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The Angry Video Game Nerd)] [목차] [clearfix] === 에피소드 === AVGN 에피소드는 좁게 보면 AVGN 시리즈로 넘버링을 붙이고 있는 에피소드, 넓게 보면 AVGN이 출연한(혹은 제임스 롤프가 등장하는 비디오 게임에 관련되어 올린) 모든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전자를 본편으로 하고 후자에서 본편을 뺀 걸 번외편으로 보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번외편의 경우에 범위가 상당히 넓기에 어디까지를 AVGN의 에피소드로 볼 지 애매함이 있다. 본편에 대해서는 Cinemassacre의 [[유튜브]] 채널에 32화를 제외한 모든 에피소드를 올린 상태이다. 다만 영화 화면을 쓰는 경우 저작권 문제로 인해 영상이 수정된 경우가 있는데, 닌자 거북이 영화를 다루는 18, 19화는 영상의 일부를 정지 화상으로 대체해서 한 편으로 합쳐서 올린 상태며, 그 외에도 알게 모르게 초기 공개본과 수정된 경우는 있다. [[http://cinemassacre.com/category/avgn/avgnepisodes/|본편]]·[[http://cinemassacre.com/category/avgn/avgn-related/|AVGN 관련 영상 모음]] 2편부터 58편까지는 Cinemassacre Clips 채널에서 화질 리마스터 버전을 감상할수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MjUHdz2_v_o&list=PLNatApsEKldRO-4DTOi1t0DQuD5yaM3QV&index=1|#]] 자세히 보면 게임 목록 상당수가 당시 개봉한 영화와 관련되어 있다. === 파일럿(2004년 5월) === || {{{#white '''회차'''}}} ||<-4> {{{#white '''제목'''}}} || {{{#white '''일자'''}}} || || {{{#white '''링크'''}}} || {{{#white '''게임/기기 이름'''}}} || {{{#white '''플랫폼'''}}} || {{{#white '''제작'''}}} || {{{#white '''유통'''}}} || {{{#white '''비고'''}}} || || {{{#black 1}}} ||<-4> {{{#black Castlevania II: Simon's Quest (NES)}}} || {{{#black 2004/05/16}}} || || [[https://www.youtube.com/watch?v=V4we8iFk-fY|#]] || [[드라큘라 2 저주의 봉인]] || [[패밀리 컴퓨터|NES]] ||<-2> [[코나미]] || [* 리뷰에서는 그렇게 깠던 것과는 달리, 나중에 메이킹 필름에서는 자신이 이 게임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 || {{{#black 2}}} ||<-4> {{{#black Dr. Jekyll and Mr. Hyde (NES)}}} || {{{#black 2004/05/28}}} || || [[https://www.youtube.com/watch?v=6M_4Yqk65f8|#]] || [[지킬 박사와 하이드(게임)|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 NES || [[어드밴스 커뮤니케이션]] || [[도호]], [[반다이]] || || === 시즌 1(2006년 2월 ~ 2006년 12월) === || {{{#white '''회차'''}}} ||<-4> {{{#white '''제목'''}}} || {{{#white '''일자'''}}} || || {{{#white '''링크'''}}} || {{{#white '''게임/기기 이름'''}}} || {{{#white '''플랫폼'''}}} || {{{#white '''제작'''}}} || {{{#white '''유통'''}}} || {{{#white '''비고'''}}} || || 3 ||<-4> The Karate Kid (NES) || 2006/02/10 || || [[https://www.youtube.com/watch?v=9DfdRdOM_B0|#]] || [[베스트 키드#s-4.2|가라테 키드]] || NES || [[ATLUS]] || [[LJN]] || || || 4 ||<-4> Who Framed Roger Rabbit (NES) || 2006/04/24 || || [[https://www.youtube.com/watch?v=l-6WakV0kWM|#]] ||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 NES || [[레어 Ltd.|레어]] || LJN || || || 5 ||<-4>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NES) || 2006/06/21 || || [[https://www.youtube.com/watch?v=XjUz8IT0CYg|#]] || [[닌자 거북이(게임)|닌자 거북이]] 1 || NES ||<-2> [[코나미]] || || || 6 ||<-4> Back to the Future (NES) || 2006/07/21 || || [[https://www.youtube.com/watch?v=y306cWw98a4|#]] || [[백 투 더 퓨쳐 시리즈|백 투 더 퓨처]] || NES || 빔 소프트웨어[* [[KKND]] 시리즈를 개발한 회사이다.] || LJN || || || 7 ||<-4> McKids || 2006/08/30 || || [[https://www.youtube.com/watch?v=qVBerX6Dzmc|#]] || 맥키즈 || NES ||<-2> [[버진 인터렉티브]] || [* '''오프닝곡이 최초로 삽입된 화'''이다.] || || 8 ||<-4> Wally Bear and the No! Gang || 2006/09/01 || || [[https://www.youtube.com/watch?v=QVS0Uks4ZUw|#]] || 월리 베어 나쁜 짓은 안돼! || NES ||<-2> AVE[* American Video Entertainment] || || || 9 ||<-4> Master Chu and the Drunkard Hu || 2006/09/08 || || [[https://www.youtube.com/watch?v=sayp5lieKuU|#]] || [[초류향#s-1.1.3|마스터 추와 주정뱅이 휴]] || NES ||<-2> [[성겸 엔터프라이즈|Joy Van]] || || || 10 ||<-4> Top Gun (NES) || 2006/09/15 || || [[https://www.youtube.com/watch?v=ofM11nPzFo0|#]] || [[탑건(게임)|탑건]] || NES ||<-2> 코나미 || || || 11 ||<-4> Double Dragon III (NES) || 2006/09/22 || || [[https://www.youtube.com/watch?v=kMg6_IXCjo4|#]] || [[더블 드래곤 3]] || NES ||<-2> [[테크노스 저팬]] || || || 12 ||<-4> Friday the 13th (NES) || 2006/10/13 || || [[https://www.youtube.com/watch?v=1raUvGNbZFg|#]] || [[13일의 금요일 시리즈|13일의 금요일]] || NES || ATLUS || LJN || 2006 할로윈 1부[* 여기서부터 게임 소재를 이용한 액션이 본격적으로 삽입되기 시작했다.] || || 13 ||<-4> A Nightmare On Elm Street (NES) || 2006/10/31 || || [[https://www.youtube.com/watch?v=3p713bNaO4A|#]] || [[나이트메어 시리즈|나이트메어]] || NES || 레어 || LJN || 2006 할로윈 2부[* 참고로 이 때 나온 프레디의 손은 Mrs.Nerd의 손이다.] || || 14 ||<-4> The Power Glove (NES) || 2006/11/15 || || [[https://www.youtube.com/watch?v=MYDuy7wM8Gk|#]] || [[파워 글러브]] || NES ||<-2> 마텔 || || || 15 ||<-4> Chronologically Confused about Sequel Titles[* DVD판 제목은 (The Angry Video Game Nerd Is) Chronologically Confused About Bad Movie And Video Game Sequel Titles.] || 2006/11/18 || || [[https://www.youtube.com/watch?v=OEVzPCY2T-g|#]] ||<-5>게임과 영화 시리즈 중에서 제목으로 시리즈의 몇편인지 알기 어려운 경우를 정리했다.[br]게임 / [[스트리트 파이터 2]]의 마이너 체인지 버전들, [[록맨 시리즈]],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더 로스트 레벨즈|슈퍼 마리오 2]]와 [[슈퍼 마리오 USA|USA]],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br]영화 / [[할로윈 시리즈]], [[스타트렉|스타 트렉 시리즈]], [[록키 시리즈]], [[람보 시리즈]], [[에일리언 시리즈]], [[당산대형]]-[[정무문]]-[[맹룡과강]],[br][[용형호제 시리즈]], [[시체들의 새벽]] 관련 좀비 영화들, [[총알탄 사나이]] 시리즈 || || 16 ||<-4> Rocky (SMS) || 2006/12/14 || || [[https://www.youtube.com/watch?v=v7poR6G3hec|#]] || [[록키]] || [[세가 마스터 시스템|SMS]] ||<-2> [[세가]] || [* [[록키 발보아]]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 또 이 에피소드부터 오프닝 음악의 가사가 Angry Nintendo Nerd에서 Angry Video Game Nerd로 바뀌었다. 기존 영상에는 록키 영화 장면이 틈틈히 삽입되었으나,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현재 영상에는 영화 삽입 부분이 모두 삭제되었고 타이틀 아트가 변경되고 끝 부분에 추가 영상이 편입되어서 나오는 등 거의 리메이크되어서 나왔다.] || || 17 ||<-4> Bible Games || 2006/12/23 || ||<|5> [[https://www.youtube.com/watch?v=LkNvQYiM6bw|#]] || Bible Adventures ||<|2> NES ||<-2><|5> 위즈덤 트리 ||<|5> [[성경]] 게임 1편 || || Bible Buffet || || Super 3D Noah's Ark || [[슈퍼 패미컴|SNES]] || || Spiritual Warfare ||<|2> NES || || The King of Kings || === 시즌 2(2007년 2월 ~ 2008년 2월) === || {{{#white '''회차'''}}} ||<-4> {{{#white '''제목'''}}} || {{{#white '''일자'''}}} || || {{{#white '''링크'''}}} || {{{#white '''게임/기기 이름'''}}} || {{{#white '''플랫폼'''}}} || {{{#white '''제작'''}}} || {{{#white '''유통'''}}} || {{{#white '''비고'''}}} || || 18 ||<-4>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3: Part 1 || 2007/01/25 || || 19 ||<-4>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3: Part 2 || 2007/01/25 || || [[https://www.youtube.com/watch?v=KoLrymTT2co|#]] ||<-5>게임이 아닌 영화 [[닌자 거북이#s-6.1.1|닌자 거북이 초기 3부작]](주로 3편) 리뷰.[* 초기에는 영상이 2 파트로 번호도 두 개로 매겨져있었으나 이후 리뷰 중 영상으로 된 영화 장면을 정지 화상으로 바꾼 뒤 한 영상으로 합쳐서 편집했다.] || || 20 ||<-4> Atari 5200 || 2007/02/13 || || [[https://www.youtube.com/watch?v=AknyR-kRvLc|#]] || '''[[아타리 5200]]'''[br]프로라인 트랙 볼 컨트롤러 || [[아타리 5200]] ||<-2> [[아타리]] || || || 21 ||<-4> Ghostbusters (NES) || 2007/02/27 || || [[https://www.youtube.com/watch?v=TLVGmvmNitg|#]] || [[고스트 버스터즈]] || NES || 비츠 라보라토리 || [[액티비전]] || [* 후술할 다른 고스트 버스터즈 시리즈와는 달리 각각의 파트마다 아주 세세하게 리뷰했다.] || || 22 ||<-4> Ghostbusters: Follow-Up[*수정전 수정 전의 제목][br]Ghostbusters Part 2 (NES) || 2007/03/20 || ||<|3> [[https://www.youtube.com/watch?v=qF2snKCmqJo|#]] || 고스트 버스터즈 || NES || 비츠 라보라토리 || 액티비전 ||<|3> || || 고스트 버스터즈 for the 아타리 2600 || [[아타리 2600]] ||<-2> 액티비전 || || 고스트 버스터즈 || [[세가 마스터 시스템|SMS]] || [[컴파일]] || [[세가]] || || 23 ||<-4> Ghostbusters: Conclusion[*수정전][br]Ghostbusters Part 3 (NES) || 2007/04/03 || ||<|2> [[https://www.youtube.com/watch?v=kZfq-IPlLF8|#]] || 고스트 버스터즈 II || NES || Imagineering Inc || 액티비전 ||<|2> [* 여기서 AVGN은 나름대로 자신이 생각하는 똥겜의 정의(흥행영화=최악의 똥겜, 그닥 흥행하지 않은 영화=그래도 할 만한 게임)를 내리며, 제네시스 판은 다른 고스트 버스터즈 시리즈 게임들에 비하면 할 만한 게임이라 평가했다. 그리고 말미에는 어렸을 적 고스트 버스터즈의 광팬이었던 만큼 차기작이 나와주길 바란다며 본인 나름대로의 팬심을 보여주기 까지 했다. 하지만 9년 뒤 나온 [[고스트버스터즈(2016)|후속작]]은 해당 영화를 둘러싼 여러 논란 등에 실망한 나머지 AVGN이 리뷰 보이콧을 선언하고 말았다. ~~[[SJW|어떤]] [[페미나치|작자]]들이 그 영상을 보고 롤프가 여혐종자라며 되도 않는 여론조작+마녀사냥을 한 건 덤~~] || || 고스트 버스터즈 || [[메가 드라이브|MD]] || 컴파일 || 세가 || || 24 ||<-4> Spider-Man || 2007/04/17 || ||<|4> [[https://www.youtube.com/watch?v=omW1E7rv7IM|#]] || 스파이더맨 || 아타리 2600 ||<-2> [[해즈브로|파커 브라더스]] ||<|4> [* [[스파이더맨 3]]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 || || 스파이더맨: 돌아온 시니스터 식스 || NES || 비츠 스튜디오 || LJN ||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 [[게임보이|GB]] || 레어 || LJN || || 스파이더맨 2 || [[게임보이 어드밴스|GBA]][* 게임은 [[닌텐도 DS]]로 실행] || 디지털 이클립스 || 액티비전 || || 25 ||<-4> Sega CD || 2007/05/02 || ||<|2> [[https://www.youtube.com/watch?v=g2eH3vYbdGo|#]] ||<-2> '''[[메가 CD|세가 CD]]''' ||<-2> [[세가]] ||<|2> [* AVGN 주제가 풀버전이 이 화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 ||<-4> {{{#!folding [ 게임 목록 열기 · 닫기 ] Ground Zero: Texas / [[스카티 피펜|Slam City with Scottie Pippen]] / Double Switch / ~~Corpse Killer~~[* 다행히도(?) CD에 문제가 생기는 바람에 리뷰에서 제외되었다. 후일 제임스&마이크 먼데이에서 다루어졌고, 2021년에 192화에서 [[3DO]] 버전으로 플레이하면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졌다.] /[br][[타임 걸]] / Lethal Enforcers / The Adventures of Willy Beamish / Road Avenger / [[쥬라기 공원 시리즈#s-12|Jurassic Park]] /[br]Prize Fighter / Sol-Feace / [[터미네이터 시리즈#s-5.6|The Terminator]] / Sherlock Holmes: Consulting Detective /[br]Dracula Unleashed / Bram Stoker's Dracula / Wonder Dog / Sewer Shark / [[소닉 더 헤지혹 CD]]}}} || || 26 ||<-4> Sega 32X || 2007/05/15 || || [[https://www.youtube.com/watch?v=VvR_3OTxs8A|#]] ||<-2> '''[[슈퍼 32X|세가 32X]]''' ||<-2> 세가 || [*수록게임32x [[프라이멀 레이지]], [[버추어 파이터]], [[스타워즈 아케이드]], [[둠]]] || || 27 ||<-4> Silver Surfer (NES) || 2007/06/05 || || [[https://www.youtube.com/watch?v=gvnRBywkUZ0|#]] || [[실버 서퍼#s-5.3|실버 서퍼]] || NES || 소프트웨어 크리에이션스 || 아카디아 시스템즈 || [* 판타스틱 4 실버 서퍼의 위협 개봉을 앞두고 제작.] || || 28 ||<-4> Die Hard (NES) || 2007/06/19 || || [[https://www.youtube.com/watch?v=RL0YWB8wMDs|#]] || [[다이 하드 시리즈|다이 하드]] || NES || 액티비전 || || [* [[다이 하드 4.0]]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 || || 29 ||<-4> Independece Day || 2007/07/03 || || [[https://www.youtube.com/watch?v=tHbz_sXa_tQ|#]] || [[인디펜던스 데이]] || [[플레이스테이션]] || 액티비전 || || [* 미국 독립기념일을 앞두고 나왔다.] || || 30 ||<-4> Simpsons || 2007/07/17 || || [[https://www.youtube.com/watch?v=X0v8BNqiu_U|#]] || 심슨 가족: 바트 vs. 우주 돌연변이/세계 || NES || 어클레임 || || [* 심슨 극장판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 || || 31 ||<-4> Bugs Bunny's Birthday Blowout || 2007/08/07 || || [[https://www.youtube.com/watch?v=InrosBUSGh4|#]] || 벅스 버니의 생일 파티 || NES || 켐코[* 일본에 소재한 코토부키 시스템의 게임 사업용 브랜드. 주로 이 게임과 같이 서양 카툰 소재(특히 디즈니, 워너브라더스)의 캐릭터 게임들을 많이 출시하거나 서양 게임을 이식하였다.] || || || || 32 ||<-4> Atari porn || 2007/08/22 || || [[https://www.youtube.com/watch?v=G8ZNsAUTkG4|#]] || 아타리 포르노 게임 다수 || 아타리 2600 || Mystique || || [* 소재의 선정성 때문인지 유튜브 시네매서커 계정에 업로드된 AVGN 영상들은 이 에피소드만 빠진 채로 업로드되어 있다. 다른 유저들이 올린 해당 화도 대부분 성인 인증을 해야 볼 수 있다.][* 여담으로 크레딧에 쓰인 브금은 [[록맨 2]]의 [[메탈맨]] 스테이지 브금 리믹스 버전이다.] || || 33 ||<-4> Nintendo Power || 2007/09/04 || || [[https://www.youtube.com/watch?v=rLTuC6Qw_hE|#]] || [[닌텐도 파워]] || || 닌텐도 || || [* 닌텐도 게임 관련 잡지에 대한 에피소드]|| || 34 ||<-4> Fester's Quest || 2007/09/18 || || [[https://www.youtube.com/watch?v=uheyRCuexuI|#]] || 페스터의 모험([[아담스 패밀리]]) || NES, 세가 제네시스 || [[선소프트]], 오션 || || || || 35 ||<-4> Texas Chainsaw Massacre(2007 할로윈 특집 1부) || 2007/10/10 || || [[https://www.youtube.com/watch?v=/rW3qh_PDFPQ|#]] || [[텍사스 전기톱 학살]] || 아타리 2600 || Wizard Video || || || || 36 ||<-4> Halloween(2007 할로윈 특집 2부) || 2007/10/31 || || [[https://www.youtube.com/watch?v=-D8dZxjdSXU|#]] || 할로윈 || 아타리 2600 || Wizard Video || || || || 37 ||<-4> [[Dragon's Lair]] || 2007/11/20 || || [[https://www.youtube.com/watch?v=8WYRCNIaRn8|#]] || [[Dragon's Lair]] || NES || 이미지 소프트 || || || || 38 ||<-4> 화가 난 Nerd의 [[크리스마스 캐럴]]: 파트 1(Home Alone 2) || 2007/12/18 || || [[https://www.youtube.com/watch?v=96_XqMbijPw|#]] || [[나홀로 집에]] 2 || NES || [[THQ]] || || || || 39 ||<-4> 화가 난 Nerd의 [[크리스마스 캐럴]]: 파트 2([[샥 푸]]) || 2007/12/24 || || [[https://www.youtube.com/watch?v=NsMPfp-XcGk|#]] || [[샥 푸]] || [[SNES]], [[Wii]] || Delphine Software || || || || 40 ||<-4> AVGN이 혼동한 [[젤다의 전설 시리즈/역사|젤다 시리즈의 시간 순서에 대한 연대학적 혼란]] || 2008/01/08 || || [[https://www.youtube.com/watch?v=bOii8KVG7Kg|#]] ||<-2> 젤다 시리즈 역사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 || || || || || 40 ||<-4> Rambo || 2008/01/22 || || [[https://www.youtube.com/watch?v=MKenYrGsSAs|#]] || [[람보]] || NES, 세가 마스터 시스템 || 어클레임 || || [* [[람보 4: 라스트 블러드]] 개봉에 맞춰 공개되었다.] || === 시즌 3(2008년 2월 ~ 2009년 2월)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42||[[버추얼 보이]](Virtual boy)[* 영상을 업데이트하면서 리뷰하지 못했던 '잭 브라더스' 부분을 추가 리뷰하였다.]||[[닌텐도]]||[[버추얼 보이]]|| ||43||[[오즈의 마법사(게임)|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세타#s-4|SETA]]||[[SNES]]|| ||44||더블 비전: 1부([[인텔리비전]])(Intelivision)[* AVGN 주제가의 리믹스 버전이 삽입되었다.]||마텔||[[인텔리비전]]|| ||45||더블 비전: 2부([[콜레코비전]])(Collecovision)||콜레코||[[콜레코비전]]|| ||46||[[전자오락의 마법사]]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The Wizard / Super mario Bros.3)[* 게임을 까는 것과는 동떨어진 소재인지 유튜브 영상은 본 계정인 cinemassacre에는 없고 부계정인 cinemassacre play에 있었다가 12년 만인 2020년 8월 26일에 본 계정에 업로드했다.][* 팬들이 주제곡을 커버한 UCC들을 편집하였다.] ||닌텐도||<|2>NES|| ||47||NES 주변기기(NES accessorys)[* 현재 cinemassacre 채널에서 가장 조회수가 높다.]|| || ||48||[[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인디아나 존스]] 3부작(Indiana Jones Trilogy)[*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 왕국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 전 화의 마지막 부분(AVGN이 인디아나 존스 모자를 쓰고 NES판 인디아나 존스 주제가가 엔딩곡으로 나왔다)과 리뷰 시작부터 "3부작? 이제 4편 나오는데?!!"라며 영화 때문에 나온 것임을 강조했다.][* 타이토 버전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은 지나가는 듯이 소개하면서 상세 게임을 다루진 않았으나 DVD 에디션에서 따로 리뷰하였다.]||[[아타리]], 유비소프트, 타이토||[[아타리 2600]], NES, SNES|| ||49||[[스타트렉]](Star Trek)||인터플레이||[[벡트렉스]], 아타리 2600, 콜레코비전,[* 아담스 컴퓨터 또한 가능] NES|| ||50||[[슈퍼맨]](1부)(Super Man)||아타리, 켐코||[[아타리 7800]],[* 다만 게임은 2600용이다.] NES[* NES 판에 슈퍼맨 테마송이 없다고 불만을 표했는데 일본에서 먼저 발매했던 패미컴 판에는 슈퍼맨 테마송이 있었다.] || ||51||[[슈퍼맨(1999년 게임)|슈퍼맨 64]](2부)||타이터스||[[코모도어 64]], [[닌텐도 64]]|| ||52||[[배트맨]]: 1부[* [[다크나이트(영화)]]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 여담으로 비슷한 시기에 [[AVGN vs NC]]도 찍었다. 그리고 이 때를 기점으로 스튜디오가 바뀌었다.]||선소프트||코모도어 64, NES, SNES, [[세가 CD]], [[아타리 링스]]|| ||53||배트맨: 2부(Batman)[* 오프닝은 1966년 드라마 판 배트맨의 패러디(주제곡까지 1966년판 배트맨 오프닝곡을 사용)다.([[https://www.youtube.com/watch?v=EZ9ymE2Rcxo|#]])]||선소프트||NES, [[게임보이]], [[세가 제네시스]]|| ||54||마종(Deadly Towers, 죽음의 탑)||[[브로더번드]]||<|3>NES|| ||55||[[배틀토드]]||레어|| ||56||[[딕 트레이시]][* 2010년에 체력 회복에 관하여 업데이트 된 부분이 있다. 사람들이 지적해 주었던 부분에 대한 피드백인 듯.]||반다이|| ||57||[[드라큘라]](2008 할로윈 특집 1부)(Dracula)|| ||VIC-20, 인텔리비전 2, NES,[* NES용은 출시되지 않았지만 카트리지는 모조품이다.]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게임은 [[게임보이 컬러|컬러]]용이지만 영상에서 GBA SP로 돌리는 장면이 잠깐 나온다.] SNES, 제네시스, 세가 CD|| ||58||[[프랑켄슈타인]](2008 할로윈 특집 2부)(Frankenstein)|| ||SNES, NES|| ||59||CD-i 1부([[호텔 마리오]])||[[필립스]]||[[CD-i]]|| ||60||CD-i 2부([[젤다의 전설 CD-i 시리즈|젤다: 가멜론의 지팡이]])||필립스||CD-i|| ||61||CD-i 3부([[젤다의 전설 CD-i 시리즈|링크: 사악한 얼굴, 젤다의 모험]])||필립스||CD-i|| ||62||성경 게임 2[* 그 중에서 등장한 위기일발 해변/일요일은 즐거워 같은 경우, 미스 피치 월드라는 일본산 성인 게임을 무단개조한 것이다. 즉 원래 쓰레기 게임이었던 것을 2번씩이나 우려먹은 것.]||위즈덤 트리[* 사실, 위즈덤 트리가 컬러 드림즈의 후속 명의이다. AVGN이 후일 레이드 2020편에서 언급하기를 컬러 드림즈는 닌텐도의 라이센스를 받지 않은 게임을 팔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닌텐도가 '컬러 드림즈 게임 파는 곳은 카트리지 공급하지 않겠다'고 강수를 두는 바람에 제대로 된 게임매장에서 게임을 판매할 수 없게 되자, 그 틈새를 노리기 위해 위즈덤 트리라는 레이블을 만들어서 이 에피소드에서 다룬 게임들을 기독교 서점 등에 파는 식으로 우회했다. 알고 보면 원래 회사는 딱히 기독교 계열 회사가 아니었고, 닌텐도의 압박을 피해기 위해 크리스천 머니를 노리고 우회한 것이 위즈덤 트리.]||NES, SNES, CD-i[* 게임보이판의 King James Bible(킹 제임스 성경)이라는 게임에 대해서도 잠깐 언급은 했으나 상당히 희귀품이라며 리뷰는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후 성경 게임 3에서 팬으로부터 기부를 받았는지 3편에서 가장 처음으로 이 게임을 리뷰했다.]|| ||63||[[마이클 잭슨]]의 [[문워커]]||세가||제네시스|| ||64||[[미궁조곡]](마일론의 비밀의 성)||허드슨||NES|| ||번외 7||2008년의 10대 Nerd 사건|| || || === 시즌 4(2009년 3월 ~ 2010년 3월)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번외 8||나의 NES 컬렉션(My NES Collection)|| || || ||65||[[아타리 재규어]] 1부||아타리||[[아타리 재규어]]|| ||66||아타리 재규어 2부||아타리||아타리 재규어|| ||67||[[메탈기어]][* 영상에 19금이 걸려 있었다(...). 아무래도 고어한 인트로 일러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연령 제한이 풀려 있다.]||코나미||[[NES]]|| ||68||오디세이||마그나복스||[[마그나복스 오디세이|오디세이]]|| ||69||[[엑스맨|X맨]][* 엑스맨 탄생: 울버린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LJN, 세가[* 유통만 하였다.]||NES, 제네시스[* 제네시스판은 AVGN이 가장 추천하는 게임이라고 했다.]|| ||70||[[터미네이터 시리즈|터미네이터]] 1[* [[터미네이터: 미래전쟁의 시작]]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마인드스케이프||NES, SNES, 세가 CD|| ||71||터미네이터 2||LJN||NES, 게임보이, SNES|| ||72||[[트랜스포머 콘보이의 수수께끼]][*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개봉을 앞두고 나왔다.][* [[광과민성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게임 내 빠른 점멸이 그대로 나오니 이 에피소드를 시청할 때 반드시 주의하도록 하자.]||타카라||코모도어 64, [[패밀리 컴퓨터|패미컴]]|| ||73||[[마리오 이즈 미싱|마리오가 사라졌어요!]]||소프트웨어 툴웍스||NES, SNES|| ||74||[[배관공은 넥타이를 매지 않는다]]||키린 엔터테인먼트||3DO|| ||75||벅스 버니의 정신없는 성[* 한때 과도한 폭력성 때문에 영상이 잠시 비공개 조치를 먹은적이 있다.][* 해당 에피는 DVD 판으로 17분 정도의 제작 과정을 담은 비디오가 수록되어 있다.]||켐코||NES(1편)[* 1편 일본판은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으로만 나왔는데 벅스 버니가 아닌 [[로져 래빗]] 게임이다. 미국에는 이미 NES용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게임이 나와있었기에(AVGN 시즌1 에피소드 4에서 리뷰한 게임) 캐릭터를 바꾸었다.], GBA SP[* 2,3편은 [[게임보이]], 4편은 [[게임보이 컬러]] 5편은 [[게임보이 어드밴스]]용으로 발매되었으나(5편은 우디 우드팩커의 정신없는 성 5로 발매되었다) 게임기는 전부 GBA SP를 사용했다.]|| ||76||슈퍼 핏폴||액티비전||NES|| ||77||[[고지라]]||[[컴파일(게임 회사)|컴파일]],[* 북미판 오프닝에서는 인지도가 떨어지는지 이 제작사가 언급되지 않았다.] 토호||NES, 게임보이, SNES, [[슈퍼 패미컴]], [[엑스박스(게임기)|XBOX]], [[플레이스테이션 2]][* 엑스박스판과 플레이스테이션 2판의 경우는 리뷰는 하지 않고, 플레이하는 장면만 보여주었는데, 전술한 다른 버전들에 비해서 화려한 그래픽과 AVGN 본인이 어릴 적 꿈꿔오던 괴수들간의 1:1 대전 매치의 모습을 완벽하게 보여주었다고 해서 AVGN이 플레이 후 빡치면서 한탄하는 장면으로 연출되었다. ~~화려한 [[헤비메탈]]급의 BGM까지 곁들이면서...~~][* 애초에 언급했던 NES, 게임보이, SNES판은 일본 정서에 맞게 제작된 게임이였으니 당연히 미국 정서와는 맞지가 않았다.(복잡한 RPG, 아기자기한 SD 캐릭터, 보드 게임 가미 등), 오히려 일본 한정으로 으로 나왔던 슈퍼 패미컴 버전 1:1 대전 매치 게임 '고질라 괴수대격전'이 미국 정서에 맞았으며 차라리 이 게임을 북미판으로 발매 했어야 했다.]|| ||78||[[웨인즈 월드]][* 16화 에피소드의 [[록키]]가 초창기 때 갖가지 록키 영화의 장면을 중간중간 삽입해서 꾸몄다가, 저작권 문제에 걸리면서 수정하여 업로드된 적 있었는데 이 편은 저작권 문제로부터 자유로웠는지 몰라도 중간중간 영화의 몇몇 장면을 차용한 초기 버전 그대로 업로드 되어 있다.]||THQ||NES, SNES|| ||79||[[악마성 시리즈]] 1부(2009 할로윈 특집 1부)||코나미||NES|| ||80||악마성 시리즈 2부(2009 할로윈 특집 2부)||코나미||NES|| ||81||악마성 시리즈 3부(2009 할로윈 특집 3부)||코나미||SNES, 닌텐도 64|| ||82||악마성 시리즈 4부(2009 할로윈 특집 4부)||코나미||제네시스, 플레이스테이션|| ||83||빨간 모자||[[성겸 엔터프라이즈|Joy Van]]||NES|| ||84||동계 올림픽||어클레임||NES, 아타리 2600, 아타리 7800[* 실행한 게임 버전은 NES판이지만 비교를 위해 2600판과 7800판도 잠깐 보여주었다.]|| ||85||[[2010 스트리트 파이터|스트리트 파이터 2010 -더 파이널 파이트-]]||캡콤||NES, [[PC 엔진|터보그래픽스]]-CD, 세가 새턴|| ||86||[[하이드라이드]]||T&E 소프트||NES|| ||87||[[닌자 용검전|닌자 가이덴]][* 닌자 가이덴은 닌자 용검전의 북미판 제목이다.]||테크모||NES|| ||번외 9||2009년의 10대 Nerd 사건|| || || ||88||[[소드퀘스트]]||아타리||아타리 2600|| ||89||[[퐁]] 콘솔들|| ||다수[* 마지막에 [[엑스박스 360]]으로 [[Grand Theft Auto IV]]를 하는 모습이 짤막하게 나온다.(요즘 게임들도 옛날 겜들과 별반 다를 바 없다 말하려다 컬쳐 쇼크를 받는 표정이 일품)]|| ||번외 10||역대 20대 Nerd 사건|| || || === 시즌 5(2010년 5월 ~ 2011년 4월)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90||[[액션 52]]||액티브 엔터프라이즈||[[NES]]|| ||91||[[치타맨]]||액티브 엔터프라이즈||NES,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 ||92||게임 [[버그|오류]]들[* 테마에 맞게 주제가도 오류설정으로 하였다. 그런데 편집을 너무 잘 해서(?) 일부 네티즌은 정말로 다운이나 렉 걸린줄 알고 PC를 리셋했었다고...]|| ||NES, [[SNES]], [[아타리 2600]], [[Wii]], [[플레이스테이션 2|PS2]]|| ||93||[[젤다의 전설 2 링크의 모험]]||닌텐도||NES|| ||94||Angry Nintendo Nerd 시절과의 재회, [[백 투 더 퓨쳐]] 시리즈||LJN, 도시바 EMI||NES, 제네시스, [[슈퍼 패미컴]]|| ||95||[[지킬 박사와 하이드(게임)|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재방문(2010 할로윈 특집)||도호, 반다이|| || ||96||가망 없는 레스터||아스믹 에이스||[[SNES]], CD-i|| ||97||크리스마스를 훔친 Nerd[* 서양에서 가장 유명한 크리스마스 동화인 "그린치는 어떻게 크리스마스를 훔쳤을까?"의 패러디.]|| ||LJN, 3DO, 액티비전 등 다수|| ||번외 11||역대 크리스마스 특집 되짚어 보기|| || || ||98||[[꿈꾸는 데이비]]||HAL 연구소||[[NES]]|| ||99||[[스타워즈/관련 문서|스타워즈]]||남코, JVC[* 가장 많이 까인 건 패미컴 및 NES판.]||아타리 2600, [[패미컴]], NES, SNES, [[닌텐도 64]]|| ||100||[[패밀리 컴퓨터 로봇|패미컴 로봇]][* 북미에서의 명칭은 R.O.B the Robot. R.O.B는 Robotic Operating Buddy의 약자이다.][* 이 화부터 화면 비율이 기존의 1024×768에서 HD의 1280×720로 바뀌었다. 다만 촬영용 카메라는 아직 바꾸지 않았는지 화질은 720p를 지원하는 HD와 달리 480p 그대로다.][* 처음에 올라온 버전은 로봇에게 [[기로스|자이로]]를 만들어 바칠 때 자이로마이트 BGM 원곡이 나왔는데, 어느새 리믹스 버전으로 바뀌어 들어갔다.]||닌텐도||NES|| ||101||[[스티븐 스필버그]]의 게임[* 상자에 모셔 놓은 게임들 중에 맨 처음으로 그 유명한 [[아타리 쇼크]]의 주범 [[E.T.(게임)|아타리 E.T]]가 나오자 기겁하면서 집어던진다(...). 후일 영화에서 리뷰하긴 했다.]||LJN, 오션 소프트웨어[* 배급사][br]소프트웨어 크리에이션, Painting By Numbers[* 개발사.]||[[NES]],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 [[SNES]], [[메가 CD|세가 CD]], [[3DO]], 아타리 2600|| === 시즌 6(2011년 7월 ~ 2011년 12월)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102||AVGN 비디오 제작과정+[[바비(인형)|바비]]||이미지니어 inc.||NES|| ||번외 12||[[닌자 베이스볼 배트맨]]||[[아이렘]]||아케이드([[에뮬레이터]])[* AVGN 최초로 인터넷에서 [[롬 파일]]을 다운받아서 플레이한 게임, 해당 게임은 게임기 카트리지 형태로 출시된 적이 없다.]|| ||103||키드 쿨(카케후 군의 점프 천국·스피드 지옥)||빅 토카이||<|2>NES|| ||104||닌텐도 월드 챔피언십[* 몇천 달러씩 하는 팩을 때려부수는 장면이 나왔다(...). 당연히 때려부순 건 다른 팩으로 겉모양만 비슷하게 만든 촬영용 소품.][* 2019년 초 현재 시점에선 몇천 달러 수준이 아니라 몇천만원(...) 수준이다. 이베이 거래기록상 마지막으로 거래된 회색 카트리지가 $15000(2014년 말), 금색 카트리지가 '''$26666'''(2015년 중순)에 거래되었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롤프가 우스개로 구닥다리 차 한대는 사겠다고 말하는데, 이젠 저거 두 개 팔면 최신 국산 SUV를 살 수 있는 수준....] || || ||105||어둠의 성[* 이 화부터 화면 비율에 걸맞게 720p HD를 지원한다.]||실리콘 비치 소프트웨어||[[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 [[CD-i]]|| ||번외 13||리버 시티 인질극([[다운타운 열혈물어]])||[[테크노스 저팬]]||NES|| ||번외 14||[[콘트라(아케이드)|콘트라]]의 추억|| || || ||106||성경 게임 3[* 이 화부터 1080p FHD를 지원한다.]||위즈덤 트리||[[SNES]],[* 킹 제임스 성경 [[게임보이]]판을 리뷰할 때 [[슈퍼 게임보이]]를 이용하여 리뷰했다.] NES,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 성경 게임 1, 2에서 다뤘던 위즈덤 트리제 게임의 제네시스판을 리뷰했다.]|| ||번외 15||[[소닉 더 헤지혹]]의 추억|| || || ||번외 16||[[더블 드래곤]]의 추억|| || || ||번외 17||[[모탈 컴뱃]]의 추억|| || || === 시즌 7(2012년 7월 ~ 2013년 12월)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107||[[아놀드 슈워제네거]]의 게임들[* [[라스트 스탠드]]를 통해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극장에 복귀한 걸 기념하기 위한 에피소드다. 이번 편에서는 토탈 리콜, 코난, 라스트 액션 히어로, 에일리언 대 프레데터의 4작품을 다루었다.]||어클레임, 이미지소프트, 인터플레이||[[NES]]|| ||번외 18||[[슈퍼 패미컴|SNES]] vs. [[메가 드라이브|제네시스]]||닌텐도, 세가||SNES, 제네시스|| ||번외 19||킬러 인스팅트|| || || ||번외 20||[[슈퍼 마리오 카트]]|| || || ||108||[[마계촌]]||마이크로닉스/캡콤||NES|| ||109||아타리 스포츠||아타리||아타리 2600|| ||번외 21||비디오 가게의 추억|| || || ||번외 22||슈퍼 마리오 4 람보[* 뭔가 거창해 보이겠지만 실제로는 일본판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더 로스트 레벨즈|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의 해적판이다(...).]|| || || ||110||[[이카리(게임)|이카리]]||마이크로닉스/SNK||NES|| ||111||[[트로마|톡식 크루세이더스]][* 원작 톡식 어벤저의 제작자 로이드 카우프만이 게스트로 출연.]||반다이, 세가||게임보이, 제네시스, NES|| ||112||빌과 테드의 엑설런트 어드벤쳐||LJN||[[NES]]|| ||113||[[타이거 일렉트로닉스]] 게임들[* 2020년 후반때 유행한 [[64 bits 32 bits 16 bits 8 bits 4 bits 2 bits 1 bit]] 밈이 나온 에피소드이다.]||[[타이거 일렉트로닉스]]|| || ||114||[[에일리언 3]]||프로브 소프트웨어/LJN||NES|| ||115||[[Angry Video Game Nerd Adventures|AVGN]] [[인디 게임|팬 게임들]]||각종 인디 게임 제작자들(팬 게임들)[br]Freakzone Games(AVGN Adventures)[* AVGN 최초의 윈도우 PC 게임 리뷰.]||PC, 아타리 2600, NES|| ||116||추천 목록 1부|| || || ||117||추천 목록 2부|| || || === 시즌 8(2014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118||[[Big Rigs: Over the Road Racing]][* AVGN의 두 번째 현대 PC 게임 리뷰이다. 팬들의 요청 때문에 리뷰를 했다고.]||[[스텔라 스톤]], LLC/GameMill Publishing||PC|| ||119||[[펜과 텔러의 연기와 거울들|사막 버스]], [[드라큘라 2 저주의 봉인]][* [[개조 롬|비공식적으로 수정한 개정판]]이다.](10주년 특집)|| ||세가 CD, NES|| ||120||[[E.T.(게임)|E.T.]][* [[Angry Video Game Nerd: The Movie|극장판]]의 스태프롤 부분에 나온 리뷰를 그대로 실었다. 단, 게임 화면은 실제 게임의 화면으로 교체.]||아타리||아타리 2600|| ||121||[[비틀쥬스]]||LJN[* 실제 제작은 [[레어(회사)|레어]].]||[[NES]]|| ||122||12 DAYS OF SHITSMAS[* 122번부터 133번 에피소드는 크리스마스 특집 에피소드로 12개의 똥 게임을 하루에 하나씩 마라톤으로 리뷰한다. 유명한 [[캐럴(음악)|캐럴]]인 [[The Twelve Days of Christmas]]의 패러디로, 에피소드가 시작할 때 The Twelve Days of Christmas가 약간 흐른다.] #1 태깅 드래곤||[[성겸 엔터프라이즈|SACHEN]], 번치 게임스[* 성경 게임을 주로 출시했던 "위즈덤 트리"의 전신인 "컬러 드림즈"의 또 다른 이름. 계속 질 나쁜 게임을 출시하는 바람에 자기 회사의 이미지에 손상이 갈까 봐 별도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NES]]|| ||123||12 DAYS OF SHITSMAS #2 [[알프|ALF]]||TM & 에일리언 프로덕션||[[세가 마스터 시스템]]|| ||124||12 DAYS OF SHITSMAS #3 [[크레이지버스|CRAZYBUS]]||por lom Scripts LTDA||--믿기지 않겠지만-- 제네시스[* 제네시스가 북미에서 단종된 것이 1997년인데, 이 게임은 그보다 7년이나 뒤인 2004년에 나왔다. ~~그 때쯤이면 제네시스 사후지원 관리도 끊어졌을 때였을 텐데...~~]|| ||125||12 DAYS OF SHITSMAS #4 [[렌과 스팀피]]: Fire Dogs||[[THQ]]||[[SNES]]|| ||126||12 DAYS OF SHITSMAS #5 Rocky & Bullwinkle||[[THQ]]||[[NES]][* [[크레이지버스]]가 너무 독보적이라 그렇지, 이 게임도 만만치 않은 똥소음을 자랑한다.][* SNES판도 있으며 NES와는 달리 음악과 그래픽이 상향되고 조작감이 훨씬 좋으며 시스템도 합리적이나 난이도가 상당히 어렵다. SNES판의 개발사는 심슨 가족 게임들로 유명한 이메지니어링 주식회사, NES판은 웨인즈 월드 NES판과 동일한 래디컬 엔터테인먼트.]|| ||127||12 DAYS OF SHITSMAS #6 Mary-Kate and Ashley: Get a Clue||[[THQ]]||[[SNES]]([[게임보이 컬러|GBC]]용 게임)|| ||128||12 DAYS OF SHITSMAS #7 [[파멜라 앤더슨]]의 V.I.P.||[[유비소프트]]||[[플레이스테이션]]|| ||129||12 DAYS OF SHITSMAS #8 [[리썰 웨폰]][* 마지막에 화면 밖으로 나가야 캐릭터가 교체된다는 점을 비꼴때 마이크 마테이가 잠시 카메오로 등장한다. --이 짓거리 하기엔 너무 늙었어--]||Ocean[* 영화 게임인데 [[LJN]]이 아니라는 이유로 잠깐 감사의 시간을 가졌다.(...)]||[[NES]]|| ||130||12 DAYS OF SHITSMAS #9 포키스(Porky's)||'''[[20세기 폭스]]'''[* 엄밀히 말해서 Fox Video Games 라는 자회사에서 만든 게임이다. 하지만 패키지엔 [[20세기 폭스]] 사의 로고가 당당히 찍혀 있다.]||[[아타리 2600]]|| ||131||12 DAYS OF SHITSMAS #10 [[하이퍼스캔]]||[[마텔]]||[[하이퍼스캔]]|| ||132||12 DAYS OF SHITSMAS #11 [[유니버설 스튜디오 테마파크 어드벤처]]||[[THQ]]||[[닌텐도 게임큐브|게임큐브]]|| ||133||12 DAYS OF SHITSMAS #12 [[LJN 비디오 아트]]||[[LJN]]||LJN 비디오 아트|| ||-||Secret Scout[* [[https://www.youtube.com/watch?v=4uuUXX9NPK4|#]] 미완성 에피소드인데, 2014년 4월 30일에 유튜브에 올라왔다(...).] ||Color Dreams ||[[NES]]|| === 시즌 9(2015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134||[[홍콩 97]]||해피 소프트||슈퍼 패미컴(에뮬레이터)|| ||135||[[오리형사 다크|다크윙 덕]]||Radiance Software[br]Interactive Designs[* 유통사는 Turbo Technologies, Inc.]||[[PC 엔진|터보그래픽스-16]][* 이 기종 한정. [[캡콤]]에서 제작한 [[패밀리 컴퓨터|패미컴]]판은 동시기 개발한 [[록맨 5]]와 비슷한 테이스트의 액션 런 앤 건 게임으로 잘 만들어진 작품이다.]|| ||136||[[씨맨]]||비바리움, 젤리비전||드림캐스트|| ||137||[[크로우(영화)|크로우]]||어클레임||세가 새턴|| ||138||[[모탈 컴뱃 미솔로지스: 서브제로]]||어클레임||[[닌텐도 64]]|| ==== Bad Game Cover Art(2015년 12월 1일 ~ 25일) ==== 2014년의 크리스마스에 진행했던 '12 DAYS OF SHITSMAS'처럼 크리스마스 특집인데, 이번엔 AVGN 에피소드 횟수로 세지 않고 별개의 시리즈로 기획되었다. 시기상으로는 138회 '[[모탈 컴뱃 미솔로지스: 서브제로]]'(2015년 12월 22일 투고) 즈음. ||'''회'''||'''제목'''||제작/유통||게임 콘솔|| ||1||프로 레슬링(Pro Wrestling)||[[세가]]||[[세가 마스터 시스템]]|| ||2||[[록맨]](Mega Man) 시리즈||[[캡콤]]||<|2>[[패미컴]]|| ||3||[[특구지령 솔브레인]](Shatterhand)||자레코|| ||4||액션 파이터(Action Fighter)||세가 ||세가 마스터 시스템|| ||5||[[다케다 신겐]] 2(Shingen the Ruler)||HOT · B||패미컴|| ||6||[[팔랑크스(동음이의어)|팔랑크스]](PHALANX)||ZOOM Inc., 켐코||[[슈퍼 패미컴]]|| ||7||Snow White and the 7 Clever Boys||Phoenix Games||[[PS2]]|| ||8||파이널 미션(Action in New York)[* 북미에서는 《Special Cybernetic Attack Team》이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는데... '''문제는 약칭이 'S.C.A.T.'이다.(...)''' 패키지에도 저 약칭으로 떡하니 찍혀 있을 정도.]||[[나츠메아타리|나츠메]]||패미컴|| ||9||Rallo Gump||Edge Creations, Inc.[br]Homebrew Software||[[DOS]]|| ||10||화이트 라이온 전설(Ghost Lion)||켐코||<|2>패미컴|| ||11||Eliminator Boat Duel||Sculptured Software[br]Radioactive Software[br]Electro Brain|| ||12||Street Hockey '95||GTE Entertainment||슈퍼 패미컴|| ||13||전격 이라이라봉 리턴즈(Irritating Stick)[* 풀네임은 《웃쨩난쨩의 불꽃 챌린저 전격 이라이라봉 리턴즈(ウッチャンナンチャンの炎のチャレンジャー 電流イライラ棒リターンズ)》.]||사우루스, 자레코||[[PS]]|| ||14||수수께끼의 벽 블록 부수기(Crackout)||코나미||패미컴|| ||15||Cock'in||Jawx, Prism||[[코모도어 64]]|| ||16||Treasure Master||ASC Games||패미컴|| ||17||Karnaaj Rally||Paragon 5/자레코||[[게임보이 어드밴스|GBA]]|| ||18||Hell Fighter||Thin Chen Enterprises(Sachen)||패미컴|| ||19||Scrapyard Dog||Blue Sky Software||[[아타리 7800]]|| ||20||Rollerblade Racer||Radiance/Hi-Tech||패미컴|| ||21||Killer Kong||Gary Capewell/Blaby Computer Games||ZX Spectrum[* 1982년에 만들어진 영국의 가정용 컴퓨터.]|| ||22||[[목수 겐씨]](Hammerin' Harry)||[[아이렘]]||패미컴|| ||23||으랏차차 삼총사(Super Duper Sumos)[* [[DiC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와패니즈 애니메이션. [[투니버스]]에서 방영한적이 있다.]||Midway Games||GBA|| ||24||The Ultimate Stuntman||Codemasters/Camerica||패미컴|| ||25||엑스맨(X-Man)[* [[마블 코믹스]]의 엑스맨(X-Men)과는 전혀 관계 없는 게임.]||Universal Gamex||[[아타리 2600]]|| === 시즌 10(2016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139||'''메가맨 게임들'''[* 유튜브 채널 등록 10주년 기념. 추가로 언급된 게임으로는 [[록맨 X5|메가맨 X5]]와 메가맨 싸커가 있다. 메가맨 X5에서는 [[에이리아]] 항목에 나와 있는 잦은 화면 정지와 폭발을 까댔고, 메가맨 싸커의 경우는 보자마자 W2T2를 뱉어내며 탈주해버린다.(...) 이 에피소드의 컨셉은 과거로 돌아가 자기 자신들(...)과 대면하는 것이다. 자전적인 에피소드라 굉장히 감동적이다. AVGN 에피소드 중 R.O.B 편(약 122시간)을 뛰어넘고 가장 제작 소요시간이 오래 걸린 에피소드(약 138.5시간)라고 했다.][* 각각 나온화는 29화,13화,2화][br][[메가맨(PC판)]][br][[록맨 대시 시리즈|메가맨 레전즈]][br][[록맨 X7|메가맨 X7]]||[[캡콤]]||[[MS-DOS]][br][[플레이스테이션]][br][[플레이스테이션 2]]|| ||140||[[페이퍼보이]]||아타리||NES|| ||141||[[비비스와 버트헤드]]||비아콤||세가 제네시스[br]SNES|| ||142||베렌스타인 베어즈[* 게임 자체 리뷰보다는 미국 내에서도 미스터리인, "진짜 이름이 Berenst'''{{{+1 ei}}}'''n인가, Berenst'''{{{+1 ai}}}'''n인가에 더 주목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게임 속 실물들처럼 Berenst'''{{{+1 ai}}}'''n이 맞다. 다만 st'''{{{+1 ei}}}'''n이 워낙에 흔하고(예를 들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철자는 Einst'''{{{+1 ei}}}'''n이다), 미국식 발음인 베런스테인을 듣기에 따라서는 '베런스틴'으로 듣게 되는데 이 발음으로 철자 역산에 문제가 생기며, '''몇몇 공식 책과 상품들 중 일부가 저 잘못된 철자로 판매되었다'''는 게 문제였다. 그래서 저 철자 상품을 접한 사람들의 주장이 나오고, 저 상품들의 오타를 나중에 수정한답시고 스티커를 붙였던 것 때문에 [[도시전설|'''철자가 중간에 변했다'''는 말까지 나오게 된다.]] 한국에서는 그런 거 없이 [[한국교육방송공사|EBS]]를 통해 《우리는 곰돌이 가족》으로 알려져 있다.]|| ||게임보이 컬러[br]아타리 2600[br]세가 제네시스|| ||143||세가 액티베이터, 인터랙터, [[재퍼|메내서]][br](세가 제네시스 주변기기)[* 기타 주변기기로는 [[골프]] 게임 전용 컨트롤러인 TeeV 골프(말 그대로 골프채처럼 생긴), 현시대 [[VR]] 기기와 유사한 빅터맥스 가상현실 스턴트마스터, [[야구방망이]] 타입 컨트롤러 배터업 등을 소개했다. 이들은 앞선 액티베이터, 인터랙터에 비하면 멀쩡히 잘 돌아가던 물건. 허나 영상 내내 이것들을 가지고 [[슬랩스틱]] 비디오로 때리고 부수는 등 [[개판 5분 전]] 연출이 일품이다.][* 막간에 등장한 빅터맥스 스턴트마스터 VR머신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물건이긴 하지만 애초에 컨트롤러가 아니라 디스플레이인 만큼 작동의 기준이 좀 다르다. VR인 척을 하고 있지만 내부에는 [[게임 기어]] 디스플레이가 하나 들어있을 뿐이고 가상현실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는 낚시 제품이다. 품질도 조잡해서 뭐라도 보이려면 백라이트 밝기를 최대로 올려야 했는데, 이러면 콧등 위에 전구를 올려놓고 화면을 보는 셈이라 눈이 너무 아파서 제임스 롤프, 마이크 마테이 외에도 이 기기를 써 본 모든 리뷰어들이 10초를 못 버티고 벗어던졌다. 즉 리뷰 불능 수준의 폐기물. 마이크 마테이의 말에 따르면 '버추얼 보이는 최소한 3D였고 뭐라도 시도해 보려는 노력이 있었는데 이건 그냥 쓰레기다'. 제임스 롤프는 'TV 화면에 코를 박고 플레이하는 거나 마찬가지'라는 말을 남겼다.][* 다만 리뷰와는 별개로 슬랩스틱 코미디적인 요소만 나와서 이 에피소드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들도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전 AVGN의 특색이 약간 없어져 버렸다는 평가. 하지만 주변기기 자체가 문제가 있다면 모를까, 세가 제네시스의 주변기기는 닌텐도에 비하면 인지도가 낮고 문제점이 있어도 거슬리거나 존재의의에 대한 것을 제외하곤 굳이 깔 만한 게 없어서 이런 컨셉으로 나간 듯하다.] || ||세가 제네시스|| === 시즌 11(2017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144||'''[[파워레인저]] 시리즈'''[* 2017년 리부트되어 3월 24일 북미 등장한 [[파워레인저스|파워레인저 극장판]] 개봉 기념. 마이티 몰핀 파워레인저 외에 패미컴으로 나온 [[슈퍼전대 시리즈]] 게임 포함. [[https://www.youtube.com/watch?v=Ht5NmRtWb88|마이티 몰핀 파워레인저 오프닝 패러디와 쥬레인저 오프닝을 열창하는 너드의 모습이 묘미.]] --그 와중에 [[타이거 일렉트로닉스|타이거 손목시계 너드]]를 째려보는 닌텐도 너드는 덤--][br][[조인전대 제트맨(게임)|조인전대 제트맨]] (패미컴)[br][[공룡전대 쥬레인저(게임)|공룡전대 쥬레인저]](패미컴)[br][[파워레인저 라이트스피드 레스큐]][br][[마이티 몰핀 파워레인저]][* 인기작이라서 극장판 버전을 포함해 다양한 콘솔에서 발매되었는데 특이하게 콘솔마다 장르가 전혀 다르다. NES, 게임보이판은 [[플랫포머]], SNES판은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 제네시스는 [[대전 액션 게임]], 세가 CD는 [[드래곤즈 레어]] 스타일 [[인터랙티브 무비]] 게임, N64는 3D 무쌍 액션.]||Angel[* [[반다이]]의 자회사.][br][[반다이]] 아메리카 ||[[패미컴]][br][[SNES]][br][[게임보이]][br][[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br][[N64]][br][[세가 CD]]|| ||145||[[소닉 더 헤지혹(2006)]][* 풀 세일 대학의 협찬으로 만들어진 에피소드]||세가||[[Xbox 360]]|| ||146||[[혹성탈출(2001년 영화)|혹성탈출]][* 1968년의 원작 시리즈가 아닌 2001년 [[팀 버튼]] 감독의 작품을 기반으로 한 게임이다.] ||Visiware[br][[유비소프트]][* 퍼블리싱] ||[[플레이스테이션]]|| ||147||[[게임보이]] 주변기기[* 어째선지 첫 장면에서는 [[피젯 스피너]]를 돌리면서 Fuck을 날리고 있다(....). 게임보이 카메라를 슈퍼 게임보이를 통해 SNES에 연결하는 부분에서는 SNES를 통째로 돌려서(....) 셀카를 찍었는데, 사실 [[https://www.youtube.com/watch?v=jenAYYTstb4|카메라만 따로 회전이 가능하다.]]]|| ||[[게임보이]][br][[게임보이 컬러]]|| ||148||트레저 마스터[* 이 게임은 1991년에 출시되어, 1992년 4월 11일자로 전체 게임을 다 깨면 락 콘서트 티켓, 게임 룸, 스포츠 이벤트 티켓과 더불어 10000달러의 상금을 건 콘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참여방법은 MTV에서 암호를 공개하여, 이 암호를 게임 시작 전에 입력하고, Prize World라는 상금존을 포함한 6개의 스테이지를 모두 깬 후, 나타나는 24자리의 코드를 핫라인으로 전화 연결하면 해당 상금을 타는 콘테스트였다. 그런데, 문제는 콘테스트 기간이 1992년 4월 11일 정오(12시)부터 그 날 자정(24시)까지인 단 12시간 동안만 진행하였다는 점이 문제이다.][* AVGN은 콘테스트를 이겨서 상을 타고자 했던 컨셉으로 이를 소개하였으며, 당연히 해당 핫라인은 결번이었고, 콘테스트 기한을 그제서야 확인한 후, 절규한다.(...)]||Software Creations[br]ASC 게임즈[* 퍼블리싱]||[[NES]]|| ||149||'''[[레슬링]] 게임들'''[* 오프닝 영상에서는 [[헐크 호건]]의 테마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eX_k5_egUAo|Real American]]'의 패러디와 함께 나오면서 호건의 등장 장면과 [[스티브 오스틴]]의 맥주 세레머니가 나오며, 게임을 응징할 때는 호건, [[브렛 하트]], [[릭 플레어]], [[더 락]], 오스틴의 명대사를 날린 뒤 응징을 한다.][br]태그팀 레슬링[br]WWF 레슬매니아[br]LJN 제작 레슬링 게임[* WWF 레슬매니아 챌린지, WWF 레슬매니아 스틸케이지 챌린지, WWF 킹 오브 더 링, WWF 슈퍼 레슬매니아, WWF 로얄럼블, WWF RAW!][br][[WWF 레슬매니아]] 이식판[br]WCW 슈퍼브롤[br][[머슬 보머]]||[[데이터 이스트]][br]Acclaim[br][[LJN]][br][[미드웨이(회사)|미드웨이]][br]Beam Software, FCI[* 퍼블릿싱][br][[캡콤]]||[br][[NES]][br][[NES]][br][[NES]], [[SNES]][br][[SNES]], [[메가 드라이브]][br][[SNES]][br][[SNES]] || ||150||[[폴리비우스]][* 할로윈 기념 리뷰, 게임 리뷰라기 보다는 이 게임과 관련된 [[크리피파스타]]들에 대한 이야기가 주되어 있다.][*스포일러 [[도시전설]] 속의 게임을 실제로 발견하고 이를 플레이했다는 식으로 진행되는 [[파운드 푸티지]] 영상이다. 후반부에 [[깜놀]]([[점프 스케어]])이 포함되어 있으니 시청시 유의 바람. 깜놀에 약한 사람을 위해 설명하자면 너드가 멍하니 폴리비우스 게임을 응시하다가 눈이 뒤집힌채 이빨을 드러내며 괴음을 낸다.]|| ? || ? || ||151||[[로보캅]] 게임들[* 폴리비우스 편의 후속편으로 폴리비우스의 저주를 받고 죽은 너드가 '로보너드'로 부활했다는 컨셉으로 특수제작된 로보캅 의상을 입고 패미컴용 1, 2, 3편을 리뷰했다. --죽든 살든, 이 게임은 X발 좆 구려.--][* NES가 유독 청소년 불가 판정 받은 영화 원작의 게임을 많이 만들었다면서, 그 중 하나인 [[더티 해리]]를 소개했는데, 그 때 했던 말이 "언젠가 이것을 리뷰할 수도 있겠네요."라고 했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 다음 시즌 157편에서 리뷰했다.]]]||데이터 이스트,[* 1,2편 배급.] OCEAN[* 3탄 배급.][br]Painting By Numbers[* 2편 개발.], 프로브 소프트웨어[* 3편 개발. 똑같이 오션 소프트웨어 명의로 발매된 코모도어 64판 로보캅 3도 개발했다.] ||[[NES]]|| ||152||[[소닉 더 헤지혹(2006)]](파트 2)[* 145번째 에피소드를 잇는 두 번째 소닉 06 리뷰인데, 저번 에피소드에서는 게임을 중간에 중단했지만 이번에는 게임을 클리어하고 엔딩까지 봤다.]||세가||[[Xbox 360]]|| ||153||[[미녀 삼총사]](2003)[* 협찬받은 에피소드 특성상 도입부에 광고가 포함되어 있다.][* 이 게임은 본래 게임큐브와 [[플레이스테이션 2]]의 두 가지 버전이 나왔는데 여기에서는 게임큐브 버전으로만 리뷰했다. 어차피 버전은 다르지만 게임은 똑같으니까. 너드가 PS2판의 CD를 부숴버렸다.]||[[유비소프트|Ubi Soft]]||[[게임큐브]]|| ||154||스타워즈: 마스터즈 오브 테라스 카사이[* 게임을 까다 말고 [[스타워즈 스페셜 에디션]]을 깐다.(...) 사실 애초에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개봉 기념으로 리뷰한 것으로 보인다.]||[[루카스아츠]]||[[플레이스테이션]]|| ||155||라이트스팬 어드벤처[* AVGN 최초의 "교육용 게임 타이틀" 리뷰이다. 물론 이전에 성경 게임 2편에서 잠깐 리뷰한 CD-i 성경 게임들도 교육용 목적으로 나왔다고는 하지만, 주제가 성경 교육이라는 제한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고, 당시 주제도 성경이 메인이지, 교육이 메인은 아니었다. 그야말로 '''순수 아이들 교육용 게임'''은 이번 리뷰가 최초라고 볼 수 있다.]||라이트스팬||[[플레이스테이션]]|| === 시즌 12(2018년) === [[아마존 프라임]]과의 계약 이후로 제작 환경이 널널해졌는지, 영상이 올라오는 빈도가 늘어났다.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 156 ||[[MOTHER 2: 기그의 역습|어스바운드]][* 광고, 극장판을 제외하면 가장 긴 리뷰이며, 록맨 다음으로 제작이 오래 걸린 리뷰다.]||[[닌텐도]], [[HAL 연구소]]||[[SNES]][* 엄밀히 말하면 카트리지를 갖고 있지 않았고, 사려고 했더니 웬만한 콘솔 가격과 맞먹을 정도로 너무 비싸서 SNES 클래식 에디션(2017년 발매된 복각판)으로 플레이했다. AVGN 시리즈 최초로 닌텐도 클래식 에디션 같은 복각판 콘솔이 언급된 에피소드이기도 하다.]|| || 157 ||[[더티 해리]][* 영화 원작 게임이지만 영화 스토리와는 전혀 상관 없는 오리지널로 전개된다. 또한 스테이지 선택 패스워드가 모두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출연한 영화와 관계가 있다.]||마인드 스케이프||[[NES]]|| || 158 ||드레이크 오브 더 99 드래곤즈||마제스코 엔터테인먼트||[[엑스박스]]|| || 159 ||'''[[툼 레이더]] 게임들'''[br]툼 레이더 크로니클[br]툼 레이더 엔젤 오브 다크니스[br]툼 레이더(노키아 N-Gage)||[[에이도스 인터랙티브|에이도스]]||[[플레이스테이션]][br][[플레이스테이션 2]][br][[노키아]] N-Gage|| || 160 ||[[바이오하자드 건 서바이버]] ||캡콤||[[플레이스테이션]]|| || 161 ||[[하이드라이드|슈퍼 하이드라이드 & 버추얼 하이드라이드]][* 영상에서 인용하는 《개소리에 대하여(On Bullshit)》라는 책은 [[https://en.wikipedia.org/wiki/On_Bullshit|실제로 있는 책이다.]]]||T&E 소프트||[[세가 제네시스]]/[[세가 새턴]]|| || 162 ||[[아미가 CD32|Amiga CD32]]||코모도어 인터내셔널||Amiga CD32|| || 163 ||[[THE TOWN WITH NO NAME]][* 이 편부터 도입부에 스폰서 광고가 붙는다.]||Delta 4 Interactive[br]On-Line||코모도어 CDTV/[[아미가 CD32|Amiga CD32]][* 코모도어 CDTV를 가지고 있지 않아 [[아미가 CD32]]를 사용. 동일한 그래픽 칩셋(Amiga Advanced Graphics Archtecture)을 사용해 서로 호환이 된다는 작중 언급이 있다.][* 리뷰를 모두 마치고, 콘솔을 없앤다고 갖가지 CG를 사용한 연출을 보여주다가, 느닷없이 이런건 지구상에서 진짜로 사라져야 한다면서, 아미가 CD32를 들고 나가더니 화염방사기로 지져 버리면서 실제로 태워버렸다. 아마도, 일부 악플러들이 콘솔 자체가 비싸니 함부로 없애지 못하냐는 식의 조롱을 받은 것에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 || 164 ||[[나 홀로 집에]] 게임들 / [[맥컬리 컬킨]][* 실제 1, 2편의 주인공역을 맡은 [[맥컬리 컬킨|본인]]이 출연했다. 피자 배달부 역으로(...). 참고로 롤프와 컬킨은 [[1980년]]생 동갑이다.]||[[세가]], [[THQ]] ||[[게임보이]], [[SNES]], [[세가 제네시스]][* 플레이스테이션 2는 아주 짤막하게 언급되었다.]|| === 시즌 13(2019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 165 ||AVGN이 혼동한 [[킹덤 하츠 시리즈]]의 시간 순서에 대한 연대학적 혼란[* 15년만에 넘버링을 달고 나온 [[킹덤 하츠 III]] 발매일에 맞춰 업로드되었다. --사실상 킹덤 하츠 홍보용 영상급-- 게임성 자체는 절대로 똥겜이라고 말할 수 없었기 때문에(AVGN 본인도 들인 돈 값은 확실히 한다고 언급), 게임 플레이 리뷰는 일절 하지 않았다. 애초 본인도 영상 초반부에서 직접 플레이한 적은 없다고 했으므로 젤다 연대기 에피소드와 마찬가지로 그 복잡한(...) 세계관을 신규 유저 입장에서 까는 정도로 끝나는 영상.]||[[스퀘어 에닉스]]|| || || 166 ||비디오 게임 매거진[* 12년 전 나온 닌텐도 파워의 후속격 에피소드로, 인트로도 그 때와 똑같이 [[메트로이드 시리즈|메트로이드]] 음악만 조용히 흐르다가 갑자기 너드가 튀어나와 "ASS!"라고 외친다. 이 덕에 ScrewAttack과 계약 종료 이후로 실로 오랜만에 오프닝 때 메트로이드 BGM이 나오게 되었다. 닌텐도 파워 에피소드 때처럼 이 에피소드의 목적은 사실 까는 것보다도 1990년대 추억을 돌아보기 위한 목적이 강하다.]|| || || || 167 ||알라딘[* [[알라딘(영화)]] 개봉 기념.] 덱 인헨서[* Camerica에서 개발하고 [[게임 지니]]를 개발한 영국의 [[코드마스터즈]]에서 유통한 NES 주변 기기. 게임의 그래픽 및 사운드를 향상시켜 준다는 식으로 광고를 했지만 실상은 코드마스터즈 사가 닌텐도의 라이센스를 받지 않고 낸 [[과대광고|일반 카트리지에 있는 게임과 '''전혀 차이가 없었으며,''']](NES 정식 규격이 아닌 자사 독자 규격으로 원가절감을 노려봤던 모양인데 정작 게임 퀄리티가 이래서야...) 그나마 덱 인헨서 전용으로 나온 게임이 딱 하나 있기는 한데 이마저도 똥겜이었다. 플레이한 게임 중 코드마스터즈에서 낸 [[합팩]]인 [[쿼트로 어드벤처]]가 있었다.(이 합팩들도 닌텐도의 라이센스를 받지 않았는지 NES의 복사팩이나 무허가 게임들을 방지하는 보안칩을 회피하기 위한 해킹 스위치가 있었다(...)) 심지어 이걸 만든 카메리카는 알라딘 덱 인헨서가 출시되기 전에 망했고(...), 현재 퍼져 있는 물건들은 압류품들이 이베이 등을 통해서 판매가 된 물건이라고 한다. [[설상가상]]으로 NES용이면서 초기형 NES가 아닌 후기형 탑로더나 기타 호환기에선 기기를 태워먹는(!!) 무지막지한 놈으로 악명이 높다.][* 중반부에 너드가 검색해서 열람한 [[https://www.youtube.com/watch?v=_eG-PSZU5MI|영상]]을 제작한 '[[The Gaming Historian]]'을 포함한 여러명의 레트로 게임 유튜버들이 후반부에 ~~본인들의 집에서~~ 까메오로 출연했다. ~~[[거유|cannot be tamed]]의 [[슴부먼트]]([[바스트 모핑]])이 압권이다.~~ The Gaming Historian이 알라딘을 2개나 가지고 있는 걸 보고 '뭐하러 저런 똥같은 걸 2개나 모았답니까?'라고 비웃으며 배경의 ET를 비롯한 각종 쓰레기들을 몇십 개씩 모아놓은 더미를 보여주는 장면이 압권(...).]||[[코드마스터즈]]/Camerica||[[NES]]|| || 168 ||[[펩시맨]][* 요!노이드(미국 [[도미노피자]]의 마스코트), 쿨스팟(탄산 음료 [[세븐업]]의 마스코트) 등과 같이 마스코트를 이용한 전형적인 펩시 광고용 게임 중 하나. 오죽하면 스테이지 클리어 할 때마다 어떤 미국인 아저씨(Mike Butters, [[https://twitter.com/mikebutters|트위터 계정]])가 나와서 짤막한 펩시 광고를 하곤 한다. Mike Butters는 이번 편에 특별 출연하여서, 악마가 된 펩시맨을 처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해당 스토리가 [[터미네이터 2|어디서 많이 본 영화의 패러디]]였다.]||Kindle Imagine Develop[* 現 [[5pb.]](이후 [[MAGES.]]가 인수)의 사실상 전신.]||[[PS1]]|| || 169 ||슈퍼맨 64 (리턴즈)[* '''2008년 시즌 3의 에피소드인 51화에서 리뷰한 이래 무려 11년만에 재리뷰한 회차.''' 지난 51회의 후속작인 에피소드이기 때문에 이번에는 슈퍼맨 64 리턴즈라는 명칭으로 제목을 올렸다. 그리고 지난 편에서 끝판을 깨지 못한 것을 이번 편에서는 완벽하게 클리어에 성공한다. 마지막에 [[맨 오브 스틸]] 패러디는 덤.]||타이터스||[[닌텐도 64]]|| || 170 ||[[라이프 오브 블랙 타이거]][*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의 [[이아고(디즈니 캐릭터)|이아고]]의 성우 길버트 갓프리드가 게스트로 출연.]||하나게임즈[* AVGN 최초로 정식 에피소드 중에서 [[대한민국]]에서 제작한 게임이다. 다만 AVGN은 한국에서 개발되었다는 정확한 나라까지는 모르고 그냥 아시아 어딘가에서 개발된 게임으로만 알고 있다. 어찌 보면 다행이다. --아니면 본인도 알고 있으나 일부러 아시아 어딘가라고 순화한 걸 수도--] ||[[플레이스테이션 4|PS4]][* AVGN에서 플레이스테이션 4 게임 리뷰는 본작이 최초이며, 발매된 지 2년 밖에 안 된 게임을 리뷰했다. [[The Angry Joe Show|앵그리 죠]]에서도 이 게임을 다룬 적이 있었다.]|| || 171 ||[[첵스 초코#s-7.1|첵스 퀘스트]][* 애초에 [[둠]]을 패러디해서 만든 작품이다 보니, 에피소드 도중에 [[둠 소스 포트]]에 대한 소개도 나오고, 이 프로그램이 적용이 가능해서, 최신 그래픽의 형태로 깔끔한 플레이 장면을 선보였다. 그리고는 [[브루탈 둠]]을 같이 넣어서 원래는 본래 살던 차원으로 내쫓아야 할 외계인들을 찢고 죽여서 지옥으로 보내버린다(...).][* 여담으로 바로 얼마 전에 있던 펩시맨 리뷰와 더불어 특정 상품 광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게임성 자체가 둠을 정확하게 오마주해서 만들어진 수작이라 그런지, ~~AVGN답지 않게~~ 전반적으로 리뷰 내용이 칭찬하는 내용이 많았고, ~~AVGN 본인이 [[둠]]의 열렬한 팬이어서 그런 지도 모르겠다.~~ 억지로 까내린 내용도 무기가 괴상하다든지, 위에 올라가 있을 때 아래의 적을 공격하기 어렵다든지의 억지로 찾아낸 단점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지금까지의 리뷰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AVGN이 '''처음으로''' 게임성에 대한 욕을 하지 않은 게임이라 볼 수 있다. 욕설도 확연히 줄어들어 리뷰 막판에 "욕설 할당량을 덜 채웠네요."라고 하면서 대충 때웠다.] ||Digital Café ||PC || || 172[* 이 에피소드부터 유튜브 자막 정책 변경으로 인해 한국어 자막을 지원하지 않는다.] ||[[쥬라기 공원]]: 트레스패서[* 1998년에 윈도우즈용으로 출시된 PC용 게임으로 드림웍스 인터랙티브와 데인저 클로즈가 개발에 참여하였다. 또한 제목의 트레스패서는 침입자라는 뜻이며 1997년 작품의 영화인 [[잃어버린 세계: 쥬라기 공원]]을 게임으로 옮긴 것이다.][* 해당 게임의 책임 프로듀서이자 초기 [[엑스박스(게임기)|엑스박스]] 개발에 관여했던 시무스 블랙클리(Seamus Blackley)와 Boundary Break 시리즈로 유명한 [[https://www.youtube.com/user/PencakeAndWuffle/|Shesez]]가 게스트로 출연.]||[[일렉트로닉 아츠|EA]] ||PC|| || [[https://www.youtube.com/watch?v=KvGxHuEUXgs|173]][br][[https://www.youtube.com/watch?v=8jQBm19Bl2k|메이킹필름]] ||[[이모탈#s-2.5.1|The Immortal]][* 광고와 도입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단일 장면으로 촬영했다.[[https://twitter.com/cinemassacre/status/1184273182058074112|#]]][* 열쇠를 사용해서 들어간 방은 제임스 롤프의 다른 시리즈인 몬스터 매드니스의 세트장을 사용했다고 한다.] ||[[일렉트로닉 아츠|EA]] ||[[NES]][* 탑로더라고도 불리는 NES2로 촬영할 계획이었으나, 촬영 도중에 고장나 버린 데다가 더 이상 정상작동하는 NES가 없었기 때문에(알라딘 덱 인헨서 편에서 진짜 몇 대를 날려먹은(!) 듯하다) FPGA 방식의 [[패미클론]]인 retroUSB사의 [[https://www.retrousb.com/product_info.php?cPath=36&products_id=78&osCsid=3bff6d6894990494e1c6927fca114de6|AVS]]를 사용했다. 본격적인 등장은 레이드 2020부터.] || || 174 ||[[스폰]] 게임들[* 특히 비중 있게 다뤄진 게임은 PS판 '''스폰 이터널'''이다.] ||[[캡콤]], [[허드슨]] 외 ||[[게임보이]], [[SNES]], [[PS1]], [[드림캐스트]]|| || 175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영상 길이로만 따지면 리뷰 단편 중에 최장 시간 리뷰 영상이다. 중간에 광고가 들어가긴 했지만 광고 시간을 제외하면 2위인 어스바운드가 제일 긴 영상이다.]||[[닌텐도]]||[[닌텐도64]]|| || [[https://www.youtube.com/watch?v=DtC9uTF2QPU|총집편]] ||AVGN 최고의 순간 2019[* 2018년까지는 Top 10 영상이었는데 이번에는 Top 2019, 즉 2019개의 최고의 순간....으로 하려다가 편집자를 까고는 평범하게 Top 10으로 간다.][* 그리고 영상부 후반부에 2020년으로 달력이 넘어가면서, 후술할 다음편 예고로 RAID 2020 팩이 갑자기 우후죽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바로 62화였던 성경 게임 리뷰 2에서 아주 잠깐 언급했던 '''어쩌면 2020년이 되면 리뷰를 할 지도 모르겠네요'''라는 말이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대로 현실화되는 것]]을 암시하였고... 결국 2020년 첫 리뷰를 하게 되었다.] || || || === 시즌 14(2020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 176 ||Raid 2020[* 2008년 62화 성경게임 2 편에서 [[여호수아|Joshua]]라는 게임을 만든 Color Dreams가 닌텐도 라이센스를 받지 않고 NES용 게임을 많이 만든 것을 언급하면서 해당 회사가 만든 Raid 2020에 대해 '2020년이 되면 리뷰할 지도 모름'하고 대충 넘어갔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참고로 개발중의 제목은 '마약 [[짜르]](Drug Czar)'였다고 한다. 해당 편 마지막의 너드의 헛소리 잔치가 아주 일품이다. ~~AVGN의 [[사이버펑크 2077]] 리뷰를 보기 위해 2077년까지 살아있어야 할 이유가 생겼다.~~] ||Color Dreams ||[[NES]] || || 177 ||[[모탈 컴뱃]] 이식판[* 이 중 이식도는 좀 떨어지지만 피가 나오고 각종 치트도 있는 제네시스 버전(버튼 6개 컨트롤러가 있는 가정 하에.)을 제일 고평가했고, 그 다음이 피는 없지만 이식도는 그나마 비슷하고 음질도 괜찮은 슈퍼 닌텐도, 게임 기어, 게임보이 버전을 제일 깠다.] ||Acclaim, Probe, Arena[* 게임 기어판 한정] 등등 ||[[SNES]], [[세가 제네시스]][br][[게임보이]], [[게임 기어]][br][[타이거 일렉트로닉스]] 게임기 || || 178[* 여담이지만, 주제가 표절작이라는 주제에 맞게 엔딩도 AVGN 본인이 했던 엔딩 장면(팩을 토스터에 넣어 폭파(84화 동계올림픽 편), 불화살을 쏘아 기기를 태우기(26화 세가 32X편) 등)을 패러디해서 보여줬다.] ||'''[[모탈 컴뱃 시리즈]]의 아류작'''[* 초반부에 Sammy 사의 [[서바이벌 아츠]]와 카네코 사의 [[오에도 파이트]]의 두 작품 아주 잠시 보여졌지만 이 두 게임은 다루지 않았다.][br][[타임 킬러스]][br][[스트리트 파이터 더 무비]][br]성룡전설 (Jackie Chan in Fists of Fire)[br][[타투 어쌔신]] (Tattoo Assassins)[br]섀도우: 전쟁의 계승자[* 이 에피소드에서 거론된 게임 중 최악이라고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애초에 이 날 주제가 모탈 컴뱃 아류작인 만큼 '''[[페이탈리티(모탈 컴뱃 시리즈)|페이탈리티]]''' 요소를 차용한 아류작 게임들이라는 관점에서 해당 게임들을 소개한 것인데, 이 게임만은 아류작인 주제에 '''페이탈리티가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 ~~거지같은 조작성이야 모든 게임들이 다 똑같이 욕 먹긴 했지만...~~] ||인크레더블 테크놀로지스[br]캡콤, 인크레더블 테크놀로지스[br][[카네코#s-2]][br][[데이터 이스트]][br]트리베카 디지털 스튜디오 ||[br][[아케이드]], [[세가 제네시스]][br][[아케이드]][* 캡콤이 직접 개발한 새턴 및 플레이스테이션판 [[스트리트 파이터 리얼 배틀 온 필름]]과는 다르다.][br][[아케이드]][br][[아케이드]][br][[CD-i]] || || [[https://www.youtube.com/watch?v=bTtuohRoXNY|179]] ||[[개구쟁이 데니스]][* 미국과 영국에서 '''불과 5일 차이로''' 똑같은 제목에 비슷한 구성으로 나온 [[만화]]. 도입부에서 이런 특수성을 잠깐 짚고 넘어간다. 이 편에서 리뷰한 게임은 미국 만화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의 실사 극장판을 게임화한 것인데, 난이도가 자비 없게 어려워서 중도 포기하고 후반부와 엔딩은 인터넷에서 퍼온 캡처로 대신했다(...). 이 게임을 다시 해야 한다면 차라리 손을 자르겠다고 선언할 정도. [[https://www.youtube.com/watch?v=jy8_UkjrA4c|엔딩 포함한 전체 플레이 영상]]] ||Ocean ||[[SNES]] || || [[https://www.youtube.com/watch?v=1YQYPIV9-sY|180]] ||The Incredible Crash Dummies[* 1985년부터 1999년까지 방영했던 미국의 자동차 안전 공익 캠페인에 기반한 타이코(Tyco)의 완구 프랜차이즈. 충돌 테스트 더미 캐릭터들을 피규어로 만들어 다양한 충돌 테스트와 사고 등을 연출할 수 있다. 1993년에 폭스 키즈 방영용으로 22분짜리 [[https://www.youtube.com/watch?v=wfuFEfxkY_I|스페셜]]을 만들었고, 이 TV 스페셜이 본 게임의 기반이 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uYQR5ktq7W0&list=PL13JZox6S8MH-tAP6DnlFw-_4mgxcyJ9z|그 완구 시리즈의 원본격인 더미 공익광고 리스트]]) 1990년대에 [[한국]]에 정식 발매했다.][* 덤으로 해당 장난감이 어린 시절 자동차를 충돌시키는 게 멋있다고 생각을 들게 만든다는 점으로 인해 학부모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는 점을 언급했다.] ||[[LJN]][* 개발사는 소프트웨어 크리에이션으로, 톰과 제리 NES, SNES, 제네시스 게임의 개발도 담당했다. LJN 게임 중에는 터미네이터 2, 실버 서퍼, 울버린, 픽셔너리의 하청개발을 맡았다.] ||[[NES]] || || [[https://www.youtube.com/watch?v=wm9J8o6zrSI|181]]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Bad Final Fight Games]][* [[파이널 파이트 리벤지]]와 파이널 파이트 스트릿 와이즈를 리뷰했다.] ||[[캡콤]] ||[[세가 새턴]],[* [[파이널 파이트 리벤지]]] [[PlayStation 2|플레이스테이션 2]][* 파이널 파이트 스트릿 와이즈] || || [[https://www.youtube.com/watch?v=PnceSzQ-CpI|182]] ||[[미션 임파서블]][* 닌텐도 64판 게임을 리뷰했다. 같은 개발사의 PS판도 잠시 언급.] ||Ocean ||[[닌텐도 64]] || || [[https://www.youtube.com/watch?v=6144EJIDj94|183]] ||[[돌고래 에코|Ecco the Dolphin]][* 세가 콘솔용 독점 프랜차이즈. 세가 제네시스 외에도 게임 기어, 피코, 메가 CD, 심지어는 드림캐스트로도 타이틀이 발매되었다. 드림캐스트판은 PS2로도 발매되었으며, 세가 제네시스(메가 드라이브)의 복각판 [[메가 드라이브 미니]]의 북미판에도 수록되었다. 한국에는 삼성이 [[세가 피코]]를 도입할 당시 [[https://www.youtube.com/watch?v=EA8Oej0660M|피코 버전]]을 수입했다.] ||Appaloosa Interactive ||[[세가 제네시스]] || || [[https://www.youtube.com/watch?v=AtbhSRCR7S0|184]] ||카운트다운 뱀파이어즈||K2 LLC[* 훗날 [[캡콤]]에 인수되어 [[바이오하자드 5|레지던트 이블 5]] 제작에 참여한다.][br][[반다이]] ||[[PS1]] || || [[https://www.youtube.com/watch?v=2zYLntVHGRw|185]] ||[[카게의 전설]]||[[타이토]] ||[[NES]], [[아케이드]][* 아케이드 게임을 이식한 NES 버전을 중점적으로 리뷰했으며, 아케이드 버전은 잠깐만 다루었다. 아마 아케이드판은 다음편에서 다룰 타이토 레전드 2에 수록된 이식 버전을 플레이한 것으로 추정된다.] || || [[https://www.youtube.com/watch?v=yGbkLG1b8WA|186]] ||타이토 레전드[* 여담이지만 [[퍼니플래닛]] 운영자가 2006년 한국판 배급사였던 사이버프론트제넥스코리아(동년 말에 '사이버프론트코리아'로 개명, 현 [[CFK]])의 의뢰로 한국판 가이드를 집필하였다.][br]타이토 레전드 2[* 타이토에서 PS2로 자사의 고전 게임들을 수록한 합본. 수록 게임 중 카게의 전설 편에서 [[기기괴계]], [[채큰 팝]], 바이올런스 파이트가 우선 언급되었다. 본편에서는 진짜로 수록된 모든 게임들을 플레이했고 후반부에서 바이올런스 파이트가 영미권 기준으로 괴악한 요소들을 잔뜩 갖추고 있었기에 비중있게 다뤄졌다. 후속작인 [[솔리터리 파이터]]도 사실상 후속작이라기 보다는 업데이트에 가까운 거의 동일한 내용이지만 타이토 레전드에 수록되어 있지 않아 다뤄지지 않았다.][* 이 에피소드가 나오고 얼마 후 타이토에서 [[이그렛 투 미니]]라는 게임기를 발표하여 여기에 수록된 게임들을 다시 해볼 수 있게 되었다.]||[[타이토]] ||[[PS2]][br][[PS2]] || || [[https://www.youtube.com/watch?v=hH_2gfxCBQk|187]] ||[[심슨 가족]]: 바트맨과 방사능맨 ||Imagineering Inc[br]어클레임 엔터테인먼트[* [[LJN]]을 인수한 회사다. 그래서 AVGN도 사실상 LJN 게임처럼 취급하며 리뷰했다. Acclaim을 A claim이라고 표현하는 건 덤.] ||[[NES]] || === 시즌 15(2021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188||[[슈렉 시리즈|슈렉]](Shrek: Fairy Tale Freakdown)[* [[위커맨(영화)|위커맨]]을 패러디하였다. 어설픈 상황극 때문에 AVGN 에피소드 중 최악으로 꼽히는 편이다. 다만 이후 비하인드 씬에 의하면 해당 에피소드는 코로나로 인해 혼자 촬영했다고 밝혀졌다.]|| ||[[게임보이 컬러]]|| ||189||[[다크맨(영화)|다크맨]]||[[오션 소프트웨어]][* 배급사. 1980~1990년대에 존속했던 영국 소재의 게임 제작 및 유통사로, 당대 유럽의 최대 게임 업체였다. 1983년에 설립된 이후 1985년에 출시한 람보 2를 시작으로 LJN 및 THQ처럼 라이선스 게임 제작을 상당수 맡아 쥬라기 공원, 로보캅 3, 아담스 패밀리, 플린스톤 가족, 개구쟁이 데니스, 터미네이터 2(PC판) 등의 여러 유명한 블록버스터 영화를 기반으로 하는 게임들을 제작했다. 주로 코모도어 64나 ZX 스펙트럼 같은 PC 플랫폼용 게임을 개발하다가 1990년대부터 닌텐도 콘솔에도 정착했다. 1990년대 초반의 미국 진출이 기대 이하의 실적을 거두고 영화 판권에 지불하는 비용 대비 수익폭마저 급감한 이후 1996년에 인포그램즈와 합병, 미션 임파서블이 출시된 1998년까지 오션 명의로 게임이 제작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o0TE927j4cs|#]][[https://blog.scienceandindustrymuseum.org.uk/ocean-software/|#]]][br]Painting By Numbers[* 개발사. 로보캅 2, 후크, SNES판 쿨 월드의 개발도 담당했다.] ||[[NES]]|| ||190[* 에피소드가 전반적으로 영화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의 패러디이다. 영화에서는 주인공들이 마약 때문에 맛이 가버렸지만 여기서는 쓰레기 게임들 때문에 맛이 가버리는 것이 차이점. LSD가 등장한 것도 동음이어를 이용한 말장난이다.][* 다만 팬들은 컬트 게임의 대명사 LSD를 잘 써먹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워하는 반응이다.]||베가스 드림, 베가스 스테이크스[br][[로드 러너(루니 툰)|로드 러너]]: 데스 랠리 밸리[br][[LSD(게임)|LSD]]||[[HAL 연구소]][br][[선소프트]][br]OutSide Directors Company||[[NES]], [[SNES]][br]레트로 듀오 포터블[br][[플레이스테이션]]|| ||191||[[3DO|3DO 인터렉티브 멀티플레이어]][* 74편에서 희대의 똥겜 [[배관공은 넥타이를 매지 않는다]] 에피소드에서 살짝 3DO 콘솔에 대해서는 언급했는데, 이번에는 그 3DO 콘솔로 나온 여러가지 똥겜들을 다루는 에피소드로 이뤄졌다.]||[[3DO]]||[[3DO]]|| ||192||콥스 킬러[* 리뷰하기 전인 14년 전(2007년) [[세가 CD]] 편에서 잠시 언급된 적 있고, 리뷰 전에도 이 사실을 언급한다.]||Digital Pictures||[[3DO]][* 리뷰에는 3DO 판이 쓰였으나, 이 게임은 3DO 말고도 [[슈퍼 32X|세가 32X]], 32X CD 등의 다른 콘솔과 [[Windows 95]], [[Mac(컴퓨터)|매킨토시]] 등의 PC용으로도 발매되었다. 32X CD로 출시된 게임 7개(리뷰에서는 6개라고 나왔다) 중 하나라는 희귀한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후 [[세가 새턴]]으로 강화판인 그레이브야드 에디션이, 출시 25주년 기념으로 [[PlayStation 4|플스 4]]와 [[Nintendo Switch|스위치]]로 [[리마스터|HD 에디션]]이 나오기도 했다. AVGN은 모든 이식판이 차이 없이 쓰레기라고 평했으며 이 게임이 최신 콘솔로 리마스터 이식되었다는 사실에 경악하기도 했다. 단, [[인터랙티브 무비]] 장르의 게임이어서 영화 부분은 제법 잘 만든 B급 영화지만 게임 부분은 쓰레기라고 평했으며, 영화 부분은 [[사탄의 인형 시리즈]] 제작에 참여한 [[https://en.wikipedia.org/wiki/John_Lafia|존 라피아]]가 감독해 나름대로 퀄리티가 높다.]|| ||193||[[세가]] [[게임 기어]] [[VHS]] 테이프[* 미국의 호텔 체인 [[https://en.wikipedia.org/wiki/Howard_Johnson%27s|하워드 존슨]]에서 투숙객들에게 [[게임 기어]]를 대여하는 서비스 및 세가 게임 관련 행사 등을 홍보하기 위해 만든 비디오. 당시 자주 나오던 게임 공략 비디오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었으나 공략이라고 나오는 건 게임을 조금만 해보면 알 수 있는 시시콜콜한 것들뿐이었고 나머지는 죄다 광고인데 그 광고마저도 AVGN이 [[배관공은 넥타이를 매지 않는다]]에 비했을 정도로 괴상했고 어설프기 짝이 없었다. 이런 비디오가 다른 공략 비디오처럼 유료로 팔린 건 덤이다. 이번 에피소드를 제작하는데에 있어서 해외의 유명 세가 팬사이트인 segaretro.org의 지원을 받았다.]||[[세가]][br][[https://en.wikipedia.org/wiki/Howard_Johnson%27s|하워드 존슨]]|| || ||194||[[카마게돈|카마게돈 64]]||[[타이터스]]||[[닌텐도 64]]|| ||195||헬로! 팩맨(팩맨 2: 새로운 모험)||[[남코]]||[[세가 제네시스]][* 리뷰엔 안 쓰였으나 [[슈퍼 패미컴|SNES]] 버전도 존재한다.]|| ||비하인드||AVGN 비하인드 씬 그리고 너드 룸 2021년 버전[* 이 영상에서 한동안 비하인드 영상을 올리지 않아 쌓여있던 각종 에피소드들의 비하인드나 너드 룸의 촬영 세팅과 최근에 있었던 일들을 설명하고 최근 들어 있었던 AVGN 관련한 각종 루머들을 해명하기도 했다.]|| || || ||196||[[로켓티어]][* 여담으로 로켓티어 SNES 버전은 AVGN이 선정한 '''최악의 SNES 게임 1위'''를 차지했다(...). 심지어 그 악명높은 [[홍콩 97]]을 제쳤다.][* 여담이지만 이쪽에서는 오리지널 SNES가 아닌 아날로그사에서 발매한 [[슈퍼 패미컴]] 호환기인 SFC 컬러 버전 [[https://www.analogue.co/super-nt|Super NT]]를 사용했다.] ||아이언윈드 소프트웨어(NES)[br]인포메이션 글로벌 서비스(SNES)[br][[반다이]](NES, SNES 배급)||[[NES]]|| ||197||그린독[* 여담으로 "Happy birth day to you"를 비틀어서 "Happy! Bir! (후) thday! (후) Fuck you!!"라는 드립을 날리고 나서 빵 터진 장면이 지나간다. 웃음 참는 너드와 더불어 제작을 도와주는 지인의 웃음소리가 들린다.[[https://www.youtube.com/watch?v=puGmQ5Ar3JI|#]]]||[[세가]]||[[세가 제네시스]]|| ||198||코모도어 64[* 코모도어 64 게임들을 골고루 리뷰했는데, 마지막에 2021 할로윈 특집인 199회 예고를 한다.]||[[코모도어 인터내셔널|코모도어]]||[[코모도어 64]]|| ||199||프레디와 제이슨(2021 할로윈 특집)||[[코모도어 인터내셔널|코모도어]]||[[코모도어 64]]|| ||200||LJN 라이브러리 총집합[* 200화 기념 3부작 구성. 서브 스토리로 LJN를 계승받아 개발자(AVGN 게임판을 제작한 샘 베도스와 동일하다)와 함께 LJN의 게임 제작환경을 그대로 겪으며 백 투 더 퓨처의 NES판을 리메이크하는 내용이 있다.][* 이 서브 스토리의 내용을 적자면 이하와 같다. 퍼블리셔가 설정한 짧은 개발기한 동안 참신한 아이디어는 오랜 시간이 필요해 구현할 수 없었고, 회사 운영진(AVGN) 측에서 지시한 사항은 [[가족오락관/역대 게임|고요 속의 외침]] 마냥 의사소통 문제로 개발자(샘 베도스)가 알아듣지 못하여 엉뚱하게 구현되었다. 라이센스 비용 문제(배우와의 계약) 때문에 퀄리티는 점차 열화되질 않나, 유저를 대상으로 한 베타 테스트마저 피드백을 [[갈무리]] 없이 받아들여 게임 퀄리티는 퇴보한 상황. 마감이 코 앞이라 "어떻게든 돌아가게만 만들어라"라며 완성품을 내놓았지만 '''결과는 오리지널과 동일한 [[똥겜|쿠소게]].''' 그 순간 다른 차원의 '''열 받은 열 받은 비디오 게임 너드 너드'''(Angry Angry Video Game Nerd Nerd)가 튀어나와 리메이크판을 신랄나게 비판하자 AVGN은 [[충격과 공포]]를 겪으며 멘탈이 붕괴하였고, 깨어나 깨달음을 얻은 AVGN은 모든 LJN 게임을 용서하기로 했지만 [[역사는 반복된다|NES판 지킬과 하이드를 보자마자 "This game sucks."를 외친다.]]]||LJN[* 배급사][br]빔 소프트웨어, 레어, ATLUS 등[* 제작사]||NES, SNES, 게임보이|| === 시즌 16(2022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201||The Last Ninja[* 초창기 시절이었던 2006년의 자신이 플레이하다 빡쳐서 현재의 AVGN에게 경고하는 컨셉으로 시작한다. 게임 자체도 역대급 쿠소게였던 데다가 영상 자체도 옛날 AVGN 특유의 쌈마이 넘치는 구성이어서 팬들의 호평이 많다. 심지어 예전 시즌 동안 마이크 마테이가 그렸던 타이틀 카드도 오랜만에 나온다.]||[[자레코]]||[[NES]]|| ||202||[[콘트라 시리즈]][* 콘트라 시리즈에 대한 내용이 주되지만 핵심은 후반에 나오는 롤프가 말하는 추억에 대한 고찰과 조언이 메인이다.]||[[코나미]]||[[NES]], [[SNES]], [[세가 제네시스]], [[PS1]]|| ||203||Purr Pals[* 고양이를 키우는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중간중간에 롤프의 고양이 예티(Yeti)도 등장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2년 전 무지개 다리를 건넌 [[https://www.youtube.com/watch?v=Ylpa8CcBriE|고양이 부(Boo)]]를 추모하는 글과 모든 애완 고양이에게 바친다는 내용으로 끝난다.(부는 문워커의 마지막 장면, 패미컴 주변기기, 아타리 재규어 편에서 비중 있게 등장했다.) 여담으로 예티의 종이 [[터키시 반]]라고 언급한다. 추가로 해당 게임을 하다가, 고양이 똥을 치우는 미니 게임이 나오자 너무 기가 막힌 나머지 롤링락을 한 병 나발을 불고도 기가 막혀 했다.]||Crave||[[Wii]]|| ||204||[[허드슨 호크]]||[[오션 소프트웨어]][br]소니 이미지웍스||[[NES]]|| ||205||[[둠]][* [[할로윈]] 특집이지만 공포보단 즐기기 위한 특집. 오프닝 영상도 할로윈 분위기 없이 평소처럼 나온다. 초창기였던 2006년 할로윈 특집 2부작에도 오프닝 영상이 평소처럼 나왔다. 둠의 제작자 중 한 명이었던 [[존 로메로]]가 [[아이콘 오브 신]]의 목소리를 담당했다.][* 게임 자체가 청불이었던 지라 이 영상도 연령 제한이 걸려 있다.]||[[이드 소프트웨어]]||[[SNES]], [[세가 제네시스]], [[아타리 재규어]][br][[PS1]], [[세가 새턴]], [[3DO]], 기타 등등[* 둠 유저들에게 널리 퍼진 [[둠/이식 버전|Doom on~~(둠 비공식 포팅하기) 밈]]을 활용했다. 그 중에서는 [[계산기]]나 임신 테스트기 등 실제로 작동하는 것들도 있다.] || ||206||[[가필드]] 게임들[br](가필드(아타리 2600)[br]A Week of Garfield[br]Garfield: Caught in the Act[br]Garfield Labyrinth[* 유럽판이다. 일본에서는 '미키 마우스 IV: 마법의 라비린스'로, 북미에서는 '더 리얼 고스트버스터즈'로 발매.])||아타리(아타리 2600)[br]MARS 제작, 토와 치키 유통(패미컴)[br]세가(제네시스)[br]켐코(게임보이)||아타리 2600, 패미컴(일본판), 제네시스, 게임보이|| === 시즌 17(2023년) === ||'''회'''||'''제목'''||제작/유통||사용한 게임 콘솔|| ||207||[[광신화 파르테나의 거울]][* 미국에서는 'Kid Icarus'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NES를 기반으로 정발된 현대 컴보이에서는 '꼬마 이카로스'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닌텐도]]||[[NES]]|| ||208||[[어스웜 짐]] 3부작||샤이니 엔터테인먼트[br][[세가]]||[[세가 CD]], [[N64]]|| ||209[*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개봉 기념 리뷰, 초반부는 옛날 장비를 써서 2008년에 리뷰했던 그 퀄리티로 인디아나 존스 게임의 후속 리뷰로 만든 느낌을 줬다.[[https://twitter.com/cinemassacre/status/1675921354313302016|#]]][* 2023년, 미래의 너드가 설사의 다이얼이라는 유물을 조작하면서 과거의 너드를 똥겜에 고통받게 했고 과거의 너드는 고통을 줄이기 위해 성배에 술을 담아 마셨으나 하필 성배가 가짜여서 과거의 너드는 그 자리에서 죽었고 설사의 다이얼을 조작했던 미래의 너드는 [[타임 패러독스]]로 인해 소멸했다.]||DIDJ판 인디아나 존스[*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게임, DIDJ가 교육용 게임기여서 중간중간마다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하는 퍼즐이 있다.][br][[인디아나 존스: 아틀란티스의 운명]][br]인디아나 존스 데스크톱 어드벤처[br]영 인디아나 존스[br]인디아나 존스 인퍼널 머신[br]인디아나 존스와 황제의 무덤[br]The Adventures of Young Indiana Jones: Revolution[br]The Adventures of Young Indiana Jones: Special Delivery[br]The Adventures of Young Indiana Jones: Hunting for Treasure||다수||PC, N64, MD, FC, DIDJ|| ||210||소년과 블랍[* 핏폴 시리즈를 만든 개발자인 데이빗 크레인이 1989년에 제작한 작품으로 단 6개월이라는 개발시간에 쫓겨서 미완성 같은 게임으로 발매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이 나온다. 일본판은 쟈레코에서 《불가사의한 블로비 ~블로바니아의 동굴~》이라는 제목으로 발매했으며 일판 역시 패밀리 컴퓨터용으로 출시했다.][* 타이틀에 쓰여진 메인 화면의 구도와 글자 폰트가 인디아나 존스와 완전히 똑같은데 이는 패미콤판 인디아나 존스를 제작할 당시 데이빗 크레인도 같이 참여했기 때문이다.]||앱솔루트 엔터테인먼트||[[NES]][* 1990년에 [[게임보이]]로도 이식되었으나 이것은 마지막 장면에 잠시 언급되기만 하고 다루지 않은 듯하다.]|| ||211||[[지킬 박사와 하이드(게임)|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깨기(2023 할로윈 특집)[* 호러 필름 매니아 제임스 롤프의 연례행사 격 할로윈 스페셜로, [[엑소시스트(영화)|엑소시스트]]를 패러디했다.]||도호, 반다이|| || === 번외편 === || {{{#white '''회차'''}}} ||<|2> {{{#white '''제목'''}}} ||<|2> {{{#white '''비고'''}}} || || {{{#white '''일자'''}}} || || [[https://www.youtube.com/watch?v=7Nd7FmbLtqY|0]] ||화장실의 화요일||<|2> [* [[닌텐도 64 소년]] 패러디. [[변기]] 위에 올려져 있는 건 실제 [[닌텐도 64]]이다(...).] || || 2006/08/27 ||Toilet Tuesday|| || [[https://www.youtube.com/watch?v=9mupyfGBE0Y|I]] ||분노의 시작 ||<|2> || || 2006/10/05 ||The Anger Begins|| || II ||[[Wii]]에게 경례! 비디오 게임 전쟁의 역사||<|2> || || 2006/11/20 ||Wii Salute(History of Video Game Wars)|| || III ||2006년의 Angry Video Game Nerd 10대 사건||<|2> || || 2006/12/31 ||Top 10 Angry Video Game Nerd Moments of 2006|| ||번외 4||[[욕심쟁이 오리아저씨|덕 테일즈]](DuckTales)||캡콤||[[NES]]|| ||번외 5||가장 얼간이이자 이단자 캡틴 S 크리스마스[* 또 다른 게임 쇼인 PBC 프로덕션의 캡틴 S와의 콜라보레이션. 참고로 이 번외편의 엔딩 파트에서 '38편 - 화가 난 Nerd의 크리스마스 캐롤: 파트 1'으로 내용이 연결된다.] || || || ||번외 6||2007년의 10대 Nerd 사건|| ||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he Angry Video Game Nerd, version=497)] [[분류:The Angry Video Game Nerd]][[분류:에피소드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