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GMT 디스코그래피)]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Time to Pretend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53)]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493, 연도=201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항목=2000년대 최고의 노래,순위=1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90)]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200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99)] ---- }}} || ---- ||<-2><#589167> '''{{{#fff {{{+1 Time to Prete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ime_to_pretend_single.png|width=100%]]}}} || || '''발매일''' ||[[2008년]] [[3월 3일]] || || '''앨범 발매일''' ||[[2007년]] [[10월 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9EB2D3 0%, #D0A4C9 50%, #9EB2D3 100%)" [[Oracular Spectacular|{{{#000 '''Oracular Spectacular'''}}}]]}}} || || '''장르''' ||[[신스팝]], [[네오 사이키델리아]] || || '''재생 시간''' ||4:19 || || '''작사/작곡''' ||[[MGMT]] || || '''프로듀서''' ||데이브 프리드먼 || ||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UKyV49P8F0,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9dSYgd5Elk,height=200)]}}} || || '''음원''' || '''공식 뮤직 비디오''' || [[MGMT]]의 데뷔 음반 [[Oracular Spectacular]]의 첫 번째 트랙이자 리드 싱글. == 상세 == [[MGMT]]의 대중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노래가 "[[Kids(노래)|Kids]]"라면 음악적으로는 이 노래가 가장 고평가 받는다. 미국에서 100만 장을 팔고 영국에서도 60만 장을 팔면서 양국 모두에게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는 등 세계적으로 엄청난 히트를 쳤다. 돈 벌어서 여자 연예인들하고 [[검열삭제]]하고 약 빨아볼까라는 가사로 유명한데, 록스타들의 향락적인 삶을 판타지와 풍자로 표현한 가사라고 한다. 멤버들의 의도적인 [[히피]] 스타일이나 이러한 가사 때문에 파티 죽돌이나 약쟁이로 여겨지기도 했다. 물론 ~~아예 안 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지도 않다. [[http://www.youtube.com/watch?v=B9dSYgd5Elk|본 뮤직비디오]]를 보면 상당히 80년대적인 촌빨 날리는 색감과 약으로 휘날리는 장면들이 많다. 아이러니하게도 앤드루 밴와인가든은 성공 후 곡 가사대로 모델하고 사귀었다고 한다. == 가사[* 출처 : [[https://monochronicle.tistory.com/73|링크]]] == ||<:> ---- '''{{{+4 Time to Pretend}}}''' ---- I'm feelin' rough, I'm feelin' raw 난 겁날 게 없고 생생한 기분이 들어 I'm in the prime of my life 이게 내 인생에 정점인거 같아 Let's make some music, make some money 음악을 만들고 돈도 벌어 보자 Find some models for wives 부자가 돼서 모델과 결혼도 할거야 I'll move to Paris, shoot some heroin and fuck with the stars 파리로 이사가서 헤로인도 하고 별들과 진창 놀기도 할거지 스타들과 놀아나겠지 You man the island and the cocaine and the elegant cars 사람은 섬처럼 혼자고 코카인이고 비싼 차가 전부야 This is our decision to live fast and die young 우리는 정신없이 살고 빨리 죽기로 했어 We've got the vision, now let's have some fun 미래는 결정됐으니까, 이젠 놀아 보자 Yeah, it's overwhelming, but what else can we do? 겁이 나는거 같지만 뭘 어쩌겠어? Get jobs in offices and wake up for the morning commute? 취직해서 아침에 일어나 출근하기? Forget about our mothers and our friends 엄마나 친구들은 잊어버려 We're fated to pretend 우린 어차피 다 가짜로 사니까 To pretend 다 가짜야 We're fated to pretend 우린 어차피 다 가짜로 사니까 To pretend 다 가짜야 I'll miss the playgrounds And the animals and digging up worms 동물들과 놀이터에서 벌레잡던 날들이 그립겠지 I'll miss the comfort of my mother And the weight of the world 엄마 품도 생각나고 지구의 중력도 그리울거야 I'll miss my sister, miss my father, Miss my dog and my home 내 동생도, 우리 아빠도, 강아지도, 그리고 집도 그리울거야 Yeah, I'll miss the boredom And the freedom and the time spent alone 지루함과 홀로 있던 시간들위 자유로움도. But there is really nothing, nothing we can do 하지만 어쩔 수 없지, 이제 우리가 할수있는건 없어 Love must be forgotten, life can always start up anew 삶은 언제나 다시 시작하니까, 사랑도 잊혀져야 해 The models will have children, we'll get a divorce 결혼해서 자식을 낳아도 결국 우린 이혼하게 될거야 We'll find some more models, everything must run its course 그럼 다시 결혼할 모델을 찾겠지. 세상은 순리대로 가야하니까 We'll choke on our vomit and that will be the end 우리 스스로의 역겨움에 질식해 죽을 거고 그럼 그게 끝이겠지 We were fated to pretend 우린 어차피 다 가짜로 사니까 To pretend 다 가짜야 We're fated to pretend 우린 어차피 다 가짜로 사니까 To pretend 다 가짜야 I said yeah, yeah, yeah 나는 맞다고 소리질러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 [[MGMT|[[파일:mgmt_logo.png|width=90]]]]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GMT, version=82)] [[분류:2008년 싱글]][[분류:2007년 노래]][[분류:신스팝]][[분류:네오 사이키델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