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freegames-review.c.blog.so-net.ne.jp/E382A6E38387E382A3E382BF1.jpg|c=a0]] [목차] == 개요 == '''WOLF RPGエディター''' [[https://www.silversecond.com/WolfRPGEditor/|공식 홈페이지(일본어)]] 일본의 [[RPG Maker|쯔꾸르]] 게임 제작자였던 SmokingWOLF가 제작한 [[RPG]] 제작용 무료 [[게임 엔진|게임 제작 툴]]. 일본에서는 [[우디타]](ウディタ)라는 약칭으로 많이 불리고, 국내에서는 [[울프툴]]이라는 약칭으로 많이 불린다. 기본적으로는 RPG 게임을 만들 것을 상정해서 개발된 툴이지만, [[RPG Maker|RPG 만들기]]와 마찬가지로 RPG가 아닌 게임(특히 어드벤처 게임)도 많이 제작된다. 원래 제작자 SmokingWOLF는 RPG 만들기로 굉장히 재밌는 게임을 만드는 네임드 개발자였는데, 지쳤는지 더 이상 작품이 나오지 않다가 갑자기 툴을 떡 내버렸다. 기존 RPG 만들기 툴의 불편한 점들을 개선한 자신만의 툴을 만들고 싶었다고.[* 실제로 툴만 만들고 끝낸 게 아니라 이 툴을 이용해 스스로 게임을 제작하고 있다. 대표작은 [[편도 용자]].] 태생부터가 이렇다 보니 알만툴과 우디타는 게임 제작자들 사이에서 자주 비교 대상이 된다. 무엇보다도 [[프리웨어]]라는 것이 [[RPG Maker|알만툴]]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디타가 알만툴을 모델로 제작된 툴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디타가 알만툴이나 쯔꾸르에 포함되는 건 아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우디타를 쯔꾸르 중 하나라고 착각하는 유저들이 많은데, 쯔꾸르 항목에도 적혀있다시피 쯔꾸르는 [[KADOKAWA]]가 출시하는 자사의 제작 툴에 붙이는 이름이다. 우디타는 카도카와하고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툴이기 때문에 '''절대로 쯔꾸르가 아니다!''' [[파이널 판타지]]나 [[드래곤 퀘스트]]가 쯔꾸르와 유사하다고 해서 쯔꾸르 게임인 게 아닌 것과 마찬가지. 스크립트 비중이 높은 쯔꾸르에 비해 각종 기능을 자체적으로 라이브러리를 통해 지원하므로 훨씬 간단한 제작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작되는 게임 비중이 많이 늘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울프툴을 다운받을 수 있는 것을 이용해서, 울프툴 구 버전으로 개발된 게임을 울프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WolfRPGEditor_버전명mini.zip" 파일을 다운(プログラムのみ라고 적혀 있는 페이지)받은 뒤 압축을 풀어서 게임이 설치된 폴더에 덮어쓰기하면 업데이트가 끝난다. 각종 버그가 수정되어 게임 안정성이 약간 상승하며, [[DirectX]]와 전체화면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등도 가능하게 된다. 다만 버전이 너무 차이가 나면 복호화가 되지 않은 구 버전 게임은 실행이 불가능[* 업데이트로 인해 암호화화 복호화의 방식이 바뀌었기 때문. 암호화된 울프툴 구 버전 게임은 최신 울프툴 실행기로는 실행이 불가능하다. 단 울프툴 구 버전 게임이라도 복호화(암호화가 풀린 상태)가 된 상태라면 최신 버전으로 실행 가능.]하거나 특정 조건 하에서 일부 그림의 좌표가 어긋나는 문제는 있다. == 한국어화 == 한국에선 거의 쓰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 툴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한글을 못 띄운다(...). 에디터 자체도 한글이 아니니 더더욱 한국인이 사용할 이유가 없다. 그래서 제대로 한글화된 에디터도 존재하지 않아 불편함이 가중된다. 이런 이유로 국내에서는 굉장히 마이너한 툴이다보니 [[매드파더]] 같은 명작이나 여러 네임드 게임들을 탄생시킨 툴임에도 불과하고 항목 생성이 오랫동안 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문제로 게임의 한글화도 어려워서 [[나눔고딕]]을 [[https://etude87.tistory.com/114|개조한 폰트를 이용]]하는 등 편법적인 방법을 사용해야만 게임의 한글화가 가능하고 실행 방법도 까다로워서 한글화가 된 작품도 별로 많지 않다.[* 울프툴의 경우 기존 쯔꾸르와는 다르게 심하면 게임마다 코드가 달라서 같은 방법으로 번역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진짜로 게임파일을 전부 뜯어서 이 개발자가 어떻게 개발했나를 전부 살펴본 뒤 그에 맞기 한글화를 진행해야 해서 난이도가 너무 높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글화가 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Microsoft AppLocale]], [[NTLEA]], [[로캘 에뮬레이터]]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윈도우 유니코드를 일본어로 변경해야 하며, 위에서 이야기한 [[https://eternalworld.tistory.com/351|개조 폰트]]를 다운받아서 설치해야 한다.[* 유니코드 문제를 해결했어도 폰트를 설치해야 한다는 사실을 몰라 한글판을 제대로 실행할 수 없는 유저들이 의외로 많으며, 한글판 제작자들도 폰트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경우가 꽤 많다. 폰트(NanumGothicET)를 필히 설치하도록 하자. 다만 이 폰트는 일부 한자를 한글로 대체하는 편법으로 개조되었기 때문에 브라우저 등에서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다. ~~그것 때문에 한자 몇 개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아 상당히 불편했다.~~] [[http://playwares.com/gametalk/54121104|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NTLEA)]]. 또한 편법으로 제작된 작품의 경우 폰트가 설치되었음에도 폰트를 읽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thcrap]]를 [[https://etude87.tistory.com/397|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해도 여러 오류가 발생해서 한글판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는 게임을 울프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문제가 해결될 때도 있다. Ver 2.20부터는 공식적으로 한글 출력을 지원한다. Wolf RPG 에디터의 영문판도 공개가 되어 있으므로 그쪽을 받아서 한글 출력으로 설정을 맞추고 제작하면 된다. [[https://etude87.tistory.com/114|#한글 출력 방법]] 쉽게 말해서 다음부터 게임을 제작하는데 개조 폰트, 로캘 에뮬을 쓰는 뻘짓을 안 해도 된다. 하지만 이전에 만들어졌던 게임은 편법 한글화라 전부 변환해야 한다. 한글을 출력하는 방법(일본어판 기준) 게임 설정(오른쪽부터 다섯번째 칸) 탭에서 '게임 기본 설정을 연다'(첫번째)로 들어가서 게임 설정을 띄운다.→오른쪽 아래에 있는 2-바이트 문자 체계를 한글(두번째. 가타카나로 한글 문자라 적혀 있음)로 설정하고 저장한다.→자유롭게 한글을 즐긴다! 문제가 좀 있는데 공식적으로 한글 출력을 지원하긴 하지만 설정을 변경하면 기존의 일본어로 작성된 문자들은 벩어로 바뀌어서 출력이 되버린다... 그리고 영문판은 아예 한글 출력을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Ver3.137 (2023/01/16) 일자로 WOLF RPG エディター3이라는 이름으로 업데이트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유니코드를 지원하여 뷁어로 출력되지 않고 올바른 일본어를 출력하게 됐다. 또한 무료판에 없는 소개의 기능을 더한 유료판을 [[https://silversecond.booth.pm/items/4302198|#WOLF RPG エディター3 RPO]]라는 이름으로 5000¥에 판매하고 있다. == 개별 문서가 있는 WOLF RPG 에디터 게임 목록 == * [[1bitHeart]] * [[대역소녀]] * [[댄스 마카브르]] * [[더 크루키드 맨]] * [[류타로 전기|류타로 전기 시리즈]] * [[류타로 전기 ~고궁 마을 편~]] * [[류타로 전기 ~이즈모 성 편~]] * [[류타로 전기 ~키즈미산 편~]] * [[마구 때리는 유치원]] * [[매드파더]] * [[맹애완구]] * [[미사오(게임)|미사오]] * [[미친 달]] * [[밀퓌오레]] * [[스쿳테]] * [[아케미탄]] * [[앨리스 인 더 다크니스]] * [[여우가면님]] * [[오니아소비]] * [[요이가후치 월광록]] * [[우애]] * [[우타호노타타리]] * [[유원물어]] * [[인어늪]] * [[쿠레가오카 학원]] * [[편도 용자]] * [[프로넌트 심포니]] * [[필그림]] * [[한밤중의 인형술사]] * [[Alicemare]] * [[LiEat]] * [[MILLION T@CTICS!]] * [[슈발리에 히스토리에]] [[분류:게임 개발 도구]][[분류:WOLF RPG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