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82년 음반]][[분류:영국의 메탈 음반]][[분류:NWOBHM]][[분류:헤비메탈]][[분류:아이언 메이든(밴드)]]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fff '''{{{#B22222 The Number of the Beast}}}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82)] ---- [include(틀:IGN 선정 25대 메탈 명반)] ---- [include(틀:라우드와이어 선정 50대 메탈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100대 메탈 명반)]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63, 연도=1998, 순위2=351,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356)]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4,순위=86,연도2=2015,순위2=32,연도3=2016,순위3=48,연도4=2017,순위4=30)] ----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20대 록 명반)]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100)]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The Number of the Beast)] ---- }}} || ||<-2><#696969>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696969; 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CF1C43;" The Number of the Beas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91btg21qv8S._AC_SL1400_.jpg|width=100%]]}}} || || '''발매일''' ||[[1982년]] [[3월 22일]] || || '''녹음''' ||[[1982년]] 1월 - 2월 || || '''장르''' ||[[헤비 메탈]] || || '''러닝 타임''' ||39:11 || || '''곡 수''' ||8곡 || || '''프로듀서''' ||마틴 버크 || || '''발매사''' ||[[EMI 그룹|EMI]] || || '''스튜디오''' ||Battery (London) || || '''판매량(미국)''' ||RIAA 플래티넘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언 메이든의 3번째 정규 앨범, 드러머 클라이브 버가 참여한 마지막 앨범이며 보컬리스트 브루스 디킨슨이 처음으로 합류한 앨범이다. 아이언 메이든 최고의 앨범으로 평가받으며 앨범과 동명의 타이틀곡 The Number of the Beast, Hallowed Me Thy Name 등 많은 명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상업적인 성공 역시 거둔 작품인데, 영국 차트 1위, 빌보드 200에서 40위권 안에 진입한 밴드의 첫 번째 앨범이다. 다만 미국에서 종교적인 언급과 가사의 내용으로 인해서 예수쟁이들의 많은 비판을 받기도 한 앨범이다. 헤비 메탈 음악을 사탄의 음악이라고 공격하는 [[음악과 악마주의]]의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 작업과정 == == 트랙 리스트 == ||
{{{#B22222 '''트랙'''}}} || {{{#B22222 '''곡명'''}}} || {{{#B22222 '''작사 / 작곡'''}}} || {{{#B22222 '''재생 시간'''}}} || ||<-5> '''Side A''' || || 1 || Invaders || [[스티브 해리스]] || 3:20 || || 2 || Children of the Damned || [[스티브 해리스]] || 4:34 || || 3 || The Prisoner || [[스티브 해리스]], [[에이드리언 스미스]] || 5:34 || || 4 || 22 Acacia Avenue || [[스티브 해리스]], [[에이드리언 스미스]] || 6:34 || ||<-5> '''Side B''' || || 1 || The Number of the Beast || [[스티브 해리스]] || 4:25 || || 2 || Run to the Hills || [[스티브 해리스]] || 3:50 || || 3 || Gangland || [[에이드리언 스미스]], 클라이브 버 || 3:46 || || 4 || Hallowed Be Thy Name || [[스티브 해리스]] || 7:08 || === SiDE A === ==== Invaders ==== [youtube(iQ5JAxPqum0)] 코러스 부분의 기타리프가 인상적인 곡. ==== Children of the Damned ==== [youtube(wsuj2uhGBvY)] 동명의 영화를 소재로 삼았다. ==== The Prisoner ==== [youtube(MLYdFSaE4tk)] 동명의 SF 드라마 시리즈를 소재로 삼았다. ==== 22 Acacia Avenue ==== [youtube(T5WpPLRrhac)] Charlotte the Harlot의 후속곡(?)으로써, 에이드리언이 Urchin이라는 밴드에서 활동할때 썼던 곡을 수정했다고 한다. === SiDE B === ==== [[The Number of the Beast(노래)|The Number of the Beast]] ==== [youtube(_WCCVqkTI9Q)] [[The Number of the Beast(노래)|항목 참조.]] ==== Run to the Hills ==== [youtube(Q_XJ-7jNqws)] 백인의 [[아메리카 원주민]](특히 [[크리]]족) [[학살]]을 소재로 다룬 노래. 양쪽의 입장 모두를 다루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백인을 비판하는 느낌이 강하며,[* 원주민은 백인에게 쫒겨나 살기 위해 언덕으로 도망치고, 백인은 원주민들을 죽이고, 파괴하고, 사냥감을 빼앗으며 고분고분 따르는 놈들만 길들여서 부린다는 내용이다.] 공연 중 이 노래를 부를 때, 한 원주민 소녀가 밴드에게 꽃을 선물하기도 했다. 독특한 리프와 경쾌한 드럼리듬이 일품인 곡으로 인기가 많다. ==== Gangland ==== [youtube(YMIKgVnB0ig)] 암흑가 이야기. [[대부]]가 생각나기도 한다. ==== [[Hallowed Be Thy Name]] ==== [youtube(HAQQUDbuudY)] [[Hallowed Be Thy Name|항목 참조.]] === Total Eclipse === 보너스 앨범에서는 "Total Eclipse"가 9번째로 수록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이언 메이든(밴드)/디스코그래피, version=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