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VSSK}}}'''[br]''Винтовка Снайперская Специальная Крупнокалиберная''[br]''특수목적 대구경 저격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ovoe_426.jpg|width=100%]]}}}|| || '''종류''' ||[[대물 저격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4년]]~현재 || || '''개발''' ||TsKIB SOO || || '''개발년도''' ||[[2002년]] || || '''생산''' ||TsKIB SOO || || '''생산년도''' ||[[2002년]]~현재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White '''기종'''}}} || || '''파생형''' ||MTs-558 || ||<-2> {{{#White '''제원'''}}} || || '''탄약''' ||[[12.7×55 mm]] || || '''급탄''' ||5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 || || '''총열길이''' ||450mm || || '''전장''' ||1,120mm (소음기 장착) || || '''전고''' ||220mm || || '''중량''' ||7kg || || '''탄속''' ||300m/s || || '''유효사거리''' ||600m || || '''최대사거리''' ||8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14450274.jpg|width=600]] ВССК(Винтовка Снайперская Специальная Крупнокалиберная) «Выхлоп», ВКС VSSK('''V'''intovka '''S'''nayperskaya '''S'''petsialnaya '''K'''rupnokalibernaya) "Vykhlop",[* 비흘로프. 배기관/배기가스(Exhaust)란 뜻으로 보면 된다.] VKS 특수목적 대구경 저격소총 [[GRAU 코드명]]: 6С8(6S8) [[러시아]]에서 개발한 [[50구경]] [[불펍]] 소음 [[저격 소총]]. 팔뚝만한 [[소음기]]가 특징이며. 소음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탄자가 굵직하고 무거운 전용 아음속탄을 사용한다. 작동방식은 특이하게도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이며, 소음기와 탄창을 포함한 무게는 겉보기보다 가벼운 7kg이다. 대부분 [[스페츠나츠]] 요구 하에 만들어진 [[VSS 빈토레즈|아음속탄 저격소총]]과 달리, 이 녀석은 [[FSB|'''러시아 연방 보안국(FSB)''']] 요구 생산이라는 후덜덜한 출생신분을 자랑한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vyhlop.jpg|width=100%]]}}} || || VSSK 프로토타입. PKS-07 7배율 조준경을 장착했다. || 600m 내에서 1 [[MOA]][* 100야드 떨어져서 쏠 경우 1인치 내에 탄착군이 형성된다는 말. 볼트 액션 소총은 Sub-MOA급 탄착군을 추구한다지만 애초에 긴 사거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1 [[MOA]]의 명중률로 충분히 인간 머리 크기 목표물을 백발백중으로 맞출 수 있다. 반자동 저격 소총 중에서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또한 저격용 탄환 사용 시 1 [[MOA]]]라는 우수한 정확도를 자랑한다고 한다. 일반 [[볼트액션]]식 저격소총이 저 정도 거리에서 1 MOA도 안 나온다면 수준 이하이다.[* 미국이나 영국, 러시아, 핀란드 같은 유서 깊은 저격총 생산국가들은 현재 0.5 MOA 이하의 저격 총기를 찍어내고 있으며, 장인이 수제 제작하거나 일일이 정밀기계로 측정하며 건스미싱한 총기는 0.25 가량 찍는 총기도 있다. [[CNC]] 공법의 발달로 우리나라나 터키, 이스라엘 같이 저격 총기 개발에 후발주자인 국가들도 공업기술이 받쳐준다면 처음 만드는 저격총임에도 1 MOA 이하를 찍는 경우가 많다. [[K14 저격소총|K-14]] 항목 참조] 그런데 아음속탄은 총구 탄속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저 정도 거리에서 명중률이 저 정도라면 상당히 우수한 편이다.[* 아음속은 탄도가 곧지 않다. 그래서 정확성이 일반 초음속 탄보다 떨어진다.] 게다가 이 수치는 매치 그레이드 전용 고정밀 탄약인 SP-130PT2탄이 아닌 프로토타입 실험용 탄약을 써서 측정한 수치이며, 공개용 수치이다. 전용 매치 그레이드 탄을 썼을 때의 실제 성능은 더 우수할 수 있다는 이야기. 다만 탄의 길이가 같은 50구경 탄환인 .50 BMG의 1/2밖에 안돼서 관통력 자체는 일반적인 12.7mm 탄보다 다소 약한 편이라 대물저격 목적으로 쓰기 힘들 것 같지만... 위 동영상에서는 150mm 벽돌을 관통하며, 철갑탄으로 250m 거리에서 16mm 두께의 철판도 관통하여 [[BMP-3]] 장갑차의 취약 부위(CITV)를 타격해 무력화하는 장면을 시연했다. 운동 에너지를 유지하면서 탄환 속도를 아음속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탄자의 무게를 엄청나게 늘린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다만 이 때문에 일반적인 12.7mm 탄들보다 사거리가 매우 짧다. 대신 600m 이내에서 [[NIJ 인증|NIJ]] 4등급 [[방탄복]] 즉 일반적으로 사람이 입을 수 있는 방탄복들은 모두 관통이 가능하며, 장갑차의 취약부위를 노려서 관통시킬 수 있다. == 탄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572345345.jpg|width=100%]]}}} || || 왼쪽부터 [[.338 Lapua Magnum|.338 라푸아 매그넘]] 탄피에 [[7.62 mm]] 탄자를 물린 STs-152 .300 라푸아 매그넘탄, 라푸아 매그넘 탄피를 좀 줄이고 [[12.7mm]] 탄자를 물린 STs-130탄, 그리고 가운데는 8.6x70mm 규격의 [[.338 Lapua Magnum|라푸아 매그넘]] STs-152다. || [[12.7×55mm]] STs-130 아음속탄은 [[.338 Lapua Magnum|.338 라푸아 매그넘]]의 탄피를 줄이고 탄두에 무려 '''76 g 짜리 탄자'''[* [[.50 BMG]] 탄자보다 무겁다.]를 물려넣은 것이다. 덕분에 아음속 탄환임에도 불구하고 250m 이내 거리에서 16mm 두께의 강철판을 관통할 수 있다. STs-130탄 계열은 고정밀 저격용 탄약, [[성형작약]]이 들어간 탄약, 훈련용 탄약 등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382923092059453.jpg|width=100%]]}}} || || 사진 왼쪽의 [[ASh-12.7]]에서 사용하는 12.7×55mm PS-12, PD-12탄은 STs-130 탄에 탄자 크기를 줄여서 휴대성을 높힌 탄환이며, 가벼운 STs-177 탄은 RSh-12 같은 [[리볼버]] 용도로 제작된 탄이다. || [[파일:No2422748 rus.jpg|width=530]] 탄피가 동일규격이지만 탄자 길이 차이가 워낙 크기 때문에 PS-12, PD-12탄은 12.7×54mm라고 비공식적으로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 실제로 해당탄환에 대한 러시아 특허청 자료를 보면 STs-130 탄은 PS-12, PD-12탄보다 탄자가 커서 탄창에 총알이 단열로 들어간다. 그래서 [[ASh-12.7]]는 동일한 크기에 10발이 들어가지만 VSSK는 5발만 들어간다. [[ASh-12.7]] 처럼 긴 바나나형 탄창을 써도 20발은 커녕 10발만 들어갈 것으로 보이며, 이러면 엎드려쏴 사격 시 탄창 크기로 몸을 세워야 할것으로 보인다. == 파생형 또는 유사 총기 == [[파일:foto_4-_strelba_iz_vintovki_vsv.jpg]] [[.338 Lapua Magnum|.338 라푸아 매그넘]]이나 .300 라푸아 매그넘 같은 초음속탄을 쓰는 파생형도 [[FSB]]에 같이 채용되었다. 2012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하는 민수용 저격총인 MTs-558도 출시되었다. [[파일:6234674523.jpg]] 민수용 파생형이라고 알려진 [[http://guns.wikia.com/wiki/MTs-558|MTs-558]]도 .300 라푸아 매그넘과 [[.338 Lapua Magnum|.338 라푸아 매그넘]], 12.7mm STs-130 등 다양한 총탄을 사용하는 버전이 각각 있으며, 좌우 대칭으로 왼손잡이도 쓰기 편하고, [[피카티니 레일]]이 도배된 것을 알 수 있다. FSB는 이 탄을 일부 개조해서 쓰는 '''근접전용 불펍 돌격 소총'''(!!!)인 [[ASh-12.7]]까지 같은 설계국에서 주문해서 쓰고 있다. 물론 소음기를 끼우면 소음 성능도 얻을 수 있지만 그보다는 요즘 범죄자들처럼 건방지게 방탄복을 차려입은 목표에 엄청나게 무거운 탄자를 쏴서 방탄복째 걸레로 만들어주겠다(...)는 의미이다. 수직 손잡이와 [[도트사이트]]를 비롯한 각종 악세사리를 달기 위해 [[Rail Integration System|RIS]]로 도배된 것을 볼 수 있다. [[ASh-12.7]]과 같은 탄종을 쓰는 [[RSh-12]]라는 이름을 가진 '''[[리볼버]]'''까지 목격되었다. "돌격" 리볼버라는 별칭이 붙었는데, 과연... == 창작물에서 == [youtube(ITaMZwUWRrQ)] 동구권 총기에다가 비밀기관에서 쓰는 총이기도 해서 자료가 적어서 그런지, 나오는 매체도 적고, 총기 묘사도 실제와 약간 다르다. 스트레이트 풀 볼트액션인 실제 총과 달리 반자동으로 사격이 가능하다든지. * [[고스트 리콘 브레이크포인트]] - 정복 모드 업데이트 이후 등장했다. .338 라푸아 매그넘탄 버전이며, 탄도는 그리 좋지 않지만 대구경 탄환 소총 치고는 소음 감소 수치가 꽤 높다. 볼트액션 모션은 다른 볼트액션 총기들에 쓰이는 데이터를 그대로 복붙했다. *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 - [[DLC]]인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DLC 팩|Faction Pack 과 Developer Pack]] 에 등장한다. 특히 Faction 팩의 '스나이퍼 팀' 미션에서 [[붉은 라인]] 소속 저격수가 되어 이 총으로 [[제4제국]] 병사들을 하나하나 저격하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서도 스트레이트-풀 볼트 액션 총기를 반자동으로 바꾸는 [[창작물의 반영 오류|재현 오류]]를 저지른다. * [[서바리움]] * [[스나이퍼: 고스트 워리어 컨트랙트]] - 주인공이 구매할 수 있는 무기 중 하나로 등장한다. 등장 이름은 KSV-2020.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 1.13모드에도 등장. 위 항목에 설명된 본 총기의 특징들을 아주 잘 구현해낸 편이다. 시가전에서 룹탑 스나이퍼로 운용할 때에나 혹은 야간 수비전에서 주로 빛을 발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 기본옵션으로 소음기 장착 총기라 사정거리에 따른 데미지 감소가 있으나 워낙 데미지가 커서 그럭저럭, 거기다 탄창도 제일 커서 스텔스 저격 클래스용. 다만 스트레이트-풀 볼트 액션 총기를 반자동으로 바꾸는 [[창작물의 반영 오류|재현 오류]]를…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 동일 탄을 사용하는 [[ASh-12.7]]에 VSSK의 팔뚝만한 소음기를 부착해 외형을 구현할 수 있다. * ARMA 시리즈 * [[ARMA 2]] - [[바렛 M82|M107]]에 대항하는 동구권의 [[대물 저격소총]]으로 등장한다. * [[ARMA 3]] - Marksman DLC 업데이트로 형태는 [[VSS 빈토레즈]]이지만 똑같은 탄을 사용하는 총이 등장한다. * [[Ring of Elysium]] - 보급 상자에서 등장하며, 데미지가 보급전용 무기인 M200과 맞먹는다! 다만, 소음기때문인지는 몰라도, 사거리가 AR류 보단 낮지만, 기관단총보단 길다. 연장총열 없이 대략 50m 연장총열 있으면 약 100m 정도 탄종은 .50[* 실제 설명으로나 또 다른 동일 탄종 사용 총기인 [[IMI Desert Eagle|Desert Eagle]]로 봐서는 [[50구경|50AE]]를 사용하는 것 같다.]으로, 실제 동일한 탄종은 아니지만, [[PUBG: BATTLEGROUNDS|PUBG]]의 전례를 토대삼아 구경별로 탄종을 합쳐서 취급한 것 같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대물 저격소총]][[분류:볼트 액션 소총]][[분류:불펍]][[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KBP]][[분류:200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