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7년 축구 경기]][[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분류:보루시아 도르트문트]][[분류:유벤투스 FC]] [include(틀:상위 문서, top1=UEFA 챔피언스 리그/1996-97 시즌)] [include(틀: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결승전)] [include(틀:보루시아 도르트문트/관련 문서)] ||<-5><#ffffff>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height=60]] || ||<-5><#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ffffff UEFA 챔피언스 리그}}}]] {{{#ffffff 결승전}}}''' || ||<#ffffff><:> [[UEFA 챔피언스 리그/1995-96 시즌/결승전|{{{#000000 1995-96}}}]] ||<:> {{{+1 →}}} ||<#ffffff><:> '''[[UEFA 챔피언스 리그/1996-97 시즌|{{{#00008B {{{+1 1996-97}}}}}}]]''' ||<:> {{{+1 →}}} ||<#ffffff><:> [[UEFA 챔피언스 리그/1997-98 시즌/결승전|{{{#000000 1997-98}}}]]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97_bv_borussia_dortmund.jpg|width=100%]]}}} || ||<-2><:>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width=100]] || ||<-2><:> '''{{{#ffe600 1996-97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2><:> [[보루시아 도르트문트|'''{{{#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fe600 Man of the Match}}}''' || '''[[카를하인츠 리들레|{{{#ffe600 카를하인츠 리들레}}}]]''' || ||[[파일:1997-champions-league-final-bo-623-1.jpg|width=100%]][br]|| ||<:>{{{+5 '''UCL Final München 1997'''}}}|| [목차] == 개요 == 1996-97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 관한 내용을 서술한 문서다. UEFA 챔피언스 리그의 1996-97 시즌 결승전 경기는 [[독일]] [[뮌헨]]에 위치한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에서 펼쳐진다.[*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는 [[UEFA 챔피언스 리그/1992-93 시즌|1992-93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을 개최한 바 있다.] 이 결승전은 42번째 개최되는 유럽 최고 클럽 대항전의 결승 경기이며 유러피언 컵에서 챔피언스 리그로 명칭을 변경한 후 5번째로 맞는 결승전이기도 하다. 이 경기의 승리팀은 1996-97 [[UEFA 컵위너스컵]]의 우승 팀인 [[FC 바르셀로나]]와 1997 [[UEFA 슈퍼컵]] 경기를 갖게 되며, UEFA 대표의 자격으로 1997 [[인터컨티넨탈컵]]의 결승전에 진출하게 된다. 또한 해당 시즌부터 [[보스만 판결]]에 따라 경기 일정에 따른 외국인 선수의 제한 규정이 폐지되었다. 분데스리가의 경우 1982-83 시즌 [[함부르크 SV]]가 유러피언컵을 우승한 이후로 우승이 없었기 때문에 도르트문트가 우승한다면 14년만의 우승이자 [[독일 재통일|독일 통일]]이후로 첫 우승 구단이 탄생이며, 유벤투스가 우승할 경우 UEFA 챔피언스 리그의 최초의 2연패 팀이 된다. 도릍트문트와 유벤투스는 1992-93 시즌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결승전에서 맞붙은 전적이 있으며 당시 유벤투스가 도르트문트를 이기고 우승을 차지한 바 있었다. 1997년 결승전의 도르트문트 멤버중에 당시 유벤투스와 맞붙었던 도르트문트 선수로는 주장인 [[미하엘 초르크]], 골키퍼 [[슈테판 클로스]], 공격수 [[스테판 샤퓌자]], 외에 [[슈테판 로이터]][* 유벤투스 소속으로도 뛴 적 있었다.], [[레네 트레초크]]가 있었으며, 1993년 결승전때 유벤투스 소속으로 도르트문트를 상대했던 [[위르겐 콜러]]와 [[안드레아스 묄러]]가 도르트문트에 합류해 있었다. [[파울루 소자]] 또한 전 시즌에는 유벤투스 소속으로 챔스 우승을 하였기에 도르트문트가 우승한다면 서로 다른 클럽에서 챔스를 우승한 두번째 선수가 된다.[* 첫번째는 [[마르셀 드사이]]] 한편으로는, 1997년 결승전의 유벤투스 멤버중에 당시 도르트문트와 맞붙었던 유벤투스 선수로는 골키퍼 [[안젤로 페루치]]가 있으며, [[안토니오 콘테]], [[모레노 토리첼리]]의 경우 유벤투스 소속이었으나 결승전에 출전하지는 않았었다. 참고로 도르트문트와 유벤투스는 1994-95 시즌 UEFA컵 준결승과 1995-96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도 맞붙은 기록이 있기 때문에 3시즌 연속으로 대결이 성사되었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에 따라 결승전 홈팀 배정을 받았으며, 따라서 [[유벤투스 FC]]는 원정팀 배정을 받았다. 이 경기의 주심은 [[헝가리]] 국적의 [[산도르 풀]][* 2021년 5월 20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의해 65세의 나이로 타계.]이 담당한다. == 진출 팀 == ||
<:><#ffe600>{{{#!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d2d2b 20%, #ffe600 20%, #ffe600 80%, #2d2d2b 80%, #00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width=200]]}}}||<:><#fff> {{{#!wiki style="margin: -5px -2.5px; padding: 3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5%, #000 15%, #000 29%, #fff 29%, #fff 43%, #000 43%, #000 57%, #fff 57%, #fff 71%, #000 71%, #000 85%, #fff 85%)"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width=100]]}}} || ||<#ffe600><:>[[보루시아 도르트문트|'''{{{#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000><:>[[유벤투스 FC|'''{{{#fff 유벤투스 FC}}}''']]|| === [[유벤투스 FC]] === [youtube(w6NTyQ5h_UU)] 1990년대 초반부터 유럽 대항전 토너먼트에서 나름 경쟁력을 보여주던 유벤투스는 [[마르첼로 리피]]의 지휘하에 마침내 [[UEFA 챔피언스 리그/1996-97 시즌|1995-96 시즌에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특히 정신적 지주인 [[로베르토 바조]]가 다른 구단으로 이적한 상황에서 이를 이겨내고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라는 초신성 유망주의 활약에 힘입었기 때문에 더욱 미래가 밝아보였다. 비록 [[잔루카 비알리]]와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파브리치오 라바넬리]]가 구단을 떠났고 거기에다가 [[파울루 소자]]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이적하였다. 그러나 유벤투스는 [[알렌 복시치]], [[지네딘 지단]], [[파올로 몬테로]], [[크리스티안 비에리]]를 영입하며 공수와 허리를 더욱 강화하였으며, 새로 주장으로 임명된 [[안토니오 콘테]]를 필두로 [[디디에 데샹]], [[블라디미르 유고비치]]가 중원을 책임졌다.[* 다만 콘테의 경우 무릎 부상을 인해 시즌을 거의 소화하지 못하였고, 지단이 그 공백을 메꾸었다.] 그렇게 맞이한 다음 시즌인 1996-97 시즌, 유벤투스는 챔피언스리그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페네르바흐체 SK]], [[SK 라피트 빈]]와 조를 구성하였다. 당시 팀들을 살펴보면 1995-96시즌에 [[프리미어 리그]]와 [[FA컵(잉글랜드)|FA컵]]을 동시에 석권한 맨유와 1995-96 시즌 [[UEFA 컵위너스컵]] 준우승 구단인 라피트 빈[* [[파리 생제르맹 FC]]에게 패], 그리고 [[쉬페르리그]] 챔피언이자 역시 만만히 볼 수 없는 페네르바흐체였지만, 유벤투스는 아랑곳 않고 맨유와 페네르바흐체에게 2승을, 그리고 라피트 빈을 유벤투스의 홈에서 5-0 스코어로 박살내는등, 5승 1무라는 압도적인 모습으로 손쉽게 조 1위를 기록하였다. 그렇게해서 만나게된 8강 토너먼트 상대가 노르웨이 챔피언 [[로센보르그 BK]]였다. 로센보르그는 우승후보는 아니지만, 전 시즌 돌풍을 일으켰던 [[파나티나이코스 FC]]를 예선에서 탈락시켜 본선에 올라온 팀이였고, [[AC 밀란]]과 [[IFK 예테보리]]를 밀어내 조 2위를 기록한 다크호스였기 때문에 만만히 볼 상대는 아니였다. 그러나 유벤투스는 로센보르그에게 3-1 스코어로 압승을 거두며 순조롭게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그리하여 만나게된 준결승전 상대는 바로 전 시즌 결승전에서 만났던 [[AFC 아약스]], 유벤투스는 아약스조차 종합 스코어 6-2로 대승을 거두며 한층 더 강력해진 모습으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youtube(aH3H1jAFuaI)] 1990-91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10위를 기록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에서 좋은 성적을 내던 [[오트마어 히츠펠트]]를 영입하며 성적 향상을 꾀했고, 실제로 1991-92 시즌 리그에서 2위를 기록하며 한시즌만에 성적이 크게 반등하였다. 1992-93 시즌에는 리그 4위, DFB-포칼 16강에 그쳤지만,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결승까지 팀을 올려놓는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유벤투스 FC]]에게 1차전 3-1, 2차전 3-0으로 대패를 당하며 결승 진출에 만족해야했다. 1992-93 시즌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준우승 이후로, 유벤투스에게 패배의 쓴맛을 맛본 [[오트마어 히츠펠트]] 감독은 다시 절치부심하였다. 다행히 UEFA 준우승 덕분에 [[독일 축구 연맹]]으로부터 2500만 마르크라는 상금을 지원받았고, 히츠펠트는 이 돈으로 필요한 선수를 영입하며 전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수 있었다. 그렇게 1993-94 시즌에도 리그 4위를 기록하며 히츠펠트는 구단을 정상 궤도로 돌려놨고, 1994-95 시즌과 1995-96 시즌에 구단 역사상 [[분데스리가]] 첫 우승과 2연속 우승에 성공하며 도르트문트의 명성을 높이는 공헌을 하였다. 1995-96 시즌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32년만에 [[UEFA 챔피언스 리그/1995-96 시즌|UEFA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였고, [[유벤투스 FC]]에 이어 조 2위로 8강 토너먼트 진출까지 성공하였다. 비록 8강에서는 디펜딩 챔피언인 [[AFC 아약스]]에게 패하여 탈락했지만, 이번 시즌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비제프 우치]],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전 시즌 챔스에서도 같은조였다. 두 시즌 연속으로 만나는 셈]와 한 조를 이뤘다. 당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라도미르 안티치]] 감독의 지휘 아래 [[라리가]] 우승을 달성하였고, 비제프 우치와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스테아우아는 10년전에 챔스를 우승해본 이력이 있다. 당시 멤버중에 마리우스 러커투슈가 남아있었고, 도르트문트를 상대하였다.]는 예선에서 각각 [[브뢴뷔 IF]][* 비제프 우치에게 [[원정 다득점]]에서 밀려 탈락], [[클뤼프 브뤼허 KV]][*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에게 패배]를 꺾고 본선에 진출한 팀이었기에 만만히 볼 수는 없었다. 다행히 도르트문트는 비제프와 스테아우아를 상대로 무난히 승리를 거두었고 난적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서로 1승씩 주고 받은 끝에 조별리그 순위에서 4승 1무 1패를 기록하였으나, 득실차에서 아틀레티코에게 밀려 조 2위로 8강에 진출해야했다. 물론 도르트문트의 입장으로는 2연속 챔스 8강 토너먼트 진출이니 나름 성공적이었다. 8강에서의 상대는 [[기 루]] 감독이 이끄는 [[리그앙]] 챔피언 [[AJ 오세르]]였다. AJ 오세르는 아약스 원정에서 2-1로 이긴 전적이 있는 만큼 방심할 수 없는 상대였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도르트문트가 오세르를 4-1로 손쉽게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준결승 상대는 [[알렉스 퍼거슨]]이 이끄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도르트문트가 만난 상대들중에서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였다. 하지만 도르트문트는 이 압박을 이겨냈고, 1차전과 2차전 모두 1-0 승리로 끝내며 결승전 진출에 성공하였다. == 경기 전 예측 == * 역대 전적: 4승 1무 1패 유벤투스 우세. * <1992-93 UEFA 컵 결승전> '''유벤투스 ''' 3: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0:3 '''유벤투스 ''' * <1994-95 UEFA 컵 준결승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2 유벤투스[br]'''유벤투스''' 2: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995-96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유벤투스''' 3: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1 유벤투스 == 라인업 == === [[유벤투스 FC]] === ||
<-1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5%, #000 15%, #000 29%, #fff 29%, #fff 43%, #000 43%, #000 57%, #fff 57%, #fff 71%, #000 71%, #000 85%, #fff 85%)"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width=100&align=center]]}}} || ||<:><-13><#fff> '''[[유벤투스 FC|{{{#000 유벤투스 FC}}}]] {{{#000 (4-3-3)}}}''' || ||<-1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W[br][[알렌 복시치]][[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88' [br] [[알레시오 타키나르디]][[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88' ||<:>FW[br][[지네딘 지단]]||<:>FW[br][[크리스티안 비에리]][[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73' [br] 니콜라 아모루소[[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73' ||}}} || ||<-13> {{{#!wiki style="margin: -16px -11px;" ||<:>MF[br][[블라디미르 유고비치]]||<:>MF[br][[디디에 데샹]]||<:>MF[br][[안젤로 디 리비오]]||}}} || ||<:><-4>DF[br]마르크 율리아노[[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width=15]] 90' ||<:><-4>DF[br]세르지오 포리니[[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width=15]] 19'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73' [br]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46' ||<:><-4>DF[br][[파올로 몬테로]]||<:><-4>DF[br][[치로 페라라]] || ||<:><-13>GK[br][[안젤로 페루치]][[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30]] || ||<-13><:> '''{{{#fff 교체 명단}}}''' || ||<:><-3>'''[[알레시오 타키나르디]]'''||<:><-3>'''[[알레산드로 델 피에로]]'''||<:><-3>미켈란젤로 람풀라||<:><-3>'''니콜라 아모루소'''||<:><-3>[[잔루카 페소토]]||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1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d2d2b 20%, #ffe600 20%, #ffe600 80%, #2d2d2b 80%, #00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width=200&align=center]]}}} || ||<:><-13><#ffe6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000 (3-4-3)}}}''' || ||<-1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W[br][[스테판 샤퓌자]][[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70' [br] [[라르스 리켄]][[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width=15]] 71'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70' ||<:>FW[br][[안드레아스 묄러]][[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89' [br] [[미하엘 초르크]][[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89' ||<:>FW[br][[카를하인츠 리들레]][[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width=15]] 67' [br] [[하이코 헤를리히]][[파일:교체 인 아이콘.svg|width=15]] 67' ||}}} || ||<:><-4>DF[br][[외르크 하인리히]]||<:><-4>MF[br][[파울루 소자]][[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width=15]] 23' ||<:><-4>MF[br][[폴 램버트]]||<:><-4>DF[br][[슈테판 로이터]] || ||<-13> {{{#!wiki style="margin: -16px -11px;" ||<:>DF[br]마르틴 크리||<:>DF[br][[마티아스 자머]][[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30]]||<:>DF[br][[위르겐 콜러]]||}}} || ||<:><-13>GK[br][[슈테판 클로스]] || ||<-13><:> '''{{{#fff 교체 명단}}}''' || ||<:><-3>'''[[미하엘 초르크]]'''||<:><-3>'''[[라르스 리켄]]'''||<:><-3>'''[[하이코 헤를리히]]'''||<:><-3>[[볼프강 데베어]]||<:><-3>[[레네 트레초크]]|| == 경기 내용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CED1, #00008B 20%, #00008B 80%, #9400D3)" [[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UEFA 챔피언스 리그/2019-20 시즌|{{{#fff '''1996-97 UEFA Champions League FINAL'''}}}]][br]{{{#fff 1997. 05. 29. (목). 02:30(UTC+9)}}}'''}}} || ||<-3><#FFF>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00008B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 ([[독일|{{{#00008B 독일}}}]], [[뮌헨|{{{#00008B 뮌헨}}}]])''' || ||<-3><#FFF> '''{{{#00008B 주심: [[산도르 풀|{{{#00008B 산도르 풀}}}]] (헝가리)}}}''' || ||<-3><#FFF> '''{{{#00008B 59,0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d2d2b 20%, #ffe600 20%, #ffe600 80%, #2d2d2b 80%, #00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150]]}}}||<|4><#fff>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height=2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5%, #000 15%, #000 29%, #fff 29%, #fff 43%, #000 43%, #000 57%, #fff 57%, #fff 71%, #000 71%, #000 85%, #fff 85%)"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height=15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fff> '''[[유벤투스 FC|{{{#000 유벤투스 FC}}}]]''' || || '''{{{+5 {{{#fff 3}}}}}}''' || '''{{{+5 {{{#fff 1}}}}}}''' || ||<:>'''29' {{{-1 [[카를하인츠 리들레]] (A. [[폴 램버트]])}}}[br]34' {{{-1 [[카를하인츠 리들레]] (A. [[안드레아스 묄러]])}}}[br]71' [[라르스 리켄]] (A. [[안드레아스 묄러]])'''||<:>'''65' {{{-1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A. [[알렌 복시치]])}}}'''|| ||<-3><#00008B> '''{{{#FFF Man of the Match: [[카를하인츠 리들레|{{{#FFF 카를하인츠 리들레}}}]]}}}''' || ||<-3><#00008B>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match/53915--dortmund-vs-juventus/|{{{#fff 매치 리포트}}}]] | [[https://youtu.be/akSFJwLipko|{{{#fff 경기 하이라이트}}}]]''' || ||<#ffe600> '''{{{#00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width=100%]] ||<:><#fff> '''{{{#000 유벤투스 FC}}}''' || |||| || 3 ||<#00008B><:> '''{{{#FFF 유효슈팅}}}''' || 1 || || 2 ||<#00008B><:> '''{{{#FFF 경고}}}''' || 2 || || 0 ||<#00008B><:> '''{{{#FFF 퇴장}}}''' || 0 || * 심판진 * 주심: 산도르 풀 * 부심: 라슬로 허머르, 임레 보죄키 * 대기심: 어틸러 주호시 === 전반전 === 전반 29분, 도르트문트의 코너킥 상황에서 [[안드레아스 묄러]]의 코너킥을 유벤투스의 골키퍼인 [[안젤로 페루치]]가 펀칭으로 걷어냈으나, 루즈볼 상황에서 공을 받아낸 [[폴 램버트]]가 다시 크로스를 시도했고, 이 크로스를 카를하인츠 리들레가 가슴으로 트래핑한후 재빨리 왼발 슛으로 선제골을 넣는다. 그리고 5분이 지났을 때, 다시 도르트문트에게 코너킥이 주어졌고, 안드레아스 묄러의 코너킥을 이번에는 리들레가 헤더로 제대로 맞추었고, 공은 유벤투스의 골망을 흔들며 도르트문트가 2:0으로 앞서가게 되었다. 다급해진 유벤투스도 거침없이 공격을 이어나가며 지네딘 지단의 회심의 슛이 크로스바를 맞추거나, 유벤투스의 코너킥 상황에서 [[지네딘 지단]]의 코너킥을 도르트문트 수비진이 간신히 걷어냈으나 이후 루즈볼 처리 과정에서 [[크리스티안 비에리]]가 득점에 성공했였다. 그러나 득점 과정을 보면 도르트문트의 수비수인 마르틴 크리가 이 루즈볼을 걷어낸다는것이 크리스티안 비에리의 손을 맞추는 바람에 공이 그대로 막히면서 그 틈을 타 비에리가 슛을 시도하여 득점했기 때문에 비에리의 핸드볼 반칙이 인정되어 골이 취소되는등 상황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 후반전 === 후반에도 유벤투스의 파상공세는 이어졌다. 유벤투스의 감독 [[마르첼로 리피]]는 수비수 포리니를 빼고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를 투입하며 한층 더 공격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효과는 있었는지 [[블라디미르 유고비치]]가 강력한 중거리 슈팅을 시도했으나, [[슈테판 클로스]]의 선방으로 막혔다. 그러다가 후반 20분, [[알렌 복시치]]가 [[지네딘 지단]]과의 2:1 패스로 수비진을 뚫어내며 페널티 박스 측면 쇄도에 성공하였고, 이후 복시치의 컷백을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가 기막힌 백힐 슛으로 득점에 성공하며 추격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유벤투스로 넘어온 기세는 6분만에 다시 도르트문트로 넘어오게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37670_imgw968.jpg|width=100%]]}}} || 후반 25분, [[오트마어 히츠펠트]] 감독은 [[스테판 샤퓌자]]를 빼고 21살의 유망주 [[라르스 리켄]]을 투입하였다. 라르스 리켄은 교체되어 들어온지 16초만에 [[안드레아스 묄러]]의 킬패스를 받아 [[https://www.youtube.com/watch?v=oVI9Diwmv2M|중거리에서 골키퍼의 키를 넘기는 장거리 원더골]]을 기록하며[*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로빙샷으론 거의 초장거리며, 허를 찔린 페루치 골키퍼가 멍하니 궤적만 쳐다보다 그대로 당한다. 놀랍게도 이 슛은 경기장에 막 교체 투입된 그의 '첫 볼터치'였다. 챔피언스리그 역대 원더골중 하나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명장면으로 꼽힌다. 게다가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의 추격골이 터진지 5분도 채 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귀중한 추가골이었다.] 3-1 스코어로 만들어서 다시 리드를 잡았고, 도르트문트의 서포터들은 승리를 확신하며 연신 '''수시'''를 외치기 시작했다. 수시는 [[미하엘 초르크]]의 별명이였는데, 도르트문트의 팬들이 그의 별명은 연호하자 마티아스 자머는 히츠펠트 감독에게 초르크를 교체 투입하길 설득하였고, 안드레아스 묄러는 자기 대신 초르크가 무대에 오를수 있도록 교체되기를 원했다. 히츠펠트에게는 초르크의 출전이 원래 그의 계획에 없었지만 승기를 이미 도르트문트에게 기울고 있었기에 후반 44분에 묄러를 빼고 초르크를 투입시켰고, 그때까지도 양 구단의 득점은 더 이상 없었다. 그렇게 3-1이라는 스코어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카를하인츠 리들레의 멀티골과 라르스 리켄의 쐐기골, 그리고 자머를 비롯한 수비진들의 단단한 벽, 초르크를 중심으로 결속된 선수단은 결국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첫 챔피언스 리그 우승'''에 기여하게 된다. == 경기 후 == === 경기 총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챔스 우승.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벤투스 챔스 준우승.jpg|width=100%]]}}} || 디펜딩 챔피언이였던 유벤투스는 시즌 전 [[지네딘 지단]], [[파올로 몬테로]], [[크리스티안 비에리]]를 영입하며 한층 더 두터운 스쿼드를 완성시켰다. 그리고 실제로도 유벤투스는 압도적인 모습으로 결승전까지 진출하였으나, 정작 [[지네딘 지단]]은 [[폴 램버트]]와의 중원싸움에서 밀리며 팀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고, 결국 무력하게 도르트문트의 우승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리그에서 3위에 그치며 분데스리가 3연패에는 실패하였지만,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전 시즌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특히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라는 우승 후보를 꺾고 결승전에 진출할때부터 이미 9부 능선을 넘은 상태였다. 그리고 4년전과는 달리 유벤투스를 전반부터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후반에 유벤투스의 파상공세로 득점을 허용하면서도 쐐기골을 넣은 집중력을 보여주어 그들이 우승 자격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 {{{#gold 우승 팀}}}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G_Juventus5_bvbnachrichtenbild_regular.jpg |width=100%]]}}} || === {{{#silver 준우승 팀}}} : [[유벤투스 FC]] === == 여담 == * 양쪽 팀에서 모두 뛰어본 선수로는 [[파울루 소자]], [[슈테판 로이터]], [[안드레아스 묄러]], [[위르겐 콜러]]가 있다. 묄러와 콜러는 1992-93 시즌 [[UEFA 유로파 리그|UEFA컵]]에서 유벤투스 소속으로 결승에서 도르트문트를 이기고 우승을 차지한 이력이 있으며, 파울루 소자는 전 시즌 유벤투스 소속으로 챔스 우승을 달성하고 도르트문트에서도 우승하며 서로 다른 클럽에서 두번 연속으로 챔스 우승을 한 2번째[* 첫번째는 [[마르셀 드사이]] 선수가 되었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조별 리그를 2위로[* 1위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인데 원정 다득점으로 간신히 도르트문트를 2위로 밀어냈다. 하지만 바로 다음 라운드인 8강전에서 [[AFC 아약스]]를 만나서 결국 4-3 석패로 탈락했다.] 통과하여 결승까지 진출한 후, 디펜딩 챔피언 [[유벤투스 FC]]를 상대로 3-1로 승리를 거두며 구단 역사상 첫 [[빅 이어]]를 들었다. 이는 창단 최초로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진출한 팀이 우승까지 달성한 마지막 사례이며, 대회 이름이 [[UEFA 챔피언스 리그]]로 개정된 이후로는 유일한 사례다. 도르트문트의 우승으로 인해 1991-92 시즌 최초로 조별 리그가 도입된 이래 조별 리그 2위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 구단이 처음으로 우승을 달성한 기록이 되었다. 그 외에도 21번째[* UEFA 챔피언스 리그로 개칭 이후로는 5번째]로 [[빅 이어]]를 들어 올린 구단이자 [[독일 재통일|통일 이후 독일]] 구단의 첫 우승이 되었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유벤투스 FC]]와의 상대전적이 열세였고 스타 플레이어가 포진한 유베에 비해 도르트문트가 우승할 거라는 기대는 크지 않았다. 유벤투스는 전 시즌 챔스 위너인데다가, 스쿼드가 한층 더 강력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던 반면, 도르트문트는 부상병동인 상황에서 마지막 12경기에 5승만을 거두는 부진끝에 [[분데스리가]]에서 3위에 그치며 3연속 우승에 실패한데다, [[DFB-포칼]]에도 1라운드만에 탈락하는등 무관의 위기에 처해있었다. 그러나 세간의 인식을 뒤집고 도르트문트가 유벤투스를 상대로 3-1로 승리하였고, 그렇게 도르트문트는 21번째로 챔피언스리그를 우승한 구단이 되었다. * [[유벤투스 FC]]는 이후로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 4번 진출했지만 모두 졌다. 이 결승전까지 합하면 2023년 현재 챔피언스리그에서 5연속으로 준우승을 기록중이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대회에서 11경기 9승 1무 1패를 기록했다. 이 중 1패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게 당한건데 아틀레티코의 핵심 멤버인 [[디에고 시메오네]]가 유일하게 결장한 경기임에도 도르트문트는 아틀레티코를 상대로 선제골을 넣고도 역전패를 당하였다. * [[마티아스 자머]]는 이 대회에서 우승함으로써 역대 3번째[* [[미셸 플라티니]], [[마르코 반 바스텐|마르코 판바스턴]] 이후]로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과 [[발롱도르]], [[UEFA 챔피언스 리그|챔스]] 우승'''을 한번에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 UEFA 챔피언스 리그로 개칭 이후로는 첫번째] * [[미하엘 초르크]]는 이 대회에서 우승함으로써 역대 최초로 '''[[주장]][* 다만 결승전에서는 교체 출전으로 뛰었고, 선발로 나섰던 마티아스 자머가 풀타임 출전을 했기에 경기 내내 주장 완장을 달고있었다.], [[원 클럽 플레이어]], [[로컬 보이]], 최다 출장'''이라는 기록을 모두 가지고 우승한 선수가 되었다. * [[UEFA 챔피언스 리그/1997-98 시즌|1997-98 시즌]]부터 리그에서 2위를 기록한 구단들도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 할 수 있었다. 도르트문트는 [[분데스리가|리그]]에서 3위라는 성적을 기록했지만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하였다. 리그 우승팀인 [[FC 바이에른 뮌헨]]은 본선으로 직행하였고, 리그 2위팀인 [[바이어 04 레버쿠젠]]은 예선을 통해 본선으로 진출하면서 한 국가에서 3개의 팀이 챔스에 진출하는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이후 2000년대 중반에 악화된 재정으로 인해 위기에 몰렸지만, 구사일생으로 재정문제가 해결되었고 [[위르겐 클롭]]이라는 명장의 등장으로 16년만의 [[UEFA 챔피언스 리그/2012-13 시즌/결승전|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