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Geometry Dash/온라인 레벨]] [목차] == 개요 == [youtube(uSDc0yZPctU)] Phyrnna가 작곡한 음악. 고요하면서 몽환적인 음색이 특징. == [[Geometry Dash]]의 [[Geometry Dash/건틀렛|건틀렛]] 맵 : Sanctuary of Light [anchor(GD)][anchor(Geometry Dash)][anchor(Sanctuary of Light)] == [include(틀:문서가 있는 Geometry Dash 건틀렛 맵)]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0deg, #777777, #222222); border-bottom: 1px solid #FFFFFF; border-left: 1px solid #FFFFFF; border-radius: 24px; border-right: 1px solid #FFFFFF; border-top: 1px solid #FFFFFF; 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10px; letter-spacing: -.5px; margin-right: 12px; text-align:center; width: 100%" [[파일:CrystalGauntletIcon.webp|width=60]][br][[Geometry Dash/건틀렛#Crystal Gauntlet|{{{-1 {{{#ffffff '''Crystal Gauntlet의 세 번째 맵'''}}}}}}]] ||<-3> [[파일:HarderGMD.png|width=50]] '''더 어려움(Harder)'''[br]{{{+3 '''Sanctuary of Light'''}}}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영상 정렬, url=WrmNw4IQyz0)] }}} || || '''맵 ID''' || '''클리어 시간''' || '''맵 제작자''' || || {{{+3 '''37187779'''}}} || {{{+3 '''1분 23초'''}}} || {{{+2 '''AbstractDark'''}}} || ||<-3> '''보상''' || ||<-3> {{{+3 '''6 [[파일:StarGMD.png|width=25]]'''}}}[br]{{{+3 '''225 [[파일:OrbGMD.png|width=25]]'''}}}[br]{{{+3 '''8 [[파일:DiamondGMD.png|width=25]]'''}}}[br]{{{+3 ''' [[파일:SilverCoinGMD.png|width=25]] 3개'''}}} || ||<-3> '''맵 순서'''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 [[Debug#s-2|{{{#000,#fff Crystal Fusion}}}]]}}} || → || {{{+1 '''Sanctuary of Light'''}}} || → || {{{+1 [[Duality(Dimrain47)#s-2|{{{#000,#fff Prismarine}}}]]}}} || }}} || }}} Crystal Gauntlet 콘테스트 3위 작품. === 구간 === === 유저 코인 === 코인이 전체적으로 꽁꽁 숨겨져있어 초견에 코인을 찾기는 정말 힘들다. 대신 위치를 알면 난이도는 평이한 편. * '''첫번째 코인''' [[파일:생오라 1번코인 1.gif|width=500]] 4%에서 수정 장식에 숨겨져 있는 해골 아이템을 먹어야 한다. 먹고 나면 초반 구간의 난이도가 높아진다. [[파일:생오라 1번코인 2.gif|width=500]] 여기가 까다로운 구간인데, 대시링 떼는 타이밍을 조금만 잘못 잡아도 바로 죽기 때문에 반복 연습으로 정확한 타이밍을 숙지해야 한다. [[파일:생오라 1번코인 3.png|width=500]] 무사히 돌파하면 코인을 준다. * '''두번째 코인''' [[파일:생오라 2번코인.gif|width=500]] 30%에서 돌뭉치 아래로 들어가면 먹을 수 있다. 앞에 장애물이 있는데다 등깔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컨트롤에 주의해야 하며, 코인이 작기 때문에 잘못하다 코인을 못먹고 그냥 지나칠 수도 있다. 코인의 크기를 감안한 유효 범위로만 치면 '''[[Theory of Everything]] 두번째 코인'''과 맞먹으나 장애물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는 그보단 쉽다. * '''세번째 코인''' [[파일:생오라 3번코인.gif|width=500]] 49%에서 공중의 기둥으로 뛰어 올라가면 된다. 참고로 위의 톱니처럼 생긴 장식은 '''진짜 톱니이니'''[* 즉, 사망판정이 있다는 뜻이다!] 너무 높이 점프하지 않게 주의.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