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블랙스타 -Theater Starless-]] '''To be, or not to be''' [목차] [youtube(z2VNMfr5Kl0)] TeamC 「To be, or not to be」MV == 개요 == || 急死した父王の亡霊により [br] 王位についた叔父と敬愛する母の裏切りを知った王子ハムレット。 [br] 復讐を誓い、狂気を装って機会をつかがうが、[br]そのことから恋するオフィーリアとの関係は壊れ、 [br] 彼女は小川で命を落とす [br]――怨念うずまく北の国に、安寧の春は遠い。[br] [br] 급사한 부왕의 망령으로 [br] 왕위에 오른 숙부와 경애하는 어머니의 배신을 알게 된 왕자 햄릿. [br] 복수를 다짐하고, 미친 척하며 기회를 엿보지만 [br] 이 일로 사랑하는 오필리아와의 관계는 깨지고 [br] 그녀는 개울가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br] ――원념이 가득한 북쪽 나라에 안녕의 봄은 멀다. || [[블랙스타 -Theater Starless-]]소속 팀C의 곡. [[2020년]] [[3월 16일]]에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다. 시즌2 제1장 "얼어붙었던 하늘에 춤추는 초승달"의 이벤트 곡. |||||||| [[파일:투비오얼낫투비.jpg|width=350]] || |||||||| '''To be, or not to be''' || || 담당 || C || 노래 || [[자쿠로(블랙스타 -Theater Starless-)|자쿠로]] || || 작사 || 츠카구치 아야코[br](塚口 綾子) || 작곡 || 아베 류우다이[br](阿部 隆大) || || 수록일 || [[2020년]] [[1월 28일]] || 이벤트 기간 || [[2020년]] [[3월 16일]] ~ [[3월 31일]] || || 난이도 || Normal || Hard || Advanced || || 레벨 || 9 || 21 || 26 || || 노트 || 328 || 562 || 743 || |||| 경향 (속성) |||| DANCE+ACT || |||| 원작 |||| [[햄릿]] || |||||||||| 스탠다드 멤버 || || 4th || 2nd || 1st || 3rd || 5th || ||<:><#0CA274> '''[[하리(블랙스타 -Theater Starless-)|{{{#FFFFFF 하리}}}]]''' ||<:><#4148A3> '''[[쿠(블랙스타 -Theater Starless-)|{{{#FFFFFF 쿠}}}]]''' ||<:><#661065> '''[[모쿠렌(블랙스타 -Theater Starless-)| {{{#FFFFFF 모쿠렌}}}]]''' ||<:><#638F08> '''[[카스미(블랙스타 -Theater Starless-)|{{{#FFFFFF 카스미}}}]]''' ||<:><#B23016> '''[[자쿠로(블랙스타 -Theater Starless-)|{{{#FFFFFF 자쿠로}}}]]''' || == 가사 == ||<:><#000000>{{{#fff .sky paradise / purgatory 君のドメインはなに?[br]키미노 도메인와 나니?[br]너의 도메인은 뭐야? アドレス教えてくれる?[br]아도레스 호시에테 쿠레루?[br]주소 가르쳐 줄래? チャットにスタンプさせて[br]챳토니 스탐프 사세테[br]챗에 스탬프 보내 でも君から返事はない[br]데모 키미카라 헨지와 나이[br]그래도 너에게 답장은 없어 既読もつかない[br]키요미모 츠카나이[br]읽지도 않아 to be, or not to be この問いを前にして[br]코노 토이오 마에니 시테[br]이 물음을 앞에 두고 運命なんて[br]운메이 난테[br]운명 따위 人を惑わせるだけ[br]히토오 마도와세루 다케[br]사람을 현혹 시킬뿐 亡霊の影が[br]보오레에노 카게가[br]망령의 그림자가 僕をせきたてていく[br]보쿠오 세키타테테이쿠[br]나를 재촉해 가 決断なんて[br]케츠단 난테[br]결단 따위 人お孤独にする[br]히토오 코도쿠니 스루[br]사람을 고독하게 해 硝子の瓦礫の王国の中[br]가라스노 가레키노 오오쿠노 나카[br]유리 파편의 왕국 속 君はひとり[br]키미와 히토리[br]너는 혼자 花と涙の川に眠る[br]하나토 나미다노 카와니 네무루[br]꽃과 눈물의 강에 잠들어 この狂った[br]코노 쿠롯타[br]이 미친 世界に終わり告げよ[br]세카이니 오와리 츠게요[br]세계에 종말을 고해 僕はひとり[br]보쿠와 히토리[br]나는 혼자 天使を見送った[br]텐시오 미오쿳다[br]천사를 배웅했어 winds, church, seven water, bell, heaven}}} || == 여담 == 도메인 넘버등 요즘 세대들이 잘 모를 낡은 단어들이 사용되었다. To be, or not to be(사느냐 죽느냐) 햄릿의 문구가 그대로 제목이 되었다. 원전이 햄릿이니만큼, 가사 속 화자가 삶에 대해 여러 생각을 하며 본인의 인생에 대해 말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오필리어의 자살로 그것에 대한 본인의 무책임함을 탓하고 있음이 중심 내용. 이 가사를 햄릿과 엮지 않고 그냥 본다면 그저 본인 실수로 여친한테 안읽씹잠수이별 당한 남자(...) --가사 모르고 들으면 좋은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