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ffffff '''{{{+1 {{{#ff0000,#ff0000 도둑}}} 시뮬레이터 2}}}'''[br]{{{#ff0000,#ff0000 Thief}}} Simulator 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ief Simulator 2.jpg|width=100%]]}}} || || '''개발''' ||MrCiastku || || '''유통''' ||Ultimate Games S.A. / PlayWay S.A.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 '''ESD''' ||[[Steam]] || || '''장르''' ||[[시뮬레이션 게임|시뮬레이션]], [[잠입 액션 게임|잠입 액션]] || || '''출시''' ||[[2023년]] [[10월 4일]]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이 한국어 자막은 전작보다 훨씬 좋은 퀄리티를 보여주지만 일부 누락된 번역, 오탈자는 소소한 패치를 통해 개선해가고 있으며 1달쯤 지나니 거의 완벽한 상태가 되었다.] || || '''심의 등급''' ||'''{{{#000000,#dddddd 심의 없음}}}'''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332720/Thief_Simulator_2/|[[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zAKBZy5PnM)]}}} || || '''{{{#ffffff,#ffffff 공식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KNRKqCUQX0)]}}} || || '''{{{#ffffff,#ffffff 자유 모드 트레일러}}}''' || >강도의 경력의 문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자물쇠를 쇠 지렛대로 풀고 강제로 문지방을 통과하십시오. 기술을 배우고, 도구를 수집하고, 도둑 거래의 달인이 되세요! [[Thief Simulator]]의 후속작. 2021년 4월 28일에 공개되었으며 2023년 10월 4일에 출시된 게임이다. == 발매 전 정보 == * 주인공은 전작과 다르다. * 전작의 주인공과 마찬가지로 이번작의 주인공도 개인 차량을 소유하고 있다. * 세입자 또는 보행자를 공격하면 바로 게임 오버되는 전작과 달리 후방에서 기습 공격하여 기절시키는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반대로 정면에서의 제압 공격 가능 여부는 아직 알 수 없다. * 전작에선 불가능했던 [[소매치기]]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 [[ATM]] 기계를 해킹하여 거액의 현금을 훔칠 수 있다. 단, 입구에 [[CCTV]]가 있어서 이를 우회하여 통과해야 한다. * 드론을 조종하여 집 안의 세입자 유무 여부를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세입자가 자신의 집 영역 내에서 드론을 발견하면 경찰에 신고한다. * 파트너 시스템이 추가되어 동료 도둑이 대부분의 기능들을 플레이어 대신 수행할 수 있다. 파트너를 고용하는 방법은 아직 불명.[* 출시 후엔 소소하지만 시간 리스크가 큰 작업 혹은 주인공으로선 할 수 없는 1성 신고를 무효화해주는 역할로 밝혀졌다. 유저들의 예상대로 좋은 기능이었지만, 유사 이지 모드의 역할이므로 꼭 데리고 다닐 필요는 없다.] * 전작과 마찬가지로 본작에서도 경찰이 [[테이저건]]을 장비하고 있으며, 신고를 받으면 주변을 수색하며 플레이어를 찾는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fff,#fff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3> '''{{{#ffffff,#ffffff Windows}}}''' || || '''운영체제''' ||Windows 7 ||Windows 10 || || '''프로세서''' ||Intel Core i3-6100 ||Intel Core i5-8400 || || '''메모리''' ||8 GB RAM ||8 GB RAM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960 ||NVIDIA GeForce GTX 1070 || || '''API''' ||DirectX 버전 10 ||DirectX 버전 11 || || '''저장 공간''' ||7 GB 사용 가능 공간 ||7 GB 사용 가능 공간 || || '''사운드 카드''' ||DirectX compatible ||DirectX compatible || == 스토리 == 친구의 도움으로 자발적으로 도둑이 된 전작의 주인공과 달리 본작의 주인공은 정체불명의 인물[*미지인 발신번호 표시제한으로 전화를 걸며 주인공의 휴대전화엔 '''개인번호'''라고 적혀있다.]로부터 발신번호 표시제한으로 뜨는 전화를 받고 시키는 대로 따르지 않으면 인터넷에 개인정보를 퍼뜨리겠다는 협박을 당하여 결국 비자발적으로 도둑이 되었다. 처음에는 기본 좀도둑이 되는 방법을 가르쳐주며 이후 [[주거침입]] 방법, [[소매치기]] 등의 기본적인 도둑질을 거쳐 마지막으로 ATM 기계 해킹도 가르쳐준다. 해킹을 완료한 후 현금을 훔치는데 성공하면 이후에는 본인 하고 싶은 거 알아서 계속 하라고 주인공을 내버려둔다.[* 데모 버전은 스토리가 여기까지만 진행되었으며 정식판부터는 아래에 후술한 스토리가 이어서 진행된다.] 이후에는 람브로디아라는 가상의 조직 보스에게[* 이 사람은 전화번호를 표시해놓는다. 번호는 02-555-0155.] 연락을 받아 이번엔 목숨을 대상으로 협박받아 그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새로운 것을 알려주기보다 목표물을 지목하는 것이라 중간중간 정체불명의 그 사람[*미지인]에게 전화가 걸려와 보스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수행하기 위한 고급 기술을 알려주기도 하고, 주인공이 숙련된 이후 큰 시설을 강도하는 것은 정체불명의 그 사람이 주도하기도 하는 등 주인공에게 관심을 끄고 있진 않는다. == [[Thief Simulator 2/시스템|시스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ief Simulator 2/시스템)] == 게임 플레이 == 기본적인 목표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들키지 않고 비싼 물건만 골라 담아 집을 빠져나가고 자신이 왔던 흔적을 지우는 것이다. 자물쇠가 풀어헤쳐진 문, 잠가놨는데 열려있는 창문, 크기가 큰 아이템이 사라진 현장--아닛? 내 [[Xbox]]가 어디로 간 거지??--을 발각당하거나[*도난인식 캘린더 이벤트 중 '{{{#ff7777 도난 인식의 날}}}'일 경우에만 동작한다.] 아까 닫아놨는데 열려있는 집안의 문을 발각당하면[*도난인식] 도둑질을 하는 도중 덜미를 잡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내용은 아래 서술하겠다. 넘어가기 전 다 담지 않고 비싼 거만 담아야 하는 이유는 가방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래는 플레이 승패를 결정 짓는 요소들을 정리한 문서이며 자세한 방법은 [[Thief Simulator 2/시스템]]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 거주자 === 사전적 의미 그대로 집에 사는 사람을 일컫는 말. 플레이 중 경계를 유지해야 하는 기본적인 대상이며, 거주자가 집에 사람을 초대한다거나 이사를 가는 등의 변동이 없다. === 일상(루틴) === 거주자가 집안 어디에서 시간을 보내는지 결정한다. 보통 플레이어를 잘 감지하지 못하는 자는 시간이나 거주자가 집 밖에 있는 시간을 알아내어 그 시간 안에 털어버리게 도와주는 기능이다. 아니면 동선을 생각하며 훔치는 위치를 옮겨 집 전체를 여유롭게 터는 방식도 있다. 거주자는 바뀌지 않지만 루틴은 가끔 바뀐다.[* 확률은 한 시간당 10%, StolenRewords의 과제를 완료하면 5%로, 하루(24시간) 중 한 번은 꼭 바뀐다. 루틴 변경이 일어나면 해당 거주자가 '아하!'라고 외치고 행동한다. 이 소리를 들으면 오른쪽 위 집 정보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게 좋다. 하지만 대부분 있던 자리에서 1시간 더 잔류하는 경우가 많고, 집 안팎을 드나드는 일은 진짜 거의 없으니 너무 무서워하진 말자. 공식적으로 밝혀진 확률은 __없다.__] ==== 종류 ==== 루틴의 표기 종류. 인게임에선 4가지 색깔로 분류한다. * {{{#ff0000 집안}}}: 일반적인 상태. 하지만 리스크로써의 역할은 가장 강력하다. * 보통 집안에 있는 평소의 상태이다. 보통인 이유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다. 예를 들어 현관 앞 의자에 앉아 경치를 구경하는 경우나 경비 같은 사람이 주요 입구를 감시한다거나 하는 경우도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이건 조금 문제인 게, 예를 들어 한 뉴비가 새로운 집을 털려고 스케쥴표를 확인하고 있다. 스케쥴표가 빨간색이라 집 안에 있는 줄 알고 정문을 땄다가 현관에서 정문을 바라보고 있는 거주자에게 딱 걸려 세이브를 로드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집안에 있는 것이라고 무조건 불리한 건 아니고 오히려 이용할 수도 있으니 빨간색을 조심하긴 해도 피할 이유는 없다. * {{{#ffb760 야외}}}: 집 안에 없지만 외출은 아닌 경우. 정확히는 집안을 들여다 보기 어려운 장소를 의미한다. * 십중팔구 뒷마당이다. 앞서 말했듯이 앞마당은 주황색으로 안 쳐주기 때문이다. 일부 습격의 경우는 집에서 나는 소리를 아예 들을 수 없는 장소에서 주황색이 뜨기도 한다. 외출은 아니기 때문.[* 대표적 예시가 리조트의 수영장.] 예외가 아니라면 소리는 충분히 듣는다. * {{{#2222cc 수면}}}: 이 시간에 집주인은 자러 들어간다. * 거주자가 목적지에 다다르면 수면 상태로 변경된다. 이동이 없고, 시야도 없으며, 청력은 아주 많이 감소된다. 시간이 많이 길고 도둑질하기도 좋다. 심지어 일반적으로 한 명이 자면 다 같이 자기 때문에 자는 시간을 노리면 큰집도 무용지물이다. * {{{#62ff62 외출}}}: 가장 안전한 시간 * 거주인이 월드에서 삭제된다. 이 시간에는 마음껏 뛰다니고 물건을 부수고 난리부르스를 춰도 상관없지만, 시간이 많이 주어지지 않는데다가, 시작과 끝에 현관과 정문을 건드리는 시간이기에 문단속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바로 1성 경찰의 출동이다. --이래서 자는 시간을 더 선호한다.-- ==== 획득 경로 ==== 기능도 보조적이고 획득 경로도 여러 가지가 있어 보조적인 성격 같지만, 그렇다고 __루틴 정보가 없는 집으로 들어가는 것은 정말 위험한 짓__이니 루틴을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아래의 것들은 전작에 있었던 시스템이다. * 마킹[*동음이의 루틴이 밝혀진 시간대에 거주자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능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 가장 처음 배우는 루틴 수집 방식이다. 조건은 거주자를 육안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보다 시선의 중앙(=조준선)에 대상이 닿으면 된다.] 지켜보고 있으면 실시간 기록되고 뭐 그런 건 아니고, 거주자를 보고 있는[*보다] 채로 마우스 휠을 누르면 현재 시간을 포함해 '''10시간''' 동안의 루틴을 파악할 수 있다. 집안을 털러들어갔다가 {{{#2222cc 자는}}} 사람을 마킹하거나 생각보다 가성비 있어 보이지만 창문 등을 통해 집안에 있는 거주자를 마킹하는 건 103호 튜토리얼 때 이후로 기회가 많이 없고, 후반에 가면 기껏해야 밖에 나가는 사람에 대고 마킹해 밖에 있는 시간을 알아내는 정도인데 후반에 가면 {{{#62ff62 외출 시간}}}보단 {{{#2222cc 자는 시간}}} 알아내는 게 더 가치 있기 때문에[* 후반에 가면 {{{#62ff62 외출 시간}}}을 쉽사리 다 맞춰주지 않는다. 거주자 모두가 나가면 즉시 빈집털이가 가능한데 빈집털이 시간대가 있다는 것은 집이 허술하다는 뜻이고 결과적으로 허술한 집의 쉬운 난이도는 전리품의 가치에 영향을 주게 된다.] 자주 쓰이진 않는다. --지렛대로 문 따는 느낌-- 야간 시간대에 자고 있는 사람에게 마킹할 수도 있지만 이미 집에 들어간 상황에서 루틴이 확보가 안 된 경우는 생각하지 않는다. * 소형 카메라 * 가장 자주 쓰인다. 집에 있는 우체통에 소형 카메라를 사용하고 인게임 기준 24시간이 지나면 거주자 모두의 24시간 루틴을 확보한다. 카메라는 초보자 땐 부담 가는 500$이지만 나중에 RobTips에서 루틴 정보를 인당 100으로 쳐주는 것을 보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써 제격이다. (두세 번만 써도 본전이다.) 카메라를 미리 못 놓고 기다리며 할 것이 딱히 떠오르지 않을 때에는 주차장에 차를 대고 23시간, 그리고 1시간 대기를 타서 바로바로 루틴을 수집할 수 있다. 소형 카메라는 StealGear에서 개수 제한 없이 팔기 때문에 편하기도 하다. * RobTips * 튜토리얼에서 가장 지향하는 루틴 수집 방식이다. 간편하기 때문에 게임 진행의 일부로써 적합하다는 이유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제공하는 루틴을 게임에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스템적으로 개발이 쉽기 때문에 튜토리얼이 애용하는 것이다. 아무튼 재정이 어렵거나 불가피한 상황이 아닐 땐 사용하지 말자. * 파트너 * __전작에 없던__ 새로운 방법이다. 파트너의 동작 중 1 액션 포인트를 사용해 현재 가까이 있는 집에 사는 모든 사람의[* 외출 중인 사람도 포함.] 루틴을 '''2시간''' 밝혀준다. === 상태 === 사전적 의미 그대로 거주자의 상태이다. 크게 분위기와 무장 두 가지로 나뉘지만 별 거 없다. ==== 분위기 ==== * {{{#008800 좋음}}}: 기본적인 상황이다. 주거인끼리 싸운다거나 해서 분위기가 나빠지는 건 아니다. * {{{#ff301d 의심스러움}}}: 플레이어의 인기척을 확실하게 느낀다면 루틴을 무시한채 집안을 둘러보기 시작한다. 이 과정을 대응하는 방법으론 숨는 곳을 이용해도 되지만 의심도의 정도에 따라 코너 두 개 이상의 구석은 살피지 않아 사각지대가 생기기 때문에 침착하게 구석에 숨는 방법 도 있다. * {{{#2222cc 자는 중}}}: 루틴이 수면 시간으로 접어들 때 목적지에 도달 후 적용된다. 청력이 아주 많이 감소되고, 시력은 없어진다. 수면 중엔 큰소리가 자주 날 때 기상해 집안을 수색하는 {{{#ffb1b1 불안}}}이라는 알고리즘이 있는데, 게임 팁에선 이것 말고 다양한 변화가 있다고 하지만 정확한 조건과 종류는 공식적으로 밝혀진 정보가 부족하다. * {{{#00e1ff 기절함(고기 먹는 중)}}}: 이 상태는 거주자를 외출과 같은 상태로 만든다. 모든 감각을 느낄 수 없고, 신고도 할 수 없다. 최우선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ffb1b1 발각}}}을 당한다 하더라도 빠르게 {{{#00e1ff 기절함}}}을 먹인다면 신고를 지연시킬 수 있다. {{{#00e1ff 고기 먹는 중}}}은 개에게 간식을 주면 이름만 다르고 같은 상태가 된다. 고기 먹는 중은 계획 모드를 켰을 때 얼마나 남았는지 [[퍼센트|퍼센테이지]]로 표시되지만 기절함은 월드 인터페이스의 색깔로 예상해야 한다(의심도와 같은 색계열이다). ==== 무장 ==== === 경찰 === === 행인 === == 스테이지 == === 진행도 ===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thief-simulator-2, code=critic-reviews/?platform=pc,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thief-simulator-2, code=user-reviews/?platform=pc,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Steam, code=133272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90, count=85, rating2=-, percent2=-, count2=-, date=2023-10-05)] == 기타 == 로딩창에 나오는 정보 중에 전작과 동일하게 1인 개발이라는 문구가 나온다. 스팀 정보엔 새로운 게임사가 등장했으며, 진짜 스팀에 새로이 등장한 개발사이다. 게임의 크레딧엔 그 게임사와, 몇몇 성우들, 테스트를 해준 배급사가 있다. 규모가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분류:2023년 Windows 게임]][[분류:범죄 게임]][[분류:시뮬레이션 게임]][[분류:잠입 액션 게임]][[분류:폴란드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