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TVING의 KBO 리그 중계 관련 논란, rd1=TVING/KBO 리그 중계 부실 논란)]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GiantTartHellishTurkey, 합의사항1=표제어를 TVING으로 현상 유지하기)] [include(틀:CJ ENM)] [include(틀:OTT 서비스)]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TVING 로고.svg|width=120]]||{{{#ff143d {{{+1 '''TVING(티빙)'''}}}[br]{{{-2 주식회사 티빙}}}[br]{{{-2 TVING Co.,Ltd}}}}}} ||}}} || ||<-2> '''NO.1 K-콘텐츠 플랫폼, TVING''' || || '''출시일''' ||[[2010년]] [[6월 1일]] ([age(2010-06-01)]주년) || || '''설립일''' ||[[2020년]] [[10월 1일]] ([age(2020-10-01)]주년) || || '''업종명'''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 || || '''기업구분''' ||[[대기업]]|| ||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대표이사''' ||[[최주희]] || || '''모기업''' ||[[CJ ENM]] || || '''부채''' ||2,031억 원[*a [[CJ ENM]] 종속기업 요약 재무정보 출처.[[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20000724|#]]] {{{-2 (2022년 연결)}}} || || '''자본''' ||5,279억 원[*a] {{{-2 (2022년 연결)}}} || || '''매출''' ||2,476억 원[*a] {{{-2 (2022년 연결)}}} || || '''순이익''' ||-1,249억 원[*a] {{{-2 (2022년 연결)}}} || ||<|2>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https://ko.wikipedia.org/wiki/상암산로|상암산로]] 34, 15층[br]([[상암동(서울)|상암동]], DMC디지털큐브) || ||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34, 너비=100%)] || ||<|2> '''링크''' ||[[https://www.tving.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CJTVI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tving.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hreads.net/@tving.official|[[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vingdotcom, 크기=20)] | [[https://www.tiktok.com/@tving.official|[[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TVING_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1><^|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스포츠: [[https://www.instagram.com/tving.sport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tvingsport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TVTV: [[https://www.youtube.com/@tving_TV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채용: [[https://team.tving.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tving.career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linkedin.com/company/tving|[[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QzFZYmxPQzdHdXZ4YU4xamxrTWhFdz09/company_nm|[[파일:사람인 로고.svg|width=25]]]] || ||[[https://tv.naver.com/tvingofficial|[[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net.cj.cjhv.gs.tving|[[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18]]]] | [[https://apps.apple.com/kr/app/id400101401|[[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0]]]] | [[https://ko.wikipedia.org/wiki/TVING|[[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20]]]] | [[https://m.post.naver.com/my.naver?memberNo=49161975|[[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 [[https://tv.kakao.com/channel/3442225/info|[[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20]]]] | [[https://pf.kakao.com/_xjxnUxkT|[[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width=20]]]] | [[https://medium.com/tving-team|[[파일:미디엄 아이콘.svg|width=20&theme=light]][[파일:미디엄 아이콘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CJ ENM]]으로부터 독립하여 2020년 10월 1일 설립된 CJ ENM 자회사이자 [[OTT]] 브랜드. == [[/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VING/역사)] == 로고 변천사 == || [[파일:TVING 로고 (2010~2016).png|width=65%]] || [[파일:TVING 로고 (2016~2020).png|width=70%]] || || '''2010년 ~ 2016년''' || '''2016년 ~ 2020년''' || || [[파일:TVING 로고(2020-2022).svg|width=70%]] || [[파일:TVING 로고.svg|width=70%]] || || '''2020년 ~ 2022년''' || '''2022년 ~ 현재''' || == 지배 구조 == ||<-2> '''2022년 12월 기준''' || || '''주주명''' || '''지분율'''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J ENM]] || 48.8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KT스튜디오지니]] || 13.5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JC파트너스[* 사모펀드] || 13.5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LL]] || 12.7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네이버(기업)|네이버]] || 10.66% || == 요금제 == ||<-8> {{{+1 '''TVING 이용권'''}}} || ||<-4> || '''베이직''' || '''광고형 스탠다드'''[*단점 [br]{{{#ff0000 '''1. 크롬캐스트 미지원.[br]2. 실시간 방송을 제외한 모든 PIP 기능 미지원.[br]3. 파라마운트+ 등 일부 콘텐츠 제한.'''}}}] || '''스탠다드''' || '''프리미엄''' || ||<|4> 구독료 ||<-3> 월간 (신규) || 9,500원 || 5,500원 || 13,500원 || 17,000원 || ||<|2><-2> 월간 (기존)[* 웹 결제의 경우, 구독료 인상 예정. 2024년 3월 결제일 전날까지 구독료 변경에 동의하면, 3개월간 해당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고, 6월 결제일부터 앱 결제와 동일한 가격으로 결제된다. [[https://www.tving.com/help/notice/135559?page=1|#]]] || 웹 || 7,900원 ||<|3> - || 10,900원 || 13,900원 || || 앱 || 9,000원 || 12,500원 || 16,000원 || ||<-3> 연간 (신규/기존)[*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연간 이용권 할인 이벤트 실시. 2024년 4월 1일부터 변경 예정이며 추후 별도 공지. [[https://www.tving.com/help/notice/135856|#]]] || 66,000원 (42%) || 90,000원 (44%) || 114,000원 (44%) || ||<|4> 기능 ||<-3> 해상도 || 720p ||<-2> 1080p || 1080p + 4K[* 스마트TV에서 일부 콘텐츠만 제공.] || ||<-3> 콘텐츠 다운로드 || 200회 || 15회 || 300회 || 400회 || ||<-3> 멀티 프로필 ||<-4> 4개 || ||<-3> 동시 접속 || 1대 ||<-2> 2대 || 4대 || * 네이버와의 제휴로 2021년 3월 4일부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TVING 시청권이 추가되었다. 4개의 디지털 콘텐츠[* 티빙 방송 무제한, SPOTV NOW 스포츠 중계, 네이버 웹툰·시리즈 쿠키 49개, 시리즈온 영화]중 티빙 방송 무제한을 선택해 라이브와 방송 VOD(티빙 오리지널 제외)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다만, {{{#ff0000 '''KBO 리그 라이브와 스마트TV에서의 시청은 베이직 이상 요금제만 가능하다.'''}}} 그리고 여기에 매달 추가금을 지불하여 상위 요금제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티빙이 아닌 다른 디지털 콘텐츠를 선택해도 월 4,900원을 결제하면 티빙 방송 무제한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정리하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내의 티빙 서비스 요금은 아래와 같다.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을 1년 단위(46,800원)로 결제하면 아래 표보다 실질적으로 1천원 싼 가격으로 볼 수 있다. ||<-5> {{{+1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TVING 이용권'''}}} || || || '''방송 무제한''' || '''베이직''' || '''스탠다드''' || '''프리미엄''' || || 티빙 선택 시 || 무료 || 4,600원 || 8,600원 || 12,100원 || * 2024년 3월부터 국내 OTT 업체 최초로 광고형 요금제(AVOD)가 월 5,500원에 출시되고 2023년 12월 1일 이후 구독하는 신규 구독자에 대한 TVING 이용권의 구독료가 현재 웹 결제 가격인 베이직 월 7,900원, 스탠다드 월 1만900원, 프리미엄 월 1만3900원에서 각각 9,500원, 1만3500원, 1만7000원으로 인상된다. 변경된 구독료는 웹과 앱이 동일하며 신규 가입자부터 앱에서 구글/애플 인앱 결제로 월간 이용권 신규 구독 시, 웹 월간 이용권과 동일한 구독료로 결제 적용된다. 베이직은 9,000원, 스탠다드 1만2500원, 프리미엄은 1만6000원이다. 기존 구독자를 대상으로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구독료 변경에 대한 사전 동의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구독료 인상을 알리고 최대 3개월간 이전 요금제의 가격을 유지하게 해주나 기존 구독자도 3개월 이후에는 베이직 요금제는 9,000원, 스탠다드 요금제는 12,500원, 프리미엄 요금제는 16,000원의 인상된 요금을 지불하여야 한다. 티빙은 구독료 변경에 사전 동의한 가입자에 한해 추가로 내년 5월까지 최대 3개월간 기존 요금으로 티빙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진행해 기존 가입자 부담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기존 가입자에게 인상된 요금을 받겠다는 점 또한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는 2020년 12월 15일 요금제 개편 이전에 가입한 유저에게 '''결제 금액 변동 없이 평생''' 최저가 이용을 보장했던 입장[* [[파일:2020티빙요금제개편.png]]]과 달라진 것일 수도 있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 티빙은 2023년 11월 3일 기존 구독자들에게 'TVING 이용권 개편 및 신규 구독자 구독료 변경 안내'라고 구독자 전체에게 이메일을 보내 'TVING 이용권 개편 및 신규 구독자 구독료 변경 안내드립니다.'라며 언론에 이미 보도자료를 배포한 내용과 대부분 동일하지만 언론에서 이미 공개한 내용 외에 별도의 내용을 추가로 알렸는데 2023년 12월 1일 이후 구독하는 신규 구독자에 대해서도 연간 이용권 금액은 현재 정해지지 않아 추후 별도 공지 예정이라고 밝혔고, 기존 구독자의 경우에는 월/연간 이용권 모두 금액이 현재 정해지지 않아 2023년 12월 1일 이전 이용권을 구독한 기존 유료 회원에 대한 구독료 변경에 대해서는 별도 안내 예정이며, 2024년 1월 1일부터 구독료 변경에 대한 동의 여부 확인 절차를 진행한다고 밝혔으나 기존 구독자들이 구독료 변경에 대해 동의를 하지 않으면 티빙 오리지널 시청 제한과 추후 구독 해지 예정이다. 구독을 유지하고 싶다면 반강제로 동의를 해야한다. 언론에 배포한 내용에는 2024년 1분기에 기존 구독자도 요금을 인상하는 듯한 내용이 있었으나 기존 구독자들에게 전체 메일을 보내 추후 별도 공지 예정으로 소개한 것은 2020년 12월 15일 요금제 개편 이전에 가입한 유저에게 결제 금액 변동없이 평생 최저가 이용을 보장했던 입장이 있는지라 기존 구독자라도 요금을 인상하는 것으로 언론에 입장을 밝힌 티빙에 구독자들의 항의가 잇따르자 진화를 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제대로 된 해명없이 기존 구독자들에게 요금을 인상하려고 한다면 티빙이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 * 하지만 2020년 요금제 개편 전 2020년 11월 29일 이전 이용자는 '요금 인상에서 제외되는 회원'에 해당 안된다고 하며, 오로지 2020년 11월 30일 ~ 2020년 12월 14일에 진행된 "특별프로모션 이벤트" 기간에 구독을 결제한 이용자만 기존요금(프리미엄기준 월 9900원)을 유지한다고 한다. 2020년 11월 29일 이전 가입자의 경우 문의 시 , "회원님께서는 프로모션기간에 가입되어있지않기에 구독료변경대상" 이라고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이처럼 같은 금액/같은 해택임에도 불구하고 2020년 11월 29일 이전 이용자와 2020년 11월 30일 ~ 2020년 12월 14일 프로모션 기간에 가입한 이용자 간에 차별을 두고 있어 비판이 거세다. 즉, 이벤트 할 때 해택이 다르다는 공지도 없었고, 재가입 할 이유도 없었기에 할 이벤트 참여할 이유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벤트 기간에 결제 취소하고 다시 가입해서 다시 결제해야 가능 했단 () 것. * 언론에 보도 자료를 배포하여 알린 내용에는 베이직 이용자라도 스탠다드, 프리미엄 요금제를 이용하는 이용자와 화질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기능은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고 나와있으나 기존 구독자들에게 티빙이 전체 메일을 보내 알린 내용은 언론 보도와는 다른 점이 있다. 먼저 베이직 이용자와 스탠다드, 프리미엄 요금제를 사용하는 이들에게 4개의 프로필을 제공하는 것은 맞고 베이직 이용자가 TV 앱을 이용할 수 있게 디바이스가 확대되는 것은 맞으나 동시 시청은 여전히 베이직 1대, 스탠다드 2대, 프리미엄 4대이며, 콘텐츠 다운로드도 베이직 200회, 스탠다드 300회, 프리미엄 400회로 요금제에 따라 기능에 차이가 있으며 티빙에서 앞으로 비밀번호를 공유하는 프로필도 동일한 주소지에 한해서만 적용하겠다고 입장을 밝혀 사실상 요금 분담으로 저렴하게 티빙 이용권을 이용하는 이들은 손해를 보는 셈이다. * 티빙 개편(23.12.1)에 따라 [[KT]]에서도 티빙 업그레이드 상품이 나왔다. 2023년 12월 1일부터 티빙 라이트 상품에서도 상위 상품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https://m.product.kt.com/mDic/productDetail.do?ItemCode=1547|#]] ||<-5> {{{+1 '''KT 티빙 라이트/베이직 상품 업그레이드'''}}} || || || '''광고형 라이트'''[*단점] || '''베이직''' || '''스탠다드''' || '''프리미엄''' || || 티빙 라이트 || 무료 || 2,900원 || 6,900원 || 10,400원 || || 티빙 베이직 |||| - || 4,000원 ||7,500원 || == 실시간 방송 채널 목록 == * '''CJ ENM 계열:''' [[tvN]], [[tvN STORY]], [[tvN DRAMA]], [[tvN SHOW]], [[tvN SPORTS]], [[엠넷|Mnet]], [[Tooniverse]], [[OCN]], [[OCN Movies]], [[OCN Movies2]], [[중화TV]] * ''' 종편 계열:''' [[JTBC]], [[JTBC2]], [[JTBC4]], [[채널A]], [[채널A플러스]], [[MBN]], [[MBN플러스]], [[TV CHOSUN]], [[TV CHOSUN2]] * '''기타 개별방송사''': [[국회방송]], [[EBS1]][* 티빙 유일 지상파 채널.], [[YTN]], [[YTN2]], [[YTN 사이언스]], [[연합뉴스TV]], [[라이프타임]], [[히스토리 채널]], [[SBS M]], [[SBS F!L]], [[SBS Biz]], [[애니맥스]], [[애니박스]] 참고로 현재 해외에서는 TVING을 이용할 수 없으며 2021년 4월 29일부로 이후로 실시간 방송 채널이 유료화되었다가 2023년 12월 1일부로 OCN 계열 채널([[OCN]], [[OCN Movies]], [[OCN Movies2]])과 [[tvN SPORTS]] 채널을 제외한 모든 채널이 다시 무료화 되었다. tvn-JTBC 연합 이후에도 티빙에서 서비스되는 일부 지상파 계열 케이블 채널을 통해 지상파 오리지널 프로그램도 생중계 해주었으나 그건 연합 직후에 잠깐 그랬던 거였고 전송권 및 저작권 문제로 지상파 오리지널 프로그램을 더 이상 생중계 해주지 않는다. 2023년 12월 1일 이전의 유료화 시기에는 모든 실시간TV 채널은 구독권 없이 볼 수 없었지만 기존에 '''"TVING TV"'''로 불렸던 "정주행 채널"[* 인기작 및 특정 구작 작품의 에피소드들만 반복해서 틀어주는 VOD 스트리밍 채널]은 구독권이 없는 단순 회원도 무료로 시청 가능했었다. == 오리지널 콘텐츠 목록 == === 콘텐츠 === [include(틀:TVING 오리지널)] === [[TVING 오리지널 드라마|드라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VING 오리지널 드라마)] [include(틀:TVING 오리지널 드라마(2021~2025))] == 비판 및 문제점 == * TV 채널 실시간 방송의 경우 티빙 전용으로 별도의 광고가 삽입되는 것 자체는 정상적이지만 '''중간 삽입 광고가 나오는 타이밍'''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원래 TV 광고가 1초정도 나온뒤에 갑자기 나오며 덕분에 tvN 계열 채널의 경우 오프닝과 엔딩을 감상할 수 없다. 게다가 간혹 광고 타이밍이 안맞으면 "잠시후에 시작됩니다"라는 문구의 화면만 반복적으로 나온다. * '''시청목록 저장'''이 '''3개월''' 밖에 되지 않는다. 라이벌인 해외 서비스 [[넷플릭스]]가 목록 다운로드까지 제공하고 있는 점과, 경쟁사인 국내 서비스 [[Wavve]]가 시청목록을 지우더라도 알고리즘 리셋을 할 수 없는 점 그리고 작은 규모의 서비스인 [[왓챠]]조차 시청목록 저장을 제공하고 있는 점을 비교하면 상당히 특이하고 이상한 문제점이다. 3개월 밖에 시청목록 저장이 되지 않다보니 한 분기가 지나면 이전에 봤던 작품을 또다시 추천해준다. 즉 '''추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미 시청한 콘텐츠에 표시가 되어 있지않아 불편함이 많다는 의견이 많다. * '''인물 정보''' 관리가 엉망이다. 국내 OTT 중 작품 정보에서 인물 정보 태그나 장르 정보 태그를 제공하는 [[왓챠]]나 [[Wavve]]와 달리 티빙은 태그를 아예 제공하지 않고 있는데, 그 때문인지 이름 표기를 틀리는걸 거의 개의치않나 싶은 수준으로 자주 틀린다. 특히 외국 콘텐츠 그것도 대량으로 들여오고 이름 표기가 익숙하지 않은 동아시아 다른 나라 콘텐츠들의 경우 그 사정이 심각한데, 같은 인물을 서로 다른 표기 방식으로 표기해서 검색할 때 한 번에 뜨지 않는 건 흔한 일이고, 유통사로부터 받은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한것인지 등장하는 배우 대신 등장하는 캐릭터의 이름을 배우처럼 표기해놓은 웃지못할 경우도 상당히 잦다. * 국내 OTT들이 모두 그렇듯이 방송용 심의를 받은 콘텐츠를 그대로 받아오는 경우가 많아서 몇몇의 콘텐츠의 경우에 [[모자이크]]나 블러처리 [[검열]]이 심하여 보기가 힘들 정도이다. 이 자체로는 특이할게 없다면 없는데 문제는 [[파라마운트]]와 정식 계약을 하고 '''파라마운트 전용관''' 메뉴까지 있으면서 [[대부]] 같은 파라마운트 영화를 방송용 심의를 받은 모자이크 버전으로 서비스 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특이하게도 모바일이나 브라우저로 시청할 땐 검열되지 않던 부분이 스마트TV로 볼 경우엔 검열되어 나오는 친절한 금자씨, 복수는 나의 것 등의 콘텐츠들도 있다. * 대부분의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드라마, 예능)는 방영일과 몇부작인지만 미리 알려줄뿐 무슨 요일에 몇개씩 풀리는지는 미리 알려주지 않는다. 빨라도 방영일 2~3일전에 알려주며 일시적으로 해당 드라마를 위해 티빙 구독을 하는경우 한정으로 불편함이 생길수 있다. 예능의 경우 업로드 일정이 불규칙한데다가 아예 몇부작인지도 공개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 이용권을 보유 중인 사용자라면 앱에서 '콘텐츠 다운로드'와 '소장/대여'를 거의 못한다고 봐야한다. 이용권 사용자가 콘텐츠 다운로드 시도 시 권한이 없으니 구매하겠냐는 창이 뜨면서 구매 창으로 연결되는데 여기서 문제는 결제를 티빙캐시로 밖에 결제를 할 수 없는데 티빙캐시 충전은 이미 2022년 3월 31일에 서비스 종료되어 현재 캐시를 구매할 방법이 전혀 없다. 때문에 콘텐츠를 꼭 구매 및 다운로드를 하고 싶다면 약간의 편법을 사용해서 구매를 할 순 있는데, PC에서 이용권을 해지한 뒤 콘텐츠에 들어가서 이용권 구독하기를 누른 뒤 팝업창 맨 밑에 개별구매 창에서 소장/대여 중 선택하여 결제를 하면 된다. 이런 상황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서비스 종료한 점을 크게 비판받고 있다. === [[/KBO 리그 중계 부실 논란|KBO 리그 중계 관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VING/KBO 리그 중계 부실 논란)] == 여담 == * 2021년 11월부터 고화질 영상 기술 HDR10+, 재생 품질 관리(QoS) 서비스를 적용한다.[[https://m.inews24.com/v/1422463|#]] * 2021년 12월 27일 스마트TV 지원환경이 확대 되었다. 기존에 삼성,LG 스마트TV에 한해 지원되었던 정책이 모든 Android TV(8.0이상)로 확대되었다. 이로서 [[Android]] 기반의 스마트 TV와 셋탑박스들에서 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2022년 4월 1일 Apple TV 용 [[tvOS]] 앱이 출시되었으며 5월 31일부터 [[Apple TV 앱]] 연동을 지원한다. * 2022년 경부터 [[넷플릭스]]의 표기 방법을 흉내내어 기존에 연출과 각본으로 나누어 표기하던 콘텐츠 페이지의 크레딧을 '크리에이터'로 합쳐서 표기하고 있다. 넷플릭스의 경우 실제로 크리에이터 시스템을 채택한 외국 드라마가 많기 때문에 국내 콘텐츠의 표기까지 외국의 사정에 맞추어 일괄 통일한 것인데, 티빙의 경우 국내 OTT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굳이 감독과 작가 크레딧을 구분하지 않는 방식을 따라하고 있어서 애매하다는 평가도 일부 있다. 결과적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가려버린 셈이 되기 때문이다. 티빙의 경우 인명 정보의 태그 기능 미제공 및 올바른 표기나 제대로 된 제공의 측면에서 원래부터 경쟁 업체인 [[왓챠]]나 [[Wavve]]에 비해 한참 뒤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심지어 Wavve는 정식으로 인물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아니고 태그를 클릭하면 검색어로 대신 넣어주는 단순한 방식에 불과함에도 티빙은 이것조차 하지 않고있다.] 뜬금없이 감독, 작가 정보를 크리에이터로 일괄 표기해버린 선택이 의도적이라기 보다는 일일이 해외 콘텐츠의 정확한 감독, 작가 정보를 표기하는게 귀찮아서 국내 콘텐츠들까지 '크리에이터'로 일괄 통일한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있다. * 2022년 8월 14일, 가수 [[임영웅]] 콘서트 '아임 히어로(I'm HERO)'를 단독 생중계하면서 당일 60대 이상 월평균 시청 점유율이 13배나 증가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905000500|관련 기사]] * 티빙은 넷플릭스, 왓챠, Wavve와 마찬가지로 문화누리카드 가맹점이라서 문화누리카드 소지자들은 문화누리카드에 금액이 남아있다면 문화누리카드로 결제가 가능하다. 건당 및 월간 및 연간 결제가 모두 가능하다. * 2023년 9월 6일 수요일 낮 12시부터, 영화 VOD 개별 구매 서비스를 중단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013046?sid=101|#]] 그 덕분에 티빙이 개별 구매 서비스를 없애기 직전부터 갑자기 개별 구매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한 [[왓챠]]나[* 왓챠의 경우 최신 영화 유료 구매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한 개념이라고 보는게 더 맞지만 TVING의 개별 구매 서비스 중단 선언 덕분에 상대적으로 서비스 개시 시점에서 손해를 본 것은 사실이다.] [[Wavve]]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인상을 받는 효과가 생겼는데, 특히나 원래부터 개별 구매 비중이 높았던 [[Wavve]]에서는 개별 구매로 묶여있는 영화가 티빙에서는 무료로 볼 수 있는 상황이 생기면서 Wavve와는 특히 격차가 더 크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최신 콘텐츠만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이미 무료로 풀릴 수 있는 조건에 다다른 콘텐츠 그러니까 '판권 구매 협상이 충분히 가능한 조건 안에 있는 콘텐츠'임에도 기존에 티빙이나 Wavve에서는 개별 구매로 서비스 하고 있었던 콘텐츠를 의미한다. 즉 TVING이 개별 구매 서비스를 없애면서 무료로 푼 일부 영화들의 존재 덕분에 기존 개별 구매 서비스를 관성적으로 유지하고 있던 Wavve의 개별 구매 영화들이 더 돋보이게 된 것. 참고로 이는 티빙에서 판권을 보유하고 있는 [[파라마운트]] 영화만을 의미하는 것도 아닌데, 단적인 예로 2024년 1월 기준, 1992년 영화 [[트윈 픽스(영화)|트윈 픽스]]는 티빙은 무료이지만 Wavve는 개별 구매 판매를 하고 있으며, 쿠엔틴 타란티노의 영화들도 [[파라마운트]] 판권 영화인 [[펄프 픽션(영화)|펄프 픽션]]은 차치하더라도[* 미라맥스가 파라마운트 산하로 인수되면서 파라마운트 판권 영화가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미라맥스]] 항목 참조.] [[장고: 분노의 추적자]]나 [[헤이트풀 8]]처럼 티빙에서는 무료 서비스, Wavve는 개별 구매 판매 중인 영화가 여럿 있다.[* 하다못해 1970년대 영화나 1980년대 영화 중에도 Wavve는 개별 구매로 판매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판권 구매에 소극적이었던 Wavve 자체의 원래 문제점과도 관련이 높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Wavve]] 문서 참조.] * [[Wavve]]와는 달리 타임머신 기능이 고정으로 박혀있는게 아니다보니 실시간TV에서 저작권 등의 문제로 특정 프로그램 송출을 끊는다고 하면 그 채널에 한해 타임머신 기능을 끊는 것부터 시작한다. 송출 불가한 프로그램이 방송중일때는 그 온에어는 아예 못 보게 재생부터 못하게 막아버리고 끝난지 2시간 쯤 지나야 타임머신 기능이 돌아오는 편.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기간 중에는 [[TV CHOSUN|TV조선]] 실시간 TV 채널 서비스를 끊기도 했다. * 2024년 2월 27일부터 적용되는 약관 개정을 통해 기존에 있던 '''티빙 이용 약관''' 중 "{{{-1 제4조 [약관의 게시 등] 1. "회사"는 이 약관을 "회원"이 그 전부를 인쇄할 수 있고 거래과정에서 해당 약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술적 조치를 취합니다. 2. 이용자가 약관에 동의하기에 앞서 약관에 정하여져 있는 내용 중 청약철회ㆍ배송책임ㆍ환불조건 등과 같은 중요한 내용을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화면 또는 팝업화면 등을 제공하여 이용자의 확인을 구하여야 합니다. 3. "회사"는 "이용자"가 "회사"와 이 약관의 내용에 관하여 질의 및 응답할 수 있도록 기술적 장치를 설치합니다."}}}" 부분이 삭제되었다. 이는 약관에 대한 공시 의무와 개정시 확인할 의무를 삭제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그 외 "{{{-1 제10조 ["회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관리에 대한 의무]}}}", "{{{-1 제12조 [회원탈퇴 및 자격 상실 등]}}}", "{{{-1 제3장 콘텐츠 이용계약 제13조 ["콘텐츠"의 내용 등의 게시]", "제 23조 [한국 외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특별 조항]}}}"이 완전히 삭제되었고, 나머지 부분들도 변경 되었다. '''티빙 유료 이용 약관''' 중에는 삭제된 조항은 없고 전체적으로 변경만 되었다.[* 출처는 티빙 측 공시 정보. 약관 공개 관련 정보가 삭제됨에 따라 2024년 2월 27일 이후로는 약과 변경 관련 공시가 없을 가능성이 있다.] === [[e스포츠]]와의 인연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kN3-f-UUc0, width=100%)]}}}|| [[TG삼보-인텔 GSL 오픈 시즌 1|2010년 오픈 시즌]] 당시 이러한 광고를 만들어서 내보냈는데, 광고 노래가 중독성이 있어 크게 반향을 일으켰다. 여기서 삽화를 맡은 사람은 페리테일로 유명한 정헌재이다. 특히 [[GSL]]의 세트와 세트 사이의 중간 광고에도 틀어주어 GSL를 시청하는 수많은 [[스덕후]]들이 이 광고를 보고 중독 현상에 시달렸다. 특히 이 광고가 나오면 [[곰TV]] 채팅창은 어느 한 방 빼놓지 않고 '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로 엄청나게 도배가 되는 진풍경을 감상할 수 있었다. 이렇게 호응이 있었지만, TVING 내부에서는 세련되지 못하다라는 평가가 많아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GSL 오픈 시즌2]] 당시 잠시 [[슈퍼스타K]] 컨셉의 새로운 CF로 교체된 적이 있다. 하지만 곧 '티티티티 TVING닷컴'에 중독된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쳐 결국 이전의 CF로 다시 복구했다. 2012년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의 마지막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스폰서를 맡기도 하였다. 명칭은 [[tving 스타리그 2012]]. 이외에도 [[스페셜 포스 2 프로리그]]에 참가했던 세미프로 팀을 후원했던 적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미디어 기업]][[분류:2010년 설립]][[분류:2020년 기업]][[분류:CJ ENM]][[분류:OTT]][[분류:SVOD]][[분류:TVOD]][[분류:서울특별시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