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희왕 러시 듀얼의 스페셜 팩, rd1=VS 팩 맥시멈 포스)]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1E28, #3D3C4E, #777082, #878297, #777082, #3D3C4E, #241E28 )"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color:#E7481C;font-size:15pt;" [ruby(VS, ruby=뱅키시 소울)]}}}'''}}} || ||<-6><:><#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ke Your Soul!.png|width=100%]][br],,[[VS(유희왕)#Stake Your Soul!|{{{#E7481C Stake Your Soul!}}}]],,}}}|| ||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color:#E7481C;" 한글판 명칭}}}''' ||<-5><#fff,#191919> '''[ruby(VS, ruby=뱅키시 소울)]''' || ||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color:#E7481C;" 일어판 명칭}}}''' ||<-5><#fff,#191919> '''[ruby(VS, ruby=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 ||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color:#E7481C;" 영어판 명칭}}}''' ||<-5><#fff,#191919> '''Vanquish Soul''' || ||<-2>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color:#E7481C;" 속성}}}''' ||<-2>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color:#E7481C;" 종족}}}''' ||<-2>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color:#E7481C;" 관련 카테고리}}}''' || ||<-2><#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화염|화염]],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2><#fff,#191919> 다양 ||<-2><#fff,#191919> 효과 || [목차] [clearfix] == 개요 == ||<-5> '''유희왕 [[덱 빌드 팩|{{{#white 덱 빌드 팩}}}]] 수록 테마''' || || [[어메이징 디펜더즈]] || || [[와일드 서바이버즈]] || || [[밸리언트 스매셔즈]] || || [[R-ACE]], [[퓨어리]], [[미캉코]] || → || [[초월룡]], '''VS''', [[누밸즈]] || → || [[메멘토(유희왕)|메멘토]], [[센츄리온(유희왕)|센츄리온]], [[바르모니카]] || >[ruby(Stake, ruby=ステイク)] [ruby(Your, ruby=ユア)] [ruby(Soul, ruby=ソウル)]! [ruby(READY, ruby=レディ)]!! >---- >[ruby(Stake, ruby=스테이크)] [ruby(Your, ruby=유어)] [ruby(Soul, ruby=소울)]! [ruby(READY, ruby=레디)]!![* '''"너의 영혼을 걸어라! 준비!!"'''] [[덱 빌드 팩]] [[와일드 서바이버즈]]에서 데뷔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VS]]는 "뱅키시 소울(Vanquish Soul)"의 줄임말로, 뱅키시(Vanquish)가 "정복하다"라는 뜻이므로 "영혼 정복" 혹은 "정복하는 영혼"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당연히 [[Versus]]의 약자로도 의도했을 것이다. 원래는 "뱅퀴시"로 발음하는 것이 옳으나, 기존의 ヴァンキッシュ가 [[어메이즈먼트#A·∀·VV|A·∀·VV(어메이즈 어트랙션 '''뱅키시'''바이킹)]]으로 번역되었다 보니 뱅키시로 번역되었다. 전체적인 모티브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로 대표되는 [[대전 격투 게임]][* 이 때문에 [[제너레이드]](레이드 RPG) 및 [[루닉]](1인칭 RPG), [[밸리언츠]](미니어처 게임), [[라뷰린스]](던전RPG) 등을 잇는 '게임 컨셉 카드군'이라는 모티브에 호평이 많다.]으로, 몬스터들은 격투가라는 기본 컨셉을 제외하면 디자인이 천차만별이다. 또한 캐릭터 선택 화면 내지 키 비주얼처럼 본체 일러스트 뒤쪽에 일러스트의 확대샷이 그려져 있다. Versus를 염두에 둔 'VS'라는 명칭도 이 컨셉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전투를 할 상대 몬스터의 이름을 붙이면 XXX, VS OOO 식으로 격투 게임 시작 장면이 재현 가능하다.]. 캐릭터들의 디자인은 이러한 대전 격투 게임 중에서도 [[길티기어 시리즈]], [[블레이블루 시리즈]] 등 애니풍 격투 게임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듯. 속성을 보여주고 그것에 따라 효과를 다르게 획득하는 것은 커맨드 입력을 모티브로 한 것이고, 이외에도 몬스터들의 공통 제약인 '동일 체인 상에서 동시에 효과 발동 불가'로 커맨드 입력후 경직 시간, 일부 상급 몬스터들의 필드의 VS를 패로 되돌리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로 교체 플레이를 표현하는 등 컨셉을 위한 세세한 설계가 엿보인다. 또한 격투겜 특유의 1대1 매치의 감성을 재현하기 위해 같은 세로열이나 공격력이나 수비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를 지정하는 식으로 몬스터를 기준으로 삼아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덱 빌드 팩 [[와일드 서바이버즈]]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공개된 테마. [[히든 서머너즈]]의 [[마요괴]]로부터 정립된 전통으로 덱 빌드 팩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공개된 테마는 [[마요괴]]-[[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드래곤메이드]]-[[육화]]-[[이빌트윈]]-[[도레미코드]]-[[엑소시스터]]-[[라뷰린스]]-[[미캉코]]로 이어지는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가 메인인 테마였으나, 이 테마에서는 그런 미형 캐릭터의 등장이 소수의 개별 카드로 한정되어 전통이 깨지게 되었다. 일단 매드라브와 판테라로 미소녀 몬스터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10기 덱 빌드 팩 출신인 [[공아단]]과 유사점이 꽤 많다. 핵심이자 초동 역할을 하는 하급 몬은 전사족이고[* 그래서 둘다 초동 서치용으로 증원이 필수로 들어간다], 커버카드이자 에이스는 8레벨 드래곤족 몬스터고, 다종족에 메인 몬스터 기믹으로 굴러가는 형식에 링크 몬스터로 보조를 하고, 링크몹이 링크 소재로 사용 불가능한 룰효과까지[* 다만 공아단의 링크2 도나는 링크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닮은 구석이 많다. 다만 공아단과는 달리 속성은 화염, 어둠, 땅밖에 없고, 신규지원까지 전부 종족이 따로따로 노는 뱅키시 소울과는 달리 공아단은 돈파/리콘/폴고, 필로/새지터, 시르/도나 등 종족이 겹치는 경우가 있어 [[센서 만별]]에는 공아단쪽이 좀 더 아프게 맞는다. 그러나 전개형에 가까운 운영을 하는 공아단과 다르게 이쪽은 순수 운영 덱으로, 플레이 스타일은 정반대다. == 성능 == >속성의 힘으로 필살기를 날리는 파이터들이 분투하는 신 시리즈 등장! >패에 다양한 속성의 파이터가 있을수록 강력한 기술(효과)을 내보낼 수 있는 것이 특징. > >패의 파이터는 필살기의 속성으로서 사용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태그 매치와 같이 바뀌어 상대를 농락! 그리고, 링크 1의 「록 오브 뱅키셔」은 패에서 동료를 특수 소환하거나, 묘지의 동료를 패에 가하는 효과로 전선의 확대나 유지에 도움이 된다! > >파이터들과 같은 종렬이나 정면의 몬스터에 미치는 효과도 강력하고, 대치하는 적을 정면 돌파하는 것 같은 상쾌감도!! > >영혼을 베팅한 무대에서 강력한 필살기를 결정하고 승리를 잡아라! >---- >[[https://www.yugioh-card.com/japan/products/dbws/|출처]]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241E28, #3D3C4E, #777082, #878297, #777082, #3D3C4E, #241E28)"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color:#E7481C;font-size:15pt" '''"VS" 몬스터의 공통 효과'''}}}}}} || ||<-3>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고, 동일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br]①: (고유 효과) [br]②: 자신 / 상대 턴에, 이하에서 1개를 선택하여, 그 속성의 패의 몬스터를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br]●(자신 속성) : (고유 효과)[br]●(여러 속성) : (고유 효과) || || '''{{{#!html카드명}}}''' || '''{{{#!html고유 효과}}}''' || || '''{{{#!htmlVS 라젠}}}'''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전사족 이외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br]②: (공통 효과)[br]●화염 : 이 턴, 이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화염 / 어둠 :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의 다른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 || '''{{{#!htmlVS 판테라}}}''' ||①: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br]②: (공통 효과)[br]●땅 : 이 턴,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땅 / 화염 :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의 마법/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 || '''{{{#!htmlVS Dr.매드라브}}}'''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VS(뱅키시 소울)"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br]②: (공통 효과)[br]●어둠 :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골라서, 그 공격력 / 수비력을 500 내린다. ●어둠 / 땅 : 필드의 수비력이 가장 낮은 몬스터 1장을 원래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 || '''{{{#!htmlVS 자오롱}}}''' ||①: 자신이 "VS(뱅키시 소울)"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패를 보여줬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br]②: (공통효과)[br]●화염 : 필드의 몬스터 1장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화염 / 화염 : 덱에서 "VS(뱅키시 소울) 자오롱" 이외의 "VS(뱅키시 소울)"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 '''{{{#!htmlVS 플루톤HG}}}''' ||①: 상대 턴에,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의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VS(뱅키시 소울)" 몬스터뿐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br]②: (공통 효과)[br]●화염 : 이 카드의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0 올린다. ●어둠 / 땅 :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0 올린다. || || '''{{{#!htmlVS 헤비 보거}}}''' ||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기계족 이외의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br]②: (공통 효과)[br]●어둠 : 자신은 덱에서 1장을 드로우한다. ●땅 / 화염 : 상대에게 1500 데미지를 준다. || || '''{{{#!htmlVS 카이저 바리우스}}}''' ||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드래곤족 이외의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br]②: (공통 효과)[br]●땅: 이 턴에, 앞면 표시의 이 카드는 상대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다. ●땅 / 화염 / 어둠: 필드의 다른 카드를 1장 고르고 파괴한다. || 패의 몬스터의 속성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는 효과로 구성된 테마. 요구되는 속성은 화염, 땅, 어둠이 되는데, 이 셋 다 자주 쓰이는 속성이다. 화염 속성인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땅 속성인 [[증식의 G]]은 당연히 빼놓을 수 없고, 어둠 속성도 [[비스테드]]나 [[D.D. 크로우]] 등으로 상당히 만족하기 쉽다. 다만 패 트랩으로만 조건을 충족하려고 하면 패 트랩이 필요한 순간 패 트랩을 쓰면 이쪽의 기믹을 쓰지 못함을 의미하므로, 어느 정도 다른 몬스터를 따로 마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①의 효과의 경우 덱에서 서치를 해주는 라젠과 매드라브를 제외하면 전부 자력 특수 소환 효과로 일소권 의존도는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헤비 보거와 카이저 바리우스의 경우 프리체인으로 내 다른 VS 몬스터를 돌려보내면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상대의 [[이펙트 뵐러]]나 [[무한포영]]으로 대표되는 견제 수단을 역으로 파해하기에 적합하다. ②의 효과 또한 프리 체인으로 발동하여 이득을 볼 수 있으며, 카드군에 직접 포함되지는 않는 서포트 몬스터를 포함하여 구성원 전원이 종족이 달라 [[센서 만별]] 등으로 상대를 방해할 수도 있다. 카드군 자체가 프리체인 파괴/바운스 등의 견제 수단 자체는 어느 정도 있지만 퍼미션이 없어 어느 정도는 용병에 의존할 필요가 있는 점은 단점이다. 발매 이후로는 순조롭게 입상 실적을 올리며 환경권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라젠 1장만 패에 잡아도 이상적인 필드 구축이 가능하고, 강력한 견제 카드인 센서 만별 사용이 쉽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라젠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과 1티어인 퓨어리 및 부유벚꽃, 삼전 시리즈에 약하다는 점이 발굴되면서 환경권에서 다소 밀려났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추가 지원을 받았다. 쟈오롱의 추가로 인해 VS의 낮았던 고점이 상당히 높아졌으며, 스노우데블의 패특소 효과로 인해 뱅키셔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파괴 한정이기는 하지만 내성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분명한 취약점은 있지만 2023년 세계대회에서도 실물카드부문 4강까지 가는등 덱 파워는 있다. === 장점 === * '''적은 패 소모로 안정적으로 늘어나는 어드밴티지''' 록 오브 뱅키셔의 재활용 효과 덕분에 라젠이나 Stake Your Soul!만 있어도 견제 능력이 있는 다른 VS 몬스터들을 지속적으로 서치할 수 있으며, 효과를 쓴 라젠을 상급의 태그 효과로 회수해 매 턴 서치를 할 수 있다. 효과들도 다들 심플하고 자기 역할이 매우 뚜렷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른 대응법도 간단하다. * '''프리 체인을 이용한 대상 지정 견제기 회피와 견제''' 헤비 보거와 카이저 바리우스가 프리체인으로 자신 필드의 VS 몬스터와 태그할 수 있어서 상대의 대상 지정 견제를 회피할 수 있다. 때문에 [[무한포영]] 등 대상 지정형 패 트랩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고, [[크샤트리라]]를 비롯한 대상 지정이 주가 되는 견제를 상대로도 강하다. 심지어 몬스터들에 붙어 있는 견제 효과들은 물론 마법/함정 카드들 역시 스펠스피드 2 프리체인이기에 대상 지정 상대 상황 대응력이 굉장히 좋다. * '''낮은 엑스트라 덱 의존도''' 록 오브 뱅키셔를 제외한 엑트 몬스터가 없는 것에서 알 수 있지만, 엑스트라 덱 자원을 뱅키셔 이외에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때문에 특정 덱 저격용 [[부유벚꽃]]이나 항아리류 채용에 부담은 적으면서도 전개력도 적당히 있기에 4랭크 엑시즈와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등 범용 몬스터는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엑스트라 덱 자원이 넓다는 장점을 이용해 용병을 섞기에도 적합하다. * '''다양한 견제 방법''' 메인 덱 몬스터들의 효과 파괴, 마법/함정의 뒤집기, 바운스, 헤비 보거의 1500 데미지처럼 상대를 갉아먹기에 최적화된 다양한 견제 효과들이 있다. 이를 통해 마치 실제 격투게임처럼 상대와의 심리전에서 우위를 가져가 견제를 꽂아넣으며 LP를 깎아먹는 것이 VS의 기본 전술. * '''운영 덱치고는 높은 타점''' 하리파이버 금지 이후 액세스를 뽑기 힘들어져 티어권에서 밀려난 [[섬도희]], 재머토커를 제외하면 빈말로도 타점이 좋다고 할 수 없는 [[샐러맨그레이트]] 등과 다르게 VS는 카이저 바리우스와 플루톤HG의 3000 타점, 헤비 보거의 2500 타점 등 어렵지 않게 튀어나와 게임을 풀어 나가는 메인 몬스터들의 전투력이 그닥 낮지 않다. 또한 제거 효과들이 출중하고 록 오브 뱅키셔와 기타 카드들 모두 전투 등에서 한 몫을 할 수 있는 카드들이 다수이며 헤비 보거로 매 턴 노 페널티 1500데미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 상대 턴 전부 발동 가능하므로 실질적으론 3000.] LP를 적당히 깎은 다음 상대에게 타임 어택을 강요할 수 있다는 것도 데미지 레이스에서의 강점. === 단점 === * '''치명적으로 높은 라젠 의존도'''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는 유일한 카드인 라젠이 안 잡히면 계속해서 밀리기 쉬운데도 불구하고 '''정작 "VS" 카드 중에는 라젠을 서치할 수 있는 카드가 쟈오롱 말고는 없다.''' Stake Your Soul!의 효과로 확보할 수 있다지만 정작 '''Stake Your Soul!도 서치 수단이 없으므로'''[* 거기다가, 패에 화염 속성이 있을 것을 요구하고, 정작 VS 카드가 아니라서 매드라브의 효과로 서치도 안된다.] 제대로 된 라젠 서치 카드라 보기 힘들다. 이 때문에 증원은 당연히 필수고, 스몰 월드나 불꽃성검-듀란달을 넣는 덱도 적지 않다. 때문에 VS는 웬만한 패 트랩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유독 '''[[삼전의 재]]'''의 [[강인한 파수병]] 효과로 라젠이 돌아가버리면 타격이 굉장히 큰 편이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의 신 지원 카드인 쟈오롱을 통해 카드군 내에서 라젠을 직접 서치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쪽은 라젠을 서치하기 위해 손에 화염 속성 몬스터가 2장이나 있어야 하므로 초동으로써의 라젠을 확보하는 일은 제한적이거나[* 그나마 초동으로써의 라젠 확보 방법으로 가장 쉬운 방법은 Stake Your Soul!을 쓰는 것 정도다. 물론 패에 화염 속성 몬스터 2개가 있을 경우] 쉽지 않기 때문에 라젠에 대한 의존도 문제는 여전하다. * '''전무한 퍼미션과 전열 제거에 취약함''' 파괴, 바운스, 뒤집기, 드로우, 번 데미지, 자원 회수, 내성 등 없는 게 없는 VS지만, '''효과 무효 계열 퍼미션이 하나도 없다.''' 캘러미티 카이저가 있다곤 하지만 대상지정 효과만 막을 수 있다. 그러면서도 체인을 걸기 위해서는 전열 유지에 신경써야 하며, 번개나 길항승부, 라젠과 바리우스의 내성을 씹고 치워버리는 파괴수 등 VS 몬스터 전열을 견제할 수 있는 제거류에 취약하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나온 VS 스노우데블로 번개 같은 파괴류에 대한 내성을 얻을 수는 있게 되었으나 여전히 제외나 릴리스, 비대상 무효계열에는 취약하다. * '''패 상황과 공개/비공개 정보에 신경써야 함'''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VS 몬스터의 효과 발동 조건은 패에 있는 특정 속성 카드들의 공개이다 보니, 패에 그 속성 몬스터가 없다면 힘이 빠진다. 특히 유일한 속성의 카드가 패트랩이면 좀 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하루 우라라]], [[증식의 G]]처럼 중요한 카드의 경우 상대의 행위에 대항하기 위해 사용할 것인지, 상대의 케어 플레이를 막기 위해 숨겨둘지, 속성 용으로 보여주고 할 일을 할지 정하는 것도 상당히 중요하다. * '''고타점 내성 몬스터를 치우기 난감함''' 기믹 특성상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나 [[엑스퓨어리 누아르]] 같은 몬스터는 처리가 아주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에 노염파괴수 도고란이나 [[쿠리카라천동]]을 넣는 경우도 많다. 마침 이 두 카드는 돌파 역할 외에도 스몰 월드, Stake Your Soul!을 통해 라젠을 가져오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단, 쿠리카라천동은 스몰 월드 중간 다리로는 불가능하다. 천동과 라젠 모두 수비력이 1500이기 때문]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2023년 11월 9일 셀렉션 팩 '싱귤래리티 워리어즈'에서 추가되었다. 테마의 주력 카드인 '''카이저 바리우스, 라젠, Stake Your Soul!, 매드라브 4장이 모두 UR'''로 나오면서 기본적으로 UR만 10 ~ 11장이 필요한 비싼 덱이 됐다. 테마 내의 UR 자체만으로는 최근에 출시되는 신규 테마들의 레어도 배정과 비슷한 편이나, 시너지가 좋은 [[크샤트리라]], [[비스테드]], [[파괴수(유희왕)#s-3.2.1|노염파괴수 도고란]], [[쿠리카라천동]], [[센서 만별]] 등이 전부 UR인지라 본격적으로 덱을 구축할려면 상당히 비싸진다. 탑 티어권 성능은 아니라는 예측이 많았음에도 덱 값이 너무 비싸다는 불만이 터질 정도. 똑같이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까지의 카드까지 나온 [[누밸즈]]는 해당 카드들이 없으면 장난감으로도 못 쓸 정도기 때문에 지원을 당겨 받을거라 예상한 사람들이 꽤 있었으나, VS는 첫 등장 당시 카드풀로도 성능이 꽤 괜찮은데도 불구하고 에오오 지원인 쟈오롱과 스노우데블까지 지원이 포함되는, 11기의 지원을 넘어 12기의 지원까지 앞당겨오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여줬다. OCG에서 그 전에 발매된 덱 빌드 팩 [[어메이징 디펜더즈]] 테마들은 [[사이버스톰 액세스]]까지의 사양으로 들어왔으나 [[듀얼리스트 넥서스]] 지원이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이며, [[퓨어리]]와 [[미캉코]]보다 늦게 출시된 [[R-ACE]] 또한 11기 사양의 카드만 출시되었기 때문에, 11기 카드 출시를 완전히 마무리 짓고 12기로 넘어갈거라고 예상한 유저들의 뒤통수를 때린 셈. 출시 이후로는 [[증식의 G]]나 [[길항승부]], [[이펙트 뵐러]]와 [[무한포영]] 등 마스터 듀얼 메타에 주요한 패 트랩/돌파 카드 대다수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고 [[센서 만별]]처럼 대응이 매우 어려운 지속 함정까지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메타의 빈틈을 파고들고 탑 티어에 안착했다. 거기에 더해 티어권 덱 중 비대상 제거기 활용이 용이한 [[낙인]]류 덱을 제외하면 상성 상 우위를 점하는 테마가 대다수라 랭크게임에 활용하기에도 좋고, 메인 기믹이 유희왕에서 가장 견제하기 어려운 '''패의 몬스터'''의 속성을 따지는지라 대처가 까다로운 점도 특징. 단판전 환경에서 VS의 장점이 특히 빛을 발했는데, 앞서 언급된 돌파 카드의 일관성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과 함께 승리 플랜이 다양하다는 점도 특징이다. 테마 제약이 없고, 패트랩 투입을 해도 의외로 패가 잘 말리지 않으며[* 주로 투입하는 증식의 G와 우라라가 땅과 화염으로 효과 발동 트리거로 사용 가능하며, 어트랙터와 비스테드도 어둠 충당용으로 제격이다.] 스탯이 절묘하게 분배가 되어 있어 스몰 월드로 별 에 별 카드들을 끌어다 쓸 수 있는데다 종족이 전부 다르며 묘지조차 별로 활용을 열심히 하지 않아 센서 만별이나 디멘션 어트랙터로 상대에게 락을 걸어 개체수를 제한하거나 운영을 통해 게임을 끌고 가 매 턴 1500 데미지를 줘서 6턴만에 태워 죽이는 것도 가능하며, 아예 극전개를 유도한 다음 프리체인 함정 스노우데블로 모조리 밀어버릴 수도 있고, 비스테드/십이수/크샤트리라 등 속성만 맞는다면 어떤 용병이든 활용 가능한 유연함까지 있어 상대가 누구든 대처가 가능하다. 이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VS가 본격적으로 부상하면서 그나마 운영에 타격을 줄 수 있는 범용 카드인 [[삼전의 재]]의 채용률이 치솟는 등, 23년 12월 '''메타의 핵심 덱'''으로 자리잡았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4 === ==== VS 라젠 ==== [[파일:VS ラ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라젠,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ラゼン,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Razen, 레벨=4,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전사족 이외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하에서 1개 선택하여\, 그 속성의 패의 몬스터를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화염 : 이 턴에\, 이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화염 / 어둠 :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인 다른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영혼을 건 싸움에 몸을 던지는 투사가 그려진 아이콘.''' >'''필살기는, 장비에서 나오는 기세를 이용한 강렬한 발 기술이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 플레이버 텍스트 팔에 [[터보 제트]] 엔진[* 실제로 다른 카드 일러스트를 보면 타격하는 무기라기 보다는 추진체로 활용하는 모습이 보인다] 같은 무기를 지닌 파이터. [[류(캡콤)|류]], [[테리 보가드]] 등의 주인공 포지션에 가까운 캐릭터로 보인다. 화염 속성 / 레벨 4 / 전사족이라는 스테이터스 덕분에 [[증원]]이나 [[성검(유희왕)|『불꽃성검-듀란달』]]을 초동 카드로 쓸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소환시 전사족 이외의 VS 몬스터 서치. 사실상 이 카드를 뺀 모든 VS 몬스터가 서치 범위에 들어오므로 초동으로써 기능하는 핵심 카드다. 자신의 턴 뿐만 아니라 상대 턴에 컨티뉴나 록 오브 뱅키셔로 소환해도 서치 효과를 발휘하며, 상급 몬스터들이 모두 상대 턴에 소환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에 상대 턴에 카드를 전개하는 잠재력도 갖추었다. 특히, 이 카드가 서치해오면 이 카드를 바운스하며 특수 소환되는 헤비 보거와 카이저 바리우스와의 궁합이 뛰어나다. 이 막강한 서치 효과로 인해 VS 덱의 운영은 이 카드가 첫 손패에 있냐 없냐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어떻게든 첫 턴에 이 카드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②의 효과는 VS의 공통 효과로, 이 카드는 화염 속성과 화염/어둠 속성을 공개할 수 있다. * 화염 속성을 공개하면 효과 파괴 내성을 얻는다. 생존능력을 보완해줄 수 있는 부분이지만, 이 카드의 스탯은 평범하디 평범한 4레벨 어태커 수준이라 효과 파괴가 아닌 전투 파괴를 걱정해야 될 것이다. 어차피 견제의 대상이 된다면 아래의 헤비 보거나 바리우스로 바운스하면 되니 큰 의미는 없다. * 화염과 어둠을 공개하면 같은 세로열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할 수 있다.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제거기라 기본적으로 강력하고, 아래의 록 오브 뱅키셔의 효과로 프리체인으로 튀어나와 원하는 몬스터 하나를 깨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단 상대가 그 록과 같은 열에 몬스터를 놨다면 라젠에 의해 록도 함께 파괴되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쓰지 않는 엑스트라 몬스터 존 앞에 세워두어 상대의 엑스트라 몬스터 존 사용을 견제하는 용도가 대표 용도가 될 것이다. ②의 두 번째 효과의 처리 전에 이 카드가 필드를 벗어나면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이 존재하지 않아 효과가 불발된다. 따라서 헤비 보거나 바리우스로 탈출시켜 스킬 드레인이나 포영을 회피해서 적을 견제하는 전략은 불가능하다. 이후의 판테라도 마찬가지. [[잭나이츠]] 유저라면 창궁이나 티아마톤의 선례로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VS 라젠 이외'가 아니라 '전사족 이외'를 지정하고 있어, 차후 다른 전사족 메인 덱 몬스터가 등장할 여지가 있다. 만약 정말 등장한다면, 카드군의 모티프가 전통적인 격투게임 장르라는 것과 '전사'족이라는 것, 이 카드로 서치가 불가능하다는 설정 등으로 볼 때 [[카이 키스크|서브 주인공]]급의 [[화랑(철권)|라이벌]] 캐릭터가 꽤 유력하다. 하지만, 이후 라이벌 포지션으로 추정되는 쟈오롱이 나오긴 했지만 환룡족으로 나왔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16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VS 판테라 ==== || [[파일:VS パンテラ.jpg|width=100%]] || [[파일:VanquishSoulPantera-WISU-EN-UR-1E.png |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판테라,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パンテラ,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Pantera, 레벨=4, 속성=땅,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1700, 수비력=19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몬스터 존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하에서 1개 선택하여\, 그 속성의 패의 몬스터를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땅 : 이 턴에\,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땅 / 화염 :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인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발차기]]를 주 격투기로 다루는 것으로 보이는 [[표범]] [[수인]] 파이터. 마침 [[춘리]]를 연상케하는 흰색 부츠를 신고 있다. 이름인 판테라는 [[표범]]속을 뜻한다. 디자인은 [[펠리시아(캡콤)|펠리시아]]가 모티브인 모양. ①의 효과는 메인 몬스터 존에 카드가 없을 경우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어차피 일반 소환권은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없는 라젠이나 매드러브에게 줘야 하고, 테마내 유일한 아드 소모 없이 몬스터를 늘릴 수 있는 귀한 효과라 록 오브 뱅키셔를 꺼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반대로 록 오브 뱅키셔만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존재할 경우에도 소환이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VS의 공통 효과로, 이 카드는 땅 속성과 땅/화염 속성을 공개할 수 있다. * 땅 속성을 공개하면 전투 파괴 내성을 얻는다. 생존능력을 보완해줄 수 있는 부분. 더스트데블과 조합하여 전투파괴를 막는 벽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 화염과 땅을 공개하면 같은 세로열의 마법, 함정을 전부 파괴할 수 있다.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제거기라 강력하다만 자기 카드도 적용되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중요도가 높아 그 쪽을 높은 효율로 저격할 수 있는 라젠에 비해, 마함은 상대적으로 소수의 덱이 활용하는 펜듈럼 존 이외에는 소위 "[[깔아두기]]"가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도 마이너스. 반대로 말하면 자신 필드의 마법/함정 카드를 파괴할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를 격발시킬수 있어 소소한 장점이 된다. 뱅키시 소울에서는 특수 소환이 가능한 4레벨 몬스터라는 점을 착안해, 4랭크 엑시즈 소환을 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를 내서 시간을 끌거나, [[여휘사 벨즈뷰트]],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등으로 판세를 뒤집을 수 있다. 특수 소환에 VS와 관련된 제약은 없기 때문에 다른 덱이 용병으로 쓸 수 있어 보이나, 저 하드웨어를 잘 살릴 만한 덱이 없기 때문에 그렇게 사용되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그럴 바에 차라리 [[패러렐엑시드]] 아니면 [[사키타마]]를 쓰는 게 낫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17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06-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WISU-EN017 | '''[[와일드 서바이버즈|WILD SURVIVO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3-06-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WS-KR017 | '''[[와일드 서바이버즈|덱 빌드 팩 - 와일드 서바이버즈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VS Dr.매드라브 ==== [[파일:VS Dr.マッドラヴ.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Dr.(닥터)매드라브,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Dr.(ドクター)マッドラヴ,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Dr. Mad Love,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2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VS(뱅키시 소울)"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하에서 1개 선택하여\, 그 속성의 패의 몬스터를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어둠 :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 / 수비력을 500 내린다., 효과4=●어둠 / 땅 : 필드의 수비력이 가장 낮은 몬스터 1장을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거대한 손, 드릴과 망치로 무장한 파이터. 매드 러브라는 이름처럼 곳곳에 하트 장식을 달고 있다. 블레이블루의 [[코코노에(블레이블루)|코코노에]][* 작은 체구의 여성 매드 사이언티스트라는 컨셉부터 매드라브와 유사하다.], 대난투의 [[마을 주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을 주민]] 등처럼 격투 게임에서 한두명씩 있는 순수한 근거리 파워 대신 원거리나 설치물 등의 기술력을 통해 싸우는 캐릭터를 모티브로 삼고 있다. ①의 효과는 소환시 VS 마함을 서치하는 효과. 라젠만큼은 아니어도 중요한 카드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묘지 소생 마법인 컨티뉴를 서치하면 카드 수 증가에 도움이 된다. ②의 효과는 VS의 공통 효과로, 이 카드는 어둠 속성과 어둠/땅 속성을 공개할 수 있다. * 어둠 속성을 공개하면 공격력/수비력을 500 내린다. [[러시 듀얼]]에서나 먹힐 정도로 수치가 소소해 일반적으로는 필요성이 낮지만 데미지 스탭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필드의 개체수를 보존하거나, 수비력을 영구적으로 낮춘다는 점 덕분에 아래의 바운스 효과 범위 내로 들일 수도 있다. * 어둠과 땅을 공개하면 수비력이 가장 낮은 몬스터를 바운스한다. 대상 비지정에, 비파괴 효과여서 강력한 제거기이나 수비력이 가장 낮은 몬스터만 노릴 수 있어 원하는 대상을 노리기 힘들다. 심지어 이 카드도 바운스될 수 있으나 다행히도 수비력이 2000으로 하급 몬스터 치고는 높은 편이라 이 카드가 바운스될 염려는 적다. 상대 카드를 바운스하는 것으로 견제할 수도 있지만, 이쪽의 카드를 바운스하여 견제로써 벗어나게 하거나, [[비스테드]]나 도고란을 되돌려 한 번 더 쓴다거나 할 수 있다. 가장 낮은 수비력을 가진 몬스터가 필드에 여럿 존재하면 그 중에 1장을 고르고 바운스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19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5 === ==== VS 쟈오롱 ==== [[파일:VS 蛟龍.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쟈오롱,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蛟龍(ジャオロン),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Jiaolong, 레벨=5, 속성=화염, 종족=환룡족, 공격력=2400, 수비력=2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 "VS(뱅키시 소울)"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패를 보여줬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하에서 1개 선택하고\, 그 속성의 패의 몬스터를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화염 : 필드의 몬스터 1장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효과4=●화염 / 화염 : 덱에서 "VS(뱅키시 소울) 쟈오롱" 이외의 "VS(뱅키시 소울)"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등장한 거대한 [[삼절곤]]을 무기로 하는 파이터. 아랑전설, KOF 시리즈의 [[빌리 칸]] 같은 긴 무기를 사용하는 캐릭터가 모티브로 보인다. 또한 라젠과 같은 속성에 필살기 카드의 이름의 유사성에서 라젠의 라이벌 캐릭터로도 보인다. ① 효과는 "VS" 카드의 효과 발동을 위해 패를 보여줬을 경우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즉 레벨5지만 다른 몬스터를 꺼내 효과를 쓰는 것으로 비교적 간단히 꺼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VS의 공통 효과로, 이 카드는 화염 속성과 화염/화염 속성을 공개할 수 있다. * 화염 속성 1장을 보여줬을 경우 필드의 몬스터 1장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표시 형식 변경은 다소 애매한 효과이나 상황에 따라서 쟈오롱의 필드 개체수 증가와 함께 턴킬을 회피하거나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소환을 저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VS 컨티뉴로 수비표시가 된 몬스터를 공격표시로 바꿔서 바로 공격에 참가시키는것도 가능하다. * 화염 속성 2장을 보여줬을 경우에는 자신 이외의 "VS" 카드를 서치해오는 효과로, VS에서 가장 중요한 카드인 라젠을 가져오는 초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이 카드로 라젠을 서치하면서 시작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패에 쟈오롱 1장, 소환 트리거를 충족시켜줄 VS 몬스터 1장과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보여줄 몬스터 1장이 필요하며, 더욱이 쟈오롱의 서치 효과까지 쓰기 위해서 화염 속성의 몬스터 2장이 추가로 필요하므로 실질적으로 패 5장이 전부 조건을 맞춰줘야 한다.] 오히려 라젠으로 이 카드를 가져온 후 라젠의 화염 공개를 트리거로 특소되며 움직이는 상황이 대부분이다. 라젠+화염 속성 몬스터 2핸드로 자신 턴/상대 턴 서치를 진행해 상대 턴 중 모든 VS 몬스터들의 속성 공개 조건을 전부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1장은 채용하며, 최근에는 3장까지 넣는 구축이 많아지고 있다. * 패의 라젠+화염 속성 몬스터 활용 * 라젠 일반 소환, 효과로 자오롱을 패에 추가.[* 라젠 + 자오롱 패일 경우 플루톤을 가져오면 된다.] * 라젠 ① 효과 발동, 패의 화염속성 몬스터를 보여주고, 자오롱을 자오롱 ① 효과로 특수 소환한다. * 라젠을 소재로 록 오브 뱅키셔 링크 소환, 록 오브 뱅키셔 ② 효과로 묘지의 라젠을 패에 넣는다. * 자오롱 ② 효과로 패의 라젠과 화염 속성 몬스터를 보여주고 서치. * 상대 턴에 자오롱 ② 효과로 패의 라젠과 화염 속성 몬스터를 보여주고 서치, 록 오브 뱅키셔 ① 효과로 패의 라젠을 특수 소환해 서치.[* 자신턴 자오롱 + 상대턴 자오롱, 라젠으로 3서치가 되고 패에는 이미 불속성 몬스터가 존재한다. 3서치를 이용해 나머지 땅, 어둠, 원하는 VS 몬스터를 가져와 해당 VS 몬스터의 효과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름인 蛟龍(교룡)은 [[이무기]]를 뜻한다. 중국어로는 Jiao Long이라 읽는데 한어병음 특성상 Long의 실제 발음은 '''롱'''이 아니라 '''룽'''이다. 정발판은 일본판 발음에 따라 쟈오롱으로 번역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23-07-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GOV-JP018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AGE OF OVERLOR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레벨 6 === ==== VS 플루톤HG ==== [[파일:VS プルトンHG.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플루톤HG(에이치 지),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プルトンHG(エイチジー),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Pluton HG, 레벨=6, 속성=화염, 종족=언데드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턴에\, 자신 메인 몬스터 존의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VS(뱅키시 소울)" 몬스터뿐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하에서 1개 선택하여\, 그 속성의 패의 몬스터를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화염 : 이 카드의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0 올린다., 효과4=●어둠 / 땅 :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0 올린다.)] 슬라임 파이터. 블레이블루의 [[아라크네(블레이블루)|아라크네]], 스컬걸즈의 [[더블(스컬걸즈)|더블]]같은 간혹 보이는 비인간형 파이터를 모티브로 했으며, 효과 역시 이런 캐릭터가 다양한 모습을 취하면서 싸우는 것에서 따왔다. ①의 효과는 자신 메인 몬스터 존의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VS 몬스터만 있으면 소환할 수 있는 효과. 따라서 상급 몬스터지만 [[용사(유희왕)|용사]]의 상급 몬스터들처럼 소환하기 쉽다. 다만 상대 턴에만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은 결점. ②의 효과는 VS의 공통 효과로, 이 카드는 화염 속성과 어둠/땅 속성을 공개할 수 있다. * 화염 속성을 공개하면 수비력이 3000이 된다. 상대 턴에 나온다면 대개 수비벽으로 굴려야 하니 이 방법을 써야 한다. * 어둠과 땅을 공개하면 공격력이 3000이 된다. 어태커로써 기능해줄 수 있는 부분. 성능은 다소 애매한데 상대 턴에만 튀어 나올 수 있는데 하는 건 공격력 또는 수비력 변환 뿐이다. 내성도 없이 스텟이 3000인 게 과연 큰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다. 일단 자체적인 효과와는 별개로 덱 전체에서 핵심 초동인 라젠이 자기 효과를 위해 가져올 수 있는 "전사족이 아닌 화염 속성 VS"에 해당하는 유이한 카드이고 새로 나온 쟈오롱도 패에 화염속성 몬스터가 2장 모여야 진가를 발휘하기 때문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카드로, 그 외에는 상대 턴에 맨땅에서 자력으로 나와 헤비 보거 or 바리우스로 잇거나, 더스트데블 및 트리니티 버스트의 효과를 도울 수 있고, 스몰 월드 사용 시 [[비스테드]]나 [[디멘션 어트랙터]]를 시작점으로 라젠을 서치해 오는 중간점이 된다는 의의는 있다.[* 매드러브는 수비력 2000이라 중간점으로 사용 불가능하다.] 어찌 되었건 추가 지원 이후에도 대체로 한 장 정도는 들어가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20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레벨 7 === ==== VS 헤비 보거 ==== [[파일:VS ヘヴィ・ボーガ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헤비 보거,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ヘヴィ・ボーガー,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Heavy Borger, 레벨=7,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25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기계족 이외의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하에서 1개 선택하여\, 그 속성의 패의 몬스터를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어둠 :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4=●땅 / 화염 : 상대에게 1500 데미지를 준다.)] 철권의 [[잭(철권)|잭]]이나 길티기어의 [[포템킨(길티기어)|포템킨]], 블레이블루의 [[아이언 테이거]] 등 격투 게임에서 헤비급을 담당하는 덩치가 거대한 로봇 캐릭터를 모티브로 한 몬스터. 예시로 든 캐릭터들은 전부 가드를 무시하고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잡기(대전액션게임)|잡기]]에 능통한 [[잡기 캐릭터]]들인데, 이 카드도 전투로써 가드가 불가능한 효과 데미지로 상대하는 효과가 있어 잡기 캐릭터의 요소 또한 집어넣은 것으로 보인다. ①의 효과는 기계족 이외의 VS를 되돌리고 소환되는 효과. 따라서 상급 몬스터지만 쉽게 필드에 등장하며, 다른 하급 몹만 뽑는다면 확실하게 나올 수 있다. 특히 라젠은 이 카드를 서치해올 수 있다. 또한 당연하게도, 라젠 등의 중요 VS 몬스터를 필드에서 탈출시켜 대상 지정 견제기 등을 회피하는 용도로도 크게 유용하다. ②의 효과는 VS의 공통 효과로, 이 카드는 어둠 속성과 땅/화염 속성을 공개할 수 있다. * 어둠 속성을 공개하면 덱에서 한장 드로우 할 수 있다. 무난하게 어떠한 상황에서도 아드를 벌어준다. * 땅과 화염을 공개하면 덱에서 상대에게 1500의 효과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데미지가 결코 적은 것도 아닌데다가 중요한 건 이 효과가 프리체인이라는 점이다. 사실상 상대의 드로우 페이즈에도 데미지를 박아넣어 3000의 데미지를 넣을 수 있으며 후공 돌파 성공 후 애매하게 남은 라이프를 확실하게 날려버릴 수 있다. 필드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효과는 없지만, 소환이 간단한 상급 몬스터가 매 턴 1장 드로우까지 가능한 점이 매력적이다. 패의 질이 중요한 VS 덱의 기본 기믹 운용에도 큰 도움이 되고, 패 트랩이나 함정 등 견제 수단 마련까지 기대할 수 있어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과 유사한 운용이 가능하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18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레벨 8 === ==== VS 카이저 바리우스 ==== [include(틀:유희왕/OCG/덱 빌드 팩 커버 카드)] [[파일:VS 龍帝ヴァリウ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카이저 바리우스,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龍帝(カイザー)ヴァリウス,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Caesar Valius, 레벨=8, 속성=땅,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0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드래곤족 이외의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하에서 1개 선택하여\, 그 속성의 패의 몬스터를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땅: 이 턴에\, 앞면 표시의 이 카드는 상대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4=●땅 / 화염 / 어둠: 필드의 다른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투사들을 멸하는 용제라 불리우는 존재. 경이로운 파워의 필살기는 영혼을 깨부순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벽지 플레이버 텍스트 덱 빌드 팩 [[와일드 서바이버즈]]의 커버 카드. 용인 파이터이자 VS의 에이스 몬스터이기도 하다. 일본판 카드명의 "카이저"는 "용제"라 쓰고 "카이저"로 읽는다. ①의 효과는 VS 몬스터를 되돌리고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헤비 보거와 똑같은 효과로, 하급 VS 몬스터 하나만 필드에 나와도 간단하게 필드에 꺼낼 수 있다. 패로 되돌린 몬스터에 따라 VS의 효과 트리거도 만족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라젠과의 궁합이 좋다.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어 상대방의 의표를 찌르는 것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VS의 공통 효과로, 이 카드는 땅 속성과 땅/화염/어둠 속성을 공개할 수 있다. * 땅 속성을 공개하면 그 턴 중 상대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게 된다. 공격력 3000의 상급 몬스터가 효과도 안 받게 되면 제거하기 까다로워진다. 하지만 자신이 효과를 발동해서 얻는 내성이니 체인 당해 막히면 알짤없다. * 어둠, 화염, 땅을 모두 공개하면 다른 카드를 한장 고르고 파괴한다. 거창한 조건치고는 조금 심심하지만 매 턴 마다 프리체인으로 직접적으로 소비되는 코스트없이 비대상으로 상대 카드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은 확실히 강력하다. 디자인적으론 [[블레이블루]]의 [[스사노오(블레이블루)|스사노오]]와 유사하고, 성능적으론 [[고우키]] 등 격투 게임의 보스급 캐릭터를 모티브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②의 효과가 특히 보스 캐릭터를 모티브로 한 것을 드러내는데, 상대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 효과는 대전 액션 게임에 자주 보이는 [[슈퍼아머]]나 보스 몬스터가 상태이상에 빠지지 않는 등 일반 캐릭터에 비해 보정을 받는 것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고, 파괴 효과는 VS몬스터 내에서 유일한 카드의 위치 같은 조건 없이 상대 카드를 제거하는 효과인데 마찬가지로 보스의 강력한 즉사급 공격 같은 타 캐릭터가 쓸 수 없는 기술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조건으로 3장이나 요구하는 건 보통 이런 캐릭터의 커맨드가 [[변태 커맨드]]가 많다는 점을 표현한 듯. '[[덱 빌드 팩]]의 마지막 공개 테마는 미소녀 카드군'이라는 나름 유서깊은 전통 때문에, 팩 이미지 공개 당시부터 일본 커뮤니티에선 '저 외형은 갑주를 입은 모습이고, 그 안에는 아름다운 아가씨가 있을 것이다'라는 식의 현실도피성 농담이 유행한 적이 있다. 머리 뒤로 휘날리는 풍성한 백금발 포니테일 때문에 진짜로 믿은 사람도 있었던 듯하다. 실제 공개 이후로는 [[수상할 정도로 돈이 많은 퍼리|판테라와(?)]] 매드라브가 미소녀 카드군의 전통을 어느정도 반영한 것으로 인정받아 '바리우스 아가씨설'은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21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마법 카드 == === 속공 마법 === ==== VS 더스트데블 ==== [[파일:VS 螺旋流辻風.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더스트데블,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螺旋流辻風(ダストデビル),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Dust Devil,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종류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고르고 뒷면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격투 게임의 모티브는 [[필살기]]. 실제로 격투게임의 일부 필살기들은 무적시간이 존재해서 수세에서 공세로 역전시킬때 쓰이기도 하는데, 카드 역시 상대를 수비상태로 만들어버림으로써 공격권을 가져오는 역할을 하기에 적절한 배치이다. 일러스트는 라젠이 킥을 날리고 있어, 라젠의 [[필살기 카드]]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나선류십풍"이라 쓰고 "더스트데블"이라 읽는다. VS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고 자신 필드의 VS몬스터의 개수만큼 상대 몬스터를 뒷면으로 돌릴 수 있다. 링크 몬스터에게는 쓸 수 없지만 상대 몬스터를 다수 제압할 수 있다. 수비 표시로 소환하는 컨티뉴와 연계하여 상대를 수비로, 이쪽은 공격태세로 갖출 수도 있다. 뒷면 수비 표시 견제는 의외로 강력한 견제로, 지속 효과를 무력화하며 소재 사용에도 지장이 생기게 만들어줄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18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VS 컨티뉴 ==== [[파일:VS コンティニュ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컨티뉴,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コンティニュー,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 Continu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500 LP를 지불하고\, 자신 묘지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거나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라이프를 500지불하고 VS몬스터를 패나 필드로 보낼 수 있다. VS가 테마 내에서 자체적으로 개체수 늘리는 효과가 별로 없다보니 유용하다. 패에 넣으면 다른 몬스터의 효과를 쓸 트리거로 만들 수도 있다. 모티브는 당연히 [[컨티뉴]]. 라이프를 지불해야 하는 코스트는 코인이나 라이프 같은 컨티뉴를 하는 데 소비되는 자원을 의미한다. 일러스트 역시 내용물이 다 새어나올 정도로 엉망진창이 되어 눈물까지 흘릴 수준이 된 플루톤HG에 스포트라이트가 비추는 모습으로, 고전 격투 게임의 컨티뉴 화면을 연상시키는 연출.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25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함정 카드 == === 일반 함정 === ==== VS 트리니티 버스트 ==== [[파일:VS トリニティ・バース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트리니티 버스트,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トリニティ・バースト,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Trinity Burs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는 원래의 속성이 다른 "VS(뱅키시 소울)" 몬스터를 2장까지 패에서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한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그 후\, 대상의 자신 몬스터 및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정면의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주인의 패로 되돌릴 수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에 주인의 패로 되돌아간다.)] 라젠, 헤비 보거, 매드라브가 합체 필살기를 시전하고 있는 모습으로, 효과 특성상 격투게임으로서의 모티브는 [[어시스트(대전액션게임)|어시스트]]로 추정된다. 일러스트의 모습은 헤비 보거의 공격을 매드라브와 라젠이 어시스트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카드 자체도 그야말로 필살기 같은 느낌으로 필드의 VS 몬스터 한 장과 다른 속성의 VS 몬스터를 패에서 2장까지 효과를 무효로 하고 필드에 특수 소환하고 그 몬스터들과 같은 세로열의 카드를 전부 패로 되돌리는 덕분에 이론상 최대 8장[* 상대가 엑스트라 링크를 만들었을 경우로, 각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2장 + 그와 같은 열의 몬스터/마함 각 2장씩 4장 + 원래 필드에 있던 몬스터와 같은 열의 2장까지 합친 수치]에서 기본 2~3장까지 제거가 가능하다. 상대 카드를 최소한 2장은 제거할 수 있지만 몬스터가 효과가 무효화된 상태로 필드로 나가니 다른 역할을 수행해주기 힘들고 패의 카드가 줄어드니 속성 효과를 쓰기도 힘들어진다. 사용하기 전에 가능하다면 몬스터의 효과를 다 써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무한포영]]이나 [[잭나이츠]]를 견제하는 차원에서 그런 경우가 줄어들기 했지만 상대가 같은 세로열의 마법/함정을 두거나 하면 재활용 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26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VS 스노우데블 ==== [[파일:VS 裏螺旋流雪風.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스노우데블,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裏螺旋流雪風(スノーデビル),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Snow Devil,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어둠 / 땅 / 화염 속성 몬스터를 각각 1장까지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보여준 몬스터의 수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각각 적용한다., 효과2=●1장 이상: 상대에게 400 데미지를 준다. 그 후\, 패에서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3=●2장 이상: 상대에게 600 데미지를 준다. 이 턴 중에\,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3장: 상대에게 800 데미지를 준다. 그 후\,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할 수 있다.)] 쟈오롱의 팔살기 카드. "이나선류설풍"이라 쓰고 "스노우데블"이라고 읽는다. 패의 몬스터를 원하는 만큼 보여주면 점점 추가 효과가 생겨나는 구조의 카드. 성공한다는 전제하에 총 1800 데미지, VS 몬스터 추가 전개, 상대 몬스터 파괴, 자기 몬스터들에게 효과 내성이라는 엄청난 메리트를 가져올 수 있다. 다만 일단 패에 속성이 다른 몬스터 3장을 모아두는 것 자체가 상당한 수고가 들어가는 행위이고 VS가 아닌 자신의 몬스터가 3번 효과에 말려드는 위험이 있다. 그게 아니더라도 핵심 카드 중 하나인 록 오브 뱅키셔도 말려드는 게 뼈 아프다. 하지만 2장만 모아도 쓸 수 있는 효과 파괴 내성도 바리우스의 선택해서 얻어야 하는 내성 효과 정도를 빼면 내성이 없던 VS에게는 쓸만한 효과이다. 모티브는 격투기 게임의 차지 필살기로 보인다. 1-2종류 모으고 발동해도 되는 건 중간 단계 차지를 한 후 쓰는 필살기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카드의 이름이 라젠의 필살기인 더스트데블과 유사하고 바리우스처럼 어둠 / 땅 / 화염 몬스터를 보여주고 효과 발휘와 효과 데미지 등의 요소로 보아 쟈오롱과 라젠[* 둘 다 같은 화염 속성이고 무기가 일반적인 것과 사이즈가 다른 무림풍인 톤파와 삼절곤이다], 바리우스[* 종족 역시 서로 관계가 있는 드래곤족/환룡족이다] 사이의 모종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록 시리즈 || ||<(> 2023-07-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GOV-JP078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AGE OF OVERLOR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카운터 함정 === ==== VS 캘러미티 카이저 ==== [[파일:VS 龍帝ノ槍.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VS(뱅키시 소울) 캘러미티 카이저, 일어판명칭=VS(ヴァンキッシュ・ソウル) 龍帝ノ槍(カラミティ・カイザー), 영어판명칭=Vanquish Soul Calamity Caesar,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VS(뱅키시 소울)"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를 상대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줄 수 있다.)] 용제의 창이라 쓰고 캘러미티 카이저라고 읽는다. 어떤 식으로든 상대의 효과의 대상만 되면 막을 수 있고 최대 3000, 못해도 1200이라는 큰 번뎀을 줄 수 있다. 번뎀이 꽤나 높게 나올 수도 있어 낮은 라이프의 상대의 행동을 제약하는 것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안 쓰인다. 대상 효과가 아니면 못 쓰기 때문에 [[번개(유희왕)|번개]]나 [[해피의 깃털]]같은 돌파 카드를 막기 힘들고, VS는 헤비 보거와 카이저 바리우스의 자체특소 효과로 대상 지정 효과를 회피할 수 있는 데다 상대 입장에서 (매치업이나 상황에 따라, 센만 등의 영속류를 제외하면) 다른 지속물은 견제 우선 순위가 높지 않기 때문. 카이저 바리우스의 필살기로 보인다. 효과의 컨셉은 격투 게임의 [[반격기]]. 발동을 무효화하고 데미지를 주는 것은 보스 캐릭터의 이런 기술들이 상대의 장풍 등을 무시하고 공격하는 걸 표현한 듯.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27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서포트 링크 몬스터 카드 == === 링크 1 === ==== 록 오브 뱅키셔 ==== [[파일:闘神の虚像.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록 오브 뱅키셔, 일어판명칭=闘神の虚像(ロック・オブ・ヴァンキッシャー), 영어판명칭=Rock of the Vanquisher, 레벨=1, link2=, 속성=어둠, 종족=암석족, 공격력=0, 소재="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 효과외1=이 카드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VS(뱅키시 소울)"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밖에 상대는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패에서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4=●자신 묘지에서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VS 몬스터 1장을 소재로 꺼낼 수 있는 서포트형 링크 몬스터 카드. "투신의 허상"이라 쓰고 "록 오브 뱅키셔"라고 읽는다. 공격력은 0이지만, VS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내 필드에서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만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지속 효과에 의해 스스로 보호받을 수 있다. 2번 효과가 이 카드의 핵심으로, 매 턴 메인 페이즈에 패의 VS 몬스터 하나를 꺼내거나 묘지의 VS 몬스터 하나를 회수할 수 있다. 다른 VS 몬스터들처럼 상대 턴에도 프리체인으로 발동할 수 있으며, 이 카드의 소재로써 묘지에 묻은 몬스터도 즉시 회수해올 수 있다. 라젠을 꺼내 공통 효과 발동을 위한 자원을 수급하고, 이를 헤비 보거나 바리우스 등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쓸 수 있다. 파이터가 아닌 스테이지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링크 몬스터지만 몬스터의 모습이 아니고 전투 능력이 없는 것이 [[고스트릭]]의 고스트릭 페스티벌을 연상시킨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22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서포트 마법 카드 == === 일반 마법 === ==== Stake Your Soul! ==== [[파일:Stake Your Soul!.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Stake(스테이크) Your(유어) Soul(소울)!, 일어판명칭=Stake(ステイク) Your(ユア) Soul(ソウル)!, 영어판명칭=Stake your Soul!,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보여준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르고\, 속성이 같은 "VS(뱅키시 소울)"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에 주인의 패로 되돌아간다.)] >투사들에 의한 격렬한 싸움의 시작을 알리는 맹렬한 우레가 디자인된 프로텍터. >Stake Your Soul! READY!! >---- >[[유희왕 마스터 듀얼]] 프로텍터 플레이버 텍스트 뜻은 "너의 영혼을 걸어라!" 라는 의미, 테마 설명에서도 영혼을 베팅한 무대에서 강력한 필살기를 결정하고 승리를 잡아라! 라는 것을 보면 작중 설정상 영혼을 걸고 싸워야 되는 것으로 보인다. 패에서 몬스터를 보여주고 그것과 속성이 같은 VS를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 VS 명칭이 아닌지라 매드라브로 서치할 수 없어 직접 잡아야 한다. 그래도 우라라나 플루톤HG 등 아무 화염 속성 몬스터들을 손쉽게 라젠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패에서 일단 몬스터를 보여줬다면 효과 처리시 패에 존재하지 않아도 적용되기에 이 카드를 우라라를 보여주고 발동시 상대가 증G를 발동했다면 우라라로 체인해 증G를 무효하고 패에는 보여준 우라라가 없어졌지만 정상적으로 덱에서 특수 소환된다. 또한 이 턴의 엔드 페이즈라는 말이 없기에 어떠한 이유로 이 카드로 소환된 몬스터가 발동한 턴 필드에 남아도 다음 턴 엔드 페이즈에 패로 돌아온다. 격투 게임으로서의 모티브는 캐릭터 선택창 또는 매치업 화면으로 추정된다. 판테라와 카이저 바리우스의 결투가 벌어지는 모양. Stake Your Soul!이 아마 [[철권 시리즈]]의 '''Get Ready for the Next Battle''' 같은 게임 시작 전의 아나운스 대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덤으로 가운데의 번개 이펙트가 VS 모양을 띄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3-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WS-JP023 | '''[[와일드 서바이버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ワイルド・サバイバ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 * [[증원(유희왕)|증원]] 핵심 초동인 라젠을 서치해올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최중요 파츠라고 할 수 있다. * [[BK(유희왕)#BK 킹 뎀프시|BK 킹 뎀프시]]+[[패러렐엑시드]] VS 몬스터를 필드에 낼 수만 있다면 록 오브 뱅키셔를 소환해 뽑아 라젠을 서치할 수 있다. 그러나 패러렐엑시드는 VS의 속성 공개에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는 바람 속성이며, 라젠의 특수 소환을 제외하고만 봐도 증식의 G를 맞으면 4드로우를 주기에 채용률은 낮은 편이다. * [[스몰 월드(유희왕)|스몰 월드]] 몬스터들의 종족과 스테이터스가 제각각이라 쓸 수 있는 유용한 서치 카드. 핵심 초동인 라젠을 비롯한 다양한 카드를 가지고 올 수 있다. * [[센서 만별]] 상기했듯, 지원 카드인 록 오브 뱅키셔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이 서로 종족이 다르므로 상대의 행동에 제동을 거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센서 만별과 같은 세로열에 놓은 함정을 판테라로 파괴하려고 하면 같이 깨질 수 있다. * [[쿠리카라천동]] 후공 돌파능력이 부족한 뱅키시 소울에게 있어서 상당히 괜찮은 후공 돌파용 카드이며, 뱅키시 소울 특성상 패의 몬스터를 보여줘야 하므로 화염 속성 몬스터로써 일부러 상대에게 보여줘서 상대를 간접적으로 견제도 가능. 패에 잡혔을 경우 라젠을 서치하기 위한 스몰 월드의 시작점으로도 사용 가능. 그러나 화염 속성 / 수비력 1500이라는 2개의 스텟이 라젠과 겹쳐 이 카드가 덱에 있을 경우 스몰 월드의 중간점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은 주의. * [[파괴수(유희왕)#노염파괴수 도고란|노염파괴수 도고란]] 기본적인 역할은 천동과 같으나 라젠을 서치하기 위한 스몰 월드의 경유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후공돌파가 부족한 뱅키시 소울의 후공 돌파로써 기능하고, 뱅키시 소울의 효과 발동을 위한 화염 속성 몬스터로서도 기능한다. 낮은 수비력 덕분에 매드라브로 바운스시켜 [[파괴수카구야]]처럼 상대 몬스터 2체를 릴리스할수도 있다. * [[크샤트리라 펜리르]]+[[크샤트리라#크샤트리라 라이즈하트|크샤트리라 라이즈하트]]+[[크샤트리라#육세괴=파라이조스|육세괴=파라이조스]] (마스터 듀얼 한정) 펜리르의 카드 단독 성능 및 후공 돌파 능력이 매우 뛰어나면서, 펜리르의 서치 효과도 펜리르(땅 속성)나 라이즈하트(화염 속성)중 필요한 속성으로 가져올 수 있어서 뱅키시 소울과의 시너지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육세괴-파라이조스를 투입하여 펜리르를 서치할 수 있으며, 서치 효과가 막히더라도 육세괴가 필드에 남아있으면 몬스터의 공격력 상승에 기여한다. *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 비스테드+매드라브, 우라라+헤비 보거 등의 조합으로 나오며, 보통은 효과 내성을 버리고 필드의 카드를 제외하는 3500타점의 몬스터로 사용한다. 파괴 내성을 가진 몬스터를 치우기 껄끄러운 VS에게 상당히 유용한 몬스터. * [[비스테드]] VS의 대응 속성 중 하나인 어둠 속성 용병 카드군. 전술했다시피 매드라브와 조합하여 앙헬을 낼 수도 있고, 무엇보다 마그나무트의 제약 없는 드래곤족 서치 효과로 다른 비스테드는 물론 바리우스도 서치할 수 있어 궁합이 매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