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eathconsciousness)]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0,#462a1f)" '''{{{+1 The Big Gloom}}}'''}}}'' || ||<-2>{{{#!wiki style="margin:-6px -10px -6px" [youtube(yCLut-Ly5rE)]}}} || ||<#462a1f> '''발매일''' ||[[2008년]] [[1월 24일]] || || '''녹음 기간''' ||[[2002년]] – [[2007년]]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0,#462a1f); font-size: .9em" [[Deathconsciousness|{{{#FFFFFF '''Deathconsciousness'''}}}]]}}} || || '''장르''' ||[[포스트 펑크]], [[슈게이징]], [[고딕 록]], [[포스트 록]] || || '''재생 시간''' ||8:04 || || '''레이블''' ||Enemies List Home Recordings ||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의 인디 밴드 [[Have a Nice Life]]의 첫 번째 정규 앨범 [[Deathconsciousness]]의 세 번째 트랙이다. 여담으로 밴드 멤버인 바렛이 [[Deathconsciousness]] 앨범 내의 최애곡으로 이 곡을 지목하였다.[* 반면에 다른 멤버인 팀은 [[Earthmover]]를 최애곡으로 지목하였다.] == 가사 == || '''{{{#fff 해석 영상[* [[https://youtu.be/uXYqKu3DDCc?si=IEBf4uU92PCfoXEV|출처]]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XYqKu3DDCc, width=100%)]}}} || || {{{#!folding [ 가사 보기 ] ---- Sleeping in and out of an ice bath 얼음이 가득 찬 욕조에 몸을 담군 채 [br]몽롱함에서 깨어나기를 반복해 No warmth, no life without, it’s too much 따뜻함도 없고, 그 없이 삶도 없어, 너무나도 가혹해 My arms, my legs are wood, unconscious tree 나의 팔다리는 목석, 의식없는 나무 같아 With roots deep in the ground, we’ll all be out 땅에 뿌리를 깊게 뻗은 나무처럼, [br]우리는 결국 떠나게 될거야 An ocean ringed with tile 타일로 둘러쌓인 바다 I know that’s not your style 그게 너의 방식이 아니란 것은 알지만 But it certainly will be mine 분명히 내 방식이 될거야 If I can’t get this right 만약 내가 이것을 바로잡지 못 한다면.. So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그러니 제발, 제발, 제발, 날 놓아줘 Oh,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오 제발, 제발, 제발, 날 놓아줘 Oh,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오 제발, 제발, 제발, 날 놓아줘 Oh,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오 제발, 제발, 제발, 날 놓아줘 Can you hear my faintest breath? 내가 내뱉는 가장 옅은 숨소리가 들려? Is it amplified? 혹시 크게 들리지는 않니? The number that I’ve become will put you inside 숫자[* [[자살]]한 사람의 수치]로 변한 나는 널 집어삼킬 거야 I’ve got a message that I must relay 내가 전해야만 하는 메세지가 있어 No, I can’t delay it one more day [br](it’s not going well) 아냐, 하루라도 더 늦어서는 안 돼 [br](잘 되어가고 있지 않네) It is desperate, can you relate? 매우 절박해, 넌 공감할 수 있겠니? Can you please, please relate? [br](I’m not holding up) 제발, 제발, 공감할 수 있겠니? [br](난 더 버틸 수 있을것 같지가 않아) I am trapped, 난 갇혀 버렸어, I’m stuck here on this bathroom floor 난 이 욕실의 바닥에 처박혀 버렸어 And I don’t have much more hope or pride 내겐 더 이상의 희망이나 자존심이 없어 No air, no food, but I’m sure that I’m still alive 공기도 없고, 음식도 없지만, [br]내가 여전히 숨쉬고 있다는 건 확실해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All ashes on the floor)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모든 잿더미는 바닥에)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All ashes on the floor)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모든 잿더미는 바닥에)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I will never need you more)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더이상 당신이 필요하지 않아)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I will never need you more)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더이상 당신이 필요하지 않아)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All ashes on the floor)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모든 잿더미는 바닥에) (Oh,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아, 제발, 제발, 제발 나를 놓아줘)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All ashes on the floor)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모든 잿더미는 바닥에) (Oh,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아, 제발, 제발, 제발 나를 놓아줘)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All ashes on the floor)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모든 잿더미는 바닥에) (Oh,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아, 제발, 제발, 제발 나를 놓아줘)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All ashes on the floor)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모든 잿더미는 바닥에) (Oh,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아, 제발, 제발, 제발 나를 놓아줘) Just open up your eyes, you dead ones (All ashes on the floor) 그냥 당신들의 눈을 떠 줘, 망자들이여 (모든 잿더미는 바닥에) (Oh, please, please, please release me) (아, 제발, 제발, 제발 나를 놓아줘) ---- }}} || [[분류:Deathconsciousness]][[분류:2008년 노래]][[분류:포스트 펑크]][[분류:슈게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