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Urban Hymns 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1977년~1999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275)]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27)] ---- [include(틀: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순위=97)]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58)]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45, 연도=1998, 순위2=213,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248)] ---- [include(틀: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대 음반)]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21)] ---- }}} || ||<-2><#f1f0ed> '''{{{#000 {{{+1 Urban Hymn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urban hymns-1997.jpg|width=100%]]}}} || || '''발매일''' ||[[1997년]] 9월 29일 || || '''녹음일''' ||[[1996년]] 10월 - [[1997년]] 5월 || || '''장르''' ||[[브릿팝]], [[네오 사이키델리아]]|| || '''재생 시간''' ||75:57 || || '''곡 수''' ||13곡 || || '''프로듀서''' ||더 버브, 크리스 포터, 유스 || || '''스튜디오''' ||올림픽 스튜디오 || || '''레이블''' ||헛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버브]]의 3집 앨범. 전반적으로 버브 특유의 몽환적인 기타 사운드가 인상적이며, 분위기도 [[오아시스]]처럼 활발하고 밝기 보다는 우울함에 가까운 편. 2집 [[A Northern Soul]]은 평론가들에게 음악성은 인정받았지만 상업적으로는 크게 성공하지 못했고 자존심과 경제적으로 모두 상처를 입은 버브는 첫 해체를 맞고 만다. 이 과정에서 닉 멕케이브가 밴드를 떠났다. 1996년 밴드는 재결합을 하기로 결정하고 닉의 대체할 새로운 기타리스트 사이먼 통[* 버브 해체 후 그레이엄 콕슨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블러]]에 영입되어 2003년 앨범 "Think Tank" 활동을 같이 했다. 블러 해체 후에 [[데이먼 알반]]과 [[고릴라즈]]까지 함께하고 있다. 2008년 버브 재결합 때는 제외되었다.]을 영입하여 밴드의 3집 작업을 시작한다. 약 1년 후, 보컬인 [[리차드 애쉬크로프트]]와 크게 싸운 후 떠났던 닉 멕케이브가 밴드에 돌아왔고[* 이 때 '버브 말고는 제대로된 안식처를 찾을 수 없다'는 감동적인 내용의 인터뷰를 한다.] 사이먼 통도 그대로 밴드에 남아 밴드는 5인조가 된다. 그들의 3집 앨범은 1997년 초여름까지 레코닝이 이어졌다. 이것이 역대 브릿팝 최고의 앨범 중 하나인 Urban Hymns의 탄생이었다. 2016년 리마스터되었다. == 트랙 리스트 == 싱글 발매한 곡은 ☆ *1.[[Bitter Sweet Symphony]] ☆ * 버브의 가장 유명한 명곡으로 뽑히는 곡.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392위로 선정되었으며 2014년 BBC 선정 역대 최고의 브릿팝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펄프(밴드)|펄프]]의 [[Common People]].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59)] *2.Sonnet ☆ *3.The Rolling People *4.The Drugs Don't Work ☆ * 1995년에 작곡된 곡으로 보컬 리차드 애쉬크로프트가 자신이 11살때 사망한 부친을 추모하면서 [[불효자는 웁니다|자신의 헤로인 남용 습관을 반성하는 곡]]으로 알려져 있다. [[https://faroutmagazine.co.uk/how-the-verve-created-their-song-drugs-dont-work/|링크]]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655)] *5.Catching The Butterfly *6.Neon Wilderness *7.Space And Time *8.Weeping Willow *9.Lucky Man ☆ *10.One Day *11.This Time *12.Velvet Morning *13.Come on * 이 곡 뒤에 Deep Freeze라는 [[히든 트랙]]이 흘러나온다. [[분류:1997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브릿팝]][[분류:네오 사이키델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