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협회]][[분류:표준]]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VESA'''}}}[br]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 ||<-2> [[파일:VESA 로고.svg|width=100%]] || || '''설립일''' ||1989년 7월 || || '''설립 목적''' ||표준화 위원회 || ||<|2> '''본부''' ||3855 SW 153rd Drive Beaverton, [br]Oregon 9700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855 SW 153rd Drive Beaverton, Origon 97003, 너비=100%, 높이=100%)]}}}|| || '''링크''' || [[https://vesa.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비디오와 멀티미디어 장치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단체인 비디오 전자공학협회를 의미한다. 미국, 한국, 대만, 일본 등 한 번쯤은 들어봤을 100여 개의 주요 PC 하드웨어 제조·판매 회사가 참가하고 있으며 VGA, SVGA(Super VGA) 등의 비디오 카드, 로컬 버스의 일종인 VL 버스 등의 규격을 표준화 했으며, 우리가 사용하는 모니터 암 규격인 [[VESA#FDMI|VESA 마운트 홀]]도 여기서 만든것이다. 또한 HDR 인증도 실시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화면 산업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단체이다. == VESA가 만든 규격 또는 표준 == * '''VESA 피처 커넥터(VFC)''' 비디오 카드를 다른 장치와 8 비트 버스로 연결해 주는 커넥터로 현재는 단종됨. * '''VESA 진보된 피처 커넥터(VAFC)''' VFC를 16 비트나 32 비트 버스로 확장한 단자. * '''VESA 로컬 버스(VLB)''' 현재의 AGP와 비슷한 비디오 로컬 버스로 널리 사용된 바 있음. * '''VESA 바이오스 확장(VBE)''' 확장 영상 모드(높은 해상도와 많은 수의 색)에서 표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됨.[* 범용 드라이버로 VBEM과 SciTech Display Doctor가 있다.] *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 비디오 카드에서 연결된 모니터를 식별할 수 있게 해 준다. 실제의 그 식별 자료형은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라고 불린다. * '''VESA 디스플레이 전력 관리 신호''' 모니터가 지원하는 저전력 모드에 대한 정보를 요청 받을 수 있게 해 줌. * 평판 패널 화면, 영상 단자, 영상 케이블, 타이밍 등에 관련된 몇 가지 표준들. * '''디지털 패킷 비디오 연결''' * '''일반 타이밍 규격(GTF)''' 비디오 타이밍 표준. * '''협정 비디오 타이밍 규격(CVT)''' * '''VESA 비디오 인터페이스 포트(VIP)'''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 표준. * '''VESA Display Compression-M (VDC-M)''' 저전력 모바일 컴퓨팅 시작을 대상으로 [[시각적 무손실 압축|시각적 무손실]]을 유지하면서 높은 압축수준을 제공하는 실시간 압축 표준. 영상 전송 대역폭이 제한된 분야에 유용하다. 10bpc에서 5:1, 8bpc에서 4:1로 DSC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압축률을 보여주지만 그만큼 손실도 크다. * '''AdaptiveSync & MediaSync Display''' === DisplayPor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isplayPort)] [[파일:DisplayPort 로고.svg|width=500px]] === DSC === '''{{{+1 Display Stream Compression}}}''' [[손실압축]] 방식으로 영상대역폭을 8bpc에서 1:3, 10bpc에서 1:375비율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크로마 서브샘플링]] 처럼 사람이 인지할 수 있을만큼 화질을 떨어트리지 않기 때문에 [[시각적 무손실 압축]]이라고 홍보되고 있다. * '''DSC 1.0, 1.1''' 2014년 3월 10일, DSC가 처음 공개되었으며 같은해 8월 10일 DSC 1.1이 출시되어 eDP 1.4a에 적용되었다. 8, 10, 12bpc와 RGB, Y′C{{{-2 ,,B,,}}}C{{{-2 ,,R,,}}} 4:4:4를 지원한다. 만약 4:2:2를 사용해야한다면 4:4:4로 변환시는 과정이 추가된다. 픽셀당 비트수를 8bpp[* Bit Per Pixel. RGB나 Y′C{{{-2 ,,B,,}}}C{{{-2 ,,R,,}}} 4:4:4의 bpc에서 x3을 4:2:2는 x2, 4:2:0은 x1.5를 하면 나온다.] 또는 그보다 높은 bpp로 압축할 수 있다. * '''DSC 1.2''' 2016년 1월 20일 출시되어 DisplayPort 1.4에 적용되었다. 14, 16bpc와 Y′C{{{-2 ,,B,,}}}C{{{-2 ,,R,,}}} 4:2:2, --4:2:0--를 추가로 지원하며 4:2:0은 6bpp로 줄일 수 있지만 나머지 색형식은 8bpp까지만 가능하다. DSC 1.0 지원이 종료되었다. * '''DSC 1.2a''' 2017년 1월 18일 출시되어 HDMI 2.1과 DisplayPort 1.4a에 적용되었다. 버그가 있던 Y′C{{{-2 ,,B,,}}}C{{{-2 ,,R,,}}} 4:2:0이 수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4:2:0는 DSC 1.2에서 더이상 지원하지 않고 1.2a부터 지원한다. * '''DSC 1.2b''' 2021년 8월 12일 출시되어 HDMI 2.1, eDP 1.4b, 1.5 그리고 DisplayPort 1.4a, 2.0의 DSC 버전이 업데이트 되었으며 DisplayPort 2.1에 적용되었다. 개발 편의성 향상, 오탈자 수정 등이 포함된 유지보수 격 리버전으로 1.2a 버전과 기능적으로 같다. === DisplayHD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igh Dynamic Range, 앵커=VESA Certified DisplayHDR)] [[파일:VESA Sertified DisplayHDR.png|width=500px]] === ClearMR === [[파일:VESA Sertified ClearMR.svg|width=500px]] [[파일:ClearMR 등급.jpg|align=center&width=500px]] === FDMI === [[파일:베사홀.jpg|width=400px&align=right]] '''{{{+1 Flat Display Mounting Interface}}}''' 2006년 1월 16일 발표된 표준으로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VESA 마운팅 홀이 바로 이것이다.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구멍 위치/간격, 나사 규격 등이 표준화 되어있다. * 4 ~ 7.9인치, 2kg 이하 디스플레이 * 50 × 20mm 구멍 간격 * M4 × 6mm 나사 * 8 ~ 11.9인치, 4.5kg 이하 디스플레이 * 75 × 35mm 구멍 간격 * M4 × 8mm 나사 * 12 ~ 22.9인치, 8kg 이하 디스플레이 * 75 × 75mm, 75 × 50mm(가장자리) 구멍 간격 * M4 × 10mm 나사 * 12 ~ 22.9인치, 14kg 이하 디스플레이 * 100 × 100mm, 100 × 50mm(가장자리) 구멍 간격 * M4 × 10mm 나사 * 23 ~ 30.9인치, 22.7kg 이하 디스플레이 * 200 × 200mm, 200 × 50mm(가장자리) 구멍 간격 * M4 × 10mm 나사 * 31인치 이상 디스플레이 * 200 × 200mm보다 100mm 단위로 큰 가로세로가 대칭인 구멍 간격 * M6 × 12mm 또는 M8 × 16mm 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