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라디오헤드 노래]][[분류:2016년 노래]] [include(틀:라디오헤드)] ||<#d2d1d6> '''{{{#FFFFFF True Love Waits의 주요 수상}}}'''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201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93)]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590)] ---- }}} || [include(틀:A Moon Shaped Pool)] ||<#d2d1d6><-2> '''{{{+1 True Love Wait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Snc_6Z7HqQ,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2016년]] [[5월 8일]] || || '''녹음일''' ||'''[[1995년]]''' – [[2016년]][* 해당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재편곡과 리믹스가 이루어진 끝에 9집에 수록되었다. 자세한 것은 후술.] || || '''장르''' ||앰비언트 팝, [[어쿠스틱]][* 초기 버전 한정.], [[일렉트로니카]][* [[Kid A]], [[Amnesiac]] 세션 한정.] || || '''러닝 타임''' ||4:43 || || '''작사/작곡''' ||[[라디오헤드]] || ||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2d1d6; font-size: .9em" [[A Moon Shaped Pool|{{{#fff '''A Moon Shaped Pool'''}}}]]}}} || || '''레이블''' ||[[파일:1200px-XL_Recordings_Logo.svg.png|width=28]] [[XL 레코딩스]]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Snc_6Z7HqQ,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bVKGlh3gg4, height=200)]}}} || || '''정식 음원''' || '''라이브 앨범 버전'''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DQ7raytW0M, height=200)]}}}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zyOfQeK-bY, height=200)]}}} || || '''Pulk/Pull 리믹스 버전''' || '''1995년 The Bends 라이브[* 이 곡이 처음으로 공개된 공연의 부틀렉이다.]'''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uvMk_Ddljo, height=200)]}}}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OC9AW0CVOc, height=200)]}}} || || '''OK Computer 세션 버전''' || '''2009년 Latitude 라이브''' || 라디오헤드의 9집 [[A Moon Shaped Pool]]의 수록곡. 10번 트랙 [[Tinker Tailor Soldier Sailor Rich Man Poor Man Beggar Man Thief]]와 이어지는 트랙이다. == 상세 == '''1995년''' [[The Bends]] 앨범 라이브에서 처음 연주된 이후로 따뜻한 가사와 서정적인 멜로디로 사랑받으며 라이브에서 자주 불리는 곡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무려''' 21년 간 '''정규 앨범에 실리지 않았던 곡인데, 이러한 특징 때문에 한때 '''라디오헤드의 잃어버린 명곡'''으로 불리던 곡이었다. 이 곡이 처음 수록된 것은 2001년에 발매된 라이브 앨범인 [[I Might Be Wrong: Live Recordings]]이었는데, 이 앨범이 그저 그런 부틀렉과 다른 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True Love Waits의 존재만으로도 앨범을 살 가치가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팬들 사이에선 명곡 취급을 받았다. 만들어진 지 오래된 곡인 만큼 라디오헤드의 변화에 발맞춰 수없이 재편곡이 이뤄졌는데, 이 때문에 그들의 노래들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다양한 버전이 존재한다.[* 후에 인터뷰에서 나이젤 고드리치(라디오헤드의 전담 프로듀서)가 말하길, 워낙 멜로디가 좋았던 탓에 2집 이후 거의 대부분의 세션에서 앨범에 수록하기 위해 끊임없이 편곡과 재녹음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멤버들이 만족할 만한 사운드가 나오지 않아 항상 수록할 수 없었다고 한다.] '''원래의 곡은 라이브 앨범에 실린 곡처럼 어쿠스틱 기타 혼자 반주하는 곡이었는데, 3집 [[OK Computer]] 세션에서는 키보드와 신디사이저를 동원한 풀 밴드 버전으로 만들어졌으나 앨범에는 실리지 않았고, 4집 [[Kid A]]/ 5집 [[Amnesiac]] 세션 당시에는 위 영상에 실린 것처럼 [[Pulk/Pull Revolving Doors]][* 원래 해당 곡 자체가 True Love Waits를 편곡하는 과정에서 떨어져나온 곡이다.]와 섞는 편곡을 거쳤으며, 이후로도 수많은 재편곡을 거친 후 정식으로 9집 [[A Moon Shaped Pool]] 에 수록된 버전은 피아노 위주의 앰비언트 스타일로 편곡되었다.[* 원래 어쿠스틱 기타로 만들어졌다가 건반악기 위주의 곡으로 편곡되었다는 점은 4집 수록곡인 [[Motion Picture Soundtrack]]과 유사한 점이다.][* [[불싸조]]의 보컬 한상철은 Kid A Mnesia 국내판 해설지에서 이러한 라디오헤드의 재편곡 과정을 두고 '''마치 밴드 스스로 시대에 맞춰 음원을 업데이트 하는 것 같다'''는 평을 남겼다.] 기존 버전이 희망적인 사랑을 약속하는 느낌이 강한데 비해 정식 음원 버전은 보컬 [[톰 요크]]가 사별한 전 부인 레이첼 오웬을 추억하며 바치는 느낌이 강한 것이 특징.[* 실제로 이후에 나온 컴필레이션 앨범인 [[OKNOTOK]]의 크레딧에는 '이 앨범을 병마와 훌륭하게 싸우다 간 레이첼 오웬에게 바칩니다' 라는 내용이 적혀있다.] == 가사 == ||<:> ---- {{{+4 '''True Love Waits'''}}} ---- [Verse 1] I'll drown my beliefs 내 신념쯤은 버릴 수 있어 To have your babies 너의 아이를 갖기 위해서라면 I'll dress like your niece 난 마치 네 조카처럼 꾸미고 다니고 And wash your swollen feet 네 발을 씻겨 줄게 [Chorus] Just don't leave 단지, 가지 마 Don't leave 가지 마 [Verse 2] I'm not living 난 사는 게 아냐 I'm just killing time 그저 시간만 죽이고 있지 Your tiny hands 너의 그 귀여운 손과 Your crazy kitten smile 너의 그 미칠듯한 미소 [Chorus] Just don't leave 단지, 가지 마 Don't leave 가지 마 [Verse 3] And true love waits 진정한 사랑은 기다리지 In haunted attics 유령이 있는 다락 속에서 And true love lives 진정한 사랑은 살아가지 On lollipops and crisps 막대사탕과 감자칩을 먹고 버티며 [Chorus] Just don't leave 단지, 가지 마 Don't leave 가지 마 ---- [[라디오헤드|[[파일:B2A1CB5E-EF1A-4F3A-84D0-A5C10028FB12.png|width=90]]]] || == 여담 == * [[http://www.youtube.com/watch?v=ww2vsfdEUr0|Cambridge, 25.feb.2010]] * 후반의 가사[* And true love waits in haunted attics. And true love lives on lollipops and crisps]는 집에 갇힌 아이가 일주일동안 [[정크 푸드]]만 먹고 버틴 기사를 읽고 쓴 것이라 [[톰 요크]]가 밝혔다. * 피치포크 뉴 베스트 트랙으로 선정되었다.[[http://pitchfork.com/reviews/tracks/18252-radiohead-true-love-waits/|#]]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 Moon Shaped Pool, version=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