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Warframe 프로젝트]][[분류:Warframe]] [include(틀:상위 문서, top1=Warframe/동반자)] [include(틀:관련 문서, top1=Warframe/적 일람/코퍼스/파보스의 자매들)] [include(틀:워프레임)] [include(틀:워프레임 동반자)] 업데이트 및 핫픽스로 인해 기술된 성능과 실제 게임 내 성능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본페이지에서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지 못했다면, [[https://warframe.fandom.com/wiki/hound_(Companion)|북미위키]]를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 개요 == [[파일:Corpus_hound.jpg]] {{{+1 '''Hound'''}}} 시스터즈 오브 파보스 패치와 함께 등장한 동반자. [[파보스의 자매들]]이 데리고 다니며, 쿠바 리치의 노예를 대신해 나오거나 자매와 함께 소환되어 자매를 보조해준다. 자매를 격파하면 흭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Warframe/동반자/MOA|MOA]]랑 비슷하나, 특이하게 부품 하나하나가 스킬을 결정한다. 적으로 나올때는 쿠바 리치처럼 후보자를 찌른 워프레임의 홀로그램 머리를 자신의 머리 위에 달고있으나, 동반자로 대려오면 사라진다. == 입수 == [[파보스의 자매들]]을 격파할시 자매가 데리고 있던 무작위 부품으로 된 하운드를 즉시 얻을 수 있으며, 자매를 격파할 때 마다 하운드 부품 설계도가 드랍된다. 이에 따라 자매를 격파해서 무작위 완제품을 얻거나, 자매를 격파할때 나오는 부품 설계도를 파밍해 렉스에게서 MOA처럼 커스터마이징 및 조립을 받을 수 있다. == 평가 == === 장점 === *'''MOA와 유사한 유틸리티성''' MOA와 비슷하게 메카닉/비스트 모드 혼용과 소생까지 전부 가능하다. 또한 프리셉트 모드의 공유 및 커스텀도 가져왔다. *'''세부화된 프리셉트''' 프리셉트가 유틸/방어/공격의 세 가지로 기존의 MOA보다 더 세세하게 나뉘었다. 오디트 프리셉트를 통한 지원과 디나이얼 프리셉트를 통한 생존성 증강, 거기다 강력한 공격기인 프로스펙터스 프리셉트까지, 그야말로 필요한것은 다 갖춰져있고, 유저의 입맛대로 커스터마이징 하면 되는것. *'''준수한 화력''' 공격쪽에 특화된 프리셉트가 없던 MOA와는 다르게, 하운드는 궤도 포격이나 강력한 레이저 등 화력만을 담당하는 프로스펙터스 프리셉트가 따로 마련되어 있다. 일반공격조차도 센티넬의 무기를 사용하던 MOA와는 다르게 비스트와 동일한 근접공격을 가하지만, 센티넬의 무기처럼 모델마다 별개의 무기가 있기 때문에 무기를 바꿔서 기반 데미지를 바꾸거나 개별 모딩을 하는것이 가능해져 일반 공격도 상당히 강하게 만들 수 있다. *'''비교적 쉬운 입수''' 조립식으로 만드려면 부품 설계도를 일일이 모아야 하지만, 자매를 격파하는것만으로도 자매가 대리고있던 하운드를 가져 올 수 있다. 이들도 프리셉트들을 주기 때문에 자매만 계속 잡아도 생각보다 빠르게 모든 프리셉트를 얻을 수 있다. === 단점 === *'''큰 덩치와 낮은 AI''' MOA와 비슷한 단점으로, 멍청하고 덩치가 커 생존에 제약이 된다. *'''과도하게 많은 프리셉트''' 프리셉트가 세분화되면서 전부 장착하려면 모드창 3칸을 비우다시피 해야한다. 또한 같은 종류의 프리셉트는 중복해서 장착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모딩의 난이도가 비약적으로 올라가고 선택의 폭을 줄이게 된다. == 부품 == 하운드는 머리인 '''모델''', 몸통인 '''코어''', 다리인 '''브라켓''', 꼬리인 '''스테빌라이저'''의 파츠가 각각 3종류씩 존재하며, 자매를 생성할 경우 이중에 무작위로 하나가 선택되어서 나온다. 코어를 제외한 모든 부품은 각자의 프리셉트를 가지고 있다. '''모델'''은 무기의 종류와 유틸리티 스킬인 '오디터' 프리셉트를 결정하며, '''코어'''는 기반 능력치를 결정한다. '''브라켓'''은 실드/아머/체력의 분배율과 방어형 스킬인 '디나이얼' 프리셉트를 담당하며, '''스테빌라이저'''는 추가 극성과 공격 스킬인 '프로스펙터스' 프리셉트를 결정한다. 프리셉트는 종류별로 하나씩 총 3가지만 낄수 있다. === 모델 === ||
<:>'''{{{#5CD1E5 명칭}}}'''||<:>'''{{{#5CD1E5 도르마 하운드}}}'''[br]{{{#fff Dorma Hound}}}||<:>'''{{{#5CD1E5 바이라 하운드}}}'''[br]{{{#fff Bhaira Hound}}}||<:>'''{{{#5CD1E5 헤크 하운드}}}'''[br]{{{#fff Hec Hound}}}|| ||<:>'''{{{#5CD1E5 이미지}}}'''||<:>{{{#!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rmaHound.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hairaHound.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cHound.webp|width=100%]]}}}|| ||<:>'''{{{#5CD1E5 설명}}}'''||<:>이 모델은 '''바도텐''' 무기로 적들을 관통하며 '리포 오디트' 프리셉트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습니다.||<:>이 모델은 '''라세르텐''' 무기로 적들을 초토화시키며 '널 오디트' 프리셉트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습니다.||<:>이 모델은 '''아카텐''' 무기로 적들을 조각내며 '이퀄리브리엄 오디트' 프리셉트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습니다.|| ||<:>'''{{{#5CD1E5 근접 공격[br] 모듈}}}'''||<:>바도텐||<:>라세르텐||<:>아카텐|| ||<:>'''{{{#5CD1E5 프리셉트}}}'''||<:>리포 오디트||<:>널 오디트||<:>이퀄리브리엄 오디트|| === 코어 === 하운드의 기본 스탯을 결정하는 부품이다. 각 코어 마다 100 이상의 수치를 {{{#green 녹색}}}으로 표시한다. ||
<:>'''{{{#5CD1E5 명칭}}}'''||<:>'''{{{#5CD1E5 아들렛}}}'''[br]{{{#fff Adlet}}}||<:>'''{{{#5CD1E5 가름}}}'''[br]{{{#fff Garmr}}}||<:>'''{{{#5CD1E5 라이쥬}}}'''[br]{{{#fff Raiju}}}|| ||<:>'''{{{#5CD1E5 이미지}}}'''||<:>{{{#!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dlet.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rmr.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aiju.webp|width=100%]]}}}|| ||<:>'''{{{#5CD1E5 설명}}}'''||<:>강화된 실드가 특징인 코어입니다.||<:>내구성이 있는 방어력이 특징인 코어입니다.||<:>체력량 증가가 특징인 코어입니다.|| ||<:>'''{{{#5CD1E5 기본 체력}}}'''||<:>100||<:>100||<:>{{{#green 150}}}|| ||<:>'''{{{#5CD1E5 기본 실드}}}'''||<:>{{{#green 150}}}||<:>100||<:>100|| ||<:>'''{{{#5CD1E5 기본 방어력}}}'''||<:>100||<:>{{{#green 150}}}||<:>100|| === 브라켓 === 하운드 코어에 추가 스탯을 부여하는 부품이다. 각 부품마다 서로 다른 프리셉트 모드를 준다. 도금 시 수치가 두 배로 늘어난다. 각 브라켓 마다 가장 낮은 수치는 {{{#red 붉은색}}}으로 가장 높은 수치는 {{{#green 녹색}}}으로 표시한다. ||
<:>'''{{{#5CD1E5 명칭}}}'''||<:>'''{{{#5CD1E5 셀라}}}'''[br]{{{#fff Cela}}}||<:>'''{{{#5CD1E5 우르가}}}'''[br]{{{#fff Urga}}}||<:>'''{{{#5CD1E5 저브}}}'''[br]{{{#fff Zubb}}}|| ||<:>'''{{{#5CD1E5 이미지}}}'''||<:>{{{#!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ela.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rga.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ubb.webp|width=100%]]}}}|| ||<:>'''{{{#5CD1E5 설명}}}'''||<:>'리플렉스 디나이얼'을 기본 프리셉트로 장착하며, 하나의 방어 서브루틴에서 동력을 전환하여 다른 서브루틴들을 효율적으로 능률화 시킵니다.||<:>'다이버시파이드 디나이얼'을 기본 프리셉트로 장착하며, 하나의 방어 서브루틴에서 동력을 전환하여 다른 서브루틴들을 효율적으로 능률화 시킵니다.||<:>'이베이시브 디나이얼'을 기본 프리셉트로 장착하며, 하나의 방어 서브루틴에서 동력을 전환하여 다른 서브루틴들을 효율적으로 능률화 시킵니다.|| ||<:>'''{{{#5CD1E5 추가 체력}}}'''||<:>10%||<:>{{{#green +15%}}}||<:>{{{#red -5%}}}|| ||<:>'''{{{#5CD1E5 추가 실드}}}'''||<:>{{{#green +15%}}}||<:>{{{#red -5%}}}||<:>10%|| ||<:>'''{{{#5CD1E5 추가 방어력}}}'''||<:>{{{#red -5%}}}||<:>10%||<:>{{{#green +15%}}}|| ||<:>'''{{{#5CD1E5 프리셉트}}}'''||<:>리플렉스 디나이얼||<:>다이버시파이드 디나이얼||<:>이베이시브 디나이얼|| === 스테빌라이저 === ||
<:>'''{{{#5CD1E5 명칭}}}'''||<:>'''{{{#5CD1E5 완즈 스테빌라이저}}}'''[br]{{{#fff Wanz Stabilizer}}}||<:>'''{{{#5CD1E5 프랙 스테빌라이저}}}'''[br]{{{#fff Frak Stabilizer}}}||<:>'''{{{#5CD1E5 힌타 스테빌라이저}}}'''[br]{{{#fff Hinta Stabilizer}}}|| ||<:>'''{{{#5CD1E5 이미지}}}'''||<:>{{{#!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anz.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ak.webp|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inta.webp |width=100%]]}}}|| ||<:>'''{{{#5CD1E5 설명}}}'''||<:>나라몬 극성 슬릇 및 '에어리얼 프로스펙터스'모드를 기본 프리셉트로 설치합니다.||<:>바자린 극성 슬릇 및 '포커스드 프로스펙터스'모드를 기본 프리셉트로 설치합니다.||<:>마두라이 극성 슬릇 및 '시너자이즈드 프로스펙터스'모드를 기본 프리셉트로 설치합니다.|| ||<:>'''{{{#5CD1E5 프로스펙터스}}}'''||<:>에어리얼 프로스펙터스||<:>포커스드 프로스펙터스||<:>시너자이즈드 프로스펙터스|| ||<:>'''{{{#5CD1E5 극성}}}'''||<:>[[파일:워프레임_나라몬.png|theme=light]][[파일:워프레임_나라몬_화이트.png|theme=dark]]||<:>[[파일:워프레임_바자린.png|theme=light]][[파일:워프레임_바자린_화이트.png|theme=dark]]||<:>[[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theme=light]][[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theme=dark]]|| == 프리셉트 == 코어를 제외한 하운드의 부품들은 MOA와는 달리 본체인 모듈에 프리셉트가 몰려있는게 아니라, 부품마다 각자의 프리셉트가 할당되어 있다. 직접 동반자로써 사용할때는 프리셉트들을 모드로 받아서 큰 의미는 없지만 적으로 만날때는 외형을 보고 패턴을 짐작하는것이 가능하므로 참고해두자. 또한 모딩시 각 프리셉트 종류당 하나씩만 끼울 수 있다. === 모델 === 모델의 오디트 프리셉트는 군중제어, 무장해제, 오라 같은 유틸리티형 스킬들이다. * '''리포 오디트''' 도르마 하운드가 사용하며, 30m 내 적들의 무장을 해제시킨다. * '''널 오디트''' 바이라 하운드가 사용하며, 엑시무스 적의 오라를 복제해 하운드 본인이 60초간 사용하며 오버가드도 절반가량 날려버린다. 텐노를 대상으로는 가장 최근에 시전한 스킬을 막아버린다. * '''이퀄리브리엄 오디트''' 헤크 하운드가 사용하며, 땅을 연속적으로 찍어 적들을 넘어트리는 일련의 충격파를 방출한다. === 브라켓 === 브라켓의 디나이얼 프리셉트는 적의 공격을 다양한 방식으로 방어/교란/회피하는 방어 스킬들이다. * '''리플렉스 디나이얼''' 셀라 브라켓의 프리셉트로, 실드를 생성해 받은 피해의 90%를 광역 자성 피해로 반사한다. * '''다이버시파이드 디나이얼''' 우르가 브라켓의 프리셉트로, 85%만큼의 피해를 가하는 자신의 분신을 3개 만들어낸다. 이때 하운드는 무적 상태가 된다. * '''이베이시브 디나이얼''' 저브 브라켓의 프리셉트로, 텔레포트로 후퇴한뒤 8초간 75%의 확률로 공격을 회피한다. === 스테빌라이저 === 스테빌라이저의 프로스펙터스 프리셉트는 강력한 데미지를 가하는 공격 스킬들이다. * '''에어리얼 프로스펙터스''' 완즈 스테빌라이저의 프리셉트로, 바우반의 오비탈 스트라이크와 비슷한 광역 궤도포격을 유도하는 비컨을 발사한다. * '''포커스드 프로스펙터스''' 프랙 스테빌라이저의 프리셉트로, 머리에서 강력한 레이저를 4.5초간 발사한다. * '''시너자이즈드 프로스펙터스''' 힌타 스테빌라이저의 프리셉트로, 근처 적을 추적하고 7번 튕기는 불꽃을 발사한다.