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TCG 한정]]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1F1FB, #E0E1F5, #ABB8E3)" '''{{{#!htmlTistina}}}'''}}} || ||<-6><:><#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rystal God Tistina.jpg|width=100%]][br],,[[#Crystal God Tistina|{{{#323838 Crystal God Tistina}}}]],,}}}||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0deg, #84909A, #84909A, #62626C, #323838, #323838)" '''한글판 명칭'''}}} ||<-5><#ffffff,#191919> (미발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00deg, #84909A, #84909A, #62626C, #323838, #323838)" '''일어판 명칭'''}}} ||<-5><#ffffff,#191919> (미발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0deg, #84909A, #84909A, #62626C, #323838, #323838)" '''영어판 명칭'''}}} ||<-5><#ffffff,#191919> '''Tistin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00deg, #84909A, #84909A, #62626C, #323838, #323838)" '''속성'''}}}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0deg, #84909A, #84909A, #62626C, #323838, #323838)" '''종족'''}}}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00deg, #84909A, #84909A, #62626C, #323838, #323838)" '''관련 카테고리'''}}} || ||<-2><#ffffff,#191919> 다양 ||<-2><#ffffff,#191919> [[물족]] ||<-2><#ffffff,#191919> 효과[br][[엑시즈 소환|엑시즈]] || [목차] [clearfix] == 개요 == ||<-3> '''유희왕 [[월드 프리미어 카드|{{{#white 월드 프리미어}}}]] 선행 등장 테마''' || || [[포톤 하이퍼노바]] ~ [[사이버스톰 액세스]] || || [[듀얼리스트 넥서스]]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 || [[GP(유희왕)|GP / Gold Pride]] || → || '''Tistina''' || TCG [[듀얼리스트 넥서스|Duelist Nexus]]에서 선행 등장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이다. 전체적인 모티브는 [[크리스트론]]과 같은 [[수정(보석)|수정]]. 따라서 외형이 같은 광물을 모티브로 하는 [[아다마시아]]와 닮았다. 특이하게도 전원 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정(水晶)의 수가 물 수(水)라서 일종의 말장난인듯. 이름의 모티브는 [[K-Pg 대멸종]]을 일으킨 운석의 소재지로 의심되었던 [[https://en.wikipedia.org/wiki/Baptistina_family|밥티스티나 소행성군]]이다. == 설정 == >In this world, there is a massive crystal embedded in the center of a great mountain range. An entire crystal domain extends forth from it in every direction, changing everything that's touched by it into the same type of crystal, the crystal rot doesn't just affect the environment either. >It spreads to animals and other lifeforms within the domain of the great crystal, transforming them into an entire newbie. Is it natural disaster or something else? Whatever it is, the creatures it's altered continue to roam free. >The rot continues to spread and something else seems to be forming within the domain as well. At the center of it all lies something that has become known as the Crystal God Tistina and all who gaze upon its form, marvel at its beauty and experience, true fear. >---- >이 세계에는 거대한 산맥의 중앙에 거대한 수정이 박혀 있습니다. 수정의 영역이 사방으로 뻗어 나가면서, 수정에 닿는 모든 것을 같은 종류의 수정으로 바꾸는 수정 부패가 발생하는데, 이는 환경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닙니다. > 수정 부패는 거대한 수정의 영역 안에 있는 동물과 다른 생명체들에게도 퍼져 그들을 완전히 새로운 존재로 변화시킵니다. 자연 재해일까요, 아니면 다른 원인일까요? 그것이 무엇이든, 변화된 생명체들은 계속해서 자유롭게 돌아다닙니다. >부패는 계속 퍼져나가고 영역 내에 또 다른 무언가가 형성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심에는 "Crystal God Tistina"로 알려진 무언가가 있으며, 그 형상을 바라보는 모든 이들은 그 아름다움에 경탄하고 진정한 공포를 경험합니다. 보다시피 [[타이베리움|생명체와 자연환경을 같은 수정으로]] [[O.R.T.|변형시키는 수정]]이라는 설정이며, 테마명인 Tistina는 이 수정 변형을 일으키는 신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생명체와 자연환경을 황금으로 뒤덮었던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와 비슷한 설정이다. 타 작품으로는 2018년 개봉한 [[메카고지라#s-2.4|고질라 시리즈의 애니메이션 2편의 보스]]와도 유사한 설정이다. == 성능 == 암석족같이 생긴 외형과 다르게 전부 [[물족]]으로 통일되어 있고, 속성이 다양하기에 물족 대다수를 차지하는 물 속성 서포트를 받기도 힘들다. Demigod of the Tistina와 Crystal God Tistina을 소환해 상대 몬스터를 뒷면 표시, 앞면 표시의 카드를 치워버리는 걸 목표로 하고 있으며, 뒷면 수비 표시 카드에 연관된 효과가 많다. 현재 카드 수는 적지만 카드 1장만으로 두 에이스를 꺼낼 수 있는 루트가 마련되어 있어 [[굿 스터프]] 형식으로 굴려도 되는데, 그 중에서도 Breath of the Tistina가 자신 필드의 뒷면 수비 몬스터를 파괴해 서치를 하므로 자신의 몬스터가 묘지에 보내지거나 파괴되어야 하는 기믹을 가진 덱과는 궁합이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Crystal God Tistina 의존도는 높은데 정작 크리스탈 갓은 자체 특소 능력이 없어서 필드에 꺼내는것부터가 큰일이다. 현 상황에서는 재미는 있을지언정 티어권에 들어갈만한 테마는 아니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Fallen of the Tistina ==== === 레벨 2 === ==== Returned of the Tistina ==== === 레벨 3 === ==== Sentinel of the Tistina ==== [[파일:86111442.jpg |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Sentinel of the Tistina, 일어판명칭=Tistina의 파수병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영어판명칭=, 속성=바람, 종족=물족,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빛 속성의 "Tistina"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Tistina" 몬스터 또는 뒷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Tistina" 카드를 패에 넣는다.)] 새가 Tistina 수정에 감염된 모습. ①의 효과는 빛 속성의 Tistina가 존재할 때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현재 빛 속성 Tistina는 모두 레벨 10인데, Crystal God은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없고 Signs는 함정 몬스터인지라 자연스레 특수 소환이 쉬운 Demigod에게 맞추게 된다. Demigod도 필드에 Tistina가 존재할 경우 특수 소환하므로 소환에 앞서 전개가 필요한 것은 같다. 묘지에서도 소생이 가능하여, Baatistina의 효과로 덤핑하고 Crystal God을 꺼내 소환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Tistina 몬스터나 뒷면 표시 카드를 파괴하고 Tistina 카드 서치. 자신 또한 파괴할 수 있으며, 어차피 자신의 효과로 부활도 가능하기에 유용한 효과다. 다만, Demigod은 필드에 Tistina를 남길 필요가 있기에 Demigod을 서치하고 싶으면 다른 카드를 파괴할 필요가 있다. === 레벨 4 === ==== Hound of the Tistina ==== [[파일:13510157.jpg |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Hound of the Tistina, 일어판명칭=Tistina의 사냥개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영어판명칭=, 속성=땅, 종족=물족,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7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빛 속성의 "Tistina"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 필드에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Tistina"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개가 Tistina 수정에 감염된 모습. ①의 효과는 Sentinel과 같다. 다만 Sentinel이 직접적인 어드밴티지를 불러오는 것에 반해, Hound는 자신의 몬스터를 강화하는 효과이니만큼, 이 카드는 Sentinel만큼 자주 보기 힘들고 Baatistina 등을 통해 덤핑하여 소환하게 될 것이다.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에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Tistina에게 직접 공격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 Crystal God, Demigod이 상대 카드를 뒷면 표시로 만들기 때문에 이를 노리는 것이 좋을 것이다. 자체적으로도 1800 이라는 나쁘지 않은 타점을 가지고 있다. Demigod, Crystal God, Sentinel이 함께 공격하면 7000이라는 라이프가 빠지고, 추후 Crystal God과 Demigod을 소재로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를 소환하여 결착을 지을 수 있다. === 레벨 5 === ==== Tainted of the Tistina ==== === 레벨 10 === ==== Demigod of the Tistina ==== [[파일:59504256.jpg |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Demigod of the Tistina, 일어판명칭=Tistina의 반신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영어판명칭=, 속성=빛, 종족=물족, 레벨=10, 공격력=20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Tistina"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덱에서 "Tistina"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자신 필드 위에 "Crystal God Tistina"가 존재할 경우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가능한 한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그 후\, 상대 필드(앞면 표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낼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자체 특수 소환. 상술했듯이 빛 속성 Tistina 중에선 가장 필드에 나오기 쉽기에, 하급 몬스터들의 소환 조건을 맞추기 위해 쓰일 수 있다. 서치하는 카드로는 Breath가 적절하다. Breath의 코스트를 상대 필드의 몬스터로 충당하고, 더 넓은 범위의 Tistina 카드를 서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Baatistina를 서치하여 Crystal God을 소환할 준비를 하여도 된다. ②의 효과는 Crystal God Tistina가 존재할 경우 [[Destructive Daruma Karma Cannon|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뒤집고, 앞면 표시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효과]]. 후술할 Crystal God과 효과는 기본적으로 같지만, Crystal God과는 다르게 프리체인이라 상대 견제에 능한 효과다. 다만 Crystal God은 기본적으로 자체적인 특수 소환이 없어 ①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Crystal God을 꺼낼 필요가 있다. ==== Crystal God Tistina ==== [[파일:86999951.jpg |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Crystal God Tistina, 일어판명칭=수정신 Tistin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영어판명칭=, 속성=빛, 종족=물족, 레벨=10, 공격력=2000, 수비력=3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가능한 한 뒷면 표시로 한다. 그 후\, 상대 필드(앞면 표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낼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가능한 한 뒷면 표시로 한다. 그 후\, 상대 필드(앞면 표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낼 수 있다.)] Tistina의 핵심 몬스터. 핵심 몬스터지만 이런 몬스터가 대개 가지고 있을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없다. 따라서, Breath를 통해 추가 소환권을 받아서 Tistina들을 릴리스하고 꺼내거나, 다소 상대에게 의존하는 면이 크지만 Baatistina를 통해 꺼내야 할 것이다. ①②의 효과 모두 [[마포전기 오뚜기 카르마|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뒷면 표시로 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낼 수 있는 효과]]다. 대상을 지정하지 않고, 파괴도 하지 않으며 그저 세트/묘지로 보내는 효과이기 때문에 내성을 뚫고 처리할 수 있다. 오뚜기 카르마와 비교하면 명령형이 아니기에 완전 내성 몬스터를 처리할 순 없고, 상대 턴에 발동하려면 오뚜기 카르마보다 의존도가 높지만 자신 턴에 발동할 수 있고, 지속 마법/지속 함정/펜듈럼 존의 펜듈럼 몬스터도 요격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묘지로 보내는 효과를 발동하지 않을 수도 있어, 상대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어드밴티지를 번다면 그것을 막을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없고, ②의 효과는 아무래도 의존성이 크다 보니 Crystal God만 서면 상대 턴에 견제하기 힘들기 때문에 상대 턴에 견제하고 싶다면 Demigod을 세울 필요가 있다.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10 === ==== Tistina, the Divinity that Defies Darkness ==== == 마법 카드 == === 지속 마법 === ==== Breath of the Tistina ==== [[파일:58882608.jpg |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Breath of the Tistina, 일어판명칭=Tistina의 숨결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영어판명칭=,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Tistina" 몬스터를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하고\, 덱에서 "Breath of the Tistina" 외의 "Tistina"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자신 필드에 빛 속성의 "Tistina"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 대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Tistina의 전개를 보조해주는 카드.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권 추가. 이 효과를 통해 하급 몬스터들의 추가 전개를 노리기 쉽다. Tistina는 기본적으로 Crystal God을 제외하면 특수 소환이 어렵지 않은 편이므로 Crystal God의 소환을 노릴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뒷면 표시로 하고 덱에서 Tistina 카드 서치. 자신 필드에 빛 속성 Tistina가 있으면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지정해 견제와 Hound의 효과 적용을 동시에 받을 수 있게 한다. 별 일 없다면 Demigod을 서치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이렇게 알짜배기 효과를 가지고 있으니만큼, 이 카드와 하급 몬스터 1장만으로 Tistina는 대략적인 필드를 갖출 수 있다. ||<#fff,#191919>1. 하급 몬스터를 일반 소환, 이후 Breath를 발동하여 그 하급 몬스터를 뒷면으로 덮고 Demigod 서치. 2. Demigod을 자체적인 효과로 특수 소환하고, 효과로 Baatistina를 서치 후 발동. 3. Baatistina의 효과 발동, 덱에서 Sentinel 덤핑. 가능하면 Crystal God을 꺼낸다. 이후 Sentinel을 자체적인 효과로 소생. 4. Sentinel의 효과 발동, 뒷면으로 덮인 하급 몬스터를 파괴하고 Tistina 카드 서치. Crystal God을 소환했다면 Hound를 서치하여 특수 소환하고 공격함으로써 7000이라는 큰 데미지를 입힌 뒤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를 소환하여 마무리한다. 반대로 Sentinel의 효과로 Crystal God을 서치할 수도 있는데, 소환권 추가로 인해 Crystal God을 소환할 수 있다. Sentinel의 코스트로 마법/함정 등 다른 뒷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하여 Demigod을 살렸다면 Demigod을 통해 견제도 가능하다. || === 필드 마법 === ==== Divine Domain Baatistina ==== [[파일:12397569.jpg |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Divine Domain Baatistina, 일어판명칭=신의 영역 Baatistin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영어판명칭=,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Tistina"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의 카드가 3장 이상 존재하는 경우\, 패 / 덱에서 "Crystal God Tistina"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 존의 이 카드가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Tistina" 몬스터 1장을 선택해 특수 소환한다.)] Tistina의 필드 마법. Crystal God Tistina를 꺼내는 것에 특화된 카드이다. ①의 효과는 Tistina 몬스터 덤핑. 하급 Tistina들은 소생이 쉬우므로 그들을 덤핑하게 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카드가 3장 이상 있으면 Crystal God를 리크루트할 수 있다. 상대 의존적이라 노리고 발동하긴 힘들다. 상대 앞면 표시 카드가 3장 이상이라면 그 3장 중에서 이 카드를 견제할 수 있는 카드가 없다는 보장 또한 없다. ②의 효과도 상대 의존적인 효과로, 제거당할때의 보험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소환할 몬스터에는 레벨 등의 제한이 없어서 상대의 킬각을 가로막는 수정신을 꺼낼 수 있다는 것은 유용하다. == 함정 카드 == === 일반 함정 === ==== Discodance of the Tistina ==== === 지속 함정 === ==== Signs of the Tistina ==== [[파일:85277313.jpg |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Signs of the Tistina, 일어판명칭=Tistina의 신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영어판명칭=, 효과1=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발동 후\, 이하의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물족·빛·레벨 10·공/수 0)가 되어\,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한다(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2=● 상대 턴에\, 이 카드의 대상으로 한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상대 턴에\,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 대상의 몬스터를 파괴한다.)] [[메탈 리플렉트 슬라임]], [[칼방]]과 함께 최고 레벨의 함정 몬스터. 쉽게 말해 대상 몬스터와 [[길동무|명줄을 공유하는]]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지속 함정. 대상 몬스터가 필드를 벗어나면 이 카드가 파괴되지만, 반대로 이 카드가 필드를 벗어나면 대상의 카드도 파괴된다. 특이하게 물족, 레벨 10, 공격력 0이라는 특유의 조건으로 인해 [[갓 슬라임]]의 소환 조건도 만족시킬 수 있다. 물론 갓 슬라임을 소환하는 건 자신의 턴이므로 갓 슬라임을 소환하기 위해 이 카드가 필드에 벗어났을 때 상대의 카드를 길동무 삼을 순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