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DARK ENVY, other1=능력자X의 등장인물, rd1=다크엔비)] [include(틀:NB Ranger 시리즈)]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i4vqNIP8I8)]}}}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o3p5S-WuV8)]}}}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3 (2008)}}} || || {{{-1 '''장르'''}}} ||{{{-1 NB Rock}}} || || {{{-1 '''BPM'''}}} ||{{{-1 195}}} || || {{{-1 '''작곡/작사'''}}} ||{{{-1 Sugardonut}}} || || {{{-1 '''보컬'''}}} ||{{{-1 Sugardonut}}} || || {{{-1 '''BGA'''}}} ||{{{-1 [[D(디자이너)|D]][br]{{{#!folding [ 출연진 보기 ] 책 읽는 사람: [[ponGlow]][br]초대 레드: [[Urbatronic Chopsticks]][br]현재 레드: [[XeoN]](사운드 엔지니어, 패턴 디자이너)[* 본래는 다른 사운드 엔지니어인 [[7 Sequence]]가 희생될 예정이였으나 머리 크기 때문에 NB 레인저 헬멧이 맞지 않아서 무산(…).][br]블랙: Kalos(마케팅)[br]그린: [[Z_B]](모션 그래픽)[br]블루: SimpSonS(프로그래밍)[br]옐로: Hongshikh(기획)[br]레드의 여자친구: 이정희(실제 XeoN의 부인)[* 촬영 당시에는 여자친구였으나 2013년에 결혼에 골인했다.][br][[Theme of EZ2Dj(커뮤니티)|Theme of EZ2DJ]] 회원들}}}}}} || ||<-2> {{{#!folding [ 가사 보기 ] {{{-2 인게임에 등장하는 가사는 '''볼드체''' 처리.}}} '''난 매일 똑같은 먼 곳을 보면서''' '''늘 두려워하며 길을 걷지 않았지''' '''내 곁에 머물던 그 모든 것들을''' '''난 보지 않은 채 그대로 멈춰 있었지''' '''아아아아아아아 마치 망원경처럼''' '''아아아아아아아''' '''날 볼 수 없었어 난 이렇게''' '''막힌 유리 속에서 바보처럼 꿈꾸고 있어''' '''막혀진 닫혀진 무너진 눈으로''' '''모든 걸 피한 채 난 살고 있었어''' 수많은 날들과 수많은 시간들 난 느끼지 못한 채 지나 보내고 있었지 늘 아쉬워하며 난 후회를 했었지 나를 알지 못했던 그때를 기억하면서 아아아아아아아 마치 망원경처럼 아아아아아아아 날 볼 수 없었어 난 이렇게 막힌 유리 속에서 바보처럼 꿈꾸고 있어 막혀진 닫혀진 무너진 눈으로 모든 걸 피한 채 난 살고 있었어 '''Telescope life (Telescope life)''' '''It's not right (It's not right)''' '''I'll be a fine (I'll be a fine)''' '''OhOh OhOhOh Yeah''' (x2) '''날 볼 수 없었어 난 이렇게''' '''막힌 유리 속에서 바보처럼 꿈꾸고 있어''' 막혀진 닫혀진 무너진 눈으로 모든 걸 피한 채 난 살고 있어 '''언제나 나에게 무겁게 덮혔던''' '''두려운 모든 것을 난 이겨내겠어'''}}} || == 개요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의 수록곡. 약칭은 '''닼엔비'''. 원곡은 밴드 슈가도넛의 3집 앨범 'SugerDonuts'에 수록된 'Telescope'라는 곡이다. 그리고 [[Brandnew Days]], [[First Kiss]], [[If (시간탐험대)|If]]와 함께 [[DJMAX 시리즈]] 곡들 중 노래방에서 부를 수 있는 곡이다. 다만 If와 Telescope는 [[TJ미디어|TJ]]에만 수록된 곡이니 주의. 곡 번호는 [[https://youtu.be/9d3wl8FVw2U|30609]]번.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겠지만 당연히 [[NB Ranger 시리즈]]이며, 원래 이름은 BGA에서 볼 수 있듯이 Dark Envy Knight, 이는 [[다크 나이트]]([[배트맨]])의 오마주이다. 그 외에도 처음에 책을 넘기면서 컷이 휙휙휙 바뀌는 장면은 [[마블 코믹스]] 로고의 패러디. [[NB Ranger : Nonstop Remix]]의 마무리로도 쓰이는 곡이다. 가사는 사회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지 못하는 현대 젊은이들의 모습을 망원경에 빗대어 비판한 가사이다. == BGA == 실사 + 3D 그래픽이었던 [[처음만 힘들지]]와 함께, [[DJMAX 시리즈]] 최초의 실사촬영물이다. 당연히 엔비레인저 시리즈 최초.[* 이후에 같은 엔비레인저 시리즈인NB RANGER-Virgin Force도 실사촬영물이 나오면서 유일한 실사촬영물에선 벗어났다] 엔비레인저 연기를 한 배우들은 모두 당시 펜타비전 직원들이다. 제작자인 D에 의해 희생된 직원들에게 묵념. 또한 뒤쪽에서 엔비레인저들을 응원하는 사람들은 전부 [[Theme of EZ2DJ]] 소속의 리듬게임 유저들이며, 블랙의 수련(?)을 도우며 폐인의 자태를 뽐내던(…) 인물은 [[Urbatronic Chopsticks]]. 추가영상에서는 'NB 멘토'라는 이름이었지만, BGA 아티스트인 [[D(디자이너)|D]]의 블로그에 있는 포스팅에 의하면, 'NB Rangers'의 초대 레드다. 'First Kiss'의 그 꼬마도 알고 보면 초대 레드의 어렸을 적 모습. 이 한 장면만을 위해 1주일간 씻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NB Ranger]] 영상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할려고 했다나 뭐라나.[* NB 레드는 NB Ranger의 BGA 도입부에서 굉장히 구질구질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옥에 티도 약간 존재한다. 예를 들자면 낮에 영상을 촬영했는데 콘티가 밤으로 바뀌는 바람에 후보정을 했는데 이 때문에 대체적으로 영상의 색감이 묘한 부분이 있다.[* 레드와 블랙의 결투 부분 참조] NB 레드를 보고 블랙이 분노하는 부분이라거나…[* 41초. [[First Kiss]]의 그림을 보고 [[하악하악|하악]](…)대는 영상을 재탕해서 약간 어색한 느낌이 있다.] 그래도 [[지구용사 벡터맨]] 못지않은 수준 높은 BGA. [youtube(UzPapsCjfaE)] 제작 비화 동영상. 귀를 조금만 기울여 보면 알겠지만 질문 내용과 자막 내용이 전혀 다른 등등 개그성이 다분한 영상이다. --1:56부터 재수없다며 욕을 하는게 들린다-- [youtube(9H-pR3XqXxU)] DJMAX RESPECT에 DARK ENVY가 수록된 기념으로 Kalos가 [[네오위즈]]에 초대되어 다시 한 번 더 인터뷰를 가졌다. 영상 중간에 어색한 연기로 [[DumpingLIFE]]와 껴안는 장면이 압권이다.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DJMAX CE]] == [youtube(vjjiwU237Ng)] BS의 고난도 곡들과도 견줄 수 있는 무지막지한 난이도의 4B MX. 라이트한 곡이 주로 포진되어 있는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에서 장르의 특성상 당연히 보스곡으로 채택되었으며, 4BFX의 하드패턴은 [[DJMAX Portable Black Square]]의 고난이도곡에도 견줄만한 난이도를 자랑… 했지만, CE확장팩 또는 BS와의 링크디스크로 '''DJMAX 시리즈 사상 최악의 막장 난이도를 가진 4B,4BFX MX 패턴이 등장한다.''' 난이도는 4B가 15, 4BFX가 14이며 4버튼 내에서 15레벨이 나온 건 이 패턴이 최초. 혹시나 CE를 가지고 있으면서 링크디스크나 CE 확장팩을 한번도 해보지 않았다면 꼭 한번쯤 체험해 보도록 하자. == [[DJMAX TECHNIKA 시리즈]] == [youtube(9EuZ4rNW4Rc)] (HD 패턴) ||<-6>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 Star || D || 100 Max || 4 || 4박 스크롤 || || || Normal || D || 150 Max || 6 || 4박 스크롤 || [[Black & White Set]] 하위 보스곡, [[Future Challenge|미션 - R+V]] 수록 || || {{{#white Hard}}} || C || 200 Max || 7 || 4박 스크롤 || [[Super Speed Set]] 셀렉곡, [[Labyrinth(DJMAX)|미션 - JUSTice Judgement]] 수록 || 테크니카 1주년 업데이트의 파일 목록중에 이곡이 수록되어 있었다는 소문이 있었고, 결국 차기작인 [[DJMAX TECHNIKA 2]]에서 포인트 구입시 해금이 가능한 곡으로 등장하였다. 이후 [[DJMAX TECHNIKA 3]]으로는 그대로 이식되었다. 근데 곡이 좀 많이 달라져서 이 버젼을 들은 슈가도넛은 그저 웃기만 했다는 전설이 있다 [[카더라 통신|카더라.]]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C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RK ENVY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c1903d 0%, #c1903d 1.8%, #f2bb04 1.8%, #f2bb04 3.5%, #ffe520 3.5%, #ffe520 5.2%, #fff075 5.2%, #fff075 8.2%, #fff4b1 8.2%, #fff4b1 10.2%, #fff9db 10.2%, #fff9db 34%, #ffffff 34%, #ffffff 58%, #fffbea 58%, #fffbea 62.5%, #f7ecbf 62.5%, #f7ecbf 66.5%, #f6dd91 66.5%, #f6dd91 68.5%, #edc95b 68.5%, #edc95b 72%, #dcb335 72%, #dcb335 73.7%, #e6bc3a 73%, #e6bc3a 74.7%, #dcaf13 74.7%, #dcaf13 77%, #d59c00 77%, #d59c00 78.5%, #ba8b0a 78.5%, #ba8b0a 83%, #ac7b22 83%, #ac7b22 86%, #906b33 86%, #906b33 87.5%, #a97d1f 87.5%, #a97d1f 88%, #c48f1f 88%, #c48f1f 89.5%, #daa742 89.5%, #daa742 91%, #f3da8c 91%, #f3da8c 92.5%, #daa742 92.5%, #daa742 94%, #d59c00 94%, #d59c00 97.2%, #af9043 97.2%, #af9043 98.7%, #d9c256 98.7%, #d9c256 100%)" '''{{{#737373 CLAZZIQUAI}}}'''}}} || ||<-4>'''{{{+5 Dark ENVY}}}'''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7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3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1.22 패치에서 14 → 15로 상향.] [br] {{{-5 1063}}}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14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5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9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68}}}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262}}}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5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4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49}}}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269}}}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5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9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22}}}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216}}} || ||<-5> 특수 패턴 || || 4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s-7.2.5|End of Metro Project /V]]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9db,#ffffff,#f7ecbf)"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클래지콰이 에디션 수록곡인 만큼 CLAZZIQUAI EDITION DLC에도 수록될 예정이였으나, 발매 당시에는 음원 계약 문제로 제외되었다. 계약 문제가 해결되면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될 수 있다는 발표가 있었으며, 2018년 [[2월 14일]]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업데이트 소식이 공개되었고, 2월 20일에 1.11 패치로 추가되었다. 4B와 4BFX에만 고난이도가 편중되었던 구작의 링크디스크와는 다르게 전 난이도의 MX 패턴에 높은 난이도가 부여되었다. V의 경우 2020년 5월 28일 CLAZZIQUAI EDITION DLC 팩에 바로 수록되었으며 5B와 6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이후 시즌 10 업데이트로 4B와 8B에도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패치 당일 [[https://youtu.be/9H-pR3XqXxU|10년 전의 제작 비화 영상을 자체 패러디한 영상]]이 올라왔는데, 여전히 질문하고 자막이 안 맞는 개그를 보여주었다. ~~디제이맥스 [[가즈아|가즈아아아아?]]~~ 여담이지만 까를로스가 자기가 살을 쪘다는 걸 강조하는데 10년 전이랑 비교하면 티가 날 정도로 많이 쪘다. === 4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otXtQnU17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uGIUki4dj8)]}}}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rmTa2j3s6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pfjVhy60p4)]}}} || 말 많았던 4B MX는 구작과는 다르게 그나마 인간적인 패턴이지만 어려운 건 매한가지로, 특히 최후살의 3번축 동시치기가 킬링 파트로 구작 패턴을 참고한 듯한 흔적이 있다. 해당 3번축 동시치기의 경우 못 치는 사람은 죽어도 못 치는 형태이기에 키보드 플레이로 넘어온 V에서도 해당 파트 하나로 11레벨 SC 수준의 패턴으로 평가받는 등 상당히 어렵기에 주의해줄 필요가 있다. 업데이트로 추가된 4B SC는 MX 패턴에서 밀도를 살짝 높인 형태로 12-23-34와 같은 겹계단 형태의 동시치기가 자주 나오고, 빠른 드럼 비트와 함께 등장하는 트릴에서 동치시기를 섞어 난이도를 올리거나 사이드 및 롱노트를 활용해 롱잡 테크닉을 요구하는 등 전반적인 난이도를 살짝 높였다. 다만 최후살의 경우 MX에서 어렵다고 평가받았던 3번 축 동시치기는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패턴에 쥐약이었던 유저라면 SC가 오히려 더 쉽다고도 느낄 수 있다. === 5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MjkNf3zYC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qzpZ1OZF9M)]}}}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RNi4o4XkC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uGBFi5AK1c)]}}} || 5B MX는 5버튼 특유의 3번 축 패턴이 자주 나온다. 단순 3번 레이저는 기본으로 나오고, [[Feel Ma Beat]]에서 나오던 13-34 계단이나 1-3,3-5 동시치기나 가변을 유도하는 45 동시치기+트릴 등 단순 2/3이나 3/2만으로는 정확히 치기 어려운 패턴이 많다. 다만 박자 자체는 노래에서 가장 크게 들리는 소리만 따라가기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는 크게 어렵지 않다. 5B SC는 [[NB RANGER - Virgin Force]] 8B SC가 등장하기 전까지 NB Ranger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서 동일곡 6B SC와 함께 가장 어려운 패턴으로 평가받았다. 초반부에는 평범한 배치가 나오다가 16비트 1 2 3 나선계단 + 8비트 5 4 잡노트가 등장한 이후로 짧은 롱노트가 섞이는 8비트 동시치기 패턴이 등장이 주로 등장하며, 중반부 진입 시 16비트 3 4 5 → 3 2 1 나선 계단이 나오고, 그 뒤로도 16비트 1 2 트릴 + 8비트 4 5 겹축연타 + 4비트 3번 잡노트 패턴과 8비트 1 2 겹축연타 + 16비트 3 4 → 4 5 & 4 5 트릴, 중후반부 16비트 24 5 트릴, 후반부 8비트 1번 축연타 + 4비트 2번 축연타 + 16비트 3 4 트릴 등 매우 까다롭게 노트 배치가 되어있으며 BPM 또한 매우 높은 탓에 제대로 보고 치기 힘들다. 랜덤을 걸면 난이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으며, 기존 킬링 파트였던 약지-중지 트릴+3/2 동시치기나 후반부 축 동시치기의 난이도가 크게 내려간다. 등장 시점에선 매우 어려운 패턴으로 평가받았으나 랜덤이 통하기 때문에 평가가 내려갔고, SC 난이도 개편 시점에서는 14레벨 하위권 정도로 평가받는다. === 6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WFjyM3_1m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5_lNjfSwXg)]}}}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OcjiAvjpF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T_weIZ4ACk)]}}} || 6B MX는 간단한 패턴 구성을 매우 높은 BPM으로 커버한 유형으로, 트릴이 길게 떨어지는 것 외에는 특이사항이 없으나 195BPM의 16비트 트릴은 DJMAX 수록곡 전체를 놓고 봐도 매우 빠른 편에 속하기 때문에 13레벨 러너라면 패턴을 알아도 못 치는 경우가 빈번하다. 다만 손이 빠르다면 난이도가 크게 내려간다. 6B SC의 경우 5B 패턴을 6B로 펼쳤으며 기존에 까다로웠던 구간들이 여전히 남아있기에 6B 내에서도 상위권에 위치한다. 오히려 펼치면서 더 어려워진 구간도 생겼는데, 0:34 부근 나선계단은 5B는 양손으로 나눠서 처리할 수 있었던 반면 6B는 짤없이 한손으로 처리해야 하고, 1:33의 트릴은 5B에서 검중트릴이었던 반면 6B에서 중약트릴로 나온다. 전반적으로 동시치기 성향의 패턴이지만 동시치기 난이도보다는 상술한 트릴+계단이 어려운 패턴. 전반적으로 왼손에 어려운 배치들이 몰려있기에, 왼손이 약하다면 미러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미러 옵션은 오른손 처리력이 상당히 좋아야 하기에, 그렇지 못한 경우 트릴을 완화할 수 있는 랜덤이나 하프 랜덤 이펙터를 추천한다. 랜덤의 경우 배치를 뽑기 어려운 것이 문제이지만 배치를 잘 뽑으면 상당히 수월하게 플레이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원핸드 실력을 갖춘 유저라면 하프 랜덤도 좋은 선택이다. === 8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Cgz1AQnsC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XDEkkwW0A8)]}}}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y_gjsEjnH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YqoG9p7mOI)]}}} || 8B MX는 최후반부에서 난이도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구조로, L+R+@ 동시치기가 4비트마다 끼어들어 처리도 어렵고 실수 이후 복구는 더 어렵다. 14레벨 안에서는 상위권 정도에 위치한다. 8B SC는 [[NB RANGER - Virgin Force]] SC마냥 동시치기로 난이도를 높였을 거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4B SC처럼 드럼과 함께 등장하는 각종 트릴과 사이드 및 롱노트를 적극 활용한 롱잡 패턴으로 난이도를 높였다. 트릴 부분에서 빠른 드럼 비트에 맞춰 트리거가 끼어들기 때문에 판정이 말리기 쉽고, '닫혀진~'과 함께 등장하는 롱잡 부분의 구성이 BREAK가 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어 SC 13레벨 내에서의 맥스 콤보 난이도는 꽤나 높은 편이다. 다만 오히려 8B MX에서 가장 어려웠던 최후반부의 경우 SC에서는 무난한 동시치기만 내내 등장하기 때문에 가장 쉬운 파트이며, 중반만 넘긴다면 그 이후로는 어려운 부분이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그 외로 5B, 6B SC 패턴처럼 특별히 피지컬적으로 까다로운 건반 패턴이 등장하는 것도 아니라서, 초중반까지의 어려운 구간만 잘 숙지한다면 스코어링 난이도는 크게 내려가는 편이다. [[분류:NB Ranger 시리즈]][[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