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브이리그(동음이의어))] ||<-3> '''{{{+1 {{{#ffffff V.리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League.png|width=100%&align=center]]}}} || || '''정식 명칭''' ||<-2>V리그 (1994~2006)[br]V.프리미어리그 (2006~2018)[br]'''V.리그''' (2018~2024)[br]S-V리그 (2024~ )[* 2024년 10월부터는 S-V리그로 명칭 변경 예정] || || '''원문 명칭''' ||<-2>ブイリーグ || || '''영문 명칭''' ||<-2>V.LEAGUE || || '''창설''' ||<-2>[[1994년]] || || '''소속 연맹''' ||<-2>[[아시아 배구 연맹]] || || '''운영 법인''' ||<-2>재팬 발리볼 리그[* 2023년 9월 25일 일본 발리볼 리그 기구(日本バレーボールリーグ機構)에서 명칭을 변경하였다.] {{{-2 (약칭: JVL)}}} || || '''최근 우승 구단''' || [[파일:V.League Men.png|width=50]][br]{{{-2 [[울프독스 나고야|{{{#0082e6 '''울프독스 나고야'''}}}]]}}} || [[파일:V.League Women.png|width=50]][br]{{{-2 [[NEC 레드 로켓츠|{{{#ea0029 '''NEC 레드 로켓츠'''}}}]]}}} || || '''마케팅 파트너''' ||<-2>[[미카사(브랜드)|미카사]], [[닛신#s-4]] || || '''서포팅 파트너''' ||<-2>[[도레이]], [[NEC]], [[덴소]], 히사미츠, [[히타치 제작소|히타치]], ZAMST, [[미즈노(브랜드)|미즈노]], [[아식스]], [[데상트]], [[라인 페이]], 세노 || || '''심판복 스폰서''' ||<-2>[[전일본공수|ANA]], 도큐 부동산 홀딩스 || || '''운영 파트너''' ||<-2>CERESPO || || '''중계''' ||<-2>[[https://vtv.easysports.jp/|easy sports]] || ||<|2> '''마스코트''' ||<-2>[[파일:브이리와 브이키치.jpg |width=150]] || ||<-2>브이리, 브이키치 || ||<-3> '''[[https://www.vleague.jp/|{{{#ffffff 공식 웹 사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배구]] 리그. 일본배구협회(日本バレーボール協会, Japan volleyball Association, JVA)에서 주관한다. == 구성 및 참가 조건 == 현재 남녀 모두 1, 2, 3부 체계로 운영하고 있으며 상하부 리그 간 [[승강제]]가 있다. 2023-24 시즌 기준으로 리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디비전''' || '''남자''' || '''여자''' || || 디비전1 (V1) || 10개 구단 || 12개 구단 || || 디비전1 (V2) || 10개 구단 || 10개 구단 || || 디비전1 (V3) || 11개 구단 || 4개 구단 || V.리그의 각 디비전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재팬 발리볼 리그(ジャパンバレーボールリーグ)를 통한 [[라이선스]][* 201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V.리그 참가 자격 제도. V1, V2, V3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각각 S1, S2, S3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취득이 필요하다. == 역사 == ||[[파일:V_League_logo.svg.png|height=50]]||[[파일:V.League.png|height=50]]|| || '''V.프리미어리그''' || '''V.리그''' || 1967년에 시작한 일본 리그(日本リーグ)를 1994년 V리그(Vリーグ)라는 이름으로 개편했다. 이후 2006년 V.프리미어 리그(V.プレミアリーグ)로 변경했으며 2018-19 시즌에 현재의 명칭 V.리그(V.LEAGUE)로 재차 변경했다. [[프로리그]]가 아닌 [[배구/한국 세미프로|실업 리그]]라고는 하나 일본 내에서 큰 인기를 가진 스포츠이며 특유의 마케팅과 리그 운영은 한국의 [[V-리그]]가 프로 출범 당시 많이 벤치마킹했을 정도로 역사가 깊고 권위가 높다. 90년대에는 재정이 강하여 세계적인 선수들이 많이 뛰기도 했으며 현재도 이름값이 높은 외국인 선수들이 주로 전성기가 지나거나 잠시 커리어를 쌓을 때 들리는 리그로 꼽힌다.[* 요즘은 V.리그를 대신하여 막강한 '''차이나 머니'''를 자랑하는 [[중국 여자 배구 리그|중국 슈퍼 리그]]가 뜨는 추세다.] 외국인 감독 또한 적극적으로 채용 중인 리그로서 남자부는 대다수 구단이 외국인 감독을 쓰고 있을 정도. 그 감독들의 인맥과 명성을 통해서 유명한 외국인 선수들이 리그로 오는 등의 효과도 보고 있다고 한다.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프로화를 다시 한번 추진했으나 많은 구단이 반대하면서 결국 좌절됐다. 특히 여자 구단들의 반대가 심했다는 후문. 실업 리그이기 때문에 재정이 불충분한 구단도 많아서이기 때문일 듯하다.[* 이러한 실업 리그적 성격 때문에 내국인 선수의 경우에는 직장 근무와 운동을 병행하며 일부 [[시민 구단]]의 경우에는 몇몇 주요 스폰서 기업에 소속 선수를 직원으로 파견하는 형식으로 운영한다고 한다.] 일본 V.리그에는 외국인 선수 슬롯뿐만 아니라 [[아시아 쿼터]]도 있기 때문에 가까이에 있고 문화도 비슷한 한국 선수들이 진출하기 용이하고 실제로 관심을 가진 구단도 여럿 있으나 한국 배구계가 워낙 폐쇄적이고 이적이 쉽지 않은 터라 여자부는 [[김연경]]([[JT 마블러스]] 2009~2011), 남자부는 [[윤봉우]]([[울프독스 나고야]], 2020~2021), [[정태현(배구)|정태현]](나라 드리머스, 2022~)[* 3부 리그] 이렇게 3명 만이 진출했다. V.리그 창설 전까지 포함하면 [[강만수(배구)|강만수]]가 도레이에서 활약한 적이 있으므로 4명으로 볼 수 있다. 2023년 6월 30일~7월 2일 및 7월 7~9일에 개최한 '''2023 서머 리그'''를 신설했다. 동부, 서부로 나눴는데 무려 28개 구단이 참가했다. 2022년 10월 일본 배구 리그 기구(Japan Volleyball League Organization)는 2024-25 시즌부터 지역 밀착도 강화 및 전면 프로화를 염두에 둔 신 리그를 설립할 것을 발표했으며 현재 프로화에 대한 움직임이 구체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배구 리그 기구(V리그 기구)는 2023년 4월 26일, 2024년 가을에 출범하는 새 리그의 명칭을 'S-V리그'로 발표하며 그 개요를 밝혔다.[[https://news.yahoo.co.jp/articles/e08ba73ecb700353ebd47941a7f4ae90ad5ad136|#]] 기존 리그 위에 세계 최고 수준의 리그를 지향하는 'S-V.LEAGUE'를 신설하고, 중기 계획 'V.LEAGUE REBORN'을 수립했다. 현행 V1, V2, V3(여자는 V2까지) 체제를 개편해 상위 'S-V리그'와 'V리그'의 2부제 체제로 전환한다. 하지만 새로운 리그의 출범을 발표한 기자 회견장에서 일본배구리그기구의 마사아키 부회장이 '''프로화가 반드시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던 것을 보면 새로운 리그도 역시 실업리그의 성격을 띌 것으로 보인다.[*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의 인기는 높지만 그에 비해 자국 리그의 인기는 높지 않다. 프로화한 농구 리그에 비해 배구 리그의 수익은 턱없이 부족하며, 여전히 프로화를 반대하는 구단이 많고 매년 상위권을 차지하는 구단은 기업 구단이다. 일본의 배구 팬들은 V.리그의 유일한 프로 구단인 [[빅토리나 히메지]]가 2부 리그의 대학 배구부에게 져 강등 당하는 것을 보며 프로화를 포기했을지도 모른다는 말에 공감했다.] 신설하는 'S-V리그'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최대 16개 구단으로 강등 없으며 동서 컨퍼런스제를 도입한다. * 진입 요건은 홈구장 명확화, 구단명에 지명 표기, 재정 안정화 * V2, V3도 참가 가능 * 6월에 클럽 라이선스를 공개. 참가 신청, 심사를 거쳐 내년 4월에 참가 구단 결정, 10월에 개막 *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로 진행. 각 구단 연간 44경기를 치르고 상위 구단이 플레이오프 진출 * 팬들이 쉽게 응원할 수 있도록 코트 교체 없이 경기 진행 2024-25 시즌에 세계 최고급 리그를 표방한 [[http://thespik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68150420541|S-V리그가 출범]]할 예정이지만 완전한 프로 리그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한국 V-리그가 2023-24 시즌부터 [[아시아 쿼터제]]를 시행하면서 예상대로 일본의 선수들이 [[트라이아웃]]에 참가했고 여러 구단의 선택을 받았다. 새로 출범하는 S-V리그에서 연봉 10억을 받는 선수가 나오길 기대한다지만 일본은 배구 인기나 수익성이 생각보다 그리 크지 않아서[* 일본 프로 농구리그의 한 경기 평균 관중 수가 6천 명이 넘는데 반해 배구의 경우 많아도 3천 명 수준이다. 이는 최근 인기가 높아진 한국 V-리그의 평균 관중 수와 비슷한 정도다. 농구 리그와 비교해 관중 수에서 이미 2배 이상의 수익 차이가 난다는 걸 보여준다.] 힘들 것으로 보이며 한국 리그에 진출한 일본 선수들의 활약이 좋고 평가가 좋아진다면 앞으로 국대급의 일본 선수들이 다수 넘어 올 가능성도 있다.[* 아시아 쿼터제로 들어온 선수들의 연봉이 1억 3천만원 수준이라지만 일본 V.리그에서 뛰는 내국인 선수들에게 이는 고액의 연봉이다. 일본 여자배구 선수들의 평균 연봉은 3, 4천만 원 수준이고 스타 플레이어 선수들은 스폰서 금액 등을 합쳐야 1억을 넘는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다.] == 참가 구단[* 2023-24 시즌 기준] == === V1 남자부 === ||<-6>
{{{#white '''V.리그 디비전1 남자부'''}}} || ||[[파일:파나소닉 팬서스.png|width=100%]]|| [[파나소닉 팬서스|{{{#000,#dcdcdc '''파나소닉 팬서스'''}}}]][br]{{{-2 [[오사카부]] [[히라카타시]]}}} ||[[파일:wolfdogs nagoya_logo.png|width=100%]]|| [[울프독스 나고야|{{{#000,#dcdcdc '''울프독스 나고야'''}}}]][* 토요타 합성 트레이페자에서 2020년 구단명을 변경했다. [[윤봉우]]가 진출하면서 최초로 한국의 배구 선수를 받아들인 남자 구단이 됐다.][br]{{{-2 [[아이치현]] [[이나자와시]]}}} ||[[파일:JT 썬더스.png|width=100%]]|| '''[[JT 썬더즈|{{{#000,#dcdcdc JT 썬더즈 히로시마}}}]]'''[br]{{{-2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파일:토레이 애로우즈.png|width=100%]]|| [[도레이 애로우즈(남자부)|{{{#000,#dcdcdc '''도레이 애로우즈'''}}}]][* 실업 리그 시절 강만수가 소속되어 있던 곳. 당시 강만수는 2부 리그에 있던 구단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다.][br]{{{-2 [[시즈오카현]] [[미시마시]]}}} ||[[파일:J텍트 스팅스.png|width=100%]]|| [[제이텍트 스팅스|{{{#000,#dcdcdc '''제이텍트 스팅스'''}}}]][br]{{{-2 [[아이치현]] [[가리야시]]}}} ||[[파일:산토리 선버즈.png|width=100%]]|| [[산토리 선버즈|{{{#000,#dcdcdc '''산토리 선버즈'''}}}]][br]{{{-2 [[오사카부]] [[미노오시]]/[[오사카시]]}}} || ||[[파일:사카이 블레이저스.png|width=100%]]|| [[일본제철 사카이 블레이저스|{{{#000,#dcdcdc '''일본제철 사카이 블레이저스'''}}}]][br]{{{-2 [[오사카부]] [[사카이시(오사카부)|사카이시]]}}} ||[[파일:도쿄 그레이트 베어즈 로고.png|width=100%]]|| [[도쿄 그레이트베어스|{{{#000,#dcdcdc '''도쿄 그레이트베어스'''}}}]][* 전신은 FC 도쿄. 2022년 5월 주식회사 네이쳐 라보로 양도됨에 따라 새로운 명의로 발족하였다.][br]{{{-2 [[도쿄도]] [[스미다구]]/[[시부야구]]}}} ||[[파일:VC나가노 트라이덴츠.png|width=100%]]|| [[VC 나가노 트라이덴츠|{{{#000,#dcdcdc '''VC 나가노 트라이덴츠'''}}}]][br]{{{-2 [[나가노현]] [[이다시]]}}} || ||[[파일:voreas hokkaido_logo.png|width=100%]]|| [[보레아스 홋카이도|{{{#000,#dcdcdc '''보레아스 홋카이도'''}}}]][* 2022-23 시즌 V2 우승 구단으로 V1 최하위를 기록한 오이타 미요시(大分三好)와의 챌린지 매치에서 승리하며 V1으로 승격했다.][br]{{{-2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 || || || || === V1 여자부 === ||<-6>
{{{#white '''V.리그 디비전1 여자부'''}}} || ||[[파일:덴소 에어리비즈.png|width=100%]]|| [[덴소 에어리비즈|{{{#000,#dcdcdc '''덴소 에어리비즈'''}}}]][br]{{{-2 [[아이치현]] [[니시오시]]}}} ||[[파일:오카야마 씨걸즈.png|width=100%]]|| [[오카야마 씨걸즈|{{{#000,#dcdcdc '''오카야마 씨걸즈'''}}}]]{{{-2 [br][[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파일:레드 로켓츠 로고.png|width=100%]]|| [[NEC 레드 로켓츠|{{{#000,#dcdcdc '''NEC 레드 로켓츠'''}}}]][br]{{{-2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 ||[[파일:히사미츠 스프링스 로고.png|width=100%]]|| [[히사미츠 스프링스|{{{#000,#dcdcdc '''히사미츠 스프링스'''}}}]][br]{{{-2 [[효고현]] [[고베시]]}}} ||[[파일:히타치 Astemo 리바레.png|width=100%]]|| [[히타치 리바레|{{{#000,#dcdcdc '''히타치 Astemo 리바레'''}}}]][br]{{{-2 [[이바라키현]] [[히타치나카시]]}}} ||[[파일:사이타마 아게오 메딕스.png|width=100%]]|| [[사이타마 아게오 메딕스|{{{#000,#dcdcdc '''사이타마 아게오 메딕스'''}}}]][br]{{{-2 [[사이타마현]] [[아게오시]]}}} || ||[[파일:도요타 샤다이 퀸시즈.png|width=100%]]|| [[도요타 오토바디 퀸시즈|{{{#000,#dcdcdc '''토요타 오토바디 퀸시즈'''}}}]][br]{{{-2 [[아이치현]] [[가리야시]]}}} ||[[JT 마블러스|[[파일:JT 마블러스.png|width=100%]]]]|| '''[[JT 마블러스|{{{#000,#dcdcdc JT 마블러스}}}]]'''[br]{{{-2 [[오사카부]] [[오사카시]]}}} ||[[파일:프레스티지 인터네셔널 아란마레.png|width=100%]]|| [[프레스티지 인터네셔널 아란마레|{{{#000,#dcdcdc '''프레스티지 인터네셔널 아란마레'''}}}]][br]{{{-2 [[야마가타현]] [[사카타시|]]}}} || ||[[파일:토레이 애로우즈.png|width=100%]]|| [[도레이 애로우즈|{{{#000,#dcdcdc '''도레이 애로우즈'''}}}]][br]{{{-2 [[시가현]] [[오쓰시]]}}} ||[[파일:PFU 블루캣츠.png|width=100%]]|| [[PFU 블루캣츠|{{{#000,#dcdcdc '''PFU 블루캣츠'''}}}]][br]{{{-2 [[이시카와현]] [[카호쿠|카호쿠시]]}}} ||[[파일:아쿠아 페어리즈 로고.png|width=100%]]|| [[KUROBE 아쿠아 페어리즈|{{{#000,#dcdcdc '''KUROBE 아쿠아 페어리즈'''}}}]][br]{{{-2 [[도야마현]] [[쿠로베시]]}}} || === V2/V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margin-top: -7px; margin-bottom: -7px" || [[V.리그|[[파일:V.League.png|height=70]]]]||'''[[CEV 챔피언스 리그#s-2.2|{{{#000 {{{+1 V.리그}}}}}}]]'''[br]V2/V3 || }}} || || {{{#!wiki style="color: #0082E6" {{{#!folding V.리그 디비전2 남자부 {{{#!wiki style="margin: -5px -6px; color:#180604" ||
[[파일:버라이어틴 미에.png|width=100%]]|| {{{#000,#dcdcdc '''[[뷔어틴 미에]]'''}}}[br]{{{-2 [[미에현]] [[쿠와나시]]}}} ||[[파일:아이신 틸마레.png|width=100%]]|| {{{#000,#dcdcdc '''[[아이신 틸마레]]'''}}}[br]{{{-2 [[아이치현]] [[헤키난시]]}}} ||[[파일:후지츠 카와사키 레드 스피리츠.png|width=100%]]|| {{{#000,#dcdcdc '''[[후지츠 카와사키 레드 스피리츠|후지츠 카와사키[br]레드 스피리츠]]'''}}}[br]{{{-2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 ||[[파일:도요타자동차 선호크스.png|width=100%]]|| {{{#000,#dcdcdc '''[[토요타 자동차 선호크스]]'''}}}[br]{{{-2 [[아이치현]] [[토요타시]]}}} ||[[파일:츠쿠바 유나이티드 SunGAIA.png|width=100%]]|| {{{#000,#dcdcdc '''[[츠쿠바 유나이티드 SunGAIA|츠쿠바 유나이티드[br]SunGAIA]]'''}}}[br]{{{-2 [[이바라키현]] [[츠쿠바시]]}}} ||[[파일:사이타마 아자레아.png|width=100%]]|| {{{#000,#dcdcdc '''[[사이타마 아자레아]]'''}}}[br]{{{-2 [[사이타마현]] [[카와고에시]]}}} || ||[[파일:킨덴 트리니티 블리츠.png|width=100%]]|| {{{#000,#dcdcdc '''[[킨덴 트리니티 블리츠]]'''}}}[br]{{{-2 [[오사카부]] [[오사카시]]}}}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logo.png|width=100%]]|| {{{#000,#dcdcdc '''[[쿠보타 스피어스]]'''}}}[br]{{{-2 [[오사카부]] [[오사카시]]}}} ||[[파일:홋카이도 옐로우 스타즈.png|width=100%]]|| {{{#000,#dcdcdc '''[[홋카이도 옐로우 스타즈]]'''}}}[br]{{{-2 [[홋카이도]] [[삿포로시]]}}} || ||[[파일:오이타 미요시 로고.png|width=100%]]|| {{{#000,#dcdcdc '''[[오이타 미요시 바이세 아들러|오이타 미요시[br]바이세 아들러]]'''}}}[br]{{{-2 [[오이타현]] [[오이타시]]}}} || || || || || }}}}}}}}} || || {{{#!wiki style="color: #0082E6" {{{#!folding V.리그 디비전3 남자부 {{{#!wiki style="margin: -5px -6px; color:#180604" ||
[[파일:경시청 포토 파이터즈.png|width=100%]]|| {{{#000,#dcdcdc '''[[경시청 포토 파이터즈]]'''}}}[br]{{{-2 [[도쿄도]] [[무사시노시]]}}} ||[[파일:킨키 클럽 스피다.png|width=100%]]|| {{{#000,#dcdcdc '''[[킨키 클럽 스피다]]'''}}}[br]{{{-2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 ||[[파일:다이도 특무강 레드스타.png|width=100%]]|| {{{#000,#dcdcdc '''[[다이도 특무강 레드 스타]]'''}}}[br]{{{-2 [[아이치현]] [[나고야시]]}}} || ||[[파일:나라 드리머즈.png|width=100%]]|| {{{#000,#dcdcdc '''[[나라 드리머즈]]'''}}}[br]{{{-2 [[나라현]] [[나라시]]}}} ||[[파일:효고 델피노.png|width=100%]]|| {{{#000,#dcdcdc '''[[효고 델피노]]'''}}}[br]{{{-2 [[효고현]] [[아마가사키시]]}}} ||[[파일:도요타 모빌리티 도쿄.png|width=100%]]|| {{{#000,#dcdcdc '''[[토요타 모빌리티 도쿄 스파클|토요타 모빌리티[br]도쿄 스파클]]'''}}}[br]{{{-2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 || ||[[파일:치바 ZELBA.png|width=100%]]|| {{{#000,#dcdcdc '''[[치바 ZELVA]]'''}}}[br]{{{-2 [[치바현]] [[치바시]]}}} ||[[파일:나가노 GaRons.png|width=100%]]|| {{{#000,#dcdcdc '''[[나가노 GaRons]]'''}}}[br]{{{-2 [[나가노현]] [[나가노시]]}}} ||[[파일:프라골라드 카고시마.png|width=100%]]|| {{{#000,#dcdcdc '''[[프라골라드 가고시마]]'''}}}[br]{{{-2 [[가고시마현|카고시마현]] [[히오키시]]}}} || ||[[파일:후쿠오카 위닝 스피릿.png|width=100%]]|| {{{#000,#dcdcdc '''[[후쿠오카 위닝 스피릿츠]]'''}}}[br]{{{-2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파일:도쿄 베르디.png|width=100%]]|| {{{#000,#dcdcdc '''[[도쿄 베르디]]'''}}}[br]{{{-2 [[도쿄도]] [[이나기시]]}}} || || || }}}}}}}}} || || {{{#!wiki style="color: #E8180C" {{{#!folding V.리그 디비전2 여자부 {{{#!wiki style="margin: -5px -6px; color:#180604" ||
[[파일:JA기후 리오레나.png|width=100%]]|| {{{#000,#dcdcdc '''[[JA기후 리오레나]]'''}}}[br]{{{-2 [[기후현]] [[기후시]]}}} ||[[파일:루트인호텔 브릴리언트 아리즈.png|width=100%]]|| {{{#000,#dcdcdc '''[[루트인호텔 브릴리언트 아리즈]]'''}}}[br]{{{-2 [[나가노현]] [[우에다시]]}}} ||[[파일:오오노석유 히로시마 오일러즈.png|width=100%]]|| {{{#000,#dcdcdc '''[[오오노석유 히로시마 오일러즈]]'''}}}[br]{{{-2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파일:군마은행 그린윙스.png|width=100%]]|| {{{#000,#dcdcdc '''[[군마은행 그린윙스]]'''}}}[br]{{{-2 [[군마현]] [[마에바시시]]}}} ||[[파일:치바 엔젤 크로스.png|width=100%]]|| {{{#000,#dcdcdc '''[[치바 엔젤 크로스]]'''}}}[br]{{{-2 [[치바현]] [[카시와시]]}}} ||[[파일:GSS 도쿄 선 빔즈.png|width=100%]]|| {{{#000,#dcdcdc '''[[GSS 도쿄 선 빔즈]]'''}}}[br]{{{-2 [[도쿄도]] [[주오구(도쿄도)|주오구]]}}} || ||[[파일:부레스하마마츠로고.png|width=100%]]|| {{{#000,#dcdcdc '''[[브레스 하마마츠]]'''}}}[br]{{{-2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 ||[[파일:ligare_sendai_logo_red_2_20221028103747265.png|width=100%]]|| {{{#000,#dcdcdc '''[[리갈레 센다이]]'''}}}[br]{{{-2 [[미야기현]] [[센다이시]]}}} ||[[파일:포레스트리브즈 쿠마모토로고.png|width=100%]]|| {{{#000,#dcdcdc '''[[포레스트리브즈 구마모토]]'''}}}[br]{{{-2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파일:빅토리나 히메지.png|width=100%]]|| {{{#000,#dcdcdc '''[[빅토리나 히메지]]'''}}}[br]{{{-2 [[효고현]] [[히메지시]]}}} || || || || || }}}}}}}}} || || {{{#!wiki style="color: #E8180C" {{{#!folding V.리그 디비전3 여자부 {{{#!wiki style="margin: -5px -6px; color:#180604" ||
[[파일:비어틴 미에 로고.png|width=100%]]|| {{{#000,#dcdcdc '''[[비어틴 미에]]'''}}}[br]{{{-2 [[미에현]] [[쿠와나시]]}}} ||[[파일:아르테미스 홋카이도.png|width=100%]]|| {{{#000,#dcdcdc '''[[아르테미스 홋카이도]]'''}}}[br]{{{-2 [[홋카이도]] [[삿포로시]]}}} ||[[파일:쿠라시키 어블레이즈.png|width=100%]]|| {{{#000,#dcdcdc '''[[쿠라시키 어블레이즈]]'''}}}[br]{{{-2 [[오카야마현]] [[쿠라시키시]]}}} || ||[[파일:카노아 라우레아즈 후쿠오카.png|width=100%]]|| {{{#000,#dcdcdc '''[[카노아 라우레아즈 후쿠오카|카노아 라우레아즈[br] 후쿠오카]]'''}}}[br]{{{-2 [[후쿠오카현]] [[후쿠치마치]]}}} || || || || || }}}}}}}}} || == 역대 시즌 결과 == === V1 남자부 === ==== 정규 리그 ==== ||
{{{#fff '''시즌'''}}} || {{{#fff '''우승 구단'''}}} || {{{#fff '''경기 수'''}}} || {{{#fff '''승률'''}}} || {{{#fff '''승'''}}} || {{{#fff '''패'''}}} || || 2006-07 || [[산토리 선버즈]] || 28 || 0.82 || 23 || 5 || || 2007-08 || [[산토리 선버즈]] || 28 || 0.86 || 24 || 4 || || 2008-09 || [[산토리 선버즈]] || 28 || 0.79 || 22 || 6 || || 2009-10 || [[파나소닉 팬서스]] || 28 || 0.79 || 22 || 6 || || 2010-11 || [[도레이 애로우즈(남자부)|도레이 애로우즈]] || 24 || 0.79 || 19 || 5 || || 2011-12 || [[도레이 애로우즈(남자부)|도레이 애로우즈]] || 21 || 0.90 || 19 || 2 || || 2012-13 || [[산토리 선버즈]] || 28 || 0.86 || 24 || 4 || || 2013-14 || [[파나소닉 팬서스]] || 28 || 0.75 || 21 || 7 || || 2014-15 || [[JT 썬더즈]] || 21 || 0.71 || 15 || 6 || || 2015-16 || [[울프독스 나고야|토요타 합성 트라이페자]] || 21 || 0.71 || 15 || 6 || || 2016-17 || [[울프독스 나고야|토요타 합성 트라이페자]] || 21 || 0.71 || 15 || 6 || || 2017-18 || [[파나소닉 팬서스]] || 21 || 0.86 || 18 || 3 || || 2018-19 || [[파나소닉 팬서스]] || 27 || 0.85 || 23 || 4 || || 2019-20 || [[파나소닉 팬서스]] || 27 || 0.89 || 23 || 4 || || 2020-21 || [[산토리 선버즈]] || 34 || 0.91 || 31 || 3 || || 2021-22 || [[울프독스 나고야]] || 36 || 0.75 || 27 || 9 || || 2022-23 || [[울프독스 나고야]] || 36 || 0.72 || 26 || 10 || ==== 파이널 ==== ||
{{{#fff '''시즌'''}}}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MVP'''}}} || || 2006-07 || '''[[산토리 선버즈]]''' || [[파나소닉 팬서스]] || 코시카와 유 || || 2007-08 || '''[[파나소닉 팬서스]]''' || [[도레이 애로우즈(남자부)|도레이 애로우즈]] || 야마모토 타카히로 || || 2008-09 || '''[[도레이 애로우즈(남자부)|도레이 애로우즈]]''' || [[일본제철 사카이 블레이저스|사카이 블레이저스]] || 데얀 보예빅 || || 2009-10 || '''[[파나소닉 팬서스]]''' || [[일본제철 사카이 블레이저스|사카이 블레이저스]] || 시미즈 쿠니히로 || || 2010-11 || '''[[일본제철 사카이 블레이저스|사카이 블레이저스]]''' || [[산토리 선버즈]] || 이시지마 유스케 || || 2011-12 || '''[[파나소닉 팬서스]]''' || [[도레이 애로우즈(남자부)|도레이 애로우즈]] || 후쿠자와 타츠야 || || 2012-13 || '''[[일본제철 사카이 블레이저스|사카이 블레이저스]]''' || [[파나소닉 팬서스]] || 밀란 페피치 || || 2013-14 || '''[[파나소닉 팬서스]]''' || [[JT 썬더즈]] || 시미즈 쿠니히로 || || 2014-15 || '''[[JT 썬더즈]]''' || [[산토리 선버즈]] || 코시카와 유 || || 2015-16 || '''[[울프독스 나고야|토요타 합성 트라이페자]]''' || [[파나소닉 팬서스]] || 이고르 옴르센 || || 2016-17 || '''[[도레이 애로우즈(남자부)|도레이 애로우즈]]''' || [[울프독스 나고야|도요타 합성 트라이페자]] || 니콜라 기요르기예프 || || 2017-18 || '''[[파나소닉 팬서스]]''' || [[울프독스 나고야|토요타 합성 트라이페자]] || 미하우 쿠비악 || || 2018-19 || '''[[파나소닉 팬서스]]''' || [[JT 썬더즈]] || 미하우 쿠비악 || || 2019-20 || '''[[제이텍트 스팅스]]''' || [[파나소닉 팬서스]] || [[니시다 유지]] || || 2020-21 || '''[[산토리 선버즈]]''' || [[파나소닉 팬서스]] || 드미트리 무세르스키 || || 2021-22 || '''[[산토리 선버즈]]''' || [[울프독스 나고야]] || [[오오야 마사키]] || || 2022-23 || '''[[울프독스 나고야]]''' || [[산토리 선버즈]] || 바르토스 쿠렉 || ==== 수상 ==== || 정규 리그 성적으로 결정 ||공격상, 블로킹상, 서브상, 서브리시브상, 득점상 || || 우승/준우승으로 결정 ||우승 감독상, MVP, 감투상, 신인상, 베스트 6, 리베로상, 리시브상 || || 기타 ||우수GM상, 특별상 || || 폐지한 상 ||맹타상(猛打賞), 수훈상(殊勲賞), 우수응원단상 || ===== 신인상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남자부 신인상)] ===== 기록상 ===== ===== 베스트6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남자부 베스트6)] === V1 여자부 === ==== 정규 리그 ==== ||
{{{#fff '''시즌'''}}} || {{{#fff '''우승 구단'''}}} || {{{#fff '''경기 수'''}}} || {{{#fff '''승률'''}}} || {{{#fff '''승'''}}} || {{{#fff '''패'''}}} || || 2005-06 || [[파이오니아 레드윙스]] || 27 ||0.778|| 21 || 6 || || 2006-07 || [[히사미츠 스프링스]] || 27 || 0.741 || 20 || 7 || || 2007-08 || [[도레이 애로우즈]] || 27 || 0.852 || 23 || 4 || || 2008-09 || [[도레이 애로우즈]] || 27 || 0.741 || 20 || 7 || || 2009-10 || [[JT 마블러스]] || 28 || 0.929 || 26 || 2 || || 2010-11 || [[JT 마블러스]] || 26 || 0.769 || 20 || 6 || || 2011-12 || [[도레이 애로우즈]] || 21 || 0.857 || 18 || 3 || || 2012-13 || [[NEC 레드 로켓츠]] || 28 || 0.821 || 23 || 5 || || 2013-14 || [[히사미츠 스프링스]] || 28 || 0.821 || 23 || 5 || || 2014-15 || [[히사미츠 스프링스]] || 21 || 0.810 || 17 || 4 || || 2015-16 || [[도레이 애로우즈]] || 21 || 0.810 || 17 || 4 || || 2016-17 || [[NEC 레드 로켓츠]] || 21 || 0.714 || 15 || 6 || || 2017-18 || [[히사미츠 스프링스]] || 21 || 1.000 || 21 || 0 || ||
{{{#fff '''시즌'''}}} || {{{#fff '''우승 구단'''}}} || {{{#fff '''경기 수'''}}} || {{{#fff '''승점'''}}} || {{{#fff '''승'''}}} || {{{#fff '''패'''}}} || ||<|2> 2018-19 || [[히사미츠 스프링스]](서부) ||<|2> 20 || 52 || 18 || 2 || || [[NEC 레드 로켓츠]](동부) || 35 || 11 || 9 || ||<|2> 2019-20 || [[덴소 에어리비즈]](프리미어) ||<|2> 21 || 51 || 18 || 3 || || [[JT 마블러스]](스타) || 49 || 17 || 4 || ==== 파이널 ==== ||
'''시즌''' || '''우승''' || '''준우승''' || '''감독상''' || '''MVP''' || '''감투상''' || || 2005-06 || '''[[파이오니아 레드윙스]]''' || [[히사미츠 스프링스]] || [[아리 셀린저]] || [[구리하라 메구미]] || [[케니아 카르카세스]] || || 2006-07 || '''[[히사미츠 스프링스]]''' || [[JT 마블러스]] || [[마나베 마사요시]] || [[사키노 쿠미코]] || [[케니 모레노]] || || 2007-08 || '''[[도레이 애로우즈]]''' || [[덴소 에어리비즈]] || [[칸노 고이치로]] || [[아라키 에리카]] || [[오카노 토모코]] || || 2008-09 || '''[[도레이 애로우즈]]''' || [[히사미츠 스프링스]] || [[칸노 고이치로]] || [[장웨홍]] || [[사노 유코]] || || 2009-10 || '''[[도레이 애로우즈]]''' || [[JT 마블러스]] || [[칸노 고이치로]] || [[기무라 사오리]] || [[김연경]] || || 2010-11 || '''[[JT 마블러스]]''' || [[도레이 애로우즈]] || [[이시하라 아키히사]] || [[김연경]] || [[기무라 사오리]] || || 2011-12 || '''[[도레이 애로우즈]]''' || [[히사미츠 스프링스]] || [[칸노 고이치로]] || [[아라키 에리카]] || [[미즈호 이시다]] || || 2012-13 || '''[[히사미츠 스프링스]]''' || [[도레이 애로우즈]] || [[나카다 구미]] || [[나가오카 미유]] || [[아라키 에리카]] || || 2013-14 || '''[[히사미츠 스프링스]]''' || [[오카야마 씨걸즈]] || [[나카다 구미]] || [[신나베 리사]] || [[미야시타 하루카]] || || 2014-15 || '''[[NEC 레드 로켓츠]]''' || [[히사미츠 스프링스]] || [[야마다 아키노리]] || [[오우미 아카리]] || [[나가오카 미유]] || || 2015-16 || '''[[히사미츠 스프링스]]''' || [[히타치 리바레]] || [[나카다 구미]] || [[나가오카 미유]] || [[사토 미야]] || || 2016-17 || '''[[NEC 레드 로켓츠]]''' || [[히사미츠 스프링스]] || [[야마다 아키노리]] || [[코가 사리나]] || [[이시이 유키]] || || 2017-18 || '''[[히사미츠 스프링스]]''' || [[JT 마블러스]] || [[사카이 싱고]] || [[이시이 유키]] ||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 || 2018-19 || '''[[히사미츠 스프링스]]''' || [[도레이 애로우즈]] || [[사카이 싱고]] || [[폴루케 아킨라데우]] || [[야나 쿨랜]] || || 2019-20 || '''[[JT 마블러스]]''' || [[오카야마 씨걸즈]] || [[요시하라 토모코]] || [[안드레아 드류스]] || [[카네다 슈카]] || || 2020-21 || '''[[JT 마블러스]]''' || [[도레이 애로우즈]] || [[요시하라 토모코]] || [[코바타 마코]] || [[쿠로고 아이]] || || 2018-19 || '''[[히사미츠 스프링스]]''' || [[JT 마블러스]] || [[사카이 싱고]] || [[이노우에 아리사]] || [[안드레아 드류스]] || ==== 수상 ==== || 정규 리그 성적으로 결정 ||공격상, 블로킹상, 서브상, 서브리시브상, 득점상 || || 우승/준우승으로 결정 ||우승 감독상, MVP, 감투상, 신인상, 베스트 6, 리베로상, 리시브상 || || 기타 ||우수GM상, 특별상 || || 폐지한 상 ||맹타상(猛打賞), 수훈상(殊勲賞), 우수응원단상 || ===== 신인상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여자부 신인상)] ===== 기록상 ===== ||
{{{#fff '''시즌'''}}} || {{{#fff '''득점상'''}}} || {{{#fff '''공격상'''}}} || {{{#fff '''블로킹상'''}}} || {{{#fff '''서브상'''}}} || {{{#fff '''서브리시브상'''}}} || {{{#fff '''리베로상'''}}} || {{{#fff '''리시브상'''}}} || || 2005-06 || [[케니아 카르카세스]] || [[프란시엔 후루만]] || [[스기야마 사치코]] ||<|2> [[쿠리하라 메구미]] ||<|2> 이노 아키코 || 요시다 아이 ||<|2> [[나리타 이쿠미]] || || 2006-07 || [[케니 모레노]] || 니시와키 마리코 || 이노우에 카오리 ||<|3> [[사노 유코]] || || 2007-08 || [[옐레나 파블로바]] || [[아라키 에리카]] || [[아라키 에리카]] || 이타바시 메구미 ||<|2> [[사노 유코]] || 하마구치 카나리 || || 2008-09 || 레나타 콜롬보 || 니시와키 마리코 || [[스기야마 사치코]] || [[쿠리하라 메구미]] || 오카노 토모코 || || 2009-10 || [[김연경]] || [[아라키 에리카]] || 이노우에 카오리 || [[사코다 사오리]] || 나리타 이쿠미 || 하마구치 카나리 || [[이노우에 코토에]] || || 2010-11 || [[페르난다 가라이]] || [[폴루케 아킨라데우]] || 나이토 카나코 || 엘리잔제라 올리베이라 || 이노 아키코 || [[이노우에 고토에]] || 이노 아키코 || || 2011-12 || [[베타니아 데 라 크루스]] || [[로렌 깁메이어]] ||<|2> [[아라키 에리카]] || 조시온 ||<|2> [[자야스 코토키]] ||<|2> [[자야스 코토키]] ||<|2> [[신나베 리사]] || || 2012-13 || 캐너니 다니엘슨 || [[아라키 에리카]] || [[아라키 에리카]] || || 2013-14 || [[사코다 사오리]] ||<|2> 로렌 파올리니 || 오쿠무라 마이 || [[이시이 유키]] ||<|3> [[신나베 리사]] || 츠즈이 사야카 || 사토 아리사 || || 2014-15 || [[미아 예르코프]] ||<|4> [[아라키 에리카]] || [[켈리 머피]] || 이와사키 사야카 ||<|2> [[신나베 리사]] || || 2015-16 ||<|2> [[폴리나 라히모바]] || [[테토리 딕슨]] ||<|2> [[폴리나 라히모바]] ||<|2> 사토 아리사 || || 2016-17 || 칼리 워팻 || [[사토 아리사]] || 토리고에 미쿠 || || 2017-18 || [[네리만 외즈소이]] ||<|2> [[폴루케 아킨라데우]] || 카나스키 유카 ||<|2> [[신나베 리사]] ||<|2> [[코바타 마코]] || [[이시이 유키]] || || 2018-19 || [[야나 쿨랜]] || [[폴루케 아킨라데우]] || [[야나 쿨랜]] ||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여자부 기록상)] ===== 베스트 6 ===== [include(틀:V.프리미어리그 여자부 베스트6)]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여자부 베스트6)] == 컵 대회 == === 흑취기 전일본선수권대회 === [[파일:흑취기 전일본남녀배구선수권대회.png|width=200]] 매년 5월 초에 [[오사카부]] [[오사카시]]에서 개최하는 배구 대회다. 주최는 일본배구협회와 [[마이니치 신문]]이다. 대회 이름 그대로 '''黒鷲旗''' (흑취기)라는 우승기를 걸고 싸운다. 대회에 출전할 수 있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남녀 각 16개 구단 * 프리미어 리그 (남녀 전체 구단) * 챌린지리그 상위 구단 (남자 3개 구단, 여자 4개 구단) * 대학 배구부: 전일본 대학 간 대항 경기 상위 남자 4개 구단, 여자 3개 구단 * 고등학교 배구부: 전일본고교선수권 대회 상위 1개 구단 (남녀 모두) [include(틀:흑취기 전일본선수권대회 여자부 베스트6)] === 천황·황후배 전일본선수권대회 === === [[한·일 V리그 TOP매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일 V리그 TOP매치)] == 역대 우승 기록 == === 여자부 === ==== 일본 리그 ==== ||<-5> '''일본 리그/V리그, V.프리미어리그, [[V.리그]] 디비전1''' [[https://women.volleybox.net/women-japan-vleague-division-1-tt185/medal_table|#]] || || {{{#fff '''구단명'''}}} || {{{#fff '''우승 '''}}} || {{{#fff '''우승 시즌'''}}} || {{{#fff '''준우승'''}}} || {{{#fff '''준우승 시즌'''}}} || ||--히타치 벨푀유--|| 18회 ||1967-68, 1968-69, 1973-74, 1974-75, [br]1975-76, 1976-77, 1977-78, 1981-82, [br]1982-83, 1983-84, 1984-85, 1985-86, [br]1986-87, 1988-89, 1990-91, 1991-92, [br]1992-93, 1993-94 || 2회 ||1987-88, 1998-99 || ||[[히사미츠 스프링스|[[파일:하사미츠 스프링스.png|height=25]] {{{#004ea2 '''히사미츠'''}}}]] || 7회 ||2000-01, 2006-07, 2012-13, 2013-14, [br]2015-16, 2017-18, 2018-19 || 6회 ||1999-00, 2007-08, 2008-09, 2011-12, [br] 2014-15, 2016-17 || ||[[NEC 레드 로켓츠|[[파일:NEC 레드 로켓츠.png|height=25]] {{{#df062f '''NEC'''}}}]] || 7회 ||1987-88, 1996-97, 1999-00, 2002-03, [br]2004-05, 2014-15, 2016-17 || 4회 ||1986-87, 1995-96, 1997-98, 2001-02 || ||[[도레이 애로우즈|[[파일:토레이 애로우즈.png|height=25]] {{{#013599 '''도레이'''}}}]] || 4회 ||2007-08, 2008-09, 2009-10, 2011-12 || 5회 ||2003-04, 2010-11, 2012-13, 2018-19, [br]2020-21 || ||[[JT 마블러스|[[파일:JT 마블러스.png|height=25]] {{{#00a273 '''JT'''}}}]] || 3회 ||2010-11, 2019-20, 2020-21 || 4회 ||2005-06, 2006-07, 2009-10, 2017-18 || ||--토요보 오르키드--|| 2회 ||1998-99, 2000-01 || 4회 ||1983-84, 1984-85, 1996-97, 1999-00 || ||--오렌지 아탁카즈--|| 2회 ||1994-95, 1997-98 || 2회 ||1985-86, 1993-94 || ||--파이오니아 레드윙스--|| 2회 ||2003-04, 2005-06 || 1회 ||2004-05 || ||--유니티카 피닉스--|| 1회 ||1995-96 || 4회 ||1988-89, 1989-90, 1992-93, 1994-95 || ||--이토 요카도--|| 1회 ||1989-90 || 2회 ||1990-91, 1991-92 || ||[[오카야마 씨걸즈|[[파일:오카야마 씨걸즈.png|height=25]] {{{#005eae '''오카야마'''}}}]] || 0회 || || 2회 ||2013-14, 2019-20 || ||--다케후지 뱀부--|| 0회 || || 2회 ||2001-02, 2002-03 || ||[[덴소 에어리비즈|[[파일:덴소 에어리비즈.png|height=25]] {{{#e60012 '''덴소'''}}}]] || 0회 || || 1회 ||2007-08 || ||[[히타치 리바레|[[파일:히타치 리바레.png|height=25]] {{{#27499d '''히타치'''}}}]] || 0회 || || 1회 ||2015-16 || ==== 컵 대회 ==== ||<-5> '''흑취기 전일본선수권대회''' [[https://women.volleybox.net/women-kurowashiki-tournament-tt413/medal_table|#]] || || {{{#fff '''구단명'''}}} || {{{#fff '''우승'''}}} || {{{#fff '''우승 연도'''}}} || {{{#fff '''준우승'''}}} || {{{#fff '''준우승 연도'''}}} || ||[[JT 마블러스|[[파일:JT 마블러스.png|height=25]] {{{#00a273 '''JT'''}}}]] || 5회 ||2011, 2012, 2015, 2016, 2018 || 5회 ||2003, 2004, 2007, 2008, 2010 || ||[[도레이 애로우즈|[[파일:토레이 애로우즈.png|height=25]] {{{#013599 '''도레이'''}}}]] || 5회 ||2002, 2004, 2009, 2010, 2019 || 2회 ||2012, 2014 || ||--오렌지 아탁카즈--|| 4회 ||1992, 1996, 1998, 1999 || 2회 ||1994 || ||[[히사미츠 스프링스|[[파일:하사미츠 스프링스.png|height=25]] {{{#004ea2 '''히사미츠'''}}}]] || 3회 ||2006, 2007, 2013 || 2회 ||2009, 2018 || ||[[NEC 레드 로켓츠|[[파일:NEC 레드 로켓츠.png|height=25]] {{{#df062f '''NEC'''}}}]] || 2회 ||1997, 2001 || 6회 ||1995, 1996, 1999, 2011, 2013, 2016 || ||--유니티카 피닉스--|| 2회 ||1991, 1995 || 3회 ||1992, 1998, 2000 || ||--히타치 벨푀유--|| 2회 ||1993, 1994 || 0회 || || ||--파이오니아 레드윙스-- || 2회 ||2003, 2005 || 0회 || || ||[[덴소 에어리비즈|[[파일:덴소 에어리비즈.png|height=25]] {{{#e60012 '''덴소'''}}}]] || 2회 ||2008, 2017 || 0회 || || ||--이토 요카도--|| 1회 ||2000 || 1회 ||1991 || ||[[토요타 오토바디 퀸세이즈|[[파일:도요타 샤다이 퀸시즈.png|height=25]] {{{#1a1d74 '''토요타'''}}}]] || 1회 ||2014 || 1회 ||2015 || ||[[히타치 리바레|[[파일:히타치 리바레.png|height=25]] {{{#27499d '''히타치'''}}}]] || 0회 || || 3회 ||2006, 2017, 2019 || ||--토요보 오르키드-- || 0회 || || 2회 ||2001, 2002 || ||[[오카야마 씨걸즈|[[파일:오카야마 씨걸즈.png|height=25]] {{{#005eae '''오카야마'''}}}]] || 0회 || || 1회 ||2005 || ||--오다큐 주노-- || 0회 || || 1회 ||1993 || ||<-5> '''황후배 전일본선수권대회''' [[https://women.volleybox.net/women-empresss-cup-tt376/editions|#]] || || {{{#fff '''구단명'''}}} || {{{#fff '''우승'''}}} || {{{#fff '''우승 연도'''}}} || {{{#fff '''준우승'''}}} || {{{#fff '''준우승 연도'''}}} || ||[[히사미츠 스프링스|[[파일:하사미츠 스프링스.png|height=25]] {{{#004ea2 '''히사미츠'''}}}]] || 7회 ||2009, 2012, 2013, 2014, 2015, 2016, 2018 || 1회 ||2007 || ||[[도레이 애로우즈|[[파일:토레이 애로우즈.png|height=25]] {{{#013599 '''도레이'''}}}]] || 2회 ||2007, 2011 || 2회 ||2010, 2012 || ||[[토요타 오토바디 퀸세이즈|[[파일:도요타 샤다이 퀸시즈.png|height=25]] {{{#1a1d74 '''토요타'''}}}]] || 2회 ||2008, 2017 || 2회 || || ||[[덴소 에어리비즈|[[파일:덴소 에어리비즈.png|height=25]] {{{#e60012 '''덴소'''}}}]] || 1회 ||2010 || 2회 ||2009, 2017 || ||[[히타치 리바레|[[파일:히타치 리바레.png|height=25]] {{{#27499d '''히타치'''}}}]] || 0회 || || 2회 ||2014, 2016 || ||--파이오니아 레드윙스--|| 0회 || || 1회 ||2008 || ||[[오카야마 씨걸즈|[[파일:오카야마 씨걸즈.png|height=25]] {{{#005eae '''오카야마'''}}}]] || 0회 || || 1회 ||2013 || ==== 국제 대회 ==== ||<-5> '''[[AVC 여자 클럽 선수권 대회|AVC 아시아 클럽선수권대회]]''' [[https://women.volleybox.net/women-asian-club-championship-tt187/medal_table| ]] || || {{{#fff '''구단명'''}}} || {{{#fff '''우승'''}}} || {{{#fff '''우승 연도'''}}} || {{{#fff '''준우승 '''}}} || {{{#fff '''준우승 연도'''}}} || ||[[히사미츠 스프링스|[[파일:하사미츠 스프링스.png|height=25]] {{{#004ea2 '''히사미츠'''}}}]] || 2회 ||2002, 2014 || 3회 ||2001, 2015, 2017 || ||[[NEC 레드 로켓츠|[[파일:NEC 레드 로켓츠.png|height=25]] {{{#df062f '''NEC'''}}}]] || 1회 ||2016 || 2회 ||2000, 2018 || ||[[도레이 애로우즈|[[파일:토레이 애로우즈.png|height=25]] {{{#013599 '''도레이'''}}}]] || 0회 || || 1회 ||2012 || ||<-5> '''[[한·일 V리그 TOP매치]]''' [[https://women.volleybox.net/women-vleague-top-match-tt414|#]] || || {{{#fff '''구단명'''}}} || {{{#fff '''우승'''}}} || {{{#fff '''우승 연도'''}}} || {{{#fff '''준우승'''}}} || {{{#fff '''준우승 연도'''}}} || ||[[히사미츠 스프링스|[[파일:하사미츠 스프링스.png|height=25]] {{{#004ea2 '''히사미츠'''}}}]] || 3회 ||2006, 2007, 2013 || 0회 || || ||[[도레이 애로우즈|[[파일:토레이 애로우즈.png|height=25]] {{{#013599 '''도레이'''}}}]] || 1회 ||2010 || 0회 || || ||[[NEC 레드 로켓츠|[[파일:NEC 레드 로켓츠.png|height=25]] {{{#df062f '''NEC'''}}}]] || 1회 ||2015 || 0회 || || ||[[JT 마블러스|[[파일:JT 마블러스.png|height=25]] {{{#00a273 '''JT'''}}}]] || 0회 || || 1회 ||2007 || == 기타 == * [[실업]] 리그에 가까운 형태로 운영하고 있어 내국인 선수들의 연봉을 정확히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한국 V리그는 [[한국배구연맹]]에서 매년 선수 등록을 공시할 때 연봉도 같이 공개하고 있다.] 한국의 연봉제와는 달리 일부 소수의 선수 외에는 대부분 월급제로 돈을 받으며 매년 회사원과 같이 연봉계약을 맺는다. 시즌 중에는 주1회나 월2회 통상 업무를 하며 오프 시즌에는 아침에 출근해 오후에 연습을 하는 경우도 있고 훈련에만 집중시키는 구단도 있다. 연봉은 일본웹 추정 평균 400만 엔~600만 엔 정도로 보고 있으며 유명 배구 선수들은 천만 엔 정도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https://heikinnenshu.jp/sports/volleyball.html|#]] 리그 우승금 준우승금의 포상금이 있고 경기를 이기면 승리금이라는 수당을 받는다. 추가 인센티브를 주는 곳도 있으며 개인 스폰서 계약도 할 수 있다. 실업 배구 리그의 한계로 옆나라인 한국에 비해서 수입이 낮지만 은퇴 후 바로 소속 구단의 회사에서 근무할수 있다는 큰 장점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한국도 예전에 은퇴하고 소속 구단의 회사에서 일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대표적인 선수로는 [[마낙길(배구)|마낙길]]과 도로공사에 은퇴해 한국도로공사 서울산지사에서 근무 중인 임효숙이 있다. 임효숙을 마지막으로 은퇴 선수들 중에 관련 기업에 취직한 경우는 나오지 않았으며, 이제 레전드급의 선수들은 은퇴하면 그 구단의 코치나 구단 직원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 다만 국가대표급의 유명 선수들에겐 불리한 급여 구조라 만약 한국 [[V-리그]]가 [[아시아 쿼터제]]를 도입한다면 일본 유명 배구 선수들의 진출 러시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아 쿼터제]]를 [[한국배구연맹]]이 만지작거리고 있으나 일부 구단들의 반대로 시행하지 않았다가 2023 시즌에 도입했다. 여자부 신생 구단인 [[페퍼저축은행 배구단]]이 창단 과정 중 수준급 선수 수급을 위해서 아시아 쿼터제를 강력히 요구하기도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V.리그 남자부 구단)] ---- [include(틀:V.리그 남자부 2부 리그 구단)] ---- [include(틀:V.리그 남자부 3부 리그 구단)] ---- [include(틀:V.리그 여자부 구단)] ---- [include(틀:V.리그 여자부 2부 리그 구단)] ---- [include(틀:V.리그 여자부 3부 리그 구단)] ---- ||
{{{#ffffff '''V.리그 남자부의 수상'''}}}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남자부 신인상)]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남자부 베스트6)] }}} || ||
{{{#ffffff '''V.리그 여자부의 수상'''}}}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V.프리미어리그 여자부 MVP)] ---- [include(틀:V.프리미어리그 여자부 감투상)] ---- [include(틀:V.프리미어리그 여자부 베스트6)]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여자부 신인상)]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여자부 MVP)]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여자부 기록상)] ---- [include(틀:V.리그 디비전1 여자부 베스트6)] ---- [include(틀:흑취기 전일본선수권대회 여자부 베스트6)] }}} || [[분류:V.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