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UH-1)]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791576.jpg|width=100%]] [목차] == 개요 == [[미국]]의 [[벨 헬리콥터]]에서 1968년에 [[캐나다군]]의 요구로 제작한 다목적 [[헬리콥터]]. 1969년 4월 초도비행에 성공하였고, 미 공군의 요청으로 1970년 10월부터 [[베트남 전쟁|베트남전]] 전장에, 1971년에는 원 주문자인 캐나다군에게 인도되기 시작하였다. 캐나다가 먼저 개발을 의뢰한 기종이지만, 미 공군이 UH-1N이라는 제식명을 붙여 구매, 실전배치하면서 미 해병대, 미 육군이 추가로 주문하였고, 다른 나라의 군대들도 민수용 벨 212를 주문하였다. [[벨 헬리콥터]]의 라이센스를 다수 사간 이력이 있는 [[이탈리아]]의 [[아구스타]]에서도 AB 212[* Agusta-Bell 212]라는 모델명을 붙여 생산/판매하였고 나중엔 대잠 개조형도 수출하여 판매하였다. 다목적 헬기의 대명사인 [[UH-1]]의 파생형 만큼 의료, 방송, 경찰 등의 민간 부문에서도 많이 판매되어 최종적으로 군용 CH-135, UH-1N을 포함하면 1천대가 넘게 생산된 베스트셀러 헬기 중 하나이다. 트윈 휴이는 베트남전을 시작으로 [[포클랜드 전쟁]], 콜롬비아 내란-[[마약과의 전쟁]] 등 여러 곳에서 활동하였고, 주로 병력 수송이나 특작부대 정찰 임무를 지원했다. 미 본토에서는 [[대륙 간 탄도 미사일|ICBM]] 발사장들의 경비 임무를 맡아 수십년간 활동했다. [[미 해병대]]의 UH-1N들은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에도 현역으로 활동하며 근접항공지원과 무장 정찰, 연락 중계 암무등을 수행해냈지만, 2010년대 이후로는 UH-1N을 더 발전시킨 모델인 UH-1Y가 미 해병대에, ICBM 기지에는 [[AW139|MH-139 그레이 울프]] 같은 신형 기종들이 도입되며 미군에서는 점점 퇴출되고 있다. == 제원 == ||<-3> '''{{{#FFF {{{+1 UH-1N 트윈 휴이}}} [br] Bell Helicopters UH-1N Twin Huey}}}'''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H-1N 미 해병대.jpg|width=100%]]}}}|| ||<-3><#EEE> '''{{{#000 개발 및 생산}}}''' || || '''개발사''' ||<-2>[[벨 헬리콥터]] || || '''제조사''' ||<-2>[[벨 헬리콥터]][br][[아구스타]] (라이센스) || || '''초도비행''' ||<-2>1969년 4월 || || '''생산기간''' ||<-2>1969년 ~ 1998년 (민수형 포함) || || '''생산댓수''' ||<-2>약 1,000대 이상 (민수형 포함) || || '''운용연도''' ||<-2>1970년 ~ 현재 || ||<-3> '''일반 제원''' || || '''전장''' ||<-2>17.58m (로터 포함) || || '''전폭''' ||<-2>2.87m (동체) || || '''전고''' ||<-2>3.91m || || '''메인로터 지름''' ||<-2>14.63m || || '''로터 선회면적''' ||<-2>168.0m² || || '''공허중량''' ||<-2>2,962kg || || '''적재중량''' ||<-2>내부 적재중량 불명[br]2,268kg (5,000lb, 외부슬링) || || '''최대이륙중량''' ||<-2>5,080kg || || '''승무원''' ||<-2>조종사 2명 + 사수 2명 (양측 도어건)[br]탑승 보병 최대 11명 || ||<-3> '''구동계''' || || '''로터 구성''' ||<-2>2엽 메인 로터 + 2엽 테일 로터 || || '''엔진''' ||<-2>[[프랫 & 휘트니]] 캐나다 T400-CP-400[* PT6T "Twin-Pac" 터보샤프트 엔의 군 형식명이 T400이다.] 1기[br][[프랫 & 휘트니]] 캐나다 PT6T-3 1기 (민수형) || || '''엔진출력''' ||<-2>이륙 출력: 1,800shp (1,300kW)[br]최대연속출력: 1,600shp (1,200kW) || ||<-3> '''기동성''' || || '''순항속력''' ||<-2>204km/h (110kn) || || '''최고속력''' ||<-2>240km/h (130kn) || || '''한계속력''' ||<-2>불명 || || '''행동반경''' ||<-2>459km (248nmi) || || '''페리항속거리''' ||<-2>1,046km || || '''추중비''' ||<-2>불명 || || '''상승률''' ||<-2>8.92m/s (1,755ft/min) || || '''상승한도''' ||<-2>6,584m (21,600ft) || || '''회전면하중''' ||<-2>30.2kg/m² || ||<-3> '''무장 능력''' || || '''기관총''' ||<-2>양측면 도어건 각 1정[br]{{{-2 └[[M2 브라우닝 중기관총#s-3.4.4|GAU-16/A]] | [[M134 미니건#s-2.1.4|GAU-17/A]] | [[M60 기관총#s-3.3.3|M60D]] | [[M240 기관총#s-3.2.3|M240D]] 등}}} || ||<|4> {{{#!wiki style="margin: -0px -7px" '''하드포인트'''}}} ||<-2> '''동체 측면 2개소''' || ||<#CCC> {{{#!wiki style="margin: -0px -7px" '''로켓'''}}} ||LAU-68/A 7연장 발사기[br] {{{-2 └[[히드라 70]] 70mm 무유도 로켓}}} || ||<#CCC> {{{#!wiki style="margin: -0px -7px" '''미사일'''}}} ||AS.12 미사일 최대 2발 (AB 212ASW) || ||<#CCC> {{{#!wiki style="margin: -0px -7px" '''어뢰'''}}} ||324mm급 경어뢰 최대 2발 (AB 212ASW) || == 개발 == 1968년 캐나다군은 벨 헬리콥터 사와 신형 다목적 헬기 개발에 관한 협상에 착수했다. 캐나다군은 기존 운영중이어서 익숙하던 벨 205(UH-1의 민수형)의 설계를 기반으로 동체 길이를 늘리고, 안정성을 위해 엔진을 단발에서 쌍발로 변경한 설계를 요구했다. 당시 캐나다 정부는 자국군이 발주하는 기종이기 때문에 캐나다에서 생산한 엔진을 사옹하여 프랫 & 휘트니 캐나다제 엔진을 사용할것을 요구했고, 이로써 일자리 창출 및 부품 국산화율 증대를 노렸다. 이후 벨 사는 [[프랫 & 휘트니 캐나다 PT6|PT6A]] 엔진 2개를 하나로 묶은 PT6T-3 "Twin-Pac" 엔진을 장착하기로 하였다. 최초 명칭은 CUH-1N으로 정해졌으나, 캐나다군이 새 항공기 명명 체계를 채택하면서 CH-135 트윈 휴이로 재명명 된다. 캐나다는 1968년 5월에 벨 사에 개발을 맡기며 총 50대의 CH-135를 주문하였고, 1971년 5월부터 첫 기체가 인도되었다. 한편 미국은 CH-135에 빠르게 관심을 가졌고, 일부 국방부 관료들은 베트남전에 투입하기 위해 이 기체를 빠르게 도입하고 싶어 했다. 하지만 하원 국방위원회 의장을 비롯한 [[민주당(미국)|미 민주당]] 의원들은 당시 [[캐나다 자유당]] 내각이 미국과 여러 부문에서 대립각을 세우는데다[* 캐나다는 미국의 베트남전을 위시한 동남아/남미 개입 정책에 반대하고 있었고, 캐나다로 입국한 베트남전 징집 거부자들을 받아주고 있었다.], 무역적자를 우려하여 캐나다제 엔진을 장착한 헬기 도입을 반대하였고, 도입 사업은 무산될 뻔 했다. 결국 PT6T 엔진의 미국내 생산이 확약되고 나서야 하원은 도입 예산을 통과시켰고, 그 결과 1970년부터 294대가 UH-1N이라는 제식명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한편 벨 사는 생산 초기부터 여러 군대에서 충분한 주문량을 확보하자 UH-1의 민수형, 벨 204/205를 잇는 신형 민수용 모델 개발으로 눈을 돌렸다. 트윈 휴이에는 벨 212라는 사내 모델명이 부여되었고, 1971년에는 [[미 연방항공청|FAA]]로 부터 형식 인증과 IFR[* Instrumental Flight Rules, 계기 비행 규칙] 승인을 받아 본격적으로 미국 민간 시장에 진출하였다. 벨 212는 유럽 시장에도 진출하였는데, 벨의 이전 기종인 [[벨 47]]과 [[UH-1|벨 205]]의 라이센스를 구매했던 아구스타 사와 협상하여 AB 212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 생산과 판매를 허가했고, 1971년 이후로 유럽의 각국 군대 및 민간기관에 판매되었다.. 1977년에는 벨 212가 세계 최초로 단독 조종사 IFR 인증을 받아 그 안정성을 입증했다. == 상세 == UH-1N에 설치된 PT6T 트윈 팩 엔진은 PT6A를 병렬식으로 배치해 설계한 구조로, 로터축 뒷면으로 나있는 배기구가 2개인 것이 기존 UH-1 시리즈와의 큰 차이점이다. PT6T는 최대 1800shp의 출력 낼 수 있고, 비상시 엔진 중 하나가 꺼져도 900~765shp의 출력을 내며 30분간 비행을 유지할 수 있어 단발형들에 비해 신뢰성이 대폭 개선되었다. 이외에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각 계통별로 높은 가외성을 띄게 개량되었는데, 유압/전자/연료 계통같은 중요 시스템의 이중화, 내부 화재 진압 장비 등이 설치되었다. UH-1N은 보통 2명의 조종사와 도어건 사수 2명, 총 4명의 승무원이 탑승한다. 내부는 조종석 2석과 좌석 13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론상 조종사 1명 제외 14명의 인원을 수송 할 수 있지만, 보통의 경우에는 장비와 연료 무게, 기상상황 때문에 꽉꽉 채워서 다니진 않는다. 그리고 좌석을 탈거하면 최대 6개의 들것이나 6.23m³의 화물을 내부에 싣고, 추가로 2.26톤의 화물을 슬링 할 수 있다. 미 해병대는 UH-1N 보유량 중 상당수에 안정성 보조 시스템을 달아 메인로터 위에 있는 수평안정화 판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휘관들용 기체에는 3개의 통신장비를 캐빈에 설치해 지상군의 작전을 조율할 수 있었다. == 실전기록 == 첫 주문자인 캐나다군보다 먼저 트윈휴이를 납품 받은 미 공군은 불과 몇 달 만인 1970년 말부터 미 공군은 베트남에 주둔한 제20특수작전대대에 UH-1N을 배치하기 시작하여 단발형 UH-1F/UH-1P를 대체했다. 특수전용으로 투입된 만큼, 미군 [[라운델]] 없이 녹색으로 도장하고 미니건, 유탄발사기, 70mm 로켓 등으로 무장해서 특작부대의 정찰 임무를 지원했다. 캐나다군에서 CH-135는 기존 보유 기종인 [[UH-1|CH-118 휴이]]와 함께 전술 수송헬기로 주로 사용되었고, 그 외에도 VIP 수송, 의무후송, 탐색구조, 마약 밀수 단속 임무를 맡았었다. 또한 중미, 소말리아, 아이티 등지에서 캐나다군의 평화유지군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번 파병되었다. [[아르헨티나 공군]]은 1978년에 벨 212 8대를 구입했었는데,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벨 212 두대가 동포클랜드섬 구스 그린(Goose Green)에 있는 비행장에 배속되어 격추당한 아르헨티나 조종사들을 여럿 구출해냈다. 종전까지 두대 모두 무사했지만, [[포클랜드]]가 [[영국군]]에 수복됨에 따라 두대 모두 영국군에 의해 노획된 후 해체되었다. 미 해군과 미 해병대에는 1971년부터 첫 기체 인도가 시작되었는데, 총합 205대의 UH-1N을 운용했었다. 2003년 [[이라크 전쟁]]에는 미 해병대의 트윈휴이가 배치되어 지상군에 정찰 및 통신 지원을 제공하였다. 나시리야(Nasiriyah) 전투에서 대전차 무장을 장착한 [[AH-1]]에 비해 UH-1N이 도어건 및 로켓포드를 포함해 소프트 타겟 제압용 무장이 많아 코브라들과 함께 편성되어 지상 지원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했다. 미공군은 노스다코타, 몬태나, 와이오밍, 네브래스카, 콜로라도에 있는 ICBM 기지의 수송지원 및 경비 임무를 위해 UH-1N을 80년대부터 배치하였다. 그리고 워싱턴 주 페어차일드 공군기지의 제36구조비행대대에서 탐색구조 및 의무후송 임무를 수행했었고, [[주일미군]] [[요코타 공군기지]]에 주둔하는 제459공수비행대대에서도 운용했었다. 콜롬비아군은 90년대 말부터 벨 212/UH-1N을 마약과의 전쟁에 건쉽 용도로 투입했었고, [[FARC]]과의 분쟁에도 투입했다. 2013년 10월 16일 UH-1N 한대가 FARC가 장악한 라과히라 주 북부에서 추락했다. == 파생형 == * 캐나다군 파생형 * CH-135 트윈 휴이 * 미군 파생형 * UH-1N 이로쿼이 / 트윈휴이[br]군용 메인 양산 모델. 미 공군, 해군, 해병대가 운용했다. 미군에서는 정식 이름을 UH-1 단발 엔진형들과 마찬가지로 이로쿼이를 부여받았으나, 운용 인원들은 그냥 휴이라고 부르거나 트윈휴이라고 계속 지칭하여 결과적으로 트윈휴이라는 별명이 더 유명해졌다. [br][br] 미 공군은 베트남전 이후엔 주로 ICBM 기지 경비 지원용으로 운용했지만, 미 해병대는 항전장비 개수랑 [[FLIR]] 설치 등의 개량을 하여 이라크전까지 잘 써먹었다. * VH-1N[br]VIP 수송용 모델. 미 해병대의 [[에어 포스 원#s-5.1|마린 원]] 운용 부대인 제1해병 헬리콥터비행대대(HMX-1)에서 대통령 및 고위 관료들의 전용기로 운용하다 퇴역시켰다. * HH-1N[br]탐색구조용 모델. * 아구스타 제작 파생형 * AB 212[br]아구스타 사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벨 212. 민수용 또는 군용 다목적 헬기로 많이 팔렸다. * AB 212ASW[br]대잠전/대수상함전 버전. 콕핏 상단에 시 스프레이 레이더용 드럼형 레이돔을 올려 외형상 차이가 크게 난다. AN/AQS-18[* AN/AQS-13의 수출형] 디핑소나를 장비하여 5km 대 범위의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고, 324mm 경어뢰나 AS.12 미사일 2발을 무장으로 탑재하여 수상함이나 잠수함을 상대할 수 있다. * AB 212EW[br]전자전 헬리콥터 버전. 212ASW형에 대잠전 장비 대신 콜리브리 전자전 장비를 장착하여 공격적/방어적 [[전자전]] 능력을 갖췄다. 제한적 [[ELINT]] 기능도 있다 알려졌다. * 민수용 파생형 * 벨 212[br]UH-1N의 [[벨 헬리콥터]] 사내 코드명. Twin Two-Twelve (트윈 투-트웰브)라는 이름으로 마케팅 되었으며, 최대 1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다. * 싱글 이글[br]벨 212의 엔진을 단발으로 교체한 버전. 캐나다 [[캘거리]]의 이글 콥터즈 사가 개조했다. PT6T-3 엔진을 라이커밍 T5317으로 교체하여 벨 214보다 높은 추력을 냈다. == 후계기종 == * [[벨 412]][br] 벨 212에 로터 블레이드를 4엽으로 만든 기종이다. 대폭 개량이라 할 것도 없이 이것만 했는데 속도는 20%, 최대 이륙중량은 10% 가량 증가했다. * [[UH-1Y]][br] 벨 412가 성공을 거두자 4엽 로터 설계를 기반으로 [[AH-1Z]]의 구동계 부분을 상당수 공유하여 만들어진 군용 후계기종이라 할 수 있다. == 운용국 == 군/정부 기관 운용국만 기재. 별도 표기가 없을 경우 민수형 벨 212 운용국이다. === 북미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35)] [[미국]] ==== * [[미 공군]] - 퇴역 예정, 64대 운용중 * [[미 해군]] - 퇴역 * [[미 해병대]] - 퇴역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출력=, 크기=35)] [[캐나다]] ==== * [[캐나다 공군|왕립 캐나다 공군]] - 1999년 퇴역[br]1971년부터 운용하다 [[벨 412|CH-146]]을 도입하며 1996년에 퇴역을 시작하여 1999년에 전량 퇴역하였다. * 캐나다 해안경비대 - 퇴역 === 서유럽 ===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35)] [[영국]] ==== * [[영국 육군|영국 육군항공단]] - 2022년 퇴역[br]벨 212 AH.1 및 AH.3 이라는 제식명으로 도입했었다. === 중부유럽 ===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 크기=35)] [[독일]] ==== * 독일 연방내무부 - 의무후송용으로 운용하다 퇴역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출력=, 크기=35)] [[오스트리아]] ==== * [[오스트리아 연방군]] - 현역, AB 212AM 버전 23대 운용중 === 남유럽 ===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출력=, 크기=35)] [[이탈리아]] ==== * [[이탈리아 공군]] - AB 212 28대 운용중 * [[이탈리아 해군]] - AB 212 대잠형 포함 총 33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출력=, 크기=35)] [[스페인]] ==== * [[스페인 육군|스페인 육군 공중기동대]] - 현역, AB 212 6대 운용중 * [[스페인 해군|스페인 해군항공대]] - 퇴역 예정, AB 212+ 7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출력=, 크기=35)] [[그리스]] ==== * [[그리스 해군|그리스 해군항공대]] - 퇴역 예정, 총 8대 운용중[br] 원래는 대잠용 AB 212ASW 11대, 전자전용 212EW 2대를 도입했으나, ASW형은 5대가 퇴역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베니아, 출력=, 크기=35)] [[슬로베니아]] ==== * 슬로베니아 국가경찰 - 퇴역, 1대 운용 기록 ====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출력=, 크기=35)] [[크로아티아]] ==== * 크로아티아 경찰 - 현역, 1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출력=, 크기=35)] [[세르비아]] ==== * 세르비아 경찰 - 2023년 퇴역, 3대 운용 기록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출력=, 크기=35)] [[튀르키예]] ==== * [[튀르키예 해군]] - 현역, AB 212ASW 9대 운용중, AB 212EW 3대 퇴역. === 동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35)] [[대한민국]] ==== * [[대한민국 공군]] - 현역[br]UH-1N을 VIP 수송용으로 도입했었다. 이후 공군 6전대에서 조종사 양성용으로 소수 운용하고 있다. [[파일:경찰헬기12545.jpg]] *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 2019년 퇴역, 1대 운영 기록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크기=35)] [[일본]] ==== [[파일:slideshow-top-lrg-04.jpg]] * [[해상보안청]] - 2016년 퇴역, 38대 운용 기록 === 동남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출력=, 크기=35)] [[싱가포르]] ==== * [[싱가포르 공군]] - 퇴역 ====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출력=, 크기=35)] [[태국]] ==== * [[태국 육군|태국 왕립 육군 항공센터]] - UH-1N 48대 운용중, 업그레이드 예정 * [[태국 해군|태국 왕립 해군항공대]] - UH-1N 7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출력=, 크기=35)] [[필리핀]] ==== * [[필리핀 공군]] - 퇴역, VIP 수송용으로 1대 운용 기록 ==== [include(틀:국기, 국명=브루나이, 출력=, 크기=35)] [[브루나이]] ==== * [[브루나이군|브루나이 왕국군]] - 육군항공대 소속으로 퇴역 === 남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방글라데시, 출력=, 크기=35)] [[방글라데시]] ==== * [[방글라데시군|방글라데시 공군]] - 현역, 14대 운용중[br]제9비행대대에서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출력=, 크기=35)] [[스리랑카]] ==== * [[스리랑카군|스리랑카 공군]] - 현역, 10대 운용중 === 서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출력=, 크기=35)] [[사우디아라비아]] ==== * [[사우디아라비아 공군|사우디아라비아 왕립 공군]] - 현역, 24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출력=, 크기=35)] [[이란]] ==== * [[이란 공군]] - 2대 운용중 * [[이란 해군]] - AB 212 8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크기=35)] [[이스라엘]] ==== * [[이스라엘 공군]] - 퇴역[br]이스라엘군은 벨 212에 [[왜가리|아나파]](Anafa, אנפה) 라는 별명을 붙여 불렀다. ==== [include(틀:국기, 국명=레바논, 출력=, 크기=35)] [[레바논]] ==== * [[레바논군|레바논 공군]] - 벨 212 5대, AB 212 2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바레인, 출력=, 크기=35)] [[바레인]] ==== * [[바레인군|바레인 왕립 공군]] - 현역, 21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예멘, 출력=, 크기=35)] [[예멘]] ==== * [[예멘군|예멘 공군]] - 기존 4대 보유, 운용 여부 불분명 === 중남미 ===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출력=, 크기=35)] [[아르헨티나]] ==== * [[아르헨티나 공군]] - 현역, 5대 운용[br]제7항공여단 예하 제6탐색구조비행대대에서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우루과이, 출력=, 크기=35)] [[우루과이]] ==== * [[우루과이군|우루과이 공군]] - 현역, 4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출력=, 크기=35)] [[페루]] ==== * [[페루 공군]] - 현역, 벨 212 2대 운용중 * [[페루 해군|페루 해군항공대]] - 현역, AB 212ASW 2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 출력=, 크기=35)] [[콜롬비아]] ==== * [[콜롬비아 육군|콜롬비아 육군 항공대]] - 현역, UH-1N 41대 운용중 * [[콜롬비아 해군]] - 현역, UH-1N 5대 운용중 * [[콜롬비아 공군|콜롬비아 항공우주군]] - 현역, 벨 212 11대 운용중 * 콜롬비아 국가경찰 - 현역 콜롬비아는 미국이 인수한 캐나다군에서 퇴역분 CH-135를 공여받아 사용중이다. 이외에도 미국 직도입분 벨 212도 도입하였는데, [[콜롬비아군]]에서는 벨 212를 라파즈(Rapaz)라는 애칭을 붙여 부른다 [[https://es.m.wikipedia.org/wiki/Anexo:Aeronaves_y_armamento_de_la_Fuerza_A%C3%A9rea_Colombiana|#]] ====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출력=, 크기=35)] [[베네수엘라]] ==== * [[베네수엘라 해군]] - 현역, AB 212ASW 5대 운용중[br]대잠형 총 8대를 도입했으나 사고로 3대를 잃었다. ==== [include(틀:국기, 국명=가이아나, 출력=, 크기=35)] [[가이아나]] ==== * [[가이아나군|가이아나군 항공대]] - 퇴역 ==== [include(틀:국기, 국명=과테말라, 출력=, 크기=35)] [[과테말라]] ==== * [[과테말라군|과테말라 공군]] - 현역, 2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파나마, 출력=, 크기=35)] [[파나마]] ==== * [[파나마군|파나마 해상항공경비대]] - 현역 ==== [include(틀:국기, 국명=자메이카, 출력=, 크기=35)] [[자메이카]] ==== * [[자메이카군|자메이카군 항공단]] - 퇴역 === 아프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모로코, 출력=, 크기=35)] [[모로코]] ==== * [[모로코 공군]] - 현역, 3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튀니지, 출력=, 크기=35)] [[튀니지]] ==== * [[튀니지군|튀니지 공군]] - 현역, 수량 미상의 UH-1N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수단 공화국, 출력=, 크기=35)] [[수단]] ==== * [[수단군|수단 공군]] - 현역, 3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앙골라, 출력=, 크기=35)] [[앙골라]] ==== * [[앙골라 공군]] - 현역, 9대 운용중 ==== [include(틀:국기, 국명=잠비아, 출력=, 크기=35)] [[잠비아]] ==== * [[잠비아군|잠비아 공군]] - 현역, 1대 운용중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include(틀:냉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캐나다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우루과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페루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콜롬비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베네수엘라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영국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스페인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한국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싱가포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태국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필리핀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브루나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스리랑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이란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레바논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바레인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예멘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모로코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튀니지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수단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앙골라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UH-1, version=491, paragraph=6.8)] [[분류:벨 헬리콥터]][[분류:헬리콥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미군/항공기]][[분류:영국군/항공기]][[분류:필리핀군/항공기]][[분류:오스트리아군/항공기]][[분류:그리스군/항공기]][[분류:튀르키예군/항공기]][[분류:아르헨티나군/항공기]][[분류:콜롬비아군/항공기]][[분류:방글라데시군/항공기]][[분류:1969년 공개]][[분류:197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