, 이 풍경은 [[2000년대]]까지도 이어졌다.[* 이러한 유행의 원인은 당시 중국본토의 TV방송들이 노잼(...)이었던 반면 홍콩 TV는 굉장히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마카오]]에서는 그냥 이웃 홍콩의 전파를 받아서 시청 가능하고 [[중국 대륙]]에서는 [[케이블]]을 깔면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륙에서는 중국 정부 입장과 대치되는 내용이 나오면 바로 업자들이 광고를 그 내용 끝날 때까지 송출한다. 이런 편법은 [[1989년]]부터 있어왔던 것이었다. 평균 시청률은 거의 10~20%의 시청률을 보이고 있으며, 황금시간대 드라마는 30%, 대형 드라마는 최고 40~45%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로는 이보다 더욱 떨어져서 황금시간대 드라마도 20%가 위태로운 상황이 자주 보여지고 있다. 그나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판데믹]] 기간에 주중 황금시간대 시청률이 많이 올라가긴 했으나, 일시적인 현상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홍콩 내 [[FIFA 월드컵]] 중계권을 가지고 있어서 월드컵 경기를 생방송해준다. [[영어]] 및 [[광동어]] 채널 모두 중계를 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부터 경마 중계권을 획득했다. 인터넷에서도 TVB에서 방송하는 채널들을 생방송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인 myTV도 있다. 물론 홍콩 이외의 지역에선 시청이 막혀있었다. 한국도 마찬가지였다. 이후 myTV는 [[2017년]] 4월 17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고 대신 2016년에 홍콩 전용 OTT인 myTV SUPER를 출시하였다. 해외 지역 전용[* [[중국]], [[미국]],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제외. [[싱가포르]]는 VOD만 서비스 제공] OTT인 TVB Anywhere도 2017년에 출시되었다. [[유튜브]]의 경우 TVB USA가 해외 쪽 서비스로 제공되며 한국에서도 당연히 이쪽 유튜브를 시청가능하다. 이름은 USA로 [[앵글로아메리카|북미]] 쪽을 의식하는 듯 하지만 사실 북미 외에도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한국]], [[일본]] 등에도 오픈되었다. TVB 역시 친중 성향이 있어서 홍콩 시민들에게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B]]'''라는 멸칭으로 공공연히 불리며 까이는 중이다. 이는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기간 중에 TVB 뉴스가 편파, 왜곡 보도를 자주 내보내면서 더더욱 잦은 빈도로 불리어지고 있다. 거기에 2020년 3월부터 [[RTHK]] 프로그램 방영 중단을 발표했는데[[https://hk.appledaily.com/local/20200305/KQG5W7UWYIX6FZOQWAGYCQEQGI/|#]], 그 이유가 헤드라이너(頭條新聞) 등 시사교양 관련 프로그램[* 근래 RTHK에서 제작하는 시사교양 관련 프로그램은 [[홍콩 경찰]]이나 친중파 비판 성향이 강한 편이다.] 들의 전파를 의도적으로 막으려는 속셈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어서[* 왜 이런 의혹이 나왔냐하면 정작 똑같이 RTHK 프로그램을 내보내는 ViuTV나 Hong Kong Open TV는 RTHK 프로그램 방송 중단 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더욱 까였다. 결국 RTHK가 홍콩 상무부의 눈에 들어와 시위 관련 프로그램 제작자 전원을 해고하고 나서야 RTHK가 정상화되었다. 즉 홍콩의 간판 방송이지만 우경화/보수화로 인해 외면받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그 와중에 [[알리바바 그룹]]이 인수한다는 이야기도 있었다만 불발로 끝났다. [[마윈]] 본인이 중국 정부에게 밉보여 그런 듯 하다. 1993년부터 2016년까지 [[대만]]의 방송사인 [[TVBS]]를 소유하고 있었다. 한국 민영방송인 [[SBS]]와 제휴관계에 있는 방송사 중 하나이다. == 로고 변천사 == || [[파일:TVB 로고 1967.svg|width=100%]] || [[파일:TVB 로고 1972.svg|width=100%]] || [[파일:HK-TVB 로고.png|width=100%]] || || '''창립시기'''[br](1967년 ~ 1972년) || '''컬러 방송 시절'''[br](1972년 ~ 1975년) || '''HK-TVB'''[br](1975년 ~ 1991년)[* 다만 1991년에 TVB라는 사명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전까지 과도기라 할 수 있는 80년대에는 위의 로고에 홍콩(香港)이라는 한자가 빠진 채 HK-TVB라는 사명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한국의 [[서진통상]]에 수입된 무협물의 로고로도 사용했다.] || ||<-3> [[파일:TVB 로고.svg|width=80%]] || ||<-3> '''TVB'''[br](1991년 ~ 현재) || == 사옥 변천사 == || [[파일:200908191639553efda.jpg|width=200]] || [[파일:20090819164010f51e1.jpg|width=200]] || [[파일:bkn-20140107222358137-0107_00822_001_04p.jpg|width=200]] || [[구룡반도]] 브로드캐스트 드라이브(Broadcast Drive, 廣播道)[*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도로는 방송국들을 유치하기 위해 개발된 곳이다. 현재는 [[RTHK]]만이 남아있고 TVB, aTV는 모두 이전하고 그 자리에는 아파트로 재개발되었다.]에 위치해 있던 초대 사옥. 1967년부터 1988년까지 사용되었다. 현재는 아파트가 들어서있다. [[파일:1458538414187_0E83FAB7E9F0E75EAA1F0A2160F2F609.jpg]] 당시 사옥은 [[aTV]] 구 사옥(오른쪽)과 엄청 가까이 있었다. aTV도 2010년대에 [[신계(홍콩)|신계]]로 이전하였다. 두 사옥 사이의 공터에는 현재 [[RTHK]]가 들어서있다. [[파일:e6b885e6b0b4e781a3e99bbbe8a696e59f8e_1.jpg]] 1988년부터 2003년까지 사용한 두 번째 사옥. [[신계(홍콩)|신계]] [[사이쿵구]] 클리어 워터 베이(Clear Water bay, 清水灣)에 있었다. [[파일:cgigNq9GQ1xSQ435oPKJeysHdkRrSe0g2EMz-thDM_o.jpeg.jpg]] [[파일:fbia-20180414154533098-0414_31011_001_13p.jpg]] 한때 폐건물로 방치되어 있었다가 2021년 7월에 철거되었다. [[파일:20090819163908de18c.jpg]] 2003년부터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정관오 사옥. == 주요 인물 == * 왕천림(王天林) * 왕정(王晶) * 서우안(徐遇安) - 홍콩에서 두번째로 많은 편수(1128회)의 시트콤인 진정(眞情; 1995.5.15~1999.11.13 방영)의 감독. * 증려진(曾勵珍) - 홍콩에서 가장 많은 편수를 방송한 작품([[홍콩]] 81~86 시리즈로, 총 1330회의 분량이다)의 감독. * [[이첨승]](李添勝) - 1969년부터 TVB에 활동했던 TVB 초고참 감독 중 한명. 말이 필요없는 [[김용(1924)|김용]] 소설을 제대로 드라마화한 감독. 다만 후반부에 만든 설산비호와 벽혈검은 평판이 그다지... 최근에 빅히트시킨 작품은 건괵효웅(巾幗梟雄)시리즈. 2012년부턴 1년에 1개의 드라마만 찍는다고 한다. * 척기의(戚其義) - 데뷔는 aTV에서 했으나 현재는 TVB 소속. 천지호정(天地豪情),창세기(創世紀),금지욕얼(金枝慾孽),화무황사(火舞黃沙),부귀문(富貴門),천여지(天與地)가 대표작. 2012년 12월에 TVB 감독직을 사직했다. * 유가호(劉嘉豪) - 시청률 50%를 찍은 당심풍폭 - 가호월원(溏心風暴之家好月圓)의 감독.[* 다만 點解阿Sir係阿Sir등 몇몇 드라마에서 한국 드라마의 컨셉을 베끼는 등의 이유로 이래저래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건 이 작품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래 표절 관련 문장 참조.] 2012년에 와이프 매소청과 함께 TVB를 나갔다. 그러나 2016년 다시 TVB에 복귀하여 자신의 대표작 당심풍폭을 또 우려먹은 <당심풍폭3> (가제)를 준비하고 있다. * 매소청(梅小靑) - 유가호의 와이프. 역시 시청률 50%를 찍은 [[궁심계|궁심계(宮心計)]][* 자매편은 공주가도도 꽤나 짭짤한 시청률을 남겼다.], 범죄 수사 드라마 법증선봉(法證先鋒)[* 시즌 3까지 만들어졌다. --역시 우려먹기의 제왕 TVB!!!--], 낙신부와 관련된 드라마인 [[낙신]] 등등의 작품을 남겼다. 2012년에 TVB에 사표를 제출했다. 2016년 남편인 유가호와 함께 다시 TVB에 복귀 자신의 대표작 <궁심계>를 또 다시 우려먹은 <궁심계2 심궁계> (가제)를 준비하고 있다. * 왕심위(王心慰) * 장위건(莊偉建; 동명이인의 중화권 배우 장위건은 張偉健.) - 풍지도, [[심진기]], [[대당쌍룡전]]의 감독. --[[의천도룡기]]는 [[흑역사]]-- * 소현휘(蕭顯輝) - 2008년 4월 7일 중풍으로 별세. 이 쪽은 8~90년대에 왕성한 활동을 했던 감독. * 소생(蕭笙) - 1960년대에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다 1976년 [[CTV(홍콩)|CTV]](佳藝電視)[* CTV(佳藝電視)는 1978년에 폐국하였다.]에 입사하며 [[사조영웅전|<76 사조영웅전>]], [[신조협려|<76 신조협려>]]를 만들며 TV 드라마 감독으로 전직하였다. 이후 CTV가 망하자 [[aTV|RTV]]를 거쳐 1982년에 TVB로 이적하여, [[천룡팔부|<82 천룡팔부>]]를 만들었고, 이후 [[신조협려|<83 신조협려>]], <십삼매>, [[초류향|<초류향지편복전기>]], <추근>, <육소봉지봉무구천>, [[칭기즈 칸|<성길사한>]], [[태평천국|<태평천국>]], <천애가녀>, <촉산기협>, <촉산기협지선려기연> 등의 드라마를 만들었다. 1992년에 aTV로 다시 이적하였고, 2004년 서세하였다. [[유덕화]], [[양조위]], 황일화, 탕진업, 묘교위, 미설, 만재량, [[여명(홍콩)|여명]], 정이건 등 수많은 스타 배우들을 발굴하고 키워낸 무협 드라마의 대부 * 양금천(楊錦泉) - 1990년대 초중반에 무협물을 대량으로 찍은 감독 중 한명. * 이국립(李國立) - 현재는 [[중국]] 본토의 당인전영(唐人電影)[* 2008 사조영웅전, 선검기협전, '''[[보보경심]]''' 등등의 제작사.]의 제작인 및 감독으로 더 알려져 있지만 이전에 TVB에서도 감독을 맡은 적이 있었다.. * 이원과(李元科) - 역시 1990년대 초중반에 무협물을 대량으로 찍은 감독 중 한명. == 채널 == aTV보다 채널 수가 많다.[* 이중 翡翠台를 비롯한 광동어 채널의 경우 모든 프로그램에 한자 자막을 입히고 있다. --물론 이게 다 [[정체자]]라는 사실은 논외로 하고...-- --[[페이스북|대만이 좋아합니다.]]-- 디지털 방송 개시 이후엔 자막 선택에서 영어나 간체자로 바꿀 수 있다.] 케이블 채널도 몇개 있...긴 하지만 여러 방면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 해외 송출 채널도 몇몇 있으며 한국에서도 2006년 [[CMB]]와 합작법인 'TVB 코리아'를 세워 운영하였으나 2016년 6월 30일부로 계약 만료되며 철수했고, 법인마저 청산됐다. 2024년 4월 22일, 경제, 스포츠, 정보채널을 폐국하고, 그 자리에 [[봉황위성TV]] 홍콩채널 재전송을 시작했다.[[https://inews.hket.com/article/3746858/%E9%9B%BB%E8%A6%96%E5%BB%A3%E6%92%AD511%EF%BD%9C%E7%9B%B4%E6%93%8ATVB%2085%E5%8F%B0%E4%BB%8A%E6%97%A96%E6%99%82%E6%AD%A3%E8%BD%89%E7%82%BA%E3%80%8C%E9%B3%B3%E5%87%B0%E8%A1%9B%E8%A6%96%E9%A6%99%E6%B8%AF%E5%8F%B0%E3%80%8D%EF%BC%88%E6%9C%89%E7%89%87%EF%BC%89|#]] === 지상파 === 2024년 4월 22일 채널 개편 기준이다. * 81번 : 翡翠台(JADE, 페이초위토이, 비취대) - 광둥어 종합채널 * 82번 : TVB Plus - 광둥어 오락채널. 청소년 위주의 채널이다. 기존 이름은 J2. * 83번 : 無綫新聞台 - 광둥어 뉴스채널[* 2017년 8월 15일 기존 명칭인 互動新聞台에서 개명.] * 84번 : PEARL(明珠台, 명주대) - 영어 종합채널 * 85번 : [[봉황위성TV#s-3.4|봉황위성TV 홍콩채널(鳳凰衛視香港台)]] === 케이블 === * 綜藝台 * 粵語片台 * 為食台 * 日劇台 * 韓劇台 * TVB經典台 * 華語劇台 * 精選亞洲劇台 * TVB娛樂新聞台 === OTT === * myTV SUPER - 홍콩 전용. * encoreTVB - 미국 전용. * TVB Anywhere - 해외 전용. 미국,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는 서비스하지 않는다[* 싱가포르는 2018년 10월 26일에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나, TV 라이브 시청은 불가능하고 VOD만 볼 수 있다.]. [[https://itunes.apple.com/kr/app/tvbanywhere/id901647691?l=kr&mt=8|iOS]],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tvb.anywhere.otto|안드로이드]]로도 볼 수 있다. 한국 지역은 기타 지역(其他地區 ; Other Territories)으로 분류되어 캐나다, 유럽 지역에 비하면 볼 수 없는 채널들이 몇몇 있다. === 인터넷 방송 === * big big channel * See See TVB[* 네티즌이 붙이는 별명 CCTVB를 살짝 바꾼 것.] === 폐지 채널 === * myTV * GOTV * Super998 * 19台 * tvbE * 音樂台 * 電影台 * Good Show * 生活2台 * 英皇娛樂台 * 兒童台 * 資訊台 * 體育台 * 直播新聞台 * 旅遊台 * TVBK * TVB大富[* 히카리TV등에서 중국 방송을 위성 송출하는 기업인 다이후(大富)와의 합작으로 만든 채널. 2011년 9월 30일 방송 중지.] * 普通話翡翠台 * TVB8 * 無綫財經·體育·資訊台 - 광둥어 경제, 스포츠, 정보채널, [[보통화]] 프로도 방송했다.[* 2016년 2월 22일 기존 채널 명칭인 高清翡翠台에서 J5로 개편했다가 2017년 8월 15일에 無綫財經台로 개명했고, 2018년 1월 20일에 無綫財經·資訊台로 개명했다가 2022년 9월 5일부터 스포츠를 추가해 개명했다. 한때 저녁 8시 반부터 9시 15분까지 [[표준중국어]]로 뉴스, 날씨, 경제, 시사 프로를 내보냈다. 이전에는 TVB Pearl에서 번체 자막을 달고 방송했는데, 이 채널로 옮기면서 자막도 간체자로 바꿔 홍콩 내 여러 언론에서 문제를 제기했다.[[http://www.hk01.com/%E7%86%B1%E8%A9%B1/8554/J5%E6%96%B0%E8%81%9E%E5%83%85%E7%94%A8%E7%B0%A1%E9%AB%94%E5%AD%97-%E9%80%9A%E8%A8%8A%E5%B1%80%E4%B8%80%E6%97%A5%E6%94%B6%E9%80%BE%E8%90%AC%E6%8A%95%E8%A8%B4|#]]] == 방영 프로그램 == === [[뉴스]] === * [[https://news.tvb.com/tc/programme/goodmorninghongkong|Good Morning Hong Kong (香港早晨)]] * 1981년부터 현재까지 오전 6시에 방영되고 있는 아침 뉴스쇼 & 정보 프로그램으로 한국 MBC의 [[생방송 오늘아침]]과 SBS의 [[모닝와이드]], [[KBS 8 뉴스타임]]에 대응한다. * 원래는 [[아침마당]]과 비슷한 아침 [[토크쇼]] 프로그램이었지만 [[1993년]] [[8월 16일]]에 지금과 같이 개편되었다. [[https://youtu.be/-FPlRDOpa14|타이틀곡]] 역시 이 때부터 30년 넘게 사용되고 있다.[[https://youtu.be/uEpX_DcDYNk|1994년]] [[https://youtu.be/XbzKenTUUmI|2022년 영상]] * News Headlines (新聞提要) * 평일 오전 11시 30분에 방송하는 [[스트레이트 뉴스]] 프로그램으로 5분간 방송한다. * [[https://news.tvb.com/tc/programme/noonnewsjade0001|낮 뉴스 (午間新聞)]] * [[낮 뉴스]] 프로그램. 매일 오후 1시에 방송한다. * [[https://news.tvb.com/tc/programme/financialnews|경제뉴스 (財經新聞)]] * 평일 오후 5시 50분에 방송되는 스트레이트 뉴스 프로그램으로 10분간 방송한다. * [[https://news.tvb.com/tc/programme/newsat630|'''6시 30분 뉴스 (六點半新聞報道)''']] * TVB의 [[메인 뉴스]] 프로그램. 이름처럼 매일 저녁 6시 30분에 방송한다. * TVB 개국과 함께 7시 30분의 신문보도(新聞報道)로 방송을 시작하여 [[1976년]] [[11월 1일]]에 6시 30분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지금의 타이틀로 바뀌었다. * [[https://news.tvb.com/tc/programme/newsroundup|News Roundup (晚間新聞)]] * [[심야 뉴스]] 프로그램. 평일 밤 11시 15분에 방송한다. * [[https://news.tvb.com/tc/programme/onehournewsat730|News At 7:30 (七點半新聞報道)]] * 뉴스 채널 전용 프로그램 * 보통화 뉴스 (普通話新聞報道)[* 2020년 기준 Pearl에서 [[https://youtu.be/Q-KGfAK6XrY|방영중]]] * 신문투시 (新聞透視)[* 광동어로는 산만타우시에 가까우며 표준중국어로는 신원터우스(Xīnwén tòushì)이다.] * 한국으로 치면 MBC 스트레이트나 KBS 취재파일 K와 비슷한 성격의 시사프로그램이다. * 수어뉴스(手語新聞報道) * Pearl(明珠台)에서 방영하는데, 시작 전 영어 방송을 중단하고, 광동어와 해당 수어로 방송한다고 알린다. 여담이지만 중국 CCTV [[신문연파]]나 한때의 경쟁방송국이었던 [[aTV]]와 비슷하게 시그널 음악을 수십년째 돌려먹기로 유명하며, [[TVBS]]도 TVB 뉴스 시그널을 그대로 받아서 썼다가 2017년부터는 자체 음악을 쓰고있다. 특히 1970년대 무렵부터 써온 모스 부호는 유명하다.[* 그 모스 부호를 해석하자면 – ·  ·  · – –  · · ·  –  – – –  – · ·  · –  – · – – . News Today, 오늘의 뉴스가 된다.] [youtube(u493fX2hYgU)] 모스 부호를 해석한 영상인데 영상을 느리게 해서 모스 부호의 이해가 쉽도록 만들어졌다. === [[드라마]] === [[1970년대]]~[[1990년대]] 수많은 명작을 배출하며 이름을 드날렸다. 여기 제작 드라마는 한국에도 [[비디오]]로 수입되었는데 국내에서는 [[https://www.google.co.kr/search?q=%EC%9B%90%ED%95%9C%EC%9D%98+%EC%84%A4%EB%A0%B9%EA%B2%80%EB%85%80&biw=1219&bih=661&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iHs-ykqtXQAhUBoZQKHbA_D8QQ_AUICSgC#imgrc=U1-QezJvUGagLM%3A|대]][[http://blog.naver.com/etboy78/220828708289|우]][[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dslyslsa&logNo=220947108396&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비디오]], [[1987년]] 이후로는 [[서진통상]](93)이라는 비디오회사[* 보련 등 [[1986년]]판을 시작으로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비디오]]로 출시된 앞에는 먼저 서진통상의 로고가 나온 뒤 TVB 로고가 나오는 순서로 나왔으며 맨 마지막에는 저작권표시가 나왔었다. [[1990년]]까지는 2D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TVB로고가 선보였지만 그 이후부터는 3D 형식으로 나왔었다.]를 통해 [[홍콩]] 시리즈물을 봤던 사람들은 웬만하면 aTV는 몰라도 TVB는 알 것이다.[* 하지만 aTV의 일부 작품들도 한국에 수입되어 비디오로 제작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제작하는 드라마나 프로그램의 질도 예전만 못하다. 질이 낮아진 대표적인 이유가 '''창작부의 지위가 낮아졌다는 것.''' 그래서 '''표절'''논란에 시달린 작품도 몇개 있다.[* 국내(TVB Korea)에서 방송된 On The Road(원제-향세계출발/向世界出發)도 옆 방송국 aTV의 심조타향적고사(尋找他鄉的故事)와 성광반아행(星光伴我行), 종향항출발(從香港出發)의 형식을 카피했다. 외국을 표절하는게 아닌 같은 나라 걸 표절해 모를 뿐 표절 논란이 꽤 심각하다.] 사실 [[2000년대]] 이전부터 경쟁사 [[aTV]]의 프로그램의 형식을 베껴갔다는 사실은 이미 홍콩 내부에서조차 잘 알려져 있으며, [[2000년대]] 이후의 경우에서도, [[2009년]] 빅히트를 친 [[궁심계|《궁심계》]]도 부정적으로 보면 《[[대장금]]》의 짝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대장금의 주인공인 서장금은 실존인물인데 반해 [[궁심계]]의 주인공 유삼호(劉三好)는 가상의 인물이다.][* 그럼에도 궁심계는 한국의 케이블TV를 통해 방영되기도 했다.] 거기에 케이블 사업에 잘못 발을 들여놓는 바람에 많은 적자를 보게 되었다. 덕분에 TVB의 경영도 점점 안 좋아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결국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까지 겹치며 가뜩이나 열악해지는 제작 환경이 더욱 위협받는 듯하자 수많은 스탭들이 퇴사 후 홍콩을 떠나서 [[싱가포르]]의 미디어코프의 드라마 제작부인 미디어코프 드라마(Mediacorp Drama)로 이적했으며 특히 [[중국어]] 채널[* [[싱가포르]]는 다인종/다문화 국가로서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의 4개 언어 방송이 모두 제공된다. 물론 제1언어인 [[영어]] 채널이 가장 많고 각 인종별 모국어로 1개씩 채널들이 배정된다. 드라마 역시 영어 드라마뿐만 아니라 중국어 드라마, 말레이어 드라마, 타밀어 드라마가 모두 제작된다.] 내 드라마 제작부로 이적했다. 그래서 중국어 채널에서 제작한 싱가포르 드라마는 언어만 [[표준중국어]]고 분위기가 왕년의 TVB 제작 홍콩 드라마하고 왠지 비슷한 느낌이 난다. J2채널에서 한국 드라마를 방영하기도 한다. 2010년대 후반엔 SBS 드라마들을 많이 수입해서 방영했는데, [[2021년]]엔 [[펜트하우스(드라마)|펜트하우스]] 시리즈를 방영하기도 했고 [[2022년]]에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여기서 방영되었다. ==== 무협 드라마 ==== * 신조협려'83 * 신조협려'95 * [[의천도룡기/드라마#s-2.1|의천도룡기'78]] * [[의천도룡기/드라마#s-2.3|의천도룡기'86]] * [[의천도룡기/드라마#s-2.5|의천도룡기 2001]] * 사조영웅전'83 * 사조영웅전'94 * 초류향'79 ==== 한국 드라마 ==== * [[너희들은 포위됐다]] * [[피노키오(드라마)|피노키오]] * [[별에서 온 그대]] * [[식객(드라마)|식객]] === [[특촬물]] === * [[슈퍼전대 시리즈]] * [[공룡전대 쥬레인저]] (1994~1995) * [[조인전대 제트맨]] (1999)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2006~2007) * [[울트라 시리즈]] * [[울트라맨 티가]] * [[울트라맨 넥서스]] * [[울트라맨 맥스]] === [[애니메이션]] === [[케이온!]], [[나루토 질풍전]], '''[[은혼]]'''을 J2 채널에서 방영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태극천자문]] 등 몇몇 한국 애니메이션 작품들도 翡翠台에서 방송했었다. [[강철의 연금술사]] 역시 여기에서 방송했다. 翡翠台 채널에서는 주로인 4시에서 5시 정도의 시간대에 애니를 편성하는 편이다. J2채널에서는 마이너한 애니메이션을 많이 편성한다. 그것도 '''더빙'''에 '''음성다중'''으로 말이다. 더빙 퀄리티는 등장인물 나이에 맞지 않는 [[미스캐스팅]]과 [[국어책 읽기]] 수준의 연기력이었지만, 최근엔 캐스팅과 연기력에서 많이 좋아졌다. [[1996년]] 일본에서 [[울트라맨 티가]]가 방송될 때[* 간사이 지방에선 방영되지 않았다.]도 여기서 방영했으며 이 작품의 주제가인 Take me higher는 저작권이 더럽게 복잡하게 꼬여서[* 이 모든게 주제가를 부른 그룹 V6의 기획사였던 쟈니스 탓이다. 쟈니스는 오프라인 팬미팅이 아니면 팬들 버릇이 나빠진다는 명분으로 이런저런 방송 협조에 까칠하고 저작권도 민감해한다.] [[광동어]]로 새로 만들어 불렀다. 위에 나오는 논란과 달리 울트라맨 티가의 더빙은 무난한 편이었다. 그 외 [[울트라맨 넥서스]], [[울트라맨 맥스]]도 방영하기도 했다. 화면수정이나 편집은 그야말로 [[충공깽]]인 게 논크레딧 영상을 받기 귀찮았던 건지 제작사에서 주질 않은 건지 오프닝과 엔딩 등에 나오는 스탭롤이 전부 [[일본어]]다. 오프닝에 나오는 애니메이션 로고도 일본어인 경우가 많다. 가끔씩 영어로 되어있기도 하지만, 그건 TVB 측에서 작업한게 아닌, 제작사가 수출용으로 만들어 둔 영상이다. 이는 중화권의 많은 방송국들이 애니메이션 오프닝과 엔딩 수정을 잘 하지 않기 때문이다. [[애니맥스 코리아]]를 제외한 애니맥스 해외법인들도 오프닝, 엔딩을 잘 수정하지 않는다. [[2012년]] 이전까지는 애니메이션 주제곡을 번안/작곡했었다. 위의 울트라맨 티가도 저작권 문제 등으로 주제곡을 직접 작곡했었다. 지금은 원작자 요청인지 예산 문제인지 거의 번안이나 작곡을 하지 않고 있다. TVB의 애니메이션 번안곡으로는 한국에서도 유명한 게 몇가지 있는데 대표적으로 [[불사전설]]-강철의 연금술사 자동승리 Let's fight-디지몬 어드벤처가 있다. 대체로 [[일본 애니메이션]] 편성이 많긴 하지만, 가끔씩 [[미국 애니메이션]]도 방영하는 모양이다. [[디즈니 만화동산]]을 하기도 했었다. 홍콩 만화도 나름대로 재미있는 작품들이 있기는 하지만 홍콩의 시장규모가 작아 홍콩 자체 애니메이션은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애니화되어도 중국 본토와 합작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국 본토는 시장 규모는 엄청나게 크기 때문.] 이들 만화가 애니화되는 일은 잘 없고 따라서 방영되는 일은 없다시피하다. 그리고 미국 애니메이션보다 편성률이 적긴 하지만 가끔씩 [[한국 애니메이션]]도 방영된다. 미국 애니메이션은 마블 시리즈나 [[배트맨]], [[슈퍼맨]], [[심슨 가족]], [[월트 디즈니 컴퍼니|디즈니]] 시리즈 등 인지도가 넘사벽인 것들이라서 어쩔 수 없다. ==== [[일본 애니메이션]] ==== * [[1980년대]] * [[기동전사 건담]] *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 이 당시 방영하던 이름은 叮噹.] * [[닥터 슬럼프/애니메이션|닥터 슬럼프 아라레짱]] * [[황금전사 골드라이탄]] * [[은하철도 999(TVA)|은하철도 999]] * [[천년여왕]] * [[트랜스포머 G1]][* 참고로 미국 원판이 아닌 일본의 [[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가 약간 수정한 걸 수입했는지 시즌 3 분량 부터 "2010" 이란 부제가 붙는다. (2010이란 부제는 오로지 일본판에서만 붙음)] * [[철인 28호]] * [[1990년대]] * [[세인트 세이야/애니메이션|세인트 세이야]] * [[마법진 구루구루]][* 국내 방영판은 TVB의 자회사인 Jade Animation에서 수입한 것이다.] * [[아따아따/애니메이션|아따아따]] * [[애천사전설 웨딩피치(TVA)|애천사전설 웨딩피치]]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 [[용자 시리즈]] * [[구슬동자]] * [[드래곤볼]] * [[마루코는 아홉살]] * [[꿈의 크레용 왕국]] * [[닌자보이 란타로]] * [[떴다! 방울이]] * [[금붕어 주의보/애니메이션|금붕어 주의보]] * [[엄마는 4학년]] * [[2000년대]] * [[폭주형제 렛츠&고|우리는 챔피언(四驅兄弟)]] *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2003)]] * [[은혼]] * [[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디지몬 시리즈]][* 유튜브에 있는 디지몬 중국판 오프닝은 이 방송국에서 번안한 주제곡이다.]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 * [[블랙 잭(만화)/애니메이션|블랙 잭]] * [[개구리 중사 케로로(TVA)|개구리 중사 케로로]] * [[난다 난다 니얀다]] * [[프리큐어 시리즈]] * [[금색의 갓슈!!/애니메이션|갓슈벨!!]] * [[카레이도 스타]] *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 [[아따맘마(애니메이션)|아따맘마]] * [[피치피치핏치]]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 [[데스노트/애니메이션|데스노트]] *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 * [[레 미제라블 소녀 코제트]] *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 [[마루코는 아홉살]] * [[다!다!다!/애니메이션|다!다!다!]] * [[꼬마공주 유시]] * [[D4 프린세스]] * [[전설의 총사 아스타]] * [[파워퍼프걸Z]] * [[라라의 스타일기]] * [[부탁해! 마이멜로디]] * [[두근두근 비밀친구]] * [[슈가슈가룬/애니메이션|슈가슈가룬]] * [[내일의 나쟈]] * [[카드캡터 사쿠라(TVA)|카드캡터 사쿠라]] *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꼬마마법사 레미]] * [[별나라 요정 코미]] * [[고스트 바둑왕]] * [[작은 눈의 요정 슈가]] * [[7인의 나나]] * [[프린세스 츄츄]] * [[드래건 드라이브]] * [[트윈 스피카]] * [[피타텐]] * [[용의 전설 레전더]] * [[캐릭캐릭 체인지]] * [[따끈따끈 베이커리/애니메이션|따끈따끈 베이커리]] * [[츠바사 크로니클]] * [[방가방가 햄토리/애니메이션|방가방가 햄토리]] * [[슈퍼갤즈]] * [[울트라맨 넥서스]] * [[울트라맨 맥스]] * [[2010년대]] * [[새로운 아따맘마|신 아따맘마]] * [[다마고치!]] * [[요괴워치]]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 * [[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디지몬 시리즈]]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2010년부터 J2채널에서 재더빙했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Crystal]]의 판권은 [[HKTVE]]가 가져갔다.] * [[마법변신! 아이돌 프린세스 리틀프릿]] *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 [[프리티 리듬]][*한일합작] * [[프리파라]][*한일합작] * [[아이카츠!]] * [[건담 빌드 파이터즈]] * [[WORKING!!!]] * [[쥬얼펫 시리즈]] * [[GA 예술과 아트 디자인 클래스]] * [[마루코는 아홉살]] * [[노라가미/애니메이션|노라가미]] * [[하이큐!!]] * [[썬더 일레븐]] * [[썬더 일레븐 GO]] *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 * [[리루리루 페어리루 애니메이션 시리즈|리루리루 페어리루]] ==== [[미국 애니메이션]] ==== * [[피너츠]] [* 다들 익히 알고있는 [[스누피]]라는 캐릭터가 주인공인 애니메이션이다.] * [[가필드]] * [[레고 닌자고]] * [[레고 넥소 나이츠]] ==== [[한국 애니메이션]] ==== 일본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이쪽은 주로 영문버전으로 제작한 수출판으로 송출한다. 그래서인지 주제곡이 영어일때도 있다. * [[뽀롱뽀롱 뽀로로]] * [[장금이의 꿈]] * [[태극천자문]] * [[올림포스 가디언]] * [[플라워링 하트]] === 기타 프로그램 === * [[http://tveasy.com.hk|TV Easy (宣傳易)]] - In Express-Sisters(凌速姊妹(集團)有限公司)라는 기업에서 제작, 편성하는 TV 광고 프로그램이다.[[http://tveasy.com.hk/adv-arrange|편성시간]] * Dolce Vita (港生活・港享受) - 홍콩의 현재 트랜드, 라이프 스타일을 소개하는 프로그램, 明珠台에서 영어로 먼저 방영한 뒤, 無綫財經 ▪體育▪ 資訊台에서 광동어 더빙으로 2023년까지 방송했다. * Studio 930 (明珠930) - 영미권의 인기 영화를 틀어주는 프로그램, 자막 선택에서 중국어(정자체)로 볼 수 있으며, 음성 선택에서 광동어를 고르면 광동어 더빙이 나온다. == 영상 == * 1981년 당시 翡翠台 방송 종료 영상[* 과거 흑백시절 제작된 프로그램이 끝나는 장면이 나온다. 終劇(종극; 극을 마친다.)이라는 자막이 나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youtube(7hTqLTuOFeM)] * 1982년 당시 明珠台 방송 종료 영상[* 국가와 같이 나오는 영상은 1975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홍콩 방문 장면이다.] [youtube(LNSTvYVwM8A)] * 1987년 당시 明珠台 방송 종료 영상 [youtube(cV3QdfNOewk)] * 1989년 녹화된 明珠台 화면 조정과 방송 시작 영상, 방송 시작은 2분 23초에 볼 수 있다. [youtube(Y_0lMa-OLYw)] 당시에는 [[영국령 홍콩]]이었으므로 국내 방송에서 애국가 틀어주듯 두 채널 다 [[엘리자베스 2세|영국 여왕]]의 초상과 함께 [[영국 국가]]를 틀어주었다. 요즘은 메인뉴스 시작 전 중국 국가인 의용군행진곡이 나온다. * 2014년 8월 26일 녹화된 翡翠台 방송 종료~방송 시작 화면, 방송 종료는 6분 57초에, 방송 시작은 19분 40초에 볼 수 있다. [youtube(_TWOoV0-0Ck)] * 2018년 1월 23일 녹화된 翡翠台 방송 종료~방송 시작 화면, 방송 종료는 6분 52초에, 방송 시작은 1시간 2분 44초에 볼 수 있다. [youtube(lZfM27VkhQk)] == 기타 == [[1980년]]에는 이 방송국의 전속 배우인 고강(高崗)[* 본명 소담생(蘇潭生)]이 피살되는 사건이 발생했었다. 해당 배우는 1944년생으로 [[의천도룡기/드라마|의천도룡기]], [[초류향]] 등에 출연했으며 그 해 8월 4일 자신의 애인이었던 레이욱잉(李玉英)과 데이트를 마치고 귀가하던 중 경찰관으로부터 총격을 받았으며 그 다음날 새벽 병원에서 과다출혈로 숨졌다. 8월 11일 이 방송국과 경쟁사였던 [[aTV|RTV]] 배우 훈련반들도 [[주윤발]] 등 많은 배우들이 그의 빈소를 방문했다. [[2009년]]부터는 한동안 HKRIA(홍콩음반연맹)와 저작권 분쟁까지 벌인 바 있다. 홍콩에서는 이 분쟁 사건을 HKRIA판권풍파(版權風波)라 부르는데, 이러한 사태에 TVB가 내놓은 대책은 JSG[* 홍콩 TVB의 음악 순위 프로그램. 방송 시간대는 RTHK 프로그램 편성 시간대에 따라 1년에 한번씩 변동된다.] 차트(勁歌金榜)에 HKRIA와 협약을 맺은 소속사[* 유니버설 뮤직 홍콩(環球唱片)과 부속 기획사, 소니 뮤직, 워너 뮤직(華納唱片), EMI 홍콩(百代唱片), bma 엔터테인먼트(博美娛樂) 등의 기획사.] 가수의 곡을 TVB 음악 프로그램 출연에서 배제시키는 짓이었다. 덕분에 HKRIA에 소속된 가수들은 903, 977, RTHK에는 멀쩡히 순위권에 올려놓고는 있지만 TVB에만 올려놓지 못하게 되는 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2011년]] 11월에 일단 사태는 해결되었다. [[2011년]] 12월 10일 TVB가 동화삼원(東華三院)[* 홍콩에서 가장 오래된 세개의 의원인 동화의원(東華醫院; 1870년 개원), 광화의원(廣華醫院; 1911년 개원), 동화동원(東華東院 ; 1929년 개원)을 합쳐서 일컫는 말로 병원 그룹 겸 복지단체다.]과 합작해서 열린 대형 자선 행사쇼 환락만동화(歡樂滿東華)[* 세계에서 최장수 자선 프로그램으로 기네스북에 올라와 있는 자선 행사쇼. [[1979년]]부터 매년 12월에 개최한다.]에서 유니버설 뮤직 홍콩(環球唱片) 소속의 이극근이 나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0년]]부터 친중 보수 성향으로 일종의 전향(?)을 해서 까이고 있다. 예전에는 [[aTV(방송)|aTV]]와 반대로 중도 반중 성향이 있었지만[* [[1989년]] [[천안문 사건]]이 일어났을 때에도 앞장서서 보도하고 규탄하였다. 또 TVB가 7.1운동이라는 민주화 행진을 헤드라인으로 잡으면 당시 aTV는 친중국 집회를 잡는 등의 행태가 있었다. 여담으로 홍콩 행정장관 [[렁춘잉]]도 이때만 해도 중국 공산당을 규탄했으나 지금은 알다시피(...) 강성 친중파다.] [[2010년]]부턴 되레 aTV가 중도화되었다 다시 친중이 되었다 오락가락하는 감을 보이다가 결국 aTV는 2016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하여튼 그래서 이후 안티들이 붙인 별명이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B]]'''라는 멸칭이다.[* aTV 역시 과거엔 '''CC'''aTV란 멸칭이 있었다.] 한국에서 SBS가 씨방새(...)같은 멸칭을 듣는 것과 비슷하다. [[2013년]] 말에 "시청률이 30%을 넘기면 자선금을 내겠다"는 뉘앙스의 발언이 고위층에서 나와 엄청 까였다.[[http://dhns.co.kr/board_view_info.php?idx=79075&seq=124|#]] 아예 TVB 불시청 운동을 벌인 홍콩 네티즌들도 있었다. 한편 [[2015년]] 9월,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7824190|'북한 오해풀기' 라는 명목으로]] [[https://zh.wikipedia.org/wiki/%E5%9C%A8%E9%82%A3%E9%81%99%E9%81%A0%E7%9A%84%E5%9C%B0%E6%96%B9_%28%E7%84%A1%E7%B6%AB%E9%9B%BB%E8%A6%96%E7%AF%80%E7%9B%AE%29|북한 여행 프로그램]]을 방송해서 탈북자 단체들이 "북한 당국의 선전도구가 될 수 있다"며 반발, 방송 중단을 요구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무슨 진실을 파헤치는 다큐멘터리 방식의 프로그램이 아닌 그냥 [[여행]] 프로그램이라서(...)[* 해당 프로그램의 분류도 飲食旅遊, 번역하자면 음식 and 여행 관련 분류다.] 결국 저 반발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그대로 방송되었다. 여행지는 [[신의주시|신의주]], [[평성시|평성]], [[평양시|평양]], [[개성시|개성]], [[공동경비구역|판문점]]이고 이 외의 지역은 가지도 않았다. --북한 정권이 [[정치범수용소/북한|이런 곳을]] 가게 내버려둘리가 없고-- 참고로 홍콩에서 제작한 북한 관련물은 이거보단 HKTV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https://zh.wikipedia.org/wiki/%E9%A3%84_%28%E7%B4%80%E9%8C%84%E7%89%87%29|飄]] 10~12회를 보는 걸 추천한다. [[북한이탈주민]][* 신동혁, 안명철, 지성호(북한인권단체 대표), 송벽(탈북 화가) 등이 출연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제작 시기가 [[2012년]]~[[2013년]] 사이라서 신동혁이 [[2015년]]에 번복한 증언 내용이 들어가 있다. 10회에는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고정으로 출연했었던 [[이순실]]과 박예주(박연미)도 출연했으며, 고위층 탈북자의 경우, 얼굴이 보이지 않도록 조명을 꺼서 인터뷰했다.]과 탈북을 도운 사람들을 중심으로 인터뷰했고, 북한에도 촬영은 갔는데, [[금수산기념궁전]] 근처를 몰래 찍고 왔다.(...)[* 금수산기념궁전은 촬영이 엄격히 제한되어 있는 곳이다.] 물론 남한 사정에 서툰 지성호나 신동혁 등의 정확하지 않은 발언도 그대로 방송하였기에 남한인들이 볼 땐 사실과 맞지 않는 내용도 나온다. [[2017년]]부터 유튜브에서 TVB의 유명 드라마 및 프로그램을 여러개의 계정을 통해서 공식으로 업로드하고 있다. 특정 지역[* 중국 대륙, 타이완, 미국, 싱가포르, 베트남, 말레이시아 국가는 VPN으로 우회하여 시청 가능.]은 시청이 막혀 있지만 한국에서는 시청이 가능하다. 북미 쪽에 [[http://www.tvbusa.com|TVB-USA]]가 있는데 [[미국]], [[캐나다]], [[멕시코]], [[페루]], [[파나마]] 등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TVB 프로그램을 방영한다. [[https://tvbanywherena.com/cantonese/live/tvb-j1|TVB J1]] 채널은 지역제한으로 한국에서 시청이 막혀있어 VPN을 돌려야 볼 수 있다. 홍콩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고 시가총액은 약 1조원에 달한다. [[분류:홍콩의 방송]][[분류:196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