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FFF {{{+3 '''WHL0137-LS(Earendel)'''}}}}}}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파일:The_Sunrise_Arc_galaxy_with_lensed_star_Earendel_-b.pn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1h 37m 23.232s || || {{{#FFFFFF 적위}}} || -8° 27’ 52.20” || || {{{#FFFFFF 별자리}}} || [[고래자리]] || ||<-2> {{{#FFFFFF '''겉보기 등급'''}}} || +27.2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거리'''}}} || 27,809,104,000 [[광년]][br]8,530,400,000 [[파섹]][br](광행거리) 12,900,000,000 [[광년]][br](광행거리) 3,957,000,000[[파섹]] || ||<-2> {{{#FFFFFF '''적색편이량'''}}} || z = 6.2±0.1 || ||<-2> {{{#FFFFFF '''질량'''}}} || 50~100''M'',,☉,, || ||<-2> {{{#FFFFFF '''온도'''}}} || > 20,000 [[켈빈|K]] || ||<-3> {{{#FFFFFF '''명칭'''}}} || ||<-3> WHL0137-LS ,Earendel || [목차] == 개요 == WHL0137-LS은 [[고래자리]]에서 발견된 [[항성]]이다. Earendel이라고도 부르며 [[고대 영어]]로 [[샛별]], 떠오르는 빛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J. R. R. 톨킨]]의 [[실마릴리온]]의 등장인물인 [[에아렌딜]]에서 따온 이름이기도 하다. == 발견 == 이 거성은 WHL0137-08 은하단에 의한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해 [[2022년]] [[3월 30일]]에 관측되었다. 발견 당시 WHL0137-08 은하단[* 이 은하단도 z=0.566, 약 70억 광년 떨어져있다.]에 의해 빛이 왜곡되어 생성된 붉은 고리[* 이 별의 모은하인 WHL0137-zD1이며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해 [[초승달]]처럼 왜곡되어 Sunrise Arc라고 이름 붙여졌다.]에 한 점으로 나타났으며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빛의 밝기는 10,000배에서 최대 40,000배 확대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이 별을 [[2016년]]부터 4번에 걸쳐 관측했으며, 데이터 분석을 통해 그 정체가 드러나게 되었다. [[2022년]] [[7월 30일]]에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이 공개되었다. [[https://www.space.com/james-webb-space-telescope-earendel-most-distant-star|#]] == 특징 == 천체 관측 사상 '''가장 먼 곳에서 관측된 별'''이다. 직전 기록은 [[2018년]] 허블에 의해 관측된 [[우리 은하]]에서 [[이카로스(천체)|약 140억 광년 떨어진 별]]이었지만, 이 별은 광행 거리로만 따져봐도 '''129억 광년''',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약 280억 광년'''이라는 엄청난 거리에서 날아온 빛이 관측된 것이다. 이 거리대에서 관측된 [[천체]]는 대부분 [[퀘이사]], [[은하]], [[감마선 폭발]]이 주가 되었으나 이번에 이런 '''[[심우주]]에서 최초로 [[항성]] 하나를 특정해 관측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 별은 [[빅뱅]] 이후 9억 년 정도 시점에 태어났을 것으로 보이고 태양보다 훨씬 질량이 큰 별들이 그렇듯 수 백만년후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고 이미 [[블랙홀]]이 됐을 가능성이 높다. 표면 유효온도는 약 20,000K 정도로 측정되었다. 이 항성이 이른바 우주 최초의 별이라고 불리는 종족 III 항성[* 현재 남아있는 별들과 달리 거의 100%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있고 리튬 탄소 등 더 무거운 원소는 거의 없는 별들을 일컫는다. 즉, 우주가 태어난 직후의 화학적 조성을 그대로 따르는 별이다.]일 가능성도 높지는 않지만 거론되고 있다. 만약 종족 III 항성이라면 이론으로만 예측되던 천체를 최초로 발견한 셈이다. == 관련 문서 == *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 [[항성]] [[분류: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