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urchill_V_sign_HU_55521.jpg|width=100%]]}}}|| || '''[[윈스턴 처칠]]의 V 사인(1943)''' || [[분류:손가락]] [목차] [clearfix] == 개요 == V 사인은 손 검지와 중지를 펼쳐 로마자 [[V]] 모양을 만드는 손 동작이다. [[영국]] [[윈스턴 처칠]]이 보여준 승리의 V 사인이 많이 알려져 있다. == 의미 == V 사인은 문화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V사인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빅토리|victory]]([[승리]])'를 많이 의미했다. 처칠의 유명한 V 사인 역시 2차 세계대전의 승리를 바라는 마음에서 쓴 것이다. 지금도 스포츠에서는 우승의 의미로 사용된다. 1960년대 이후 영국과 미국에서 핵무장 반대 캠페인 등의 반문화운동에서 처음으로 V 사인이 '[[피스|peace(평화)]]'도 의미하게 되었다. 이후 이 평화의 상징인 V 사인은 사진에서의 제스처로 특히 일본에 많이 퍼졌다.[* 출처 영문 위키백과 'V sign' 항목, 'Counterculture of the 1960s'] [[스트로마에]]의 [[https://www.youtube.com/watch?v=KzMWZXPCGUo|Peace Or Violence]]의 영상을 보면 대충 이해가 갈 것이다. 한국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진]], 특히 셀카를 찍을 때 남녀를 안가리고 손바닥이 보이게 V를 그리는 경우가 많다. 본래 서구에서 자주 쓰던 손 동작이었으나 이렇게 사진 찍는 데 필수요소처럼 된 것은 비교적 최근 일이라고 한다. [[http://newspeppermint.com/2014/08/06/sign/|이 기사]]에 따르면, 위의 'peace'의 의미로 1970년대 일본 젊은 여성층에서 사용하던 것이 1980년대 [[일본/문화|일본 대중문화]]의 확산에 따라 동아시아 각국에 퍼지게 되었다고 한다. 요즈음에는 그런 의미를 알고 있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고 단지 신나는 사진을 찍을 때 짓는 포즈로 굳어진 편이다. == 손등으로 하면 욕설 == [[파일:external/www.iconicphotogalleries.co.uk/06188-mainmedimage.jpg]] ~~[[윈스턴 처칠|총리 각하]]께서 영국 국민들에게 [[손가락 욕#s-2.2.2|욕을 했다]]~~ 영국과 [[호주]]에서는 손을 뒤집으면(손등이 상대에게 보이도록 하면) [[욕설]]이라고 한다. 비단 영국 및 호주 뿐만이 아닌 [[뉴질랜드]] 등의 [[영연방]]에서 통용된다고 보면 된다. 또한 V 사인을 손등이 보이게 해서 입 양쪽 가에 갖다대면 "너는 흡혈귀([[뱀파이어]])"라고 조롱하는 뜻이 된다고 한다.[* [[수전노]]마냥 [[돈]]만 밝힌다는 의미라고 한다.] 반면 한국에서는 손등으로 V 사인을 하는 경우도 아주 많다. 한국에서는 손등 V 사인이 욕으로 쓰이지 않고, 영국이나 호주에서 욕이 된다는 사실도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영국인이 한국인과 사진을 찍을 때나 한국 사진을 볼 때 흠칫 놀라곤 한다. 영국에 가서 사진을 찍을 일이 있다면, 손등 방향으로 V 사인을 내미는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레프트 4 데드 2]]의 경우 바로 이런 이유로 영국에서는 손의 방향을 바꾸었다. 한편 [[그리스]]에서는 정반대로 손바닥을 내보이면 욕이 된다. === [[백년전쟁]] 유래 설 === 현대에는 [[백년전쟁]] 때 [[장궁]]을 든 [[영국]]의 [[궁병]]들을 포로로 잡은 [[프랑스군]]이 검지와 중지를 잘랐기 때문에 영국군들이 아직 자신들의 손가락이 멀쩡하다고 프랑스군을 조롱하는 의미로 쓴 것이 유래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현대에 만들어지진 속설, 도시 전설로 추정된다.''' 우선 [[https://youtu.be/o4Vd3KP-LnQ?t=20|전쟁용 장궁을 당길 때는 손가락 2개가 아닌 3개를 사용하고]], 백년전쟁 시기의 기록에도 손가락을 자르겠다고 위협한 사례는 단 한 번 등장하며 그마저도 검지와 중지가 아닌 세개를 자르겠다고 한 것이다. 물론 외에는 기록을 찾아볼 수 없고 영국군이 프랑스군을 모욕하기 위해 손가락을 펴 보였다는 기록 또한 찾아볼 수 없다. 또 전쟁에서 궁수의 손가락을 자르거나 자르겠다고 위협하는 것은 원래 어느 시대에나 가끔씩 있는 일이었다. 투르크 군벌인 이마드 앗딘 장기도 항복을 거부한 요새 하나를 점령한 뒤 수비군 궁수들의 엄지를 잘랐다. == 여담 == * 유아들은 소근육이 발달하지 않아 V 사인을 하지 못한다고 한다. * [[천안문 6.4 항쟁]] 당시 베이징 시민들이 민주주의의 승리를 예감하며 언론 카메라를 향해 V사인을 그렸다. * [[러시아 월드컵]]에서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한국]]이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을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2:0으로 이겨]] V 사인으로 독일을 놀리곤 했다. * [[가위바위보]]의 가위 동작도 대체로 V 사인과 동일하다. 단, 가위 동작은 사람에 따라 엄지-검지를 내밀 때도 있다. * 해당 포즈를 방향으로 뒤집어서 하면 [[갸루피스]]라고 불리는 사인이 된다. [[IVE]]의 [[레이(IVE)|레이]]가 SNS에 해당 포즈를 한 이미지를 올린 2022년 대한민국에서 유행했다. [youtube(tv5jjNxwZgY?t=2160)] * [[1995년]]에 방송된 [[KBS 드라마 스페셜#s-2|KBS 드라마 게임]]의 한 에피소드에서 [[전도연]]이 [[손가락 하트]]를 '겸손한 V'라 칭하기도 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V, version=342, paragraph=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