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global_finals_logo_300.png|width=250]] || ||<-3> '''{{{+5 {{{#white WCS Global Finals}}}}}}''' || || '''{{{#white 주최, 주관}}}''' ||<-2>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100]]]] || || '''{{{#white 개최지}}}''' ||<-2>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애너하임[* 대회가 창설되었던 2012년은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하였는데, 이듬해 2013년 통합체제 이후로는 모두 미국 애너하임에서 개최되었다.] || || '''{{{#white 최근 우승자}}}''' ||<-2> 박령우(Dark) || || '''{{{#white 최다 우승자}}}''' ||<-2> 김유진(sOs)(2회) || || '''{{{#white 최다 우승국}}}''' ||<-2> 대한민국(6회)[*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9] || [목차] == 개요 == || [[파일:global_finals_crowd.jpg|width=300]] || [[파일:globalfinals2019.png|width=300]] || || [[애너하임 컨벤션센터]] 아레나에서 개최되고 있는[br][[2016 WCS Global Finals]]. || [[2019년]], 3년 만에 돌아온 아레나에서 개최되는[br][[2019 WCS Global Finals]]. ||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주최·주관한 [[스타크래프트 2]] 한 해의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를 마무리하는 대단원이자, 최종 결선 대회였다.[* 연초의 최강자 타이틀은 IEM Katowice에서 결정났다.] 당대 최상위 티어 대회로서, 상금 또한 가장 많은 대회이기도 하였다. 매년 11월 즈음에 [[미국]] [[애너하임]]에서 치러졌으며, WCS Korea(GSL 진영) 포인트 상위 8명과 WCS Circuit 포인트 상위 8명, 총 16명이 경쟁하여 WCS Global Finals 우승자를 가렸다. == 선출 방법 == === 2013년 ~ 2014년 === WCS 포인트가 걸려 있는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포인트를 가장 많이 모은 16명까지가 블리즈컨행 티켓을 얻을 수 있다. 2013년에는 시즌 파이널이란 개념이 있었으나 2014년에 없어졌다. WCS 공인 대회나 블리자드에서 주최하는 프리미어 대회에서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이 시기에는 한국, 유럽, 아메리카 세 지역으로 나누어 프리미어 대회가 진행되나, 지역 제한은 없다. 그에 따라 기량이 더 높은 한국 선수들의 독식이 이루어졌다. === 2015년 === 선출 방식 자체는 13, 14년도와 동일하다. 상위 16명이 블리즈컨에 진출한다. 그러나 하나의 특징이 있다면 15시즌은 말 그대로 한국의, 한국의 의한, 한국을 위한 시즌이었다. 한국 지역에만 [[GSL]], [[SSL Series|SSL]]이라는 양대리그를 열고 비 한국 지역에는 프리미어 대회가 단 하나밖에 없었다. 다행히도(?) 프랑스 선수 한 명이 진출했으나, 16강에서 광탈했다.(...) === 2016년 ~ 2019년 === 16년도부터 드디어 비 한국 지역의 숨통이 트이기 시작했다. 비 한국 대회의 한국인 참가를 제한하고, 절반인 8자리를 비 한국 지역에 할당하면서, WCS Korea 상위 8명과 WCS Circuit 상위 8명, 총 16명이 WCS Global Finals에 진출하게 된다. 그 결과, 마침내 비 한국인 결승 진출자들이 나오기도 했으며, 우승까지 거머쥐기도 하였다. == 폐지 == 2020년부터는 기존의 체제인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가 중단되고, [[Electronic Sports League]](ESL)에서 스타크래프트 2 e스포츠 판권을 사들여 이관되면서 [[ESL Pro Tour StarCraft II]]라는 이름으로 스타크래프트 2 e스포츠 연간 체제가 유지된다. 이로써 기존의 WCS Global Finals 위상은 Masters Championship 급의 [[IEM Katowice 2021/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1]]로 대체되었다.[* 이전까지의 IEM Katowice 대회와는 달리 한 해 동안 가장 높은 포인트를 쌓은 선수들만이 참가 가능하게 바뀌었다.] == 역대 대회 == [include(틀:WCS Global Finals/역대 우승자)] [include(틀:WCS Global Finals/역대 준우승자)] * [[배틀넷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SC2 2012 글로벌 파이널 상하이]] * 우승자: [[원이삭]] * 준우승자: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 [[2013 WCS Global Finals]] * 우승자: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2013년 통합체제 최초의 WCS 글로벌 파이널 우승자.] * 준우승자: [[이제동]][*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우승자 출신 중 WCS 글로벌 파이널 최초이자, 유일한 결승 진출자.] * [[2014 WCS Global Finals]] * 우승자: '''기록 말소'''[* 당시 우승자 --[[이승현(1997)|Life 이승현]]--은 이후 [[스타크래프트 2 승부조작 사건]]으로 영구 제명을 당하여 모든 기록이 말소됨] * 준우승자: [[문성원]] * [[2015 WCS Global Finals]] * 우승자: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총 2회 우승으로 WCS 글로벌 파이널 최다 우승자.] * 준우승자: '''기록 말소'''[* 2014년 기록 말소자와 동일 인물(...).] * [[2016 WCS Global Finals]] * 우승자: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 준우승자: [[박령우]] * [[2017 WCS Global Finals]] * 우승자: [[이병렬]] * 준우승자: [[어윤수]] * [[2018 WCS Global Finals]] * 우승자: [[요나 소탈라]][* WCS 글로벌 파이널 최초의 비 한국인 우승자.] * 준우승자: [[김대엽]] * [[2019 WCS Global Finals]] * 우승자: [[박령우]][* WCS 글로벌 파이널 체제 마지막 우승자.] * 준우승자: [[리카르도 로미티]][* 당시 17세의 나이로 WCS 글로벌 파이널 최연소 결승 진출자.] == 둘러보기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 주요 대회)] [[분류:스타크래프트 2/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