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The Composer of Desafinado, Play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BQQaY9KCYAAvx4v.jpg|width=100%]]}}} || || '''발매''' ||1963년 8월 말|| || '''녹음''' ||1963년 5월 9~10일|| || '''녹음실'''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A&R 스튜디오|| || '''장르''' ||라틴 재즈, [[보사노바]]|| || '''길이''' ||35:10|| || '''곡 수''' ||12곡|| || '''프로듀서''' ||크리드 테일러|| || '''라벨''' ||버브||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목차] [clearfix] == 개요 == 피아니스트이자 기타 연주자였던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의 첫 번째 솔로 음반, 1963년 발매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발매된 [[Getz/Gilberto]]와 함께 보사노바라는 장르를 새로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수록곡 대부분이 아직까지도 많은 재즈·보사노바 연주자로부터 연주되고 있다. 2001년에 라틴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참고: [[http://www.latingrammy.com/en/node/21337|Latin GRAMMY® Hall Of Fame (2001)]]] == 트랙 리스트 == * 1. "[[The Girl from Ipanema]]" — 2:42 * 1962년 겨울, 조빔과 작사가 비니시우스 데 모라에스(Vinicius de Moraes)가 이파네마 해변에서 뮤지컬 곡을 작곡하던 중에 걸어가는 한 어린 소녀를 보고 작곡한 곡이라고 한다. 보사노바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스탠다드 넘버'(표준 연주곡) 중 하나로, 이 곡의 영향력으로 인해 이파네마 시에서는 조빔이 어린 시절 살던 거리를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 거리로 명명했다고 한다. * 2. "Amor em Paz" ("Once I Loved") — 3:36 * 3. "Agua de Beber" — 2:50 * 4. "Vivo Sonhando" — 2:35 * 5. "O Morro Não Tem Vez" — 3:20 * 6. "Insensatez" — 2:53 * 국내에서는 과거 [[개그콘서트]] [[윤형빈]]이 왕비호로 출연했을때 흐르던 곡의 원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 7. "Corcovado" — 2:25 * 8. "One Note Samba" — 2:14 * 9. "Meditation" — 3:15 * 10. "Só Danço Samba" — 2:21 * 11. "Chega de Saudade" — 4:19 * 12. "Desafinado" — 2:44 * Desafinado는 포르투갈어로 음치의·무음감의라는 뜻으로, 보사노바 음악이 진행 중에 수시로 키가 바뀌는 것을 음치의 음악이라고 비난하던 이들에게 보사노바는 원래 그런 음악이라고 설명해주는 곡이다. 보사노바의 의미를 잘 나타낸 곡. 앨범 제목도 '음치/무감의 작곡자, 연주하다'라는 뜻이 된다. 다만, 이 앨범에서는 가사가 없고 [[Getz/Gilberto]] 앨범에 가사가 있는 버전이 수록 되어있다. 물론 1959년 주앙 지르베르투의 앨범 Chega De Saudade에 실린 버전에도 같은 가사가 있는 버전이 있다. [[분류:1963년 데뷔 음반]][[분류: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분류:재즈 음반]][[분류:보사 노바]][[분류:브라질의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