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기부상열차)] [include(틀:인터시티익스프레스)] [include(틀:N+P Industrial Design의 철도 차량)] ||<-2> [[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30]][br]'''{{{#db0000 {{{+1 Transrapid}}}[br]트랜스래피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ransrapid08inEmsland.jpg|width=52%]][[파일:Transrapid09.jpg|width=48%]]}}} || || '''{{{#fff 열차 형식}}}''' || [[고속열차]] || || '''{{{#fff 구동 방식}}}''' || 상전도식 자기부상열차 || || '''{{{#fff 개발 참여 기관}}}''' || [[지멘스]], [[티센크루프]][br][[도이치반|DB]], 독일 연방 공화국 기술연구부 || || '''{{{#fff 디자인}}}''' || [[N+P Innovation Design|N+P Industrial Design]] || || '''{{{#fff 개발 기간}}}''' || 1969년 ~ 2007년 || || '''{{{#fff 궤간}}}''' || 2,800 mm [[광궤]] || || '''{{{#fff 실험최고속도}}}''' || 450 km/h || || '''{{{#fff 설계최고속도}}}''' || 505 km/h || [목차] [clearfix] == 개요 == Transrapid(트랜스래피드)는 1969년부터 2007년까지 독일연방 정부의 기술 연구부와 [[DB]]의 철도 기술 연구진과 [[지멘스]], [[티센크루프]]가 진행한 상전도식 고속 자기부상열차(Maglev) 개발 프로젝트의 명칭이다. == 상세 == ||<-3> '''{{{#fff Transrapid의 개발 과정}}}'''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개발 날짜||차량 이름||최고속도||개발&주행 시험 장소|| ||1969년||Transrapid 01||N/A||뮌헨,바이에른|| ||1971년 5월 6일||MBB Prinzipfahrzeug||90km/h||MBB 오토브러운 공장,뮌헨,바이에른|| ||1971년 10월 6일||Transrapid 02||160km/h||크라우스-마페이 공장,뮌헨,바이에른|| ||1972년 8월 16일||Transrapid 03||140km/h||뮌헨,바이에른|| ||1972년||Erlangener Erprobungsträger||160km/h~230km/h||에어랑겐,바이에른|| ||1973년 12월 20일||Transrapid 04||250km/h~253.2km/h||뮌헨-알라흐,바이에른|| ||1974년||Komponentenmeßträger||401.4km/h||만흐잉,바이에른|| ||1975년||HMB1||N/A||티센헨셀,카셀,헤센|| ||1976년||HMB2||36km/h||티센헨셀,카셀,헤센|| ||1979년 5월 17일||Transrapid 05||75km/h||국제운송수단전시회장,함부르크|| ||1983년 6월||Transrapid 06||302km/h~412.6km/h||TVE,엠스랜드,니더작센|| ||1988년||Transrapid 07||436km/h~450km/h||TVE,엠스랜드,니더작센|| ||1999년 8월||Transrapid 08||설계속도 500km/h||TVE,엠스랜드,니더작센|| ||2007년||Transrapid 09||설계속도 505km/h||TVE,엠스랜드,니더작센|| }}}}}} || Transrapid는 총 14가지의 버전으로 개발되었다. === 주행 방식 === Transrapid는 상전도식 자기부상열차로 개발되었다. 상전도식(Electromagnetic suspension)은 초전도가 필요없기 때문에 초전도반발식과는 반대로 일반 전자석을 사용하며 ㄴㄱ형태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열차를 잡아당겨 살짝 띄우는 형태다. 초전도식에 비해서 유지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이 장점이나, 저속역에선 지상지지가 필요하므로 지지궤도/안내궤도 등을 추가로 부설해야 한다. === Transrapid 01 === Transrapid 01은 1969년 개발이 완료된 독일의 첫 자기부상철도차량이다. 시제차량이기 때문에 최고 속도 주행테스트 기록은 밝혀진바 없다. === MBB Prinzipfahrzeug === [[파일:Transrapid01.jpg]] MBB Prinzipfahrzeug은 1971년 뮌헨 근교 오토브러운 MBB 공장에서 개발이 완료되어 600m 남짓되는 테스트 트랙에서 첫 주행 테스트가 이루어진 자기부상철도차량이다. 주행 테스트 최고기록은 90km/h이다. === Transrapid 02 === [[파일:Transrapid02.jpg]] 1971년 Transrapid 02는 일라흐의 크라우스-마페이 공장에서 개발되어 1km 남짓되는 테스트 트랙에서 주행했었다. 1971년 10월 164km/h를 달성했다. === Transrapid 03 === [[파일:Transrapid03.jpg]] 1972년 크라우스-마페이 공장에서 Transrapid 03는 공기부양으로 이동하는 리니어 모터카 형식으로 개발되었다. 최고속도는 140km/h를 기록했다. === Erlangener Erprobungsträger === === Transrapid 04 === [[파일:Transrapid04.jpg]] Transrapid 04는 1973년 크라우스-마페이 공장에서 개발되었다. 1977년 최고 속도 253km/h를 달성했다. === Komponentenmeßträger === === HMB1 === === HMB2 === === Transrapid 05 === [[파일:Transrapid05.png]] Transrapid 05는 1979년에 카셀의 티센-헨셀에서 개발되어 세계 교통수단 박람회에 전시되었다. 최고속도는 79km/h이다. === Transrapid 06 === [[파일:Transrapid06.jpg]] Transrapid 06은 1983년에 개발되어 엠스랜드에 위치한 30km남짓되는 테스트 주행 선에서 속도 실험을 하였다. 1984년에는 302km/h, 1985년에는 355km/h, 1987년에는 392km/h, 406km/h , 1988년에는 412.6km/h를 기록했다. === Transrapid 07 === [[파일:transrapid07.jpg]] === Transrapid 08 === [[파일:transrapid08inEmsland.jpg]] 유일하게 상업운전중인 차량이다. [[상하이]] [[푸둥국제공항]]에서 시내를 잇는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에서 뛰는 열차가 바로 이 차량이다. === Transrapid 09 === [[파일:Transrapid09.jpg]] [[분류:독일의 고속철도 차량]][[분류:자기부상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