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7736> '''{{{#FFFFFF {{{+1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 || '''앨범 발매일''' ||[[1985년]] [[4월 29일]] {{{-3 ([[Mr. Bad Guy]])}}}[br] [[2014년]] [[11월 10일]] {{{-3 ([[Queen Forever]])}}}||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em" [[Mr. Bad Guy|'''{{{#FFFFFF Mr. Bad Guy}}}''']]}}}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4201d; font-size: .9em" [[Queen Forever|'''{{{#ab915e Queen Forever}}}''']]}}} || || '''작사/작곡''' ||[[프레디 머큐리]] || || '''러닝 타임''' ||3:00 {{{-3 ([[Mr. Bad Guy]])}}} [br] 3:27 {{{-3 ([[Queen Forever]])}}}|| || '''프로듀서''' ||[[프레디 머큐리]], 라인홀트 맥 {{{-3 ([[Mr. Bad Guy]])}}} [br] 윌리엄 오빗 {{{-3 ([[Queen Forever]])}}}|| || '''레이블''' ||Columbia||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WsURKnXOvXo)] || [youtube(ZZjCrkTLj_0)] || || 1985년 [[Mr. Bad Guy]] 솔로 버전 || 2014년 [[Queen Forever]] 듀엣 리믹스 버전 || [[1985년]]에 [[프레디 머큐리]]가 [[Mr. Bad Guy]] 앨범과 함께 발매하고, [[2014년]]에 [[마이클 잭슨]]과의 듀엣 리믹스로 공개된 곡이다. == 상세 == [[프레디 머큐리]]가 퀸의 정규 음반 [[Hot Space]]를 위해 쓴 곡으로, 퀸은 1981년 이 곡을 녹음했지만 앨범에 수록하지 못했다. 그리고 [[마이클 잭슨]]과 함께 작업하려고도 했지만 역시 무산되었다. 사실 둘이 녹음해서 발매하려 했던 곡은 모두 세 개로 그중 하나가 바로 이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이며, 하나는 'State of Shock', 그리고 'Victory'인데 두 사람이 너무 바쁘고 스케줄 문제 등으로 모두 완성할 수 없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80&v=f-UY5vYkbLA|퀸의 프레디 머큐리가 말하는 마이클 잭슨과의 미공개 곡 (1984)]] 참조.]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이 중 State of Shock는 [[롤링 스톤즈]]의 [[믹 재거]]가 함께하여 완성되었으며,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는 이후 프레디가 혼자 부른 버전으로 솔로 음반 Mr. Bad Guy에 수록되었다. Victory는 한번도 공개된 적이 없다. 2009년 잭슨이 사망하고 몇 년이 지난 후, 브라이언 메이와 로저 테일러는 2012년에 미공개 듀엣곡을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잭슨 재단(Jackson estate)과 이야기를 나누었지만 그 과정은 쉽지 않았다. 로저는 이 일에 대해 'Wading through glue'라고 표현하며 굉장히 힘들었다고 이야기했다. 퀸 포에버 앨범에 신곡 세 곡(Let Me In Your Heart Again, Love Kills,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이 들어있어 매우 기쁘지만, 잭슨과 함께한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말고 다른 두 곡을 합의하지 못한 것은 정말 애석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 버전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로듀서인 윌리엄 오빗이 믹스한 버전으로, 웅장한 사운드가 돋보인다. 퀸 또한 다른 버전으로 접근한 믹스 작업에 참여했지만 결국 최종적으로는 오빗의 믹스 버전이 실리게 되었다. 멤버들은 자신들이 작업한 믹스 버전도 좋지만 오빗의 버전도 괜찮다고 설명했다. == 가사 == ||<:> ----- '''{{{+4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How do we cope in a world without love Mending all those broken hearts And tending to those crying faces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living There must be more than meets the eye Why should it be just a case of black or white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Why is this world so full of hate People dying everywhere And we destroy what we create People fighting for their human rights But we just go on saying see'est la vie So this is life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killing A better way for us to survive What good is life, in the end we all must die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There must be more to life than this I live and hope for a world filled with love Then we can all just live in peace There must be more to life, much more to life There must be more to life, more to life than this. ----- [[파일:프레디 머큐리 서명.svg|width=50]]||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Queen Forever, version=10)] [[분류:1985년 노래]][[분류:2014년 노래]] [[분류:프레디 머큐리]] [[분류:마이클 잭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