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Takik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k.png|width=100%]]}}} || || '''닉네임''' || Takiki || || '''팔로워''' || 13.3만명[*S 일본어 트위터, 2022년 7월 31일 기준] || || '''링크''' || [[https://twitter.com/Takiki2828|[[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일본어) [[https://twitter.com/Takiki2828kr|[[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한국어) [[https://blog.naver.com/kkskkskim|[[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KlglGnV8HxUMFlTM_ka2b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pixiv.net/users/60386498|[[파일:픽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만화가]]. == 상세 == 주로 [[2차 창작]] 위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귀여우면서 미려한 일러스트, 그리고 [[JAZZ JACK]] 작가와 더불어 '''[[공장#s-4]]이 아닌가 의심되는, [[공장장(동음이의어)#s-2|신속한 업로드 주기]]'''[* 만화 하나가 올라오는 데에 보통 하루, 길어야 이틀 정도 걸린다. 특히 우마무스메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픽업 공지나 파카라이브에서 신규 정보가 공개된 지 '''최소 2시간 이내'''로 신규 그림이 올라오는 일도 빈번할 정도. 덕분에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두라멘테]]가 공개된 뒤 올라온 그림에는 '''레이와의 [[키시베 로한]]'''이라는 태그가 붙었다.]가 특징이다. 초창기에는 [[THE iDOLM@STER|아이마스]] 관련 작품의 2차 창작 만화를 올리다[* 특히 [[시라이시 츠무기]]의 일러스트나 만화를 그렸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우마무스메]] 일본 서버가 열린 이후로는 주로 우마무스메 2차 창작 만화를 올리는 빈도가 대폭 늘었으며, 우마무스메로 많은 호응과 인지도를 얻은 현재 시점에서는 이쪽이 주요 컨텐츠가 되었다. [[일본어]] 및 [[한국어]] 두 가지 버전으로 만화를 올리며, 일본어 버전 만화는 일본어 버전 트위터 계정과 픽시브 계정, 한국어 버전 만화는 한국어 버전 트위터 계정,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된다. 이 외에 작가가 직접 커뮤니티에 자기 만화나 동영상을 올릴 때도 있다. 그런데 해당 일러스트나 만화가 일본에서도 인기가 높아지면서 국내에선 간간히 명예 일본인 드립이 나오고 있다. 일본에서도 간혹 분탕종자가 악플을 올리는 것 외에는 큰 문제 없이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종종 [[구어체]]로 써야 할 표현에서 [[문어체]]가 나오거나, 가끔 [[오타]]가 나는 것 빼고는 원어민이 보기에도 자연스러운 일본어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다쟈레]] 표현이나 일본 내수용 방송 드립은 원어민들도 감탄할 정도. 가끔 한국어판에서 로컬라이징을 포기하고 각주 처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번은 [[https://twitter.com/Takiki2828kr/status/1556585660642836480|"제 한국어 실력으로는 이건 로컬라이징 못하겠다"]]는 코멘트를 남기기도 했다.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도베르]]의 팬인지 도베르 실장 이후로 도베르 그림들이 많이 올라오는 편이다. 이전까지는 딱히 어느 캐릭터에 고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올라오는 편이었는데 그중에서도 [[다쟈레]] 관점에서 아이마스 진영의 [[타카가키 카에데]]와 캐릭터가 비슷한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회장]][* 신데마스와 우마무스메의 공식 콜라보가 발표되자 유니폼 교환식이라며 다쟈레 프린팅 티셔츠를 교환하는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과 그 옆에서 시달리는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부회장]], 그리고 바보짓을 소재로 삼기 쉬운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쿠라 바쿠신 오]]의 빈도가 그나마 높았던 편.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는 등장할 때마다 높은 확률로 아게마셍 네타를 써먹고 있다.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다이와 스칼렛]]의 경우 거의 보이지 않았으나 누오다스 밈이 생기면서 등장시키는 빈도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이쪽은 포켓몬 관련 드립이 주 소재.[* 예를 들어 누오가 별명이 하얀 번개인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마모 크로스]]를 깔본다던가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유키노 비진]]이 [[프리즈드라이]]를 쓰지 않을까 두려워한다거나 하는 식이다. 다이와 스칼렛은 주인(트레이너) 포지션.]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라모누]]가 추가되자 라모누 그림의 빈도가 많이 올랐는데 이쪽은 갭모에스런 그림이 주류였으나 캐릭터성이 공개되고나서는 은근히 나사 빠진 숙녀[* 실상은 트레이닝을 했거나 모기에 쏘이는 등 평범한 내용인데 주어를 빼버려서 오해를 사는 내용이 많다.] 속성의 그림이 주류가 되었다. [[시노#s-3]]처럼 애정캐들에게 애정어린 장난[* 이쪽은 니게시스 관련으로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파루코]]한테) 고통받는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즈카]]가 그 타겟. 칸코레 쪽에서는 [[아케보노(함대 컬렉션)|아케보노]]와 [[아부쿠마(함대 컬렉션)|아부쿠마]]로 유명했었다.]을 치는 그림을 자주 그리는데 희생양은 도베르. 2023년에는 우마무스메 전용 태그중 하나인 ○○가 너무나도 좋은 사람(○○が好きすぎる人) 태그[* 특정 우마무스메 대상으로 애정을 듬뿍 담은 그림을 올리는 일러스트레이터들에게 주어지는 태그 시리즈. 메지로 도베르가 너무나도 좋은 사람 태그는 Takiki가 처음으로 받아냈다.]를 도베르 대상으로 받게 되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이벤트/레전드 레이스|레전드 레이스]] 이후 신발을 트로피로 받아가는 시리즈 그림을 정기적으로 올리고 있는데, 온갖 다채로운 반응을 보여주는 우마무스메들이나 변태끼를 폭발시키는 댓글란이 압권이다.[* 이 변태끼가 대폭발(...)한 것이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키온]] 편인데, 자세한 건 직접 보자. [[https://twitter.com/Takiki2828kr/status/1500797739705454598|전편 (한국어판)]] [[https://twitter.com/Takiki2828/status/1501040089048424450|후편 (일본어판)]]] ~~그리고 그 와중에 도베르 편이 유독 퀄이 높다.~~ 사실 이 시리즈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이벤트/레전드 레이스#s-3.8|8회차 레전드 레이스]]의 레전드 우마무스메인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를 [[https://twitter.com/Takiki2828kr/status/1459361174097580033|첫 주인공]]으로 시작한 것이었는데, 이때문에 이전의 7회차 분량의 레전드 우마무스메들에 대한 시리즈는 없었다. 그러다 한국 서버가 런칭하면서 1회차부터 레전드 레이스를 하기 시작하자, 한국 서버 일정에 맞춰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엘 콘도르 파사]]를 [[https://twitter.com/Takiki2828kr/status/1546480580539580416|시작]]으로 앞부분을 채워나가고 있다.[*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이키 셔틀]]의 경우엔 하필 올린 다음 날에 원본마 [[타이키 셔틀]]이 공교롭게도 [[무지개 다리를 건너다|무지개 다리를 건너는 바람에,]] 댓글란이 [[https://twitter.com/Takiki2828kr/status/1559435466566316033|애도의 물결]]로 가득했다.] 2022년 9월 23일 [[요코하마]]에서 열린 '''슈퍼 히로인 타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전희절창 심포기어]], [[함대 컬렉션]], [[블루 아카이브]], [[리코리스 리코일]], [[케모노 프렌즈]] 등 몇몇 인기 작품들을 주제로 여는 즉매회([[온리전]]) 행사이다.]에 일본쪽 동인 행사로는 처음 참가해 우마무스메 신간을 선보였다. 한창 코로나 시국인 때라 본인이 직접 참가는 못 하고 현지 지인이 대신 부스를 운영했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회장 내부에 몇 겹의 줄이 생길 정도로 당일 최고의 오오테 부스로 떠올랐었다. 이를 발판으로 삼아 본인은 [[코미케|C101]]에도 참가를 표명한 상태. 2022년 12월 30일, 예정대로 [[코미케|C101]]에 참가. 코미케 첫 참가에 일반 부스를 배정받았으나 개장과 동시에 예상을 뛰어넘는 숫자의 사람들이 몰렸다. 대기줄이 회장 밖까지 이어질 정도로, 벽 부스는 물론이고 셔터 부스와도 비빌 정도의 행렬을 보여줬다. 게다가 재고를 한계까지 들고서 참가한 건지, 보통 이 정도 대기열의 오오테 부스라면 12~1시 정도면 보통 완매가 되는 데에 비해 3시 가까이가 되도록 재고가 떨어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다. [[블루 아카이브]] 쪽 셔터 부스에서 엄청난 인원을 끌어모았던 [[순수한불순물]][* 다만 이쪽은 대기열의 반수 이상이 한국, 중국쪽 외국인이었다는 당일 참가자의 증언이 있던 것으로 보아 순수하게 일본인 대기자만 따지면 평범한 오오테 부스 정도였던 걸로 판단된다.]과 함께 이번 [[코미케|C101]]에서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준 한국인 작가 중 한 명이었던 셈. 2022년 10월 26일 픽시브 계정이 정지당했다고 한다. 이후 28일, 계정 정지가 다시 해제됐다. 정지된 이유는 일부 만화에서 '''인게임의 이미지[* 에이신 T와 에이신이 서로 이야기하는 사이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SR - [0500・정각대로]|자는 모습이 그대로 공개되어버린]]''' 팔코라던가 하는 식.]를 그대로 사용한 탓에''' 저작권적인 문제로 정지된 것이었다고 하며, 해당 만화는 전부 픽시브에서 내려가는 것으로 복구되었다. 이를 의식한 듯 2023년 2월 22일 올린 도베르 신규 서포카 축하 그림은 자신이 그린 것으로 대체했다. 2023년 9월 11일에 원본마 [[메지로 도베르]]를 직접 만나고 왔다는 글을 올렸다.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1929043|#]] 얼굴은 가렸지만 정작 게시 몇 시간 전, 메지로 도베르가 있는 레이크 빌라팜 공식 트위터계정에서 단체 사진이 먼저 올라왔던(...) 탓에 얼굴이 팔렸다. [[분류:한국의 만화가]][[분류:디시인사이드의 고정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