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69년 노래]][[분류:1969년 싱글]][[분류:1986년 노래]][[분류:1986년 싱글]][[분류:댄스 팝]][[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 [목차] == 쇼킹 블루의 오리지널 버전 == ||||<#fff,#191919><-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곡'''}}}}}} || || ''[[I Want You Back]]'' [[잭슨 5|{{{-2 {{{#8086a0 The Jackson 5}}}}}}]] || {{{+1 →}}} || ''' Venus ''' '''{{{-2 {{{#8086a0 Shocking Blue}}}}}}''' || {{{+1 →}}} || ''[[Thank You (Falettinme Be Mice Elf Agin)]]'' / ''[[Everybody Is a Star]]''[br][[Sly & the Family Stone|{{{-2 {{{#8086a0 Sly & the Family Stone}}}}}}]] || [youtube(8LhkyyCvUHk)] 원곡은 [[네덜란드]]의 록밴드 쇼킹 블루(Shocking Blue)가 1969년에 발표했다. 이 곡은 1970년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1970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33위에 올랐다. 후에 영국 걸그룹 [[Bananarama]]가 1986년에 부른 [[Dance-pop|댄스 팝]] 풍의 커버 버전 역시 빌보드 핫 100 1위에 오르며 원곡과 커버 버전이 모두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곡이 되었다. [[기타프릭스]] 5th & [[드럼매니아]] 4th에 판권곡으로 실린 적이 있었는데, 그냥 고만고만한 난이도였지만 원곡의 인지도가 꽤 높아서 당시 초보자들이 흔히 고르는 곡 중 하나였다. 여담이지만 이 곡이 한국의 스탠드업 코미디 프로그램인 [[폭소클럽]]의 [[화니지니]]라는 코너의 [[https://youtu.be/G_eN2c18Eu4?t=13|오프닝곡으로 쓰였다.]] === 가사 === || A goddess on a mountain top Was burning like a silver flame The summit of beauty and love And Venus was her name She's got it Yeah, baby, she's got it Well, I'm your Venus I'm your fire, at your desire Well, I'm your Venus I'm your fire, at your desire Her weapons were her crystal eyes Making every man mad Black as the dark night she was Got what no one else had, whoa! She's got it Yeah, baby, she's got it Well, I'm your Venus I'm your fire, at your desire Well, I'm your Venus I'm your fire, at your desire She's got it Yeah, baby, she's got it Well, I'm your Venus I'm your fire, at your desire Well, I'm your Venus I'm your fire, at your desire || == [[Bananarama]]의 커버 버전 == ||||<#fff,#191919><-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곡'''}}}}}} || || ''[[Higher Love]]'' {{{-2 {{{#8086a0 Steve Winwood}}}}}} || {{{+1 →}}} || ''' Venus ''' '''[[Bananarama|{{{-2 {{{#8086a0 Bananarama}}}}}}]]''' || {{{+1 →}}} || ''[[Take My Breath Away]]''[br]{{{-2 {{{#8086a0 Berlin}}}}}} || [youtube(d4-1ASpdT1Y)] 1986년에 발매된 곡으로 당대 영국을 풍미했던 프로듀서 그룹 [[스톡 에이트켄 워터맨]]이 편곡한 이 노래는 전 세계적인 히트곡이 되었다.[* 이 곡의 커버를 제안한 사람은 멤버 Siobhan Fahey였다고 한다. 당시 자신이 새로 좋아하게 된 노래였다고 한다.] 빌보드 핫 100 1위, [[1986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38위에 올랐다. 바나나라마 버전이 [[싸이]]의 데뷔곡 '[[새(싸이)]]'에 샘플링 된 곡이기도 하며, 한국에서 [[로티플스카이]](당시 [[하늘]])이라는 가수가 '웃기네'라는 이름으로 번안해서 인기를 얻기도 했다. 바나나라마 버전은 [[박석민]]과 [[김상호(1989)|김상호]] 선수 응원가이기도 하다. SBS 예능 [[불타는 청춘]]에서도 이 버전이 오프닝 곡으로 사용되었다. === 공식 리믹스 === [YouTube(9LNTCLhLk_A)] Boyz Noise Remix Edit [[트랜스(음악)#s-4.7|사이키델릭 트랜스]] 리믹스이다. == [[오기노메 요코|오기노메 요코(荻野目洋子)]]의 커버 버전 == [youtube(O3wFaNp_8JA)] 댄싱 히어로로 유명한 일본의 여가수 오기노메 요코가 1986년에 발매한 『NON-STOPPER 荻野目洋子 "The BEAT" Special』 앨범에 수록된 곡이다. 같은 번안곡인 댄싱 히어로보다 덜 유명하다. == 나가야마 요코(長山洋子)의 커버 버전 == [youtube(aMqZZotrLNY)] 오기노메 요코가 부른 버전과 같은 해에 발매되었고 일본 내에서 오기노메 요코가 부른 비너스보다 더 많이 알려졌다. 들어보면 알겠지만 오기노메 요코가 부른 것과 가사가 다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비너스, version=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