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드 핫 칠리 페퍼스)] ||<-2><#0481c4> '''{{{+1 {{{#fff The Uplift Mofo Party Pl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 uplift mofo party plan jacket.jpg|width=100%]]}}} || || '''발매일''' ||[[1987년]] [[9월 29일]] || || '''장르''' ||[[펑크(음악)|훵크 록]], [[얼터너티브 록]] || || '''재생 시간''' ||38:25 || || '''곡 수''' ||12곡 || || '''프로듀서''' ||마이클 베인혼 || || '''레이블 ''' ||EMI 맨해튼 ||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의 락밴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 상세 == 1983년 밴드가 결성된 이후 있었던 멤버 변동으로 인해 원년 멤버인 [[앤서니 키디스]], [[플리]], [[잭 아이언스]], [[힐렐 슬로박]] 네 명이 모두 참여한 처음이자 마지막 음반이다. 밴드 초기의 독특한 [[펑크(음악)|펑크]] 스타일과 강한 [[메탈(음악)|메탈]] 사운드로 만들어진 앨범으로, 비록 이후에 나온 앨범인 [[Mother's Milk]]나 [[Blood Sugar Sex Magik]]만큼의 성과는 내지 못 했지만, 그래도 이 전에 발매했던 앨범들보다 훨씬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또 [[빌보드 200]]에 처음으로 진입해 148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도 성공한 모습을 보이며 밴드 초기 인지도를 올리는 데 한몫 한 앨범이다. 또한 마약에 절어 상태가 몹시 좋지 않던 기타리스트 힐렐이 이 앨범의 투어가 끝나고 [[헤로인]] 중독으로 결국 사망하고 말았다. 앤서니를 비롯한 다른 멤버들도 마약으로 인해 상태가 좋지 않았지만, 마약의 도움 없이는 금단 증상 때문에 기타를 연주하지도 못 할 정도로 증세가 가장 심했던 힐렐이 스스로 마약을 끊기 위해 노력했지만 할리우드의 모 아파트에서 시체로 발견된다. 이 사건으로 인해 드러머 잭이 밴드를 탈퇴하고, 앤서니도 마약을 끊고 다른 멤버들을 영입하는 등 밴드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 트랙 리스트 == Side 1 * 1. Fight Like a Brave * 앨범에서 유일하게 싱글컷 된 노래로, 밴드의 초기 명곡으로 유명하다. 벌스에서 이어지는 앤서니의 쉼없는 래핑과 코러스 부분에서의 합창이 인상적인 곡이다. * 2. Funky Crime * 3. Me and My Friends * 1번 트랙 Fight Like a Brave와 함께 앨범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곡으로, 노래 제목과 같은 가사를 여러 번 반복하는 중독성 있는 후렴이 매우 멋지다. * 4. Backwoods * 5. Skinny Sweaty Man * 6. Behind the Sun SIde 2 * 1. Subterranean Homesick Blues * 2. Party on Your Pussy * 레이블인 EMI 측에서 곡의 제목을 바꾸지 않으면 앨범을 발매해주지 않겠다고 하였고, 그리하여 멤버들은 곡 제목을 Special Secret Song Inside로 바꾸어서 발매, 활동하였다. * 3. No Chup Love Sucker * 4. Walkin' on Down the Road * 5. Love Trilogy * 6. Organic Anti-Beat Box Band == 참여자 == * [[앤서니 키디스]] - 리드 보컬 * [[힐렐 슬로박]] - 기타, 시타르 * [[플리]] - 베이스 * 잭 아이언스 - 드럼 [[분류:1987년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레드 핫 칠리 페퍼스]][[분류:Funk r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