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중국 기갑차량)]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WS-1%20%B9%DF%BB%E7%B5%B5.jpg|width=1000]] WS-1 [[파일:external/img.meyet.com/094845pozzs9bxm49oxxb9.jpg|width=1000]] WS-1B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EA%DB%DE%CD%20%B7%CE%C4%CF%C5%BA%20%2820070806%29.jpg|width=1000]] WS-2 [목차] == 개요 == [[중국 인민해방군]]이 [[PHL03|03식 다연장로켓]]을 만들고 추가로 개발된 중국군의 독자규격인 320/400mm 대구경을 베이스로 한 작품으로 대구경 [[다연장로켓]] 발사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었다. SCAIC사[* Sichuan Aerospace Industry Corporation로 [[노린코]]와 마찬가지로 국영기업이다.]에서 개발하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북한의 [[KN-09]]이 중국의 WS-1B와 유사하다는 주장이 많이 퍼져있는데 KN-09와 WS-1B의 특성은 사실상 구경과 사거리만 비슷할 뿐 나머지는 전혀 다르다. 예를 들어 KN-09는 전방에 작은 조종날개가 있고 꼬리쪽에 추진체에 감겨서 접혀있는 형태의 꼬리날개가 달려있어 발사관에서 벗어난 후에 꼬리날개가 펼쳐지는 방식이지만, WS-1B는 전방에 조종날개가 없이 후방에 큰 꼬리날개가 십자형으로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다. KN-09는 날개가 접히기 때문에 발사관 내경이 로켓탄 구경과 거의 같아 딱 맞게 들어가며 발사관 표면에 로켓탄의 스핀 안정화를 위한 나선형 홈이 파여있지만, WS-1B는 접히지 않는 고정 날개가 들어갈 공간 때문에 발사관 크기가 로켓탄의 구경에 비해 훨씬 크며 스핀 안정화 또한 하지 않는다. KN-09가 WS-1B와 비슷하다는 주장은 KN-09의 실물이 공개되기 전 구경 300mm에 사거리 200km라는 정보만 알려졌을 때 해당 정보만으로 추측했던 것이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식 명칭은 위사(衛士)로서 위사(衛士)-1/2로 구분되어진다. 각 버젼마다 B형이라는 개량형 버젼이 존재하여 현재 총 구성되어있는 모델은 衛士-1式(WS-1)/衛士-1B式(WS-1B)/衛士-2式(WS-2)/衛士-2B式(WS-2B)[* 개발중] 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2016년 배치가 최종적으로 확인되는건 [[노린코]]에서 개발한 AR-3로 명명되었던 PHL-16 즉 300/370mm가 통합적으로 운용가능한 16식 300호미/370호미 상식화전포(16式300毫米/370毫米箱式火箭炮)가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에 최종 선택을 받음으로서 운용되지 않게 되었다. == 제원 == [[파일:external/www.defencetalk.com/04672.jpg|width=800]] 구성: 衛士-1式(WS-1) 320mm 4연장/衛士-2式(WS-2) 320mm 6연장 로켓포 시스템은, MF-4 로켓발사차, 사격지휘차, 장전/수송차로 구성되어있다. WS-1B 로켓포는 1개 로켓포 중대(각 포마다 4~8연장 발사대 운영)가 하나의 작전 단위를 이루며, 1개 로켓포 중대의 구성은 지휘차1대, 로켓발사차6~9대, 수송/장탄차6~9대로 구성되어진다. === 차체 시스템 === || 차량모델 ||XC2030 6X6 기동차(鐵馬)/万山WS2400型 8X8[* WS-1B급 이후부터.] || || 자체중량 ||21톤 || || 전투중량 ||45+톤 || || 길이 ||8m || || 폭 ||2.8m || || 높이 ||3.2m || || 탑승인원 ||8명 || || 주무장 ||4~8연장[* WS-1 4연장, WS-1B 8연장, WS-2/2B 6연장.] 320/400mm || || 차량모델 ||XC2030 기동차(鐵馬) || || 속도 ||50km/h[* 발사대가 없을 경우 85km/h.] || || 항속거리 ||600km[* 1회 주유시.] || || 최대회전반경 ||11m || || 엔진 ||공랭식 디젤 엔진(300마력[* 중국측 기록에는 370마력.]) || || 최대도섭심도 ||0.7m || || 일제사격시간 ||18초내 4발 발사완료 || || 재장전시간 ||12분 || === 로켓 기본 제원 === [[파일:external/image02w.seesaawiki.jp/3041f6515abf7a5a.jpg]]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WS-1%20%C5%BA2.jpg|width=600]] ||구성|| WS-1 || WS-1B || WS-2 || ||무게|| 524kg || 725kg || 1,275kg || ||전장 || 4.737m || 6.276m || 7.15m || ||직경 || 320mm || 320mm || 400mm || ||탄두 중량|| 150kg (작약 90kg) || 150kg (작약 90kg) || 200kg || ||운용 탄두||살상/폭파 탄두(살상반경70m), 자탄살포 탄두(자탄살상반경3m, 최대장갑관통능력60mm) 등 2종 신관: 작전 상 필요에 따라, 접촉신관과 근접신관을 선택하여 사용. ||스틸 볼/파편살상 유탄(인마살상), 자탄살포탄(장갑목표) 2종||스틸 볼/파편살상 유탄(인마살상), 자탄살포탄(장갑목표) 2종 || ||최고 비행 속도|| 마하 4.2 || 마하 5.2 || 마하 5.6 || ||사정거리 || 40 ~ 100km || 60 ~ 180km || 70 ~ 350km || ||오차범위(CEP) || 600m || 600m || 300m || 출처: [[http://seesaawiki.jp/w/namacha2/d/WS-2%20400mm6%CF%A2%C1%F5%BC%AB%C1%F6%A5%ED%A5%B1%A5%C3%A5%C8%CB%A4%A1%CA%B1%D2%BB%CE2%A1%CB|출처]][[https://zh.wikipedia.org/wiki/%E8%A1%9B%E5%A3%AB%E5%9E%8B%E7%81%AB%E7%AE%AD%E7%82%AE|출처2]][[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56&pn=1&num=55|출처3]][[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56&pn=1&num=159|출처4]] == 상세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WS-1%20320mm%20%C5%BA.jpg|width=600]] [[파일:external/image02w.seesaawiki.jp/b22bf1a7f305ef50.jpg]] [[중국 인민해방군|중국군]]이 보유한 최대구경의 다연장로켓 화력을 자랑하고 있는 것으로 개발당시에는 알려졌으며 워낙 대구경이다보니 거의 [[전술 탄도 미사일|전술 탄도탄]]에 준하는 탄도비행과 사정거리를 보유하고 있기에 양안분쟁시에 대만해협을 넘어서 직접적인 [[대만]]에 대한 화력전을 수행하는 전력중 하나이다. 실제로 중국군은 150km급의 전술탄도탄을 시험발사하는 등 전술 탄도탄의 발사체로서의 역할도 보여졌었다. 이에 대만에서는 자국산 다연장로켓인 [[RT/LT-2000|RT-2000]]에서 운용될 전술 탄도탄 등의 대응전력을 준비하는 중이었었고 실제로 대만은 중국 외압으로 배치 못하다가 한국 중소기업을 통하여 해결을 봤었다. 특히 중국의 주변국에 해당하는 한국으로서는 직접적인 위협은 되기 힘들더라도 이 무기에 투입된 기술이 북한의 신형 300mm 방사포 개발에 영향을 준 것으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민감한 물건이라고 할 수 있었으나 2016년 공개된 신형 다연장 로켓 시스템은 WS-1/2시리즈가 아니라 AR-03으로 명명되었던 PHL-16 즉 300/370mm가 통합적으로 운용가능한 16식 300호미/370호미 상식화전포(16式300毫米/370毫米箱式火箭炮)가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에 최종 선택을 받아 배치된 것으로 확인됨으로서 사실상 사라진 비운의 물건이 되고 말았다. == 매체에서 == === 게임 === ==== [[도미네이션즈]] ==== WS-1의 개량형인 A-100 MRL이 드론 시대의 MRL인 선봉 MRL로 등장하며 다음과 같은 추가 정보를 게임 내에서 볼 수 있다. 외형은 TOS-1로 보인다. >중국산 다연장 로켓 발사기 A-100은 40km~100km까지 로켓을 발사할 수 있습니다. 로켓마다 안정성을 높여주는 안정익, 추진익, 회전익이 달려있으며, 정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발사 시 로켓이 현재 궤적을 계산하여 의도된 궤적과 비교한 후 추진 시스템을 조정하여 원래 궤적으로 재진입합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RL(도미네이션즈))]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벨라루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방글라데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미얀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르메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에티오피아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다연장로켓]][[분류:지상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