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0000> {{{#FEF5E6 {{{+1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 (2010)'''}}}[br]''' ''WWE Elimination Chamber (2010)'' '''}}} || ||<|11><:><#00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limination_Chamber_%282010%29.jpg|width=100%]] || ||<-10><:><#000000> '''[[WWE|{{{#FEF5E6 WWE}}}]]''' '''{{{#FEF5E6 개최,}}}''' '''[[주방위군|{{{#FEF5E6 주방위군}}}]]''' '''{{{#FEF5E6 제공}}}''' '''[[PPV|{{{#FEF5E6 PPV}}}]]''' || ||<-1><:><#000000> {{{#FEF5E6 '''개최일'''}}} ||<-9><:><#000000> {{{#FEF5E6 '''2010년 2월 21일 일 20시^^E^^/17시^^P^^'''[br]''韓'' 2010년 2월 22일 월 10시}}} || ||<-1><:><#000000> {{{#FEF5E6 '''경기장'''}}} ||<-9><:><#000000> {{{#FEF5E6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엔터프라이즈 센터|{{{#FEF5E6 스캇트레이드 센터}}}]]'''[br]''Scottrade Center, St. Louis, Missouri''}}} || ||<-1><:><#000000> {{{#FEF5E6 '''테마곡'''}}} ||<-9><#000000><:> {{{#FEF5E6 ''Cypress Hill'' '''"Rise Up"'''}}}[[https://www.youtube.com/watch?v=iatjMEp3bxw|#]] || ||<-1><:><#000000> {{{#FEF5E6 '''관중집계'''}}} ||<-9><:><#000000> '''{{{#FEF5E6 17,000명}}}''' || ||<-10><:><#000000> || ||<-10><:><#000000> {{{#FEF5E6 '''WWE의 PPV'''}}} || ||<-3><:><#000000> [[WWE 로얄럼블(2010)|{{{#FEF5E6 로얄럼블}}}]] ||<-4><:><#FEF5E6>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0)|{{{#000000 엘리미네이션 챔버}}}]] ||<-3><:><#000000> [[WWE 레슬매니아 XXVI|{{{#FEF5E6 레슬매니아 26}}}]] || ||<-10><:><#000000> {{{#FEF5E6 '''엘리미네이션 챔버'''}}} || ||<-3><:><#000000> ||<-4><:><#FEF5E6>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0)|{{{#000000 2010}}}]] ||<-3><:><#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1)|{{{#FEF5E6 2011}}}]] || ||<-1><:><#000000> '''{{{#FEF5E6 포스터 모델: [[데이브 바티스타|{{{#FEF5E6 바티스타}}}]]}}}''' ||<-10><:><#00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엘리미네이션 챔버'''''Elimination Chamber'''''(2010)'''는 WWE의 주최로 2010년 2월 21일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스콧트레이드 센터에서 개최되는 [[PPV]]로, 올해 처음 개최되는 PPV이자 역대 4번째로 기믹 매치가 정식 명칭으로 사용된 PPV이다.[* 순서대로 로얄 럼블, 헬 인 어 셀, TLC, 엘리미네이션 챔버.] [[레슬매니아]] 전 마지막 PPV로 로얄 럼블과 레슬매니아의 스토리[* 1993년부터 로얄 럼블의 우승자가 레슬매니아 메인 이벤트에 출전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를 잇는 매우 중요한 PPV라고 할 수 있다. PPV의 명칭은 [[http://wwe.com|WWE.com]]의 인터넷 투표를 통해서 결정되었는데, 그 외 후보로는 기존의 2월 PPV였던 '''노 웨이 아웃'''''No Way Out''[* 현재의 명칭이 붙기 전까지 사용하던 전통적 이름이다. 한마디로 '그냥 이대로 가자'라는 선택지]과, '''헤비 메탈'''''Heavy Metal'', '''배틀 챔버'''''Battle Chamber'', '''챔버 오브 컴플릭트'''''Chamber of Conflict''가 있었다. WWE는 이 페이퍼뷰가 명칭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PPV였던 노 웨이 아웃의 성격과 완전히 같은데도 불구하고 이 PPV를 기존 PPV가 아닌 신규 PPV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노 웨이 아웃의 연표에도 넣지 않는다. 역사[* 최근 2년 연속으로 브랜드별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가 메인 이벤트로 치러졌다.]나 명칭에 맞게 메인 이벤트는 월드 챔피언십이 걸린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로 치러지며, 올해도 역시 예와 마찬가지로 브랜드별[* RAW / 스맥다운-?ECW''''''...이긴 한데 2009년 이후 ECW 선수가 참전한 경력은 없다. 그리고 2010년 2월 16일을 기해 ECW는 '''사라진다'''(...)]로 두 경기가 치러진다. == 대립 배경 == === [[WWE 챔피언십]]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셰이머스]] VS [[존 시나]] VS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테드 디비아시]] VS [[랜디 오턴]] VS [[트리플 H]] VS [[코피 킹스턴]] 2월 첫째주 [[WWE RAW|RAW]]에서 엘리미네이션 챔버 출전권 경기를 가져 RAW에서는 [[존 시나]], [[트리플 H]], [[랜디 오턴]],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테드 디비아시]], [[코피 킹스턴]]이 각각 승리하여 출전권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전 선수의 네임밸류가 낮은 것 같다고 까지는 말자. 작년 RAW에 비하면...[* 원래는 존 시나, 코피 킹스턴, 레이 미스테리오, 크리스 제리코, 마이크 녹스, 케인이었으나 ?에지''''''가 코피 킹스턴을 '''축출'''하고 대신 참가했다. 그나마 에지라도 튀어나와서 다행이지 다음 PPV가 레슬매니아인 것을 감안한다면 대놓고 승자가 너무 뻔히 보이는 매치업이었다.] PPV의 특성상 각본을 통한 정석적인 대립이 아닌 '''선수 욱여넣기'''로 경기가 성사되는 경우이니만큼(...) 대립 상황은 따로 적지 않는다.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언더테이커(프로레슬러)|언더테이커]] VS [[레이 미스테리오]] VS [[존 모리슨]] VS [[크리스 제리코]] VS [[CM 펑크]] VS [[R-트루스]] 2월 첫째주 [[WWE 스맥다운|스맥다운]]에서 [[존 모리슨]], [[알 트루스]], [[CM 펑크]], [[크리스 제리코]], [[레이 미스테리오]]가 각각 승리하여 출전권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전 선수의 네임밸류가 낮은 것 같다고 까지는 말자. PPV의 특성상 각본을 통한 정석적인 대립이 아닌 '''선수 욱여넣기'''로 경기가 성사되는 경우이니만큼(...) 대립 상황은 따로 적지 않는다. === [[게일 킴]] VS [[마리즈]] === [[WWE 디바스 챔피언십]] 로얄럼블 직전 RAW인 1월 25일 RAW에서 공석이 된 디바스 챔피언십의 주인공을 가리기 위해 치러진 토너먼트의 결과로 마리즈와 게일 킴이 각각 결승에 진출해 둘의 '''디바스 챔피언십 매치'''가 성사되었다. --할거면 로얄 럼블에서 하던지-- === [[드류 맥킨타이어]] VS [[글렌 제이콥스|케인]]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2월 12일 스맥다운에서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드류 맥킨타이어와 케인의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매치'''가 성사되었다. == 대진표 및 결과 == ||<|3><:>
<#000000> ||<-3><:><#000000> '''[[WWE 챔피언십|{{{#FEF5E6 WWE 챔피언십}}}]] {{{#FEF5E6 <3.5점>}}}'''[br]'''{{{#FEF5E6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FEF5E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셰이머스|{{{#000000 셰이머스}}}]]'''[* 챔피언 보유자 탈락 및 광탈] ||<:><#FEF5E6> ✅'''[[존 시나|{{{#000000 존 시나}}}]]''' ||<:><#FEF5E6>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000000 테드 디비아시}}}]]''' || ||<:><#FEF5E6> '''[[랜디 오턴|{{{#000000 랜디 오턴}}}]]''' ||<:><#FEF5E6> '''[[트리플 H|{{{#000000 트리플 H}}}]]''' ||<:><#FEF5E6> '''[[코피 킹스턴|{{{#000000 코피 킹스턴}}}]]''' || ||<|2><:>
<#000000> ||<-2><:><#000000> '''[[WWE 챔피언십|{{{#FEF5E6 WWE 챔피언십}}}]]''' || ||<:><#FEF5E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존 시나|{{{#000000 존 시나}}}]]''' ||<:><#FEF5E6> ✅'''[[데이브 바티스타|{{{#000000 바티스타}}}]]'''[* 1경기가 끝난 직후, 존 시나의 브렛 하트를 적극 옹호하는 행동 때문에 그에게 감정이 상해있던 빈스 맥맨이 급기야 무소불위의 권력을 시전(...), 브렛 하트를 골탕먹이는 데 일조한 바티스타와의 경기를 급조시켜 존 시나의 타이틀을 그에게 헌납해버린 것. 이로 인해 '''[[빈스 인 더 뱅크]]''' 라는 권한이 탄생했다.] || ||<|2><:>
<#000000> ||<-2><:><#000000>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FEF5E6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FEF5E6 <1.25점>}}}''' || ||<:><#FEF5E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드류 맥킨타이어|{{{#000000 드류 맥킨타이어}}}]]''' ||<:><#FEF5E6> '''[[글렌 제이콥스|{{{#000000 케인}}}]]''' || ||<|2><:>
<#000000> ||<-2><:><#000000> '''{{{#FEF5E6 태그팀 매치}}} {{{#FEF5E6 <0.5점>}}}'''[* 마리즈 VS 게일 킴의 디바스 챔피언십 토너먼트 결승 시작 직전 비키 게레로의 지시로 바뀌었다. 덕분에 디바스 챔피언십은 아직도 공석...] || ||<:><#FEF5E6> '''[[게일 킴|{{{#000000 게일 킴}}}]] {{{#000000 &}}} [[마리즈|{{{#000000 마리즈}}}]]''' ||<:><#FEF5E6> ✅'''[[미셸 맥쿨|{{{#000000 미셸 맥쿨}}}]] {{{#000000 &}}} [[레일라(프로레슬러)|{{{#000000 레일라}}}]]''' || ||<|2><:>
<#000000> ||<-2><:><#000000>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FEF5E6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FEF5E6 <3.75점>}}}''' || ||<:><#FEF5E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미즈(프로레슬러)|{{{#000000 미즈}}}]][*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통합 WWE]] [[WWE RAW 태그팀 챔피언십|태그팀 챔피언]]]''' ||<:><#FEF5E6> '''[[몬텔 본테비어스 포터|{{{#000000 몬텔 본테비어스 포터}}}]]''' || ||<|3><:>
<#000000> ||<-3><:><#000000>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EF5E6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FEF5E6 <3.5점>}}}'''[br]'''{{{#FEF5E6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FEF5E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언더테이커(프로레슬러)|{{{#000000 언더테이커}}}]]''' ||<:><#FEF5E6> '''[[레이 미스테리오|{{{#000000 레이 미스테리오}}}]]''' ||<:><#FEF5E6> '''[[존 모리슨|{{{#000000 존 모리슨}}}]]''' || ||<:><#FEF5E6> ✅'''[[크리스 제리코|{{{#000000 크리스 제리코}}}]]''' ||<:><#FEF5E6> '''[[CM 펑크|{{{#000000 CM 펑크}}}]]''' ||<:><#FEF5E6> '''[[R-트루스|{{{#000000 R-트루스}}}]]''' || == 여담 == [youtube(5dtaCECJvZw)] * [[언더테이커(프로레슬러)|언더테이커]]의 등장씬에서 터지는 화염 효과가 장치 담당자의 조작실수로 정확히 언더테이커가 서 있던 곳에 닿아 언더테이커가 크게 다칠 뻔한 사고가 있었다. 전신 화상을 입는 큰 사고로 이어질 뻔 하였으나[* [youtube(-QDpOGE8dww)][br]관중석에서 찍은 영상을 보면 잠깐이나마 '''코트에 불이 붙었었다!''' 그 때문에 평소와 달리 급하게 걸어나와 코트를 벗고 등장했다.] 다행히 경미한 화상으로 끝났다. 당연한 얘기지만 경기 이후 언더테이커는 백스테이지에서 크게 분노했고 장치 담당자는 해고되었다고 한다.[* 언더테이커는 이전부터 장치 담당자에게 화염 효과에 대한 불만을 피력했지만 담당자는 대수롭게 여기지 않았다고 한다.] [각주] [[분류: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