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0000> {{{#D3D3D3 {{{+1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 (2015)'''}}}[br]''' ''WWE Elimination Chamber (2015)'' '''}}} || ||<|11><:><#00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EliminationChamber2015Poster.jpg|width=100%]] || ||<-10><:><#000000> '''[[WWE|{{{#FF0000 WWE}}}]]''' '''{{{#FF0000 개최,}}}''' '''{{{#FF0000 토티노스}}}''' '''{{{#FF0000 제공}}}''' '''[[PPV|{{{#FF0000 PPV}}}]]''' || ||<-1><:><#000000> {{{#FFFFFF '''개최일'''}}} ||<-9><:><#000000> [[서머타임|{{{#FFFFFF '''(''__*DST__'')'''}}}]] {{{#FFFFFF '''2015년 5월 31일 일 20시^^E^^/17시^^P^^'''[br]''韓'' 2015년 6월 1일 월 09시}}} || ||<-1><:><#000000> {{{#FF0000 '''경기장'''}}} ||<-9><:><#000000> {{{#FF0000 '''텍사스 주 코퍼스크리스티 아메리칸 뱅크 센터'''[br]''American Bank Center, Corpus Christi, Texas''}}} || ||<-1><:><#000000> {{{#FFFFFF '''테마곡'''}}} ||<-9><#000000><:> {{{#FFFFFF ''Offspring'' '''"Coming For You"'''}}}[[https://m.youtube.com/watch?v=Ji9NPW3mi8o|#]] || ||<-1><:><#000000> {{{#FF0000 '''관중집계'''}}} ||<-9><:><#000000> '''{{{#FF0000 7,000명}}}''' || ||<-10><:><#000000> || ||<-10><:><#000000> {{{#D3D3D3 '''WWE의 PPV'''}}} || ||<-3><:><#000000> [[WWE 페이백(2015)|{{{#FFFFFF 페이백}}}]] ||<-4><:><#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5)|{{{#FF0000 엘리미네이션 챔버}}}]] ||<-3><:><#000000> [[WWE 머니 인 더 뱅크(2015)|{{{#FFFFFF 머니 인 더 뱅크}}}]] || ||<-10><:><#000000> {{{#D3D3F3 '''엘리미네이션 챔버'''}}} || ||<-3><:><#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4)|{{{#FFFFFF 2014}}}]] ||<-4><:><#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5)|{{{#FF0000 2015}}}]] ||<-3><:><#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7)|{{{#FFFFFF 2017}}}]] || ||<-1><:><#000000> '''{{{#D3D3D3 포스터 모델: [[라이백|{{{#D3D3D3 라이백}}}]]}}}''' ||<-10><:><#000000> || [목차] == 개요 == WWE의 PPV중 하나. PPV명이기도 한 [[엘리미네이션 챔버]]가 메인이벤트로 열리게 된다. 경기 룰에 대해서는 항목 참조. 이전까지는 레슬매니아 직전인 2월에 열렸으나, 2015년에는 5월 말에 열리게 된다. 이는 WWE의 PPV인 [[레슬매니아]] 직전인 2월에 [[로얄럼블|레슬매니아에 정해진 챔피언십의 도전자가 있음에도]] 다자간 챔피언십을 하는 것으로 인한 챔피언십의 중요성 저하, 엘리미네이션 챔버의 구조물 자체에 대한 유지비 등을 이유로 수뇌부측에서 폐지하고[* 2월에 비어있는 PPV는 [[패스트 레인]]으로 매웠다.] 엘리미네이션 챔버 경기를 비정기적으로 여는 것으로 결정했는데, 예상보다 빨리, 겨우 3개월 만에 챔버 매치가 열리고 챔버 PPV를 부활하게 되었다. 미국시간으로 [[WWE 페이백(2015)|페이백]] 직전인 5월 11일 RAW에 방송을 통해 5월 31일에 열릴 것임이 발표 되었다. 실제로 급히 발표된 소식이라, 당시 RAW의 백스테이지의 슈퍼스타들도 알지 못해 매우 놀랐다고. 이것은 급히 부활된 PPV임에도 3주만에 PPV의 모든 빌드업이 완성 되어야 한다는 소리다. WWE는 WWE 네트워크의 새 구독자에 5월달 콘탠츠 무료를 선언했기에, 5월 31일이라는 날짜가 기막히게 보일지도...[* 정말 WWE는 네트워크 활성화에 사활을 걸었다는걸 보여주는 PPV.] [[http://www.wwe.com/shows/raw/2015-05-11/elimination-chambers-coming-to-wwe-network-27380180|WWE.COM의 추가 발표]]에 따르면, 이번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는 두 경기이며 각각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으로 열린다고 한다.[*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일반 싱글 매치로 열린다.] 이렇게 되면 태그 팀 엘리미네이션 챔버와 미들급 타이틀이 걸리게 되는 최초의 엘리미네이션 챔버가 된다. 태그팀 엘리미네이션 챔버는 총 6팀이 참가, 즉 '''12명'''이 한 챔버 안에 들어갈 예정이다. 태그가 없는 토네이도 방식으로 열릴 예정이라 하니 챔버 안에서의 혼잡함은 엄청날것이라 예상된다. 현재 예정된 매치업은 위에서 언급된 2개의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매치와 더불어, U.S 챔피언쉽 방어전과,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 방어전이 예정되어있다. 이번 PPV가 결정된 것은 개최장소, 코퍼스 크리스티의 아메리칸 뱅크 센터의 현재 상황이 챔버 구조물을 설치하기 상대적으로 쉬운 상황이라는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조건도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참고로 이 장소는 2015년 1월에도 RAW가 열린적이 있으며, 2007년 6월에는 RAW가 취소되기도 했다. [[크리스 벤와]]의 죽음 때문. == 대립 배경 == === [[매트 카도나|잭 라이더]] VS [[코디 로즈|스타더스트]] === 킥오프 경기 === [[WWE RAW 태그팀 챔피언십|WWE 태그팀 챔피언십]]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더 뉴 데이|뉴 데이]] VS [[프레드 로서|대런 영]] & [[타이터스 오닐]] VS [[프리모 앤드 에피코|로스 마타도레스]] VS [[타이슨 키드]] & [[세자로]] VS [[디 어센션|어센션]] VS [[루차 드래곤스]] === [[니키 벨라]] VS [[나오미(프로레슬러)|나오미]] VS [[페이지(프로레슬러)|페이지]] === [[WWE 디바스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 [[존 시나]] VS [[케빈 오웬스]] === === [[PAC|네빌]] VS [[보 댈러스]] ===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마크 헨리]] VS [[셰이머스]] VS [[R-트루스]] VS [[라이백]] VS [[웨이드 바렛|킹 바렛]] VS [[돌프 지글러]] === [[세스 롤린스]] VS [[존 목슬리|딘 앰브로스]] === [[WWE 챔피언십|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로만 레인즈]]가 난입할 시 딘 앰브로스는 실격패가 된다. == 대진표 및 결과 == ||<|2><:>
<#000000> ||<-2><:><#000000> '''{{{#FFFFFF 싱글 매치(킥오프)}}} {{{#FFFFFF <2.25점>}}}''' || ||<:><#000000> '''[[매트 카도나|{{{#FF0000 잭 라이더}}}]]''' ||<:><#000000> ✅'''[[코디 로즈|{{{#FF0000 스타더스트}}}]]''' || ||<|3><:>
<#000000> ||<-3><:><#000000> '''[[WWE RAW 태그팀 챔피언십|{{{#FFFFFF WWE 태그팀 챔피언십}}}]] {{{#FFFFFF <3.25점>}}}'''[br]'''{{{#FFFFFF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더 뉴 데이|{{{#FF0000 뉴 데이}}}]]'''[* 프리버드 룰로 뉴 데이는 3인이 전부 참여했다. 그리고 프리버드 룰의 이득을 강하게 봤다.] ||<:><#000000> '''[[프레드 로서|{{{#FF0000 대런 영}}}]] {{{#FF0000 &}}} [[타이터스 오닐|{{{#FF0000 타이터스 오닐}}}]]''' ||<:><#000000> '''[[프리모 앤드 에피코|{{{#FF0000 로스 마타도레스}}}]]''' || ||<:><#000000> '''[[타이슨 키드|{{{#FF0000 타이슨 키드}}}]] {{{#FF0000 &}}} [[세자로|{{{#FF0000 세자로}}}]]''' ||<:><#000000> '''[[디 어센션|{{{#FF0000 어센션}}}]]''' ||<:><#000000> '''[[루차 드래곤스|{{{#FF0000 루차 드래곤스}}}]]''' || ||<|2><:>
<#000000> ||<-3><:><#000000> '''[[WWE 디바스 챔피언십|{{{#FFFFFF WWE 디바스 챔피언십}}}]] {{{#FFFFFF <1점>}}}'''[br]'''{{{#FFFFFF 트리플 쓰렛 매치}}}'''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니키 벨라|{{{#FF0000 니키 벨라}}}]]''' ||<:><#000000> '''[[나오미(프로레슬러)|{{{#FF0000 나오미}}}]]''' ||<:><#000000> '''[[페이지(프로레슬러)|{{{#FF0000 페이지}}}]]''' || ||<|2><:>
<#000000> ||<-2><:><#000000> '''{{{#FFFFFF 싱글 매치}}} {{{#FFFFFF <4.5점>}}}''' || ||<:><#000000> '''[[존 시나|{{{#FF0000 존 시나}}}]][*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 ||<:><#000000> ✅'''[[케빈 오웬스|{{{#FF0000 케빈 오웬스}}}]][* [[NXT 챔피언십|NXT 챔피언]]]''' || ||<|2><:>
<#000000> ||<-2><:><#000000> '''{{{#FFFFFF 싱글 매치}}} {{{#FFFFFF <2.75점>}}}''' || ||<:><#000000> ✅'''[[PAC|{{{#FF0000 네빌}}}]]''' ||<:><#000000> '''[[보 댈러스|{{{#FF0000 보 댈러스}}}]]''' || ||<|3><:>
<#000000> ||<-3><:><#000000>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FFFFFF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FFFFFF <2.5점>}}}'''[br]'''{{{#FFFFFF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000000> '''[[마크 헨리|{{{#FF0000 마크 헨리}}}]]''' ||<:><#000000> '''[[셰이머스|{{{#FF0000 셰이머스}}}]]''' ||<:><#000000> '''[[R-트루스|{{{#FF0000 R-트루스}}}]]''' || ||<:><#000000> ✅'''[[라이백|{{{#FF0000 라이백}}}]]''' ||<:><#000000> '''[[웨이드 바렛|{{{#FF0000 킹 바렛}}}]]''' ||<:><#000000> '''[[돌프 지글러|{{{#FF0000 돌프 지글러}}}]]''' || ||<|2><:>
<#000000> ||<-2><:><#000000> '''[[WWE 챔피언십|{{{#FFFFFF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FFFFFF <4점>}}}'''[br]'''{{{#FFFFFF ''로만 레인즈가 난입할 시 딘 앰브로스는 실격패가 된다.''}}}'''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세스 롤린스|{{{#FF0000 세스 롤린스}}}]]''' ||<:><#000000> ✅'''[[존 목슬리|{{{#FF0000 딘 앰브로스}}}]]'''[* DQ 승. 챔피언 변동 없음.] [* 경기 후 자신을 도우러 나온 로만 레인즈와 함께 벨트를 가지고 경기장에서 빠져나왔다.] || [[분류:WWE 엘리미네이션 챔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