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Led Zeppelin III]][[분류:1968년 노래]][[분류:1970년 노래]][[분류:레드 제플린 노래]][[분류:포크 록]]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감귤의 재배종, rd1=탄제린, other2=B.I의 Love or Loved Part.1의 수록곡,rd2=Love or Loved Part.1, anchor2=Tangerine)] [include(틀:Led Zeppelin III)] ||<#FCF8EC> '''Tangerine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7796)]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70년대 명곡, 순위=1452)] ---- }}} || ||<#FCF8EC><-2> '''{{{+1 Tangeri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aFjxLMsOuo,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70년]] [[10월 5일]] || || '''스튜디오''' ||헤들리 그레인지 || || '''장르''' ||[[포크 록]] || || '''러닝 타임''' ||3:12 || || '''작사/작곡''' ||[[지미 페이지]]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background: #fffff0; font-size: .9em" [[Led Zeppelin III|{{{#000 '''Led Zeppelin III'''}}}]]}}}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FCF8EC>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ty0BHsm8rc,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9JcPZNLCTY, height=200)]}}} || || '''원곡''' || '''1975년 라이브'''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의 3집 [[Led Zeppelin III]]에 수록된 곡. == 상세 == 본격적인 브리티시 포크 록 넘버. 분위기가 상당히 몽환적이며 가사가 상당히 짧다. 원래는 [[야드버즈]] 시절에 [[지미 페이지]]가 작곡했던 곡이었다. 당시에는 제목도 Tangerine이 아니라 ‘Knowing That I'm Losing You’ 였으며, 레드 제플린으로 개편하기 이전인 1968년 4월에 녹음까지 해 놨었다. 즉 당시 야드버즈 멤버였던 키스 렐프, 지미 페이지, 짐 맥카티, 크리스 드레야가 세션으로 녹음했다는 뜻. 이때 녹음했던 원본은 2017년에 발매된 Yardbirds '68[* 야드버즈가 1968년 초에 작업해 놨던 미발매 곡들이 수록된 앨범이다. 1976년 사망한 키스 렐프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이 2017년에 앨범 발매 작업에 참여했다고.] 앨범에 수록되어 있다.[* 다만 키스 렐프의 보컬은 빠져 있다.] Led Zeppelin III에 수록된 버전은 [[로버트 플랜트]]와 지미 페이지가 브로니어에서 새롭게 작업한 버전이다. [[Dazed and Confused(레드 제플린)|Dazed and Confused]]와 더불어 레드 제플린의 곡 중에서는 로버트 플랜트의 개입 없이 지미 페이지가 솔로로 작사한 곡이지만, 작사의 지분에 관해서는 이견이 있다. 지미 페이지가 100% 솔로로 작사했다는 견해가 있으며, 야드버즈의 보컬이었던 키스 렐프와 공동으로 작사했다는 견해가 있다. 참고로 짐 맥카티와 크리스 드레야는 후자를 주장하고 있으며, 지미 페이지는 전자를 주장하고 있다. 중반부의 지미 페이지의 일렉트릭 기타 솔로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다. 이 곡의 기타 솔로는 [[보틀넥 주법|슬라이드 기타]] 주법이 쓰였는데, 지미 페이지가 슬라이드 바를 활용한 몇 안 되는 솔로 연주곡이다.[* 레드 제플린 해체 후 1980년대 초반에 [[에릭 클랩튼]], [[제프 벡]], [[빌 와이먼]], [[찰리 와츠]]와 [[Layla]]를 연주할 때에 지미 페이지가 슬라이드 바를 사용한 적이 있다.] 극후반부 지미 페이지의 어쿠스틱 기타 리프를 잘 들어보면 [[Stairway to Heaven]]의 솔로와 약간 비슷하다는걸 알 수 있다. 또한 [[존 폴 존스]]는 이 곡에서 [[만돌린]]을 연주하여 음을 더 다채롭게 만들었다. == 가사 == ||<:> ---- '''{{{+2 Tangerine}}}''' ---- Measuring a summer's day 여름날을 관찰하면서 내가 발견한 건 I only finds it slips away to grey 그저 잿빛으로 변해간다는 것뿐이었어 The hours, they bring me pain 그 시간들은 날 고통스럽게 했지 Tangerine, Tangerine 탄제린, 탄제린 Living reflection from a dream 살아있는 꿈의 상이여 I was her love, she was my queen 나는 그녀의 사랑이었고, 그녀는 나의 여왕이었지 And now a thousand years between 그리고 지금은 천 년이라는 시간이 지나버렸어 Thinking how it used to be 난 아직도 그때를 회상하곤 해 Does she still remember times like these? 그녀는 아직 그 시간을 기억하고 있을까? To think of us again? 그때의 우리를 다시 생각하고 있을까? And I do… 나는 그러고 있는데… Tangerine, Tangerine 탄제린, 탄제린 Living reflection from a dream 살아있는 꿈의 상이여 I was her love, she was my queen 나는 그녀의 사랑이었고, 그녀는 나의 여왕이었지 And now a thousand years between 그리고 지금은 천 년이라는 시간이 지나가 버렸어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png|width=1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