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FANTASTICS from EXILE TRIBE의 네 번째 싱글 'Time Camera'에 수록된 악곡인 'Tumbling Dice', rd1=Tumbling Dice(FANTASTICS))] [include(틀:Exile on Main St. 트랙리스트)] ||<#FFC0CB> '''Tumbling Dice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433, 연도=2010, 순위2=86, 연도2=202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23)]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446)] ---- }}} || ||<-2><#FFC0CB> '''{{{#cd5c5c {{{+1 Tumbling Dic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cym7M1Obb8,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72년]] [[4월 14일]] || || '''싱글 B면''' ||Sweet Black Angel || || '''앨범 발매일''' ||[[1972년]] [[5월 12일]] || || '''녹음 기간''' ||[[1971년]] [[6월 7일]] - [[1972년]] [[3월]]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fd7d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dfd7d5, #dfd7d5); font-size: .9em" [[Exile on Main St.|'''{{{#8B0000 Exile on Main St.}}}''']]}}} || || '''장르''' ||[[블루스 록]] || || '''작사/작곡''' ||[[재거-리처즈]] || || '''프로듀서''' ||지미 밀러 || || '''러닝 타임''' ||3:45 || || '''스튜디오''' ||[[롤링 스톤즈 이동식 스튜디오]], 빌라 넬코드, 선셋 사운드 레코더 || || '''레이블''' ||롤링 스톤스 레코드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Tumbling_Dice_Single_Cover.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FFC0CB>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J1CRKiwdho,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AWjSTwvroY, height=200)]}}} || || '''1972년 라이브''' || '''1978년 라이브''' || [[1972년]] 발매된 [[롤링 스톤스]]의 싱글이자 10집 [[Exile on Main St.]]의 수록곡. == 상세 == Exile on Main St.에 수록된 곡 중 가장 인기가 많은 곡 중 하나이자 가장 명곡으로 뽑힌다.[* 이 곡과 같이 인기가 높고 명곡으로 꼽히는 수록곡은 [[Rocks Off]]가 있는데, 이 곡은 [[어클레임드 뮤직]]에 따르면 본작보다 평가는 낮은 편이다.] 보통 Exile on Main St.에 수록된 곡들은 스톤즈의 다른 앨범과 비교해서 그렇게 인지도가 높지는 않은 경우가 대다수이나 이 곡은 꽤나 유명하며, 컴필레이션 앨범에도 자주 수록되는 곡이다. 롤링 스톤스 특유의 쾌락적인 분위기가 여실없이 드러나는 곡으로, 주사위 게임인 [[크랩스]]를 소재로 사용해 여자와 본인의 관계를 도박꾼-주사위로 비유하고, 사랑 자체를 도박에 비유한 믹 재거의 재치있고 지적인 워드플레이가 잘 드러나는 곡이다. 실제로 믹 재거가 도박 경험이 많은지 도박 관련 은어가 펀치라인으로 많이 쓰였다. 영국 싱글 차트에서 8주 동안 5위,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7위를 기록했다. 그 외에 네덜란드, 스페인 등의 나라에서 10위 권 안에 들었다.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곡 리스트에서 323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10년 판 리스트에서 433위를 차지했으며 2021년 판 리스트에서는 [[Sympathy for the Devil]], [[Jumpin' Jack Flash]] 등의 쟁쟁한 명곡들을 제치고 86위에 올랐다.[* 이 곡의 흑인 음악스러운 분위기를 고평가 한 듯 하다. 다만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21년 판 리스트 자체가 워낙 엉망이라는 평이 대다수라 사실상 큰 의미는 없을듯.] 상당한 우여곡절 끝에 만들어진 곡인데, 원래는 이안 스튜어트의 피아노 소리가 강조된 [[부기우기]] 스타일의 [[https://www.youtube.com/watch?v=5xtjTuynxqA|Good Time Women]]이라는 곡으로 [[Sticky Fingers]] 앨범에 수록하려 하였으나 최종적으론 빠졌고, 이후 가사와 제목을 바꾸고 특유의 흑인 음악적인 그루브가 물씬 담긴 곡으로 재탄생되었으며, 이 곡을 녹음했을 때 베이시스트 빌 와이먼이 부재 중이여서 [[키스 리처즈]]가 리드 기타, [[믹 재거]]가 리듬 기타, [[믹 테일러]]가 베이스를 연주하였다. 또한 녹음을 무려 150번이나 200번 반복했을 정도로 공을 들였는데, 믹 재거는 배킹 트랙이 너무 평범하다며 마지막 순간까지도 곡의 믹싱에 만족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녹음하는데 워낙 애를 먹었다보니 믹 재거는 이 곡이 왜 그렇게 인기가 있는 지 이해를 못하겠다고 발언했으며 가사 또한 (다른 가사들에 비해) 그렇게 뛰어나지 않다고 평가했다.[* 애초에 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앨범인 [[Let It Bleed]]를 제외하고 재거-리처즈는 본인들의 작업물을 과하게 폄하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 가사 == ||<:> ---- '''{{{#cd5c5c {{{+4 Tumbling Dice}}}}}}''' ---- Mmm yeah! (Woo, woo) Women think I'm tasty, but they're always tryin' to waste me 여자들은 내가 맛있다고 생각하지, 근데 걔네들은 나를 망치려 들어 Make me burn the candle right down 나를 촛불처럼 태워버리려 해 But, baby, baby, don't need no jewels in my crown 하지만 자기야, 자기야, 내 왕관에 보석은 필요 없어 'Cause all you women is low down gamblers 왜냐면 너희들은 질 낮은 도박꾼들이니까 Cheatin' like I don't know how 내가 모르는 방식으로 사기를 치잖아 Baby, got no flavor, fever in the funk house now[* 도박 전문 용어로 주사위 5가 2번 나왔을때 쓰이는 표현이라고 한다.] 자기야, 도박장은 지금 열기로 가득 차 있어 This low down bitchin' got my poor feet a itchin' 이 질 낮은 개짓거리는 내 불쌍한 발을 간질거려 Don't you know you know the duece is still wild 2점이 아직 제멋대로 나오는 걸 모르겠니 Baby, I can't stay 자기야, 난 여기 못 있어 You got to roll me and call me the tumblin' dice 나를 굴리고 나를 구르는 주사위라 불러줘 Always in a hurry, I never stop to worry 언제나 서두르지, 나는 걱정을 멈추지 않고 Don't you see the time flashin' by 시간이 쏜살같이 지나가는 걸 모르겠니 Honey, got no money 자기야, 돈이 없어 I'm all sixes and sevens and nines 나는 혼란에 빠져있어[* all sixes and sevens는 영국 속어로 '혼란스럽다' '어쩔 줄 모르다' 란 뜻인데, 주사위 놀이 "해저드"에서 유래되었다. 중의적인 의미로 보면 될 듯.] Say now baby, I'm the rank outsider 자 자기야, 나는 순위 밖이야 You can be my partner in crime 넌 내 공범이 될 수 있어 Baby, I can't stay 자기야, 난 여기 못 있어 You got to roll me and call me the tumblin' 나를 굴리고 나를 구르는 Roll me and call me the tumblin' dice 나를 굴리고 나를 구르는 주사위라 불러줘 Now baby 어서, 자기야 Oh my, my, my, I'm the lone crap shooter 오 이런, 이런, 이런, 나는 외로운 크랩스 선수 Playin' the field ev'ry night 매일 밤 필드를 누비지 Baby, I can't stay 자기야, 난 여기 못 있어 You got to roll me and call me the tumblin' dice (Call me the tumblin') 나를 굴리고 나를 구르는 주사위라 불러줘 (나를 구르는 주사위라 불러줘) Got to roll me (ya yes), got to roll me, got to roll me (Oh yeah) 나를 굴려, 나를 굴려, 나를 굴려 Got to roll me 나를 굴려 Got to roll me (yeah) 나를 굴려 Got to roll me (Keep on rolling) 나를 굴려 (계속 굴려) Got to roll me (Keep on rolling) 나를 굴려 (계속 굴려) Got to roll me (Keep on rolling) 나를 굴려 (계속 굴려) Got to roll me 나를 굴려 Call me the tumblin' dice, yeah 나를 구르는 주사위라 불러줘 Got to roll me 나를 굴려 Got to roll me 나를 굴려 Baby sweet as sugar (Got to roll me) 자기야, 설탕 만큼 달콤해 (나를 굴려) Yeah, my, my, my yeah (Got to roll me) 이런, 이런, 이런 (나를 굴려) Now now now now (Got to roll me) 어서 어서 어서 어서 (나를 굴려) I went down baby, oh 나 쓰러졌어, 자기야 Got to roll me (hit me) 나를 굴려 (나를 굴려) Baby I'm down 자기야, 나 쓰러졌어 ----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width=50]] ---- || == 참여 == * [[믹 재거]] - 보컬, 리듬 기타 * [[키스 리처즈]] – 리드 기타, 리듬 기타, 백 보컬 * [[믹 테일러]] - 슬라이드 기타, 베이스 * [[찰리 와츠]] - 드럼 * 니키 홉킨스 - 피아노 * 바비 키스 - 색소폰 * 짐 프라이스 - 트럼펫, 트럼본 * Clydie King, Venetta Fields, Sherlie Matthews – 백 보컬 [[분류:1972년 노래]][[분류:1972년 싱글]][[분류:롤링 스톤스 노래]][[분류:블루스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