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e6ea30 '''The End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328, 연도=2004, 순위2=336, 연도2=2010)]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429)] ---- }}} || ||<-2><#161f1d> '''{{{+1 The End}}}'''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XqPNlng6uI, width=100%, height=250)]}}}|| || '''앨범 발매일''' ||[[1967년]] [[1월 4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1f1d; font-size: .9em" [[The Doors(음반)|{{{#e6ea30 '''The Doors'''}}}]]}}} || || '''장르''' ||[[사이키델릭 록]], [[아트 록]] || || '''러닝 타임''' ||11:41 || || '''작사/작곡''' ||[[도어즈]] || || '''프로듀서''' ||폴 A. 로스차일드 || || '''레이블''' ||[[엘렉트라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의 사이키델릭 밴드 [[도어즈]]의 노래. == 상세 == 도어즈의 데뷔 앨범 [[The Doors(음반)|The Doors]]의 마지막 트랙. 보컬리스트 [[짐 모리슨]]이 고교시절 애인과 헤어지고 난 후에 쓴 곡인데, 광기와 주술적 성향이 돋보이는 곡이다. 아마 짐은 애인과 헤어진 후에 멘붕(...)했나보다. 록과 연극이 결합한 록 시어터의 원조로, 욕망과 죽음에 대한 [[오이디푸스]]적 서사시이다. 짐의 'Father? Yes, son. [[존속살해|I want to kill you]]. Mother, I want to...'라는 나레이션이 끝나고 알아들을 수 없는 비명이 나오는 부분과[* 이 부분은 가사집 등에는 대놓고 '''[[근친상간|FUCK YOU!!]]'''라고 적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앞서 말했듯 비명을 지를 뿐이다. 다만 몇 라이브에서는 대놓고 이 가사를 외치는 경우가 있다.] 후반부 내내 반복되는 'Fuck, Fuck, Fuck, yeah!'라는 가사, 그리고 약 빤듯한 멜로디가 가히 충격적. 존 덴스모어의 극적인 드럼 연주도 빛을 발한다.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걸작 [[지옥의 묵시록]]에 삽입되었다. 오프닝 신과 결말부에 삽입되어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 가사 == ||<:> ---- '''{{{+2 The End}}}''' ---- This is the end 이것이 끝이야 Beautiful friend 아름다운 친구여 This is the end 이것이 끝이야 My only friend 내 하나뿐인 친구여 The end 끝이야 Of our elaborate plans 우리의 정교한 계획의 The end 끝이야 Of everything that stands 견디던 모든 것들의 The end 끝이야 No safety or surprise 안심이나 놀람은 없는 The end 끝이야 I'll never look into your eyes 결코 네 눈을 바라보지 못하겠지 Again 다시는 Can you picture what will be 어찌 될지 상상해 봐 So limitless and free 한계가 없고 자유로운 Desperately in need of some stranger's hand 어느 이방인의 손길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In a desperate land 절망의 땅에서 Lost in a Roman wilderness of pain 로마의 고통의 황야에서 길을 잃었어 And all the children are insane 그리고 모든 아이들은 미쳤어 All the children are insane 모든 아이들은 미쳤어 Waiting for the summer rain, yeah 여름 비를 기다려 There's danger on the edge of town 마을 변두리엔 위험이 도사려 Ride the king's highway, baby 왕의 길[* 고대 이집트의 교역로]을 달려, 자기 Weird scenes inside the gold mine 금광 안의 기이한 광경 Ride the highway west, Baby 서쪽으로 고속도로를 달려, 자기 Ride the snake, ride the snake 뱀을 타고, 뱀을 타고 To the lake 호수로 The ancient lake 고대의 호수로 Baby The snake is long, seven miles 뱀은 길어, 7마일이지 Ride the snake 뱀을 타 He's old 그는 늙었어 And his skin is cold 그리고 피부는 차갑지 The west is the best 서쪽이 제일이야 The west is the best 서쪽이 제일이야 Get here, and we'll do the rest 이리 와, 나머지는 우리가 할 게 The blue bus is callin' us 푸른 버스가 우리를 불러 The blue bus is callin' us 푸른 버스가 우리를 불러 Driver, where you taking us 운전사, 우리를 어디로 데려가나 The killer awoke before dawn, he put his boots on 살인자는 동트기 전 깨어, 부츠를 신었다 He took a face from the ancient gallery 고대 화랑에서 얼굴을 훔치고 And he walked on down the hall 복도로 내려갔다 He went into the room where his sister lived, and... 누이가 살던 방으로 들어갔고, 그리고... Then he paid a visit to his brother, and then he 형제를 만나러 갔고, 그리고는 He walked on down the hall, and 복도로 내려갔다, 그리고 And he came to a door... and he looked inside 문 쪽으로 가서... 안을 들여다 보았다 "Father?" "Yes, son." "I want to kill you." "아버지?" "그래, 아들아." "당신을 죽이고 싶어." "Mother, I want to..." "어머니, 당신을..." C'mon babe C'mon baby, take a chance with us 어서 자기야, 우리와 함께 하자 C'mon baby, take a chance with us 어서 자기야, 우리와 함께 하자 C'mon baby, take a chance with us 어서 자기야, 우리와 함께 하자 And meet me at the back of the blue bus 그리고 푸른 버스 뒷좌석에서 나와 만나 Doin' a blue rock 우울한 록을 하자 On a blue bus 푸른 버스에서 Doin' a blue rock 우울한 록을 하자 C'mon, yeah Fuck, fuck-ah, yeah 씨발, 씨발, 그래 Fuck 씨발 Fuck 씨발 Fuck, fuck 씨발, 씨발 Fuck, fuck, fuck, yeah 씨발, 씨발, 씨발, 그래 C'mon, yeah, c'mon, yeah 어서, 그래, 어서, 그래 Fuck me, baby, fuck yeah 날 따먹어, 자기, 좋았어 Fuck, fuck, fuck, yeah! 씨발, 씨발, 씨발, 그래 Fuck, yeah! C'mon, baby 씨발, 그래! 어서, 자기 Fuck me, baby, fuck, fuck, yeah 날 따먹어, 자기, 씨발, 씨발, 그래 Whoa, whoa, yeah, fuck, baby 워우, 워우, 그래, 씨발, 자기 C'mon, yeah, huh, huh, huh, huh, yeah 어서, 그래, 헛, 헛, 헛, 헛, 그래 All right 좋아 Kill, kill, kill, kill, kill, kill 죽여, 죽여, 죽여, 죽여, 죽여, 죽여 This is the end 이것이 끝이야 Beautiful friend 아름다운 친구여 This is the end 이것이 끝이야 My only friend, the end 내 하나뿐인 친구여, 끝이야 It hurts to set you free 너를 풀어주기는 괴롭지만 But you'll never follow me 넌 결코 날 따라오지 않겠지 The end of laughter and soft lies 웃음과 부드러운 거짓말들의 끝 The end of nights we tried to die 우리가 죽으려 했던 밤들의 끝 This is the end 이것이 끝이야 ---- [[파일:The-Doors-Logo-with-drop-shadow.png|width=140]]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he Doors(음반), version=28)]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he End, version=29)] [[분류:도어즈]][[분류:1967년 노래]][[분류:사이키델릭 록]][[분류:아트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